KR20230023907A -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907A
KR20230023907A KR1020210105768A KR20210105768A KR20230023907A KR 20230023907 A KR20230023907 A KR 20230023907A KR 1020210105768 A KR1020210105768 A KR 1020210105768A KR 20210105768 A KR20210105768 A KR 20210105768A KR 20230023907 A KR20230023907 A KR 20230023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guardian
copy
medical recor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세현
노주현
이현진
김미정
김민진
박빈
한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210105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3907A/ko
Publication of KR2023002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8Medical equip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은, 보호자 단말에 의해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발급 요청에 포함되는 개인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인증키와, 상기 발급 요청에 첨부되어 있는 증빙정보에 따라, 보호자와 상기 환자와의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관계 확인 절차의 수행에 의해, 상기 보호자가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되면, EMR 시스템에서 획득되는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OPY OF PATIENT'S MEDICAL RECORD}
본 발명은 진료기록 사본의 제공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법정 대리인인 환자 보호자에 제공 시의 절차 간소화에 연관된다.
환자의 진료기록은 보호되어야 할 개인정보로서 의료법 21조에 따른 절차에 따라 제한된 범위에서 사본을 획득하거나 열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례로 의료기관 간 진료기록 공유를 목적으로 한 경우, 타 의료기관에서 실시된 검사 결과를 확인하여 환자의 정확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최근에는 보험사에 보험료를 청구하거나 PHR(개인건강기록) 서비스를 이용하려 할 때 등, 의료기관이 아닌 곳에서도 환자의 진료기록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일례로, 병원정보와 연동하여 개인건강기록을 암호화해 안전하게 교환하는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공개특허공보 제10-1582967호, "병원정보와 연동하는 개인건강기록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개인건강기록 전달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환자 본인이라면 휴대폰 본인인증 또는 공인인증서를 통한 인증 후에 진료기록 사본을 간단히 발급 받을 수 있지만, 환자의 보호자가 진료기록 사본을 대신 발급 받으려면, 본인 확인을 위한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동의서, 위임장 등 많은 증빙자료가 필요하고, 이를 전자문서화해 전달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환자의 보호자가 온라인으로 진료기록 사본을 발급 받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처럼 환자와, 환자의 보호자 또는 대리인이 진료기록을 열람 및 사본 발급을 요청할 때, 요청자에 따라 필요한 서류 및 절차가 다르고 복잡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보호자의 진료기록 사본 발급 절차를 종래보다 간소화해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병원과 환자, 병원과 환자의 법정 대리인, 또는 병원과 보험회사와 같은 환자의 대리인 간에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온라인으로 발급 받는 과정에서 필요한 서류와 절차를 간소화 하여, 빠르고 안전하게 진료기록 사본을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은, 보호자 단말에 의해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발급 요청에 포함되는 개인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인증키와, 상기 발급 요청에 첨부되어 있는 증빙정보에 따라, 보호자와 상기 환자와의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관계 확인 절차의 수행에 의해, 상기 보호자가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되면, EMR 시스템에서 획득되는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은, 보호자 단말에 의해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발급 요청에 포함되는 개인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를 식별하고, 상기 개인인증키와, 상기 발급 요청에 첨부되어 있는 증빙정보에 따라, 보호자와 상기 환자와의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관계 확인 절차의 수행에 의해, 상기 보호자가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되면, EMR 시스템에서 획득되는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발급 처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가 자녀의 진료기록을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PHR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료기록 사본을 발급받을 때 필요한 본인인증 및 법정대리인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와 환자 간 관계 확인 절차를, 1)OCR을 이용한 정보 추출을 이용한 가족관계를 확인하는 방식, 2)건강보험자격정보를 이용하여 가족관계를 확인하는 방식, 3)EMR 시스템의 가족관계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가족관계를 확인하는 방식 등으로 구분해 자동화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료기록 사본을 발급 요청하는 보호자 단말의 상황에 적합한 가족관계 확인 방식을 추천함으로써, PHR 앱을 통한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비스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에서, 발급 요청 내 증빙정보를 이용해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에서, EMR 시스템의 환자 차트를 이용해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에서, EMR 시스템의 환자 차트에서 가족 관계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에서, 제1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는 