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815B1 - Upc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Upc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815B1
KR101487815B1 KR20120132989A KR20120132989A KR101487815B1 KR 101487815 B1 KR101487815 B1 KR 101487815B1 KR 20120132989 A KR20120132989 A KR 20120132989A KR 20120132989 A KR20120132989 A KR 20120132989A KR 101487815 B1 KR101487815 B1 KR 101487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lab
upc
deck
de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32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918A (ko
Inventor
유광준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주)이지파트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주)이지파트너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20120132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8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Making large underground spaces, e.g. for underground plants, e.g. stations of underground railways; Construction or layout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5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스팬이 요구되는 바닥판 구조에 있어서, 요구되는 스팬의 길이를 확보하면서도 바닥판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자중을 경감시키고 경제성 및 지하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바닥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플랜지(220)의 폭이 상부 플랜지(210)의 폭보다 큰 이형 철골보와, 상기 이형 철골보에 거치되는 UPC 슬래브(300)와, 상기 UPC 슬래브(300)에 거치되는 데크 플레이트(400) 및, 상기 UPC 슬래브(300)와 데크 플레이트(400) 상면에 타설되는 덧침 콘크리트(500)로 이루어지되, 상기 UPC 슬래브(300)는 상판(310)과, 상판(310)의 양 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측판(320) 및 상기 측판(320)의 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하판(3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310)과 측판(320)에 의해 형성되는 UPC 슬래브(300) 단부의 하부공간에 막이판(340)이 형성되며, 다수 개 UPC 슬래브(300)가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면서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220) 상면에 단순 거치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400)는 상기 UPC 슬래브(300)의 하판(330) 상면에 거치되는 연속하여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UPC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Hybrid reinforced concrete floor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장스팬이 요구되는 바닥판 구조에 있어서, 특히 역타공법에 의해 지하구조물의 바닥판을 시공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스팬의 길이를 확보하면서도 바닥판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자중을 경감시키고 경제성 및 지하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바닥판의 구조 및 이를 위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라 요구되는 건축물 이용공간은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제한된 대지면적의 공급으로 인하여, 대지의 이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형 지하쇼핑몰 등 지하공간의 이용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상에서의 쾌적한 환경을 위한 녹지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아파트 등의 주거공간에서도 주차장 등을 모두 지하에 설치하는 등 근래에 들어 지하구조물의 구축이 매우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지하구조물의 구축은 지반을 굴토하여 구조물 구축공간을 형성시켜야 한다는 특성 때문에 지상구조물의 공사와는 다른 새로운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필요로 한다. 특히 지하층이 깊고 대지가 협소한 도심지에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경우 대지의 이용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인접 대지와의 경계선에까지 굴토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인접 건물에 대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소음이나 분진 등에 의한 민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도심지 굴토공사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시공성을 향상시킨 역타공법(Top-Down Method)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역타공법은 지상층과 동시에 지하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하므로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흙막이 벽으로 영구지하구조체인 지하연속벽을 구축하여 차수성을 확보하고, 상기 지하연속벽을 철골보나 슬래브로 지지하게 함으로써 배면토압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인접 대지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음과 진동이 적고 날씨에 관계없이 지하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역타공법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상층에서 매층의 보와 슬래브를 상층으로 구축해 나가는 순타방식과는 반대로, 지상1층에서 매층의 보와 슬래브를 구축하면서 지하의 하층으로 구축해 나가게 된다. 