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418B1 -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418B1
KR101488418B1 KR20130149514A KR20130149514A KR101488418B1 KR 101488418 B1 KR101488418 B1 KR 101488418B1 KR 20130149514 A KR20130149514 A KR 20130149514A KR 20130149514 A KR20130149514 A KR 20130149514A KR 101488418 B1 KR101488418 B1 KR 10148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abin
block
tip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유리
Original Assignee
홍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유리 filed Critical 홍유리
Priority to KR20130149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61Removing layer of skin tissue, e.g. wrinkles, scars or cancerous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매선도구의 제조방법은, 니들(N)의 선단으로 매선실(F)의 일부를 삽입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와,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와,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B)을 돌리면서 올리므로 상기 매선실(F)이 상기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상승단계와,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매선실(F)을 일부러 스프링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서 별도로 제조할 필요 없이 니들(N)에 끼우면서 용이하게 니들(N)에 감기도록 하여 스프링 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작업의 편의성이 있고, 완성 후에는 피부 속에 매선실(F)을 삽입한 경우, 일반 매선실(F)의 길이로 시술하더라도 스프링 형상이므로 부피를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니들(N)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더라도 피하에 잔류하는 매선실(F)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매선도구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injection syringe}
본 발명은 매선도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직선형의 매선실이 니들에 감긴 상태에서 스프링 형상으로 소성 변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함께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최근 들어 매선시술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 그 이유는 매선실(F)을 피하(皮下)에 삽입하는 간단한 시술로서 피부의 주름을 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시술은 종래처럼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보톡스와 같은 독극물을 피하(皮下)에 주입하지 아니하고서도 주름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시술로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매선시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선행기술문헌에 의한 매선도구(T)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매선도구(T)는, 피부를 뚫고 들어가도록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된 튜브 형상의 니들(N)이 구성되고, 상기 니들(N)의 선단을 통해서 내부로 매선실(F)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니들(N)의 외부로 노출된 매선실(F)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니들(N)이 매선실(F)과 함께 스폰지나 스치로폼과 같은 연질의 블록(B)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 매선실(F)은 피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블록(B)에 의해서 니들(N)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매선도구(T)의 시술례를 살펴보면, 니들(N)의 후방부를 잡고 피부에 선단을 찔러 넣는다. 그러고나서, 피부를 누른 후, 상기 블록(B)과 니들(N)을 동시에 후방으로 뽑아낸다. 그러면, 상기 매선실(F)만이 피하에 잔류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매선실(F)에는 콜라겐이 집적하게 되면서 피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의 주름을 펼 수 있게 된다.
상기 매선도구(T)는 이미 일반화된 것으로서 시술 방법은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매선도구(T)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매선실(F)을 삽입한다. 그리고, 선단 외부로 노출된 매선실(F)을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힌 후, 상기 선단이 상기 블록(B)을 통과하도록 하여 니들(N)과 매선실(F)이 블록(B)을 함께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매선도구(T)는 매선실(F)이 직선형이므로, 상기 매선실(F)의 부피를 증가시켜서 콜라겐의 집적을 증가시키므로 주름을 펼 필요성이 있을 때에는, 매선실(F)의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매선실(F)의 길이를 종래보다 길게 해야 한다. 따라서, 니들(N)의 길이가 비례해서 길어져야 하기 때문에 시술 시, 니들(N)을 삽입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피시술자는 통증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매선실(F)보다 선경이 굵은 것을 피부에 삽입하여 콜라겐의 집적을 증가시켜서 주름을 펼 필요성이 있을 때에는, 기존의 니들(N)보다 선경이 굵은 것을 써야 하므로 선경이 가는 것에 비해서 피부 삽입이 어렵고 환자의 통증을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ttp://www.shesclinic.co.kr/face/face_01.htm
본 발명에 의한 매선도구의 제조방법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매선실이 니들의 둘레에 감긴 상태에서 소성변형하도록 하므로 매선실이 코일 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삽입되는 길이로도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되고, 코일 모양으로 피하에 삽입이 가능하므로 선경이 가는 매설실로도 굵은 것을 삽입한 것과 같다, 따라서, 콜라겐의 집적도를 높여서 효율적으로 피부의 주름을 펼 수 있도록 한, 매선도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선도구의 제조방법은,
니들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을 상기 니들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와,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의 선단이 블록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블록을 돌리면서 올리므로 상기 매선실이 상기 니들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상승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승단계에서 매선실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니들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을 상기 니들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와,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블록을 올리는 상승단계와,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을 돌려서 상기 매선실이 상기 니들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회전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단계에서 매선실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한다.