보호자 정보와 환자 정보 및 증빙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에서, 제2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는 진료기록 사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에서, 진료기록 사본을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PHR 앱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에서, 증빙정보에 따른 관계 확인 절차를 통해 진료기록 사본을 발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100)는, 본 발명의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110)과, 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PHR 앱(120),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130) 및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1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110)은, 네트워크(100)를 통해 의료기관 단말에서 실행되는 EMR 시스템(130)과 연계하여, 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PHR 앱(120)을 통해 진료기록 사본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구현에 앞서,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110)은, 진료기록 사본 제공 서비스를 위한 PHR 앱(120)을 제작해 다운로드 요청하는 보호자 단말로 배포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에서 PHR 앱(120)을 통해 회원가입 요청이 발생되면,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110)은, 보호자 단말을 인증 처리한 후, 보호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보호자 정보(전화번호, 생년월일, 이름) 및 환자 정보(성별, 생년월일)를 조합한 문자열을 해시값으로 변환해 생성한 개인인증키를, 보호자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
이후, 보호자 단말에서 PHR 앱(120)을 통해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이 발생되면,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110)은, 상기 발급 요청에 포함된 상기 개인인증키를 이용해,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110)은, 상기 발급 요청에 포함된 '요양기관번호'를 이용해, 환자의 진료기록 원본이 보관된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130)을 식별할 수 있다.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110)은, 상기 발급 요청에 첨부된 증빙정보에 따라, 보호자와 환자와의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110)은,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140)와 연계하여 보호자의 건강보험자격정보를 획득하여, 보호자와 환자가 가족관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보호자가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되면,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110)은, 환자의 진료기록 원본이 보관된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130)에서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가져와 보호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은, EMR 시스템(130)에서 암호화된 상태로 획득되고, 암호화키에 대한 복호화키를 가지고 있는 보호자 단말은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안전하게 열람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110)은, 보호자 단말이 대리인으로 지정한 보험사, 의료기관, 공공기관 등의 대리인 단말로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제공해 정해진 기간 동안 열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병원과 환자, 병원과 환자의 법정 대리인, 또는 병원과 보험회사와 같은 환자의 대리인 간에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온라인으로 발급 받는 과정에서 필요한 서류와 절차를 간소화 하여, 빠르고 안전하게 진료기록 사본을 제공 받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110)은, 보호자 단말에 의해 회원가입 시 입력된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 발급 요청에 첨부된 증빙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공간과, EMR 시스템(130)에서 획득된 진료기록 사본을 저장하는 제2 메모리 공간을 분리해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메모리 공간의 환자 정보와 제2 메모리 공간의 진료기록 사본이 분리되어 저장되므로, 제2 메모리 공간에서 진료기록 사본이 유출되더라도, 제1 메모리 공간의 어느 환자의 것인지 알 수 없어,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의 보안이 강화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200)은, 발급 처리 서버(210), 가입 처리 서버(220), 메모리 공간(230, 2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발급 처리 서버(210)는 보호자 단말에 의해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발급 요청에 포함되는 개인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를 식별하고, 상기 개인인증키와, 상기 발급 요청에 첨부되어 있는 증빙정보에 따라, 보호자와 상기 환자와의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관계 확인 절차의 수행에 의해, 상기 보호자가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되면, EMR 시스템에서 획득되는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보호자 단말에 제공한다.
먼저 개인인증키를 이용하여 발급 요청 대상의 환자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가입 처리 서버(220)는 PHR 앱을 통해 회원가입 요청을 발생하는 상기 보호자 단말을 인증 처리하고, 상기 인증 처리에 따라, 상기 회원가입 요청 시 상기 보호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를 조합해 생성한 개인인증키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할당한다.
예를 들어, 가입 처리 서버(220)는 회원가입 요청을 발생하는 보호자 단말에 휴대폰 본인인증을 실시하고, 인증되면 보호자 단말이 입력한 정보를 '보호자전화번호'+'자녀이름'+'자녀성별'+'자녀생년월일'처럼 합하여 해시값을 적용해 개인인증키를 생성하고, 시스템 간에 환자를 구분하는데 사용한다.