한편 국내의 지층 구조는 평균적으로 지표하 10~20m 전후로 암반이 나타나게 되는데, 근래와 같이 건축물에 깊은 지하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의 암반을 효율적으로 굴착하여야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지하구조물의 작업이 암반층에 도달하게 되면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동바리와 암반의 굴착을 위한 굴착기의 간섭으로 공사기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역타공법은 사용부재에 따라 크게 철골조와 철근콘크리트조의 두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그 중 철골조 역타공법은 그 특성상 동바리가 불필요하고 시공성이 우수하여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나, 고가의 철골사용량이 대폭 증가되고 지간이 짧은 구조에서는 기둥이 많아지기 때문에 공사비가 증대되어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철근콘크리트조의 역타공법을 사용하면서도 동바리를 없애는 다양한 시공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동바리공법으로는 대표적으로 현수식 방법과 브라켓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현수식 또는 브라켓 방법의 무동바리공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조의 역타공법은 8m 이내의 짧은 스팬에 대하여는 철골조에 비하여 구조형식상 저렴하다고는 하나, 이들 모두 철골지지틀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철골지지틀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지하공간에서의 작업량 증가로 인하여 전체적인 경제적 효과에서는 철골조에 비하여 그다지 효율적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한 이유로 인하여 최근에는 지지틀 등 사용부재의 수와 지하 작업량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1방향 철근콘크리트 바닥판구조의 형식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본 출원인이 출원번호 10-2012-0018771호(미공개)로 출원한 1방향 장선슬래브의 연속화 시공방법이 있다. 상기 선출원된 1방향 PC 장선슬래브의 연속화 시공방법은, 상판, 측판 및 하판으로 구성된 단위체의 1방향 PC 장선슬래브의 다수개를 연속하여 PC 보 위에 배치하고, 이로 인해 측판과 하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상에 강연선을 배치시킨 후 덧침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무동바리의 장스팬 바닥판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1방향 PC 장선슬래브는 고중량이어서 바닥판 구조 전체에 대하여 이를 배치시키는 것은, 역타공법에 의해 진행되는 좁은 지하의 굴토공간에서는 양중 및 설치작업에 위험이 따를 뿐 아니라, 제작단가가 높아 경제적인 시공에 한계가 있으며, 자중의 증가로 인한 기둥부재에 과하중의 부담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건축물의 공간이용율 확대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지하층과 더불어 지상층에 대한 바닥판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건축물의 층고를 낮추고 바닥판의 자중을 줄이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도 1은 2010년 1월 6일 등록공고된 특허 제0935430호의 '장지간 하이브리드 딥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림 플로어구조물'이라는 명칭의 발명으로서, 철골보(G)의 하부플랜지에 상부판과 하부판의 좌우단에서 하방 및 상방으로 경사지게 측면판이 형성되는 요철형의 딥 데크 플레이트(10A)를 거치시키고, 상기 요철형의 딥 데크 플레이트(10A)의 상부판에 트러스 거더(20)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특허 제0935430호의 바닥판 구조는 트러스 거더를 부가함으로써 스팬의 길이를 장대화할 수는 있으나, 데크 플레이트에 트러스 거더를 형성시키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공정수의 증가가 요구될 뿐 아니라, 바닥판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이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a 및 2b는 2007년 7월 9일 등록공고된 특허 제0736752호의 '이형 빔을 이용한 I-슬래브 접합구조'라는 명칭의 발명으로서, 두께가 얇은 하부 플랜지 슬래브(31) 양측단에서 일정거리의 안쪽 위치에 각각 하나의 일자 트러스(32)를 배설하고 그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한 쌍의 일자 트러스(33)를 배설되어 있으며, 인접 일자 트러스(32) 사이에 보강근(35)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일자 트러스(32)(33) 사이에 내부에 다수의 중공(41)이 형성된 플라스틱 폼(40)이 설치된 다수의 슬림PC 슬래브 데크(30)를 이형 철골보에 거치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특허 제0736752호의 바닥판 구조는 슬래브의 경량화에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으나, 상기의 특허 제0935430호와 마찬가지로 슬래브에 대한 구조적 보강수단인 일자 트러스를 상기 플라스틱 폼의 각 사이에 설치하여야 한다는 공정의 추가와, 바닥판의 두께를 줄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바닥판 자체가 자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과 아울러, 설치부재를 경량화시키고 바닥구조를 슬림화하여 지상층 뿐만 아니라 역타공법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구축에 있어서도 시공의 용이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고,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스팬 슬림구조의 하이브리드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 플랜지의 폭이 상부 플랜지의 폭보다 큰 이형 철골보와, 상기 이형 철골보에 거치되는 U자 형상의 PC 슬래브(이하 'UPC 슬래브'라 한다)와, 상기 UPC 슬래브에 거치되는 데크 플레이트 및, 상기 UPC 슬래브와 데크 플레이트 상면에 타설되는 덧침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UPC 슬래브는 상판과, 상판의 양 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측판 및 상기 측판의 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하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과 측판에 의해 형성되는 UPC 슬래브 단부의 하부공간에 막이판이 형성되며, 다수 개 UPC 슬래브가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면서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 상면에 단순 거치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상기 UPC 슬래브의 하판 상면에 연속하여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 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하면,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평판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웨브판으로 