또는, 상기 회전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니들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을 상기 니들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와,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의 선단이 블록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을 올리는 상승단계와,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을 잡은 상태에서 니들의 후방부를 돌려서 상기 매선실이 상기 니들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회전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단계에서 매선실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한다.
또는, 상기 회전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니들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을 상기 니들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와,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의 선단이 블록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을 잡은 상태에서 니들을 밀어내면서 돌리므로 매선실이 니들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밀어내는 단계에서 매선실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한다.
또는, 상기 밀어내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니들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을 상기 니들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매선실이 니들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감는 단계와, 상기 감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의 선단이 블록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을 올리는 상승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는 단계에서 매선실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니들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을 상기 니들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와,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의 선단이 블록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을 돌려서 전진하도록 하면서 블록을 돌리면서 올리므로 상기 매선실이 상기 니들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상승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승단계에서 매선실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매선도구의 제조방법은, 매선실을 일부러 스프링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서 별도로 제조할 필요 없이 니들에 끼우면서 용이하게 니들에 감기도록 하여 스프링 형상이 되도록 하는 작업의 편의성이 있고, 완성 후에는 피부 속에 매선실을 삽입한 경우, 일반 매선실의 길이로 시술하더라도 스프링 형상이므로 부피를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니들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더라도 피하에 잔류하는 매선실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매선도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입단계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젖히는 단계와 삽입단계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승단계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입단계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젖히는 단계와 삽입단계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승단계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매선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선도구(T)는, 피부를 뚫고 들어가도록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된 튜브 형상의 니들(N)이 구성되고, 상기 니들(N)의 선단 또는 후방부를 통해서 내부로 매선실(F)이 삽입되어 선단 밖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니들(N)의 외부 즉, 선단 밖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니들(N)이 매선실(F)과 함께 스폰지나 스치로폼과 같은 연질의 블록(B)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매선용 실(F)은 일반적으로 봉합사와 동일한 재질의 것으로서, 폴리글리콜릭산(polyglycolic acid), 폴리글락틴(polyglacyin)910, 폴리디옥사논(polydioxaone), 폴리글레카프론(polyglecaprone)25, 폴리글리코네이트(polyglyconate)글리코머(glycomer)631, 터폴리머(terpolymer) 등으로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매선실(F)이 니들(N)에 감긴 상태에서 스프링 형상으로 소성변형이 가능하므로 피하에서 짧은 길이로도 부피의 증가가 가능하도록 발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을 잡고 블록(B)을 돌리면서 올리므로 상기 매선실(F)이 상기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상승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블록(B)은 매선실(F)과 니들(N)을 동시에 잡고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승단계에서 매선실(F)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므로, 니들(N)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도 코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B)을 올리는 상승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블록(B)은 매선실(F)과 니들(N)을 동시에 잡고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을 잡은 상태에서 블록(B)을 돌려서 상기 매선실(F)이 상기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회전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매선실(F)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므로, 니들(N)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도 코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B)을 올리는 상승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블록(B)은 매선실(F)과 니들(N)을 동시에 잡고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B)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니들(N)의 후방부를 돌려서 상기 매선실(F)이 상기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회전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매선실(F)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므로, 니들(N)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도 코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B)을 잡은 상태에서 니들(N)을 밀어내면서 돌리므로 매선실(F)이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밀어내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블록(B)은 매선실(F)과 니들(N)을 동시에 잡고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밀어내는 단계에서 매선실(F)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므로, 니들(N)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도 코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노출된 매선실(F)이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감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매선실(F)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므로, 니들(N)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도 