이 경우, 발급 처리 서버(210)는 상기 개인인증키로부터 추출되는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에 의해, 상기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급 처리 서버(210)는 상기 개인인증키 생성 시 사용한 해시값을 역으로 적용해 상기 개인인증키에서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를 추출하여 발급 요청 대상 환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가입 처리 서버(220)는 PHR 앱을 통해 회원가입 요청을 발생하는 상기 보호자 단말이 인증 처리되면 개인인증키를 할당하고, 상기 회원가입 요청 시 상기 보호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할당된 개인인증키와 연관시켜, 제1 메모리 공간(2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급 처리 서버(210)는 상기 개인인증키와 연관되어, 상기 제1 메모리 공간(230)에 저장된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에 의해, 상기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급 처리 서버(210)는 발급 요청에 포함된 개인인증키와 연관되는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를, 도 6에 도시한 제1 메모리 공간(230, 600)에서 찾아 발급 요청 대상 환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급 요청 대상 환자 식별이 완료되면, 보호자와 환자와의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일례로, 발급 처리 서버(210)는 발급 요청 시 보호자 단말이 선택한 관계 확인 절차 방식에 따라 증빙정보의 첨부 화면이나 의료기관 차트번호(환자번호)의 입력 화면을 보호자 단말의 PHR 앱을 통해 출력한 후, 관계 확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자는 절차에 따라 필요한 증빙정보를 미리 알 수 있어, 가장 이용하기 편한 절차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일례로, 발급 처리 서버(210)는 상기 발급 요청 내에 증빙정보가 첨부되었는지 확인하고, 증빙정보가 첨부되지 않은 경우에는, 환자의 진료기록 원본이 보관된 의료기관의 환자 차트를 이용하여 등록된 가족관계를 확인하거나, 증빙정보가 첨부된 경우에는, 증빙정보의 종류에 따라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급 처리 서버(210)는 보호자가 이용할 관계 확인 절차를 선택하는 단계를 생략하고, 증빙정보의 유무와 종류에 따라 이후의 관계 확인 절차를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증빙정보로서, 보호자의 신분증 및 가족관계증명서의 스캔 이미지가 첨부되는 경우, 발급 처리 서버(210)는 상기 신분증의 스캔 이미지에서, '성명'과 '주민등록번호'에 해당하는 영역의 제1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가족관계증명서의 스캔 이미지에서, "본인"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에 해당하는 영역의 제2 데이터를 추출하고, "가족사항"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에 해당하는 영역의 제3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가 일치하면서, 상기 제3 데이터 중에 상기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보호자를 상기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에서, 발급 요청 내 증빙정보를 이용해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는 신분증의 스캔 이미지에서 추출된 제1 데이터(310)와, 가족관계증명서의 스캔 이미지에서 추출된 제2, 제3 데이터(320)가 도시되어 있다.
표 1은 신분증의 스캔 이미지에서 '이름' 값과 '주민등록번호' 값의 추출을 위해 정의된 영역[Top, Bottom]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1
도 3과 표 1을 참조하면, 발급 처리 서버(210)는 보호자가 첨부한 '운전면허증'의 스캔 이미지에서, '이름'에 해당하는 영역[Top(108, 53), Bottom(245, 64)]의 제1 데이터(310)를 OCR을 이용해 추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발급 처리 서버(210)는 보호자가 첨부한 '가족관계증명서'의 스캔 이미지에서, "본인"[홍길동]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에 해당하는 영역의 제2 데이터와, "가족사항"[홍부진, ~홍은동, ~홍사동]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에 해당하는 영역의 제3 데이터를 OCR을 이용해 추출할 수 있다.