구성되는 평데크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 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막이판은 UPC 슬래브의 상판과 측판에 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 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UPC 슬래브의 상판에는 상부로 돌출된 연결철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a)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기둥에 이형 철골보를 거치하는 단계; c)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에 다수 개의 UPC 슬래브를 단순 거치시키는 단계; d) 상기 UPC 슬래브에 데크 플레이트를 거치시키는 단계; e) 상기 UPC 슬래브 및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온도철근을 배근하고 덧침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 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장선기능을 하는 UPC 슬래브의 콘크리트 부재와 얇은 두께의 데크 플레이트를 복합화시켜 장스팬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도록 하면서 바닥판의 두께를 초슬림화하여 층고를 낮추면서 실내의 천정고를 높혀 실내 공간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볍고 저렴한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부재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이 시공이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위한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중량부재의 양중, 거치 등의 작업등으로 인하여 빈번하게 발생했던 안전사고 등의 발생요인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얇은 바닥판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또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얇은 바닥판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UPC 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이 설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철골보에 UPC 슬래브를 거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상기 UPC 슬래브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UPC 슬래브와 UPC 슬래브 사이의 공간에 데크 플레이트를 거치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UPC 슬래브와 UPC 슬래브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평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덧침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UPC 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HF)을 설치한 구조의 전체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바닥판(HF) 구조는, 기둥(100)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철골보(200)들 사이에 다수 개의 UPC 슬래브(300)를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어 거치시키고, UPC 슬래브(300)들 사이의 상기 이격거리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데크 플레이트(400)를 연속하여 거치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4a는 철골보(200)에 UPC 슬래브(300)를 거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에 의하면 상기 철골보(200)는 하부 플랜지(220)의 폭이 상부 플랜지(2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이형 철골보이고, UPC 슬래브(300)는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220) 상면에 단순 거치된다.
이때 설치되는 상기 UPC 슬래브(300)는 상판(310)과, 상판(310)의 양 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측판(320) 및 상기 측판(320)의 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하판(330)으로 이루어져 U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의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UPC 슬래브(300)는 구조적으로 장선의 역할을 함으로써 철골보(200)와 철골보(200) 사이에 설치되는 작은 보의 설치를 생략 가능하게 하며, 바닥판에 별도의 주근을 배근할 필요없이 온도철근(510)만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여 철근 사용량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역타공법에 의한 흙막이 벽체의 합벽부분과 접합되는 바닥판 시공시 상기 UPC 슬래브(300)만을 거치시킴으로서, 작은 보를 설치하는 통상적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작은 보와 흙막이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야 하는 연결부재를 함께 생략시킬 수 있어 작업이 단순하고 명확해지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UPC 슬래브(300)를 단순거치시킨 후, 후술하는 덧침 콘크리트(500)를 타설하여 보에 강결시키기 때문에, 상기 철골보(200)와 UPC 슬래브(300)의 결합부위에 발생되는 부모멘트는 최소화되어 상기 결합부위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b는 상기 UPC 슬래브(300)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PC 슬래브(300)의 상판(310)과 측판(320)의 내면은 속이 빈 하부공간을 형성시키게 되며, 이러한 하부공간은 UPC 슬래브(300)가 철골보(200)의 하부 플랜지(220)에 거치된 상태에서 타설되는 덧침 콘크리트(500)의 유출통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철골보(200)에 거치되는 UPC 슬래브(300) 단부의 하부공간에는 막이판(340)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막이판(340)은 UPC 슬래브(30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UPC 슬래브(300)와는 분리 성형되어, UPC 슬래브(300)의 상판(310)과 측판(320)에 탈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UPC 슬래브(300)와 UPC 슬래브(300) 사이의 공간에 데크 플레이트(400)를 거치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400)는 