코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B)을 올리는 상승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블록(B)은 매선실(F)과 니들(N)을 동시에 잡고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을 돌려서 전진하도록 하면서 블록(B)을 돌리면서 올리므로 상기 매선실(F)이 상기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상승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블록(B)은 매선실(F)과 니들(N)을 동시에 잡고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승단계에서 매선실(F)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므로, 니들(N)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도 코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을 잡은 상태에서 블록(B)을 돌리면서 올리므로 상기 매선실(F)이 상기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상승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블록(B)은 매선실(F)과 니들(N)을 동시에 잡고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F)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에서의 온도는 일례로서 55∼80℃로 20∼40분 동안 가열하므로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열단계는 히터의 열을 쐬어 주므로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니들(N)에서 매선실(F)을 이탈시켰을 때 매선실(F)은 스프링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B)을 올리는 상승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블록(B)은 매선실(F)과 니들(N)을 동시에 잡고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을 잡은 상태에서 블록(B)을 돌려서 상기 매선실(F)이 상기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회전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F)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에서의 온도는 일례로서 55∼80℃로 20∼40분 동안 가열하므로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열단계는 히터의 열을 쐬어 주므로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니들(N)에서 매선실(F)을 이탈시켰을 때 매선실(F)은 스프링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B)을 올리는 상승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블록(B)은 매선실(F)과 니들(N)을 동시에 잡고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B)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니들(N)의 후방부를 돌려서 상기 매선실(F)이 상기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회전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F)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에서의 온도는 일례로서 55∼80℃로 20∼40분 동안 가열하므로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열단계는 히터의 열을 쐬어 주므로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니들(N)에서 매선실(F)을 이탈시켰을 때 매선실(F)은 스프링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B)을 잡은 상태에서 니들(N)을 밀어내면서 돌리므로 매선실(F)이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밀어내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블록(B)은 매선실(F)과 니들(N)을 동시에 잡고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밀어내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F)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에서의 온도는 일례로서 55∼80℃로 20∼40분 동안 가열하므로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열단계는 히터의 열을 쐬어 주므로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니들(N)에서 매선실(F)을 이탈시켰을 때 매선실(F)은 스프링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노출된 매선실(F)이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감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B)을 올리는 상승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블록(B)은 매선실(F)과 니들(N)을 동시에 잡고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F)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에서의 온도는 일례로서 55∼80℃로 20∼40분 동안 가열하므로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열단계는 히터의 열을 쐬어 주므로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니들(N)에서 매선실(F)을 이탈시켰을 때 매선실(F)은 스프링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을 돌려서 전진하도록 하면서 블록(B)을 돌리면서 올리므로 상기 매선실(F)이 상기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상승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때, 블록(B)은 매선실(F)과 니들(N)을 동시에 잡고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F)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에서의 온도는 일례로서 55∼80℃로 20∼40분 동안 가열하므로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열단계는 히터의 열을 쐬어 주므로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니들(N)에서 매선실(F)을 이탈시켰을 때 매선실(F)은 스프링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가열단계는 매선실(F), 니들(N), 블록(B)이 조합된 상태에서 가열기에 넣어서 가열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또는 열을 가하는 소독기에 넣어서 소독과 동시에 가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선실(F)을 일부러 스프링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서 별도로 제조할 필요 없이 니들(N)에 끼우면서 용이하게 니들(N)에 감기도록 하여 스프링 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작업의 편의성이 있고, 완성 후에는 피부 속에 매선실(F)을 삽입한 경우, 일반 매선실(F)의 길이로 시술하더라도 스프링 형상이므로 부피를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니들(N)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고 선경을 기존의 것에 비해서 굵게 하지 않더라도 피하에 잔류하는 매선실(F)의 부피를 증가시켜서 주름을 효율적을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 매선도구
N: 니들
F: 매선실
B: 블록

Claims (18)

  1.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와,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블록(B)을 돌리면서 올리므로 상기 매선실(F)이 상기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상승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2.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와,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블록(B)을 올리는 상승단계와,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B)을 돌려서 상기 매선실(F)이 상기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회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3.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와,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B)을 올리는 상승단계와,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B)을 잡은 상태에서 니들(N)의 후방부를 돌려서 상기 매선실(F)이 상기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회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4.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와,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B)을 잡은 상태에서 니들(N)을 밀어내면서 돌리므로 매선실(F)이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5.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매선실(F)이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감는 단계와,