이후 발급 처리 서버(210)는 제1 데이터(310)와 상기 제2 데이터가 일치하면서, 상기 제3 데이터 중에 발급 요청 대상 환자[홍은동]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보호자를,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빙정보로서, 보호자의 공인인증서 및 인증서비밀번호가 첨부되는 경우, 발급 처리 서버(210)는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에 상기 보호자의 공인인증서 및 인증서비밀번호를 전달하면서, 보호자의 건강보험자격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에 의한 인증 처리에 따라, 상기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건강보험자격정보 내에, 상기 보호자 단말의 보호자 정보 및 상기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의 환자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보호자를 상기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표 2]에는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에서 획득된 보호자의 건강보험자격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표 2를 참조하면 발급 처리 서버(210)는 보호자인 [홍길동]의 정보와 발급 대상 환자인 [홍은동]의 정보가 '현자격' 상태로 상기 건강보험자격정보에 같이 기재되어 있으므로, 보호자를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증빙정보(신분증 및 가족관계증명서의 스캔 이미지 또는 건강보험자격정보 획득 시 필요한 인증정보)가 첨부되지 않고, 환자의 의료기관 내 차트번호(환자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발급 처리 서버(210)는 상기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의 차트 내에, 상기 보호자가, '가족관계'로 등록되어 있는지 EMR 시스템에 확인 요청하고, 상기 보호자가 '가족관계'로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보호자를 상기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에서, EMR 시스템의 환자 차트를 이용해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환자 차트(400)를 참조하면, 환자 '홍은동'이 최초로 병원을 방문하여 EMR 시스템에 환자 정보(410)를 등록 시, 차트번호, 이름,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집주소(우편번호), 휴대전화번호와 함께, 건강보험구분, 건강보험증번호 등의 보험정보(420)도 등록이 되는데, 보험정보(420)에는 환자의 보호자 '홍길동'가 피보험자로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발급 처리 서버(210)는 입력된 환자의 차트번호('43084')에 의해 검색되는 환자 차트(400) 내에, 보호자가 피보험자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EMR 시스템에 확인 요청하여, 보호자를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에서는, 상기 환자의 진료 접수 시 입력된 전화번호, 집주소 및 건강보험증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일치하는 차트를 가진 다른 환자가, 환자 리스트에서 검색되면, 상기 환자와 상기 다른 환자를 '가족관계'로 등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에서, EMR 시스템의 환자 차트에서 가족 관계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에서는, 환자 '홍은동'의 접수화면에서, 환자와 건강보험증번호 및 피보험자 정보가 일치하는 기존 환자 '홍길동'가 검색됨에 따라, 환자 '홍은동'과 기존 환자 '홍길동'을 가족관계로 등록하는 화면(510)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에서는, 환자 '홍은동'의 접수화면에서, 환자와 휴대전화번호가 일치하는 기존 환자 '홍길동'가 검색됨에 따라, 환자 '홍은동'과 기존 환자 '홍길동'을 가족관계로 등록하는 화면(520)을 출력하고, 화면(520)에서 '자녀', '배우자' 등 가족관계를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에서는, 최초 환자 접수 시 입력한 집주소, 전화번호, 건강보험증번호와 하나라도 일치하는 기존 환자에 가족관계 등록 화면(510, 520)을 출력해 가족관계를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발급 처리 서버(210)는 환자 차트를, 진료기록 사본을 요청하는 보호자가 환자의 법정 대리인인지 확인하는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EMR 시스템에서 획득되는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개인정보 노출 없이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에서, 제1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는 보호자 정보와 환자 정보 및 증빙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입 처리 서버(220)는 보호자 단말의 회원가입 요청 시 입력된 보호자 정보(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및 환자 정보(자녀의 이름, 생년월일, 성별)를, 보호자 단말에 할당된 개인인증키와 연관시켜, 제1 메모리 공간(230, 600)에 저장할 수 있다.
발급 처리 서버(210)는 보호자 단말의 진료기록 사본 발급 요청 시 첨부된 증빙정보(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를, 개인인증키에 연관시켜, 제1 메모리 공간(230, 600)에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에서, 제2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는 진료기록 사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발급 처리 서버(210)는 상기 EMR 시스템에서 획득되는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암호화된 상태로 상기 개인인증키와 연관시켜, 제1 메모리 공간(230, 600)과 이격된 제2 메모리 공간(240, 70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발급 처리 서버(210)는 EMR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진료기록 사본을,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와 분리 저장함으로써, 진료기록 사본이 유출되더라도, 어느 환자의 것인지 알 수 없게 할 수 있으므로,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의 보안이 강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에서, 진료기록 사본을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PHR 앱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메모리 공간(240)에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의 저장됨에 따라, 발급 처리 서버(210)는 상기 PHR 앱을 통해, 상기 보호자 단말에 도착 알림 메시지(800)를 출력하고, 도착 알림 메시지(800)를 확인한 보호자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복호화키로,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복호화하여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고, 보호자 단말은 PHR 앱을 통해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열람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입 처리 서버(220)는 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PHR 앱을 통해, 대칭키 암호화 방식에 따라 생성된 암호화키와 복호화키를, 보호자 단말 내 로컬 저장소에 저장해 두고, 발급 처리 서버(210)는 상기 발급 요청 발생 시, 보호자 단말 내 로컬 저장소에서 추출한 암호화키를, 환자의 진료기록 원본이 보관되는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EMR 시스템에서는 정해진 유효기간 동안 사용 가능한 상기 암호화키를 이용해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보호자 단말에서 복호화 가능한 형태로 암호화한 상태로 발급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키는 유효기간 경과시 EMR 시스템에서 삭제될 수 있다.
정해진 유효기간 내에, 상기 암호화키에 의해 암호화된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이 상기 EMR 시스템에서 획득되면, 발급 처리 서버(210)는 상기 보호자 단말 내 로컬 저장소로부터 추출한 복호화키로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복호화하여, 보호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 법정 대리인인 보호자가 대리인으로 지정한 보험사나 공공기관으로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이 바로 전달되게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발급 처리 서버(210)는 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PHR 앱을 통해, 보험사, 의료기관, 공공기관, PHR 앱 가입자 중 적어도 하나의 대리인 단말이 지정된 경우, 상기 EMR 시스템에서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이 획득됨에 따라, 보호자 단말 내 로컬 저장소로부터 추출한 복호화키를 상기 대리인 단말로 전달하고, 정해진 유효기간 내에, 상기 대리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상기 복호화키로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복호화하여 대리인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급 처리 서버(210)는 보호자 단말을 통하지 않고, 보호자 단말에서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제출하려는 곳으로 바로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제공할 수 있어, 진료기록 사본 제공 서비스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가 자녀의 진료기록을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PHR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료기록 사본을 발급받을 때 필요한 본인인증 및 법정대리인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보호자와 환자 간 관계 확인 절차를, 1)OCR을 이용한 정보 추출을 이용한 가족관계를 확인하는 방식, 2)건강보험자격정보를 이용하여 가족관계를 확인하는 방식, 3)EMR 시스템의 가족관계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가족관계를 확인하는 방식 등으로 구분해 자동화하여 수행할 수 있고, 진료기록 사본을 발급 요청하는 보호자 단말의 상황에 적합한 가족관계 확인 방식을 추천함으로써, PHR 앱을 통한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비스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은, 상술한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910 내지 920)에서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200)은 진료기록 사본 발급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진료기록 사본 발급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발급 요청 내 개인인증키를 이용해 대상 환자를 식별한다.
단계(930)에서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200)은 발급 요청에 첨부된 증빙정보 또는 EMR 시스템의 환자 차트를 이용해, 보호자와 환자의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한다. 본 단계(930)는 발급 요청자인 보호자가 발급 대상인 환자의 법정 대리인인지 확인하는 과정일 수 있다.
단계(940 내지 960)에서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200)은 보호자가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되는 경우, EMR 시스템에서 암호화된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획득하고, 도착 알림 메시지를 PHR 앱을 통해 보호자 단말에 전송한다.
단계(970 내지 980)에서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200)은 도착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보호자 단말이 입력한 복호화키로 진료기록 사본을 복호화하여, 보호자 단말 또는 상기 보호자 단말이 위임한 대리인 단말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와, 환자의 보호자 또는 대리인이 진료기록을 열람 및 사본 발급을 요청할 때, 요청자에 따라 필요한 서류 및 절차가 다르고 복잡하다는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개선하여, 보호자의 진료기록 사본 발급 절차를 간소화해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에서, 증빙정보에 따른 관계 확인 절차를 통해 진료기록 사본을 발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는 신분증과 가족관계증명서를 이용해 진료기록사본을 발급하는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11에는 건강보험자격증명을 이용한 진료기록사본을 발급하는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12에는 EMR 시스템의 가족관계 등록 기능을 이용해 진료기록 사본을 발급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은, 도 1에서 설명한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110)은 PHR 서버 및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보호자는 PHR 앱을 통해 PHR 서버에 회원가입을 진행한다. PHR 서버는 휴대폰 본인인증 과정을 거쳐 보호자가 입력한 전화번호, 이름, 생년월일이 가입자 본인 정보임을 확인한다.