    상기 감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블록(B)을 올리는 상승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6. 니들(N)의 선단 및 후방부 중 어느 한 곳으로 매선실(F)을 삽입하여 선단 밖으로 매선실(F)이 연장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주입단계와,
    상기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으로 노출된 매선실(F)을 상기 니들(N)의 후방으로 젖히는 단계와,
    상기 젖히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의 선단이 블록(B)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삽입단계 이후에, 상기 니들(N)을 돌려서 전진하도록 하면서 블록(B)을 돌리면서 올리므로 상기 매선실(F)이 상기 니들(N)의 둘레에 감기도록 하는 상승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단계에서 매선실(F)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F)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계에서 매선실(F)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F)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계에서 매선실(F)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F)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내는 단계에서 매선실(F)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내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F)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는 단계에서 매선실(F)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F)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단계에서 매선실(F)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탄성한도를 초과하도록 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단계 이후에, 상기 매선실(F)에 열을 가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KR20130149514A 2013-12-03 2013-12-03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KR10148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9514A KR101488418B1 (ko) 2013-12-03 2013-12-03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9514A KR101488418B1 (ko) 2013-12-03 2013-12-03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418B1 true KR101488418B1 (ko) 2015-02-03

Family

ID=5258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9514A KR101488418B1 (ko) 2013-12-03 2013-12-03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4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208B1 (ko) * 2016-01-28 2017-12-22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KR20180126403A (ko) * 2017-05-17 2018-11-27 양해생 실 삽입기
WO2019088406A1 (ko) * 2017-11-02 2019-05-09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WO2019208896A1 (ko) * 2018-04-25 2019-10-31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코일스프링 pdo 및 침관의 결합구조
KR20220007191A (ko) * 2020-07-10 2022-01-18 삼일테크(주) 봉합사용 자동 니들 삽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394A (ko) * 2009-02-06 2010-08-16 배태성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KR20110131030A (ko) * 2010-05-28 2011-12-0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한방용 약실 제조 방법
KR20130123338A (ko) * 2013-07-04 2013-11-12 이준집 매선용 도구
KR20130130436A (ko) * 2012-05-22 2013-12-02 홍유리 주름 제거용 매선 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394A (ko) * 2009-02-06 2010-08-16 배태성 근육강화 생분해 섬유사 삽입장치
KR20110131030A (ko) * 2010-05-28 2011-12-06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한방용 약실 제조 방법
KR20130130436A (ko) * 2012-05-22 2013-12-02 홍유리 주름 제거용 매선 도구
KR20130123338A (ko) * 2013-07-04 2013-11-12 이준집 매선용 도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208B1 (ko) * 2016-01-28 2017-12-22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KR20180126403A (ko) * 2017-05-17 2018-11-27 양해생 실 삽입기
KR102205020B1 (ko) 2017-05-17 2021-01-22 양해생 실 삽입기
WO2019088406A1 (ko) * 2017-11-02 2019-05-09 주식회사 네오닥터 실 삽입기
WO2019208896A1 (ko) * 2018-04-25 2019-10-31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코일스프링 pdo 및 침관의 결합구조
KR20190124010A (ko) * 2018-04-25 2019-11-04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코일스프링 pdo 및 침관의 결합구조
KR102116569B1 (ko) 2018-04-25 2020-05-29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코일스프링 pdo 및 침관의 결합구조
KR20220007191A (ko) * 2020-07-10 2022-01-18 삼일테크(주) 봉합사용 자동 니들 삽입장치
KR102474141B1 (ko) 2020-07-10 2022-12-06 삼일테크(주) 봉합사용 자동 니들 삽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418B1 (ko) 매선도구의 제조방법
TWI625112B (zh) 縫合及其製造方法、設置有縫合線的套組、操作裝置以及具有縫合線的操作套組
JP2020096915A (ja) 医療用糸挿入装置、及びそれを具備した医療用糸挿入施術キット
JPS5921775Y2 (ja) 縫合針
KR101773774B1 (ko)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EP3581117A1 (en) Blunt needle for delivery of dermal filler threads
US11241303B2 (en) Apparatus for inserting medical tube and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medical tube, having same
KR20130130436A (ko) 주름 제거용 매선 도구
RU2006143637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арикозных вен
KR101502075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제조 방법
KR20160032829A (ko) 매선 시술용 기구
KR101574244B1 (ko) 매선도구
KR101368481B1 (ko) 매선시술용 도구
KR102038477B1 (ko) 실 삽입기
KR101515075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의 봉합사 세팅방법
CN113038892B (zh) 鼻子手术用线插入器
KR20180126402A (ko) 실 삽입기
KR101746738B1 (ko) 피부 주름 제거를 위한 성형용 실
KR20150039085A (ko) 매선 자입기
KR20140120720A (ko) 매선용 도구
CN211511917U (zh) 一种穿刺孔缝合用带鞘钩线针
JP2014036719A (ja) 針付き縫合糸
CN102512218B (zh) 可控自弯缝针
JP5315534B2 (ja) 施術具
CN217938336U (zh) 一种导引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