인증 성공 시, PHR 서버는 보호자가 입력한 보호자 정보와 환자 정보를 조합해, 예컨대 "보호자 전화번호+자녀 이름+자녀 성별+자녀 생년월일"을 해시값으로 변환한 개인인증키를 생성해 보호자 단말에 할당한다.
상기 개인인증키는 PHR 서버,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 EMR 시스템(130)에서 진료기록 사본을 요청한 환자를 구분하기 위한 값, 각 서버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때 연결키로 사용된다.
보호자가 PHR 앱을 통해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을 발생하면, PHR 서버는 상기 발급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회원가입 시 입력된 환자 정보와 함께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로 전달한다.
상기 발급 요청에는, 의료기관의 요양기관번호, 가족관계 증빙정보, 상기 개인인증키와, 진료기록 사본의 암호화시 필요한 암호화키가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증빙정보는 발급 요청자 환자의 법적인 보호자임을 증명하는 가족관계증명서 및 보호자 본인임을 증명하는 신분증의 스캔 이미지일 수 있다.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는, PHR 서버에서 전달된 상기 발급 요청에 포함된 정보와 환자 정보를 EMR 시스템(130)에 전달하면서, 진료기록 사본을 발급 요청한다. 이때, 개인인증키 및 증빙정보는,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 내 제1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다.
EMR 시스템(130)에서는,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에서 전달된 증빙정보에 의해 발급 요청자인 보호자가 발급 대상자인 환자의 법정 대리인임을 확인하면, 상기 암호화키로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진료기록 사본과 상기 개인인증키를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로 전달한다. 이때 암호화된 진료기록 사본은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 내 제2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다.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는, PHR 서버를 통하여 보호자의 PHR 앱에 도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착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보호자는, PHR 앱을 통해 상기 암호화키의 대칭키인 복호화키를 입력하고, PHR 서버는,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에서 다운로드한 상기 진료기록 사본을 상기 복호화키로 복호화해 PHR 앱을 통해 보호자에게 제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개인인증키를 생성하는 단계까지는 도 10과 동일하고, 상기 발급 요청시 포함되는 증빙정보가, 보호자의 건강보험자격정보 확인을 위한 공인인증서 및 인증서비밀번호로 대체되는 점이 도 10과 다르다.
보호자는 PHR 앱을 통해 공인인증서 및 인증서비밀번호를 증빙정보로서 포함해 발급 요청을 발생하고, PHR 서버는 상기 발급 요청에 포함된 정보와 회원가입 시 입력된 환자 정보와 함께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로 전달한다.
그러면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는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140)로 접속하여, 상기 공인인증서 및 인증서비밀번호를 이용해 발급 요청자인 보호자의 건강보험자격정보를 획득한다.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는, PHR 서버에서 전달된 상기 발급 요청에 포함된 정보와 환자 정보 및 상기 건강보험자격정보를 EMR 시스템(130)에 전달하면서, 진료기록 사본을 발급 요청한다.
EMR 시스템(130)에서는, 상기 건강보험자격정보에 의해 발급 요청자인 보호자가 발급 대상자인 환자의 법정 대리인임을 확인하면, 상기 암호화키로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진료기록 사본과 상기 개인인증키를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로 전달한다. 이후 과정은 도 10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이처럼 건강보험자격정보에 의해 가족관계를 증명해서 진료기록 사본을 발급받는 경우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신분증 및 가족관계증명서의 스캔 이미지에 의해 가족관계를 증명해서 진료기록 사본을 발급받는 경우 보다, 증명서의 스캔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사용자 편의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증빙정보를 첨부할 수 없는 경우, 환자의 진료기록 원본이 보관된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130)에서 환자차트에 기록된 가족관계 등록 정보를 이용해 보호자와 환자의 관계를 간단히 확인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개인인증키를 생성하는 단계까지는 도 10과 동일하고, 상기 발급 요청시 포함되는 증빙정보가 없다는 점이 도 10 및 도 11과 다르다.
보호자가 PHR 앱을 통해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을 발생하면, PHR 서버는 상기 발급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회원가입 시 입력된 환자 정보와 함께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로 전달하고,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버는 전달된 정보를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130)으로 전달한다.
상기 발급 요청에는, 의료기관의 요양기관번호, 개인인증키와, 진료기록 사본의 암호화시 필요한 암호화키가 포함되고, 가족관계 증빙정보는 포함되지 않으며, 실시예예 따라 환자의 차트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EMR 시스템(130)에서는, 상기 환자 정보에 해당하는 환자 차트를 찾고, 발급 요청자인 보호자가 환자 차트에서 가족관계로 등록되었는지 확인함으로써, 보호자와 환자의 관계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과정은 도 10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료기록 사본을 발급 요청하는 보호자 단말의 상황에 적합한 가족관계 확인 방식을 추천함으로써, PHR 앱을 통한 진료기록 사본 발급 서비스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
210: 발급 처리 서버
220: 가입 처리 서버
230, 240: 메모리 공간

Claims (17)

  1. 보호자 단말에 의해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발급 요청에 포함되는 개인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개인인증키와, 상기 발급 요청에 첨부되어 있는 증빙정보에 따라, 보호자와 상기 환자와의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관계 확인 절차의 수행에 의해, 상기 보호자가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되면,
    EMR 시스템에서 획득되는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PHR 앱을 통해 회원가입 요청을 발생하는 상기 보호자 단말을 인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처리에 따라, 상기 회원가입 요청 시 상기 보호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를 조합해 생성한 개인인증키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자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인증키로부터 추출되는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에 의해, 상기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PHR 앱을 통해 회원가입 요청을 발생하는 상기 보호자 단말이 인증 처리되면, 개인인증키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회원가입 요청 시 상기 보호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할당된 개인인증키와 연관시켜, 제1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자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인증키와 연관되어, 상기 제1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에 의해, 상기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빙정보를, 상기 개인인증키에 연관시켜, 상기 제1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EMR 시스템에서 획득되는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상기 개인인증키와 연관시켜, 상기 제1 메모리 공간과 이격된 제2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의 저장에 따라, 상기 PHR 앱을 통해, 상기 보호자 단말에 도착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도착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상기 보호자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복호화키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복호화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PHR 앱을 통해, 대칭키 암호화 방식에 따라 생성된 암호화키와 복호화키를, 상기 보호자 단말 내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발급 요청 발생 시, 상기 보호자 단말 내 로컬 저장소에서 추출한 암호화키를,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원본이 보관되는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정해진 유효기간 내에, 상기 암호화키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이 상기 EMR 시스템에서 획득되면,
    상기 보호자 단말 내 로컬 저장소로부터 추출한 복호화키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복호화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PHR 앱을 통해, 대리인 단말이 지정되는 경우,
    상기 EMR 시스템에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이 획득됨에 따라,
    상기 보호자 단말 내 로컬 저장소로부터 추출한 복호화키를 상기 대리인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및
    정해진 유효기간 내에, 상기 대리인 단말에 의해 입력된 상기 복호화키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복호화하여, 상기 대리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빙정보로서, 보호자의 신분증 및 가족관계증명서의 스캔 이미지가 첨부되는 경우,
    상기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신분증의 스캔 이미지에서, '성명'과 '주민등록번호'에 해당하는 영역의 제1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족관계증명서의 스캔 이미지에서, "본인"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에 해당하는 영역의 제2 데이터를 추출하고, "가족사항"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에 해당하는 영역의 제3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가 일치하면서, 상기 제3 데이터 중에 상기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보호자를 상기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빙정보로서, 보호자의 공인인증서 및 인증서비밀번호가 첨부되는 경우,
    상기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에 상기 보호자의 공인인증서 및 인증서비밀번호를 전달하면서, 상기 보호자의 건강보험자격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에 의한 인증 처리에 따라, 상기 건강보험관리공단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건강보험자격정보 내에,
    상기 보호자 단말의 보호자 정보 및 상기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의 환자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보호자를 상기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MR 시스템은, 상기 환자의 진료 접수 시 입력된 전화번호, 집주소 및 건강보험증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일치하는 차트를 가진 다른 환자가, 환자 리스트에서 검색되면, 상기 환자와 상기 다른 환자를 '가족관계'로 등록하고,
    상기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의 차트 내에, 상기 보호자가, '가족관계'로 등록되어 있는지 상기 EMR 시스템에 확인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자가 '가족관계'로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보호자를 상기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11. 보호자 단말에 의해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발급 요청에 포함되는 개인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기록 사본의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를 식별하고, 상기 개인인증키와, 상기 발급 요청에 첨부되어 있는 증빙정보에 따라, 보호자와 상기 환자와의 관계 확인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관계 확인 절차의 수행에 의해, 상기 보호자가 환자의 법정 대리인으로 확인되면, EMR 시스템에서 획득되는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발급 처리 서버
    를 포함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PHR 앱을 통해 회원가입 요청을 발생하는 상기 보호자 단말을 인증 처리하고, 상기 인증 처리에 따라, 상기 회원가입 요청 시 상기 보호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를 조합해 생성한 개인인증키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할당하는 가입 처리 서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급 처리 서버는,
    상기 개인인증키로부터 추출되는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에 의해, 상기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를 식별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PHR 앱을 통해 회원가입 요청을 발생하는 상기 보호자 단말이 인증 처리되면, 개인인증키를 할당하고, 상기 회원가입 요청 시 상기 보호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할당된 개인인증키와 연관시켜, 제1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가입 처리 서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급 처리 서버는,
    상기 개인인증키와 연관되어, 상기 제1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보호자 정보 및 환자 정보에 의해, 상기 발급 요청 대상으로 지정된 환자를 식별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급 처리 서버는,
    상기 증빙정보를, 상기 개인인증키에 연관시켜, 상기 제1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고,
    상기 EMR 시스템에서 획득되는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상기 개인인증키와 연관시켜, 상기 제1 메모리 공간과 이격된 제2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급 처리 서버는,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의 저장에 따라, 상기 PHR 앱을 통해, 상기 보호자 단말에 도착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도착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상기 보호자 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복호화키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복호화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 처리 서버는,
    상기 보호자 단말에 설치된 PHR 앱을 통해, 대칭키 암호화 방식에 따라 생성된 암호화키와 복호화키를, 상기 보호자 단말 내 로컬 저장소에 저장하고,
    상기 발급 처리 서버는,
    상기 발급 요청 발생 시, 상기 보호자 단말 내 로컬 저장소에서 추출한 암호화키를,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원본이 보관되는 의료기관의 EMR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정해진 유효기간 내에, 상기 암호화키에 의해 암호화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이 상기 EMR 시스템에서 획득되면,
    상기 보호자 단말 내 로컬 저장소로부터 추출한 복호화키로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사본을 복호화하여,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제공하는
    진료기록 사본 제공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105768A 2021-08-11 2021-08-11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23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68A KR20230023907A (ko) 2021-08-11 2021-08-11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68A KR20230023907A (ko) 2021-08-11 2021-08-11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07A true KR20230023907A (ko) 2023-02-20

Family

ID=8532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768A KR20230023907A (ko) 2021-08-11 2021-08-11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39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98663B (zh) 提供和获取安全身份信息的方法及装置
CN110383757B (zh) 用于安全处理电子身份的系统和方法
CN109636411B (zh) 提供和获取安全身份信息的方法及装置
KR102038964B1 (ko) 어플리케이션 간의 상호 인증 방법 및 장치
WO20200513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digital id record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KR101863953B1 (ko) 전자 서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1843599B2 (en) Systems, method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for secure biometrically-enhanced data exchanges and data storage
JP2020511077A (ja) 生体データテンプレートの更新
KR20160085143A (ko) 익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220005039A1 (en) Delegation method and delegation request managing method
JP2022145793A (ja) 認証サーバ、認証サーバ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71307A (ko) 인증서 검증 방법, 인증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단말
US1063064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digital document communication
JP6712707B2 (ja) 複数のサービスシステムを制御するサーバ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1205660A1 (ja) 認証サーバ、認証システム、認証サーバ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20230023907A (ko) 진료기록 사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7375918B2 (ja) 認証サーバ、認証システム、認証サーバ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024281A1 (ja) 認証サーバ、認証システム、認証要求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7367692B2 (ja) 装置、リクエスト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39698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2002341762A (ja) 電子署名代行方法、その装置、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KR20210135405A (ko) 원격 상담을 통한 의료 기록 관리 방법
KR102478963B1 (ko) 백신 접종 디지털 인증서를 발급하고 증명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JP7375917B2 (ja) 認証サーバ、認証システム、認証サーバ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06735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