요철형상의 골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평탄한 바닥면을 가지는 평판상의 베이스판(410)과, 상기 베이스판(410)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웨브판(420)으로 구성되는 평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형상의 골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바닥판을 형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UPC 슬래브(300)의 하판(330)과 골데크 플레이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향후 타설되는 덧침 콘크리트(500)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앞서 본 UPC 슬래브(300)에서와 같은 막이판(340)을 일일이 각 요철의 상기 공간에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뿐 아니라, 바닥판의 두께가 다소 증가될 수 밖에 없으나, 평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판(410)이 UPC 슬래브(300)의 하판(330) 상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막이판(340)을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상기 UPC 슬래브(300)의 하판(330) 두께(t)를 조절하여 구축하고자 하는 바닥판의 두께를 보다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게 한다. 그 밖에도 평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닥판 하부의 외면을 평탄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PC 슬래브(300)의 측판(320)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평데크 플레이트의 베이스판(410)에서 수직으로 길게 돌출된 웨브판(420)은 바닥판에 대한 전단보강기능을 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바닥판 하부철근을 생략할 수 있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UPC 슬래브(300)의 하판(3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400)를 거치시키는 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상판(310) 및 측판(320)과 더불어 철골보(200)에 대한 1방향 장선 기능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두께와 폭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장선기능을 충분히 하기 위해 설계된 상기 하판(330)의 폭이 너무 커지는 경우에는 데크 플레이트(400)의 길이를 불필요하게 길게 하거나, 적정 길이만큼만 거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UPC 슬래브(300)의 하판(330)에 단차진 거치면(331)을 더 형성시켜 데크 플레이트(400)가 과다한 길이로 거치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은 UPC 슬래브(300)와 UPC 슬래브(300) 사이 공간에 설치된 평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덧침 콘크리트(500)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덧침 콘크리트(500)는 UPC 슬래브(300) 및 평데크 플레이트와 일체가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안정된 구조의 바닥판을 구성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UPC 슬래브(300)의 상판(310)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덧침 콘크리트(500)에 매립되는 연결철근(350)을 미리 설치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시공방법은, a) 기둥(100)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기둥(100)에 이형 철골보를 거치하는 단계; c)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220)에 다수 개의 UPC 슬래브(300)를 단순 거치시키는 단계; d) 상기 UPC 슬래브(300)에 데크 플레이트(400)를 거치시키는 단계; e) 상기 UPC 슬래브 및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온도철근(510)을 배근하고 덧침 콘크리트(500)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기둥(100)을 설치하는 단계
먼저, 철골보(200) 및 바닥판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100)을 설치한다. 역타공법에 의해 지하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철골기둥이 사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b) 상기 기둥(100)에 이형 철골보를 거치하는 단계
설치된 기둥(100)에 하부 플랜지(220)의 폭이 상부 플랜지(2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이형 철골보를 설치한다.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220)는 후술하는 UPC 슬래브(300)의 거치면을 제공한다.
c)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220)에 다수 개의 UPC 슬래브(300)를 단순 거치시키는 단계
이형 철골보의 설치가 완료되면, 이형 철골보와 또 다른 이형 철골보 사이에 UPC 슬래브(300)를 단순 거치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PC 슬래브(300)의 단순 거치는 UPC 슬래브(300) 자중에 의한 변위가 자체적으로 흡수됨으로써 향후 철골보(200)에 발생되는 부모멘트의 발생량을 감소시켜 철골보(200)와 바닥판의 연결부위에 대한 보강철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게 한다.
상기 UPC 슬래브(300)는 상판(310)과, 상판(310)의 양 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측판(320) 및 상기 측판(320)의 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하판(330)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판(330)이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220)에 면접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거치되도록 하는데, 이때 거치되는 간격은 UPC 슬래브(300) 및 이에 설치되는 데크 플레이트(400)의 각 규격에 따른 구조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상판(310)과 측판(320)에 의해 형성된 하부공간이 UPC 슬래브(300)의 단부측으로 개방된 경우 UPC 슬래브(300)를 상기 이형 철골보에 거치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UPC 슬래브(300)를 철골보(200)의 하부 플랜지(220)에 거치시키기 전, 후에 막이판(340)으로 상기 단부측의 하부공간을 폐쇄시킴으로써 후술하는 단계에서의 덧침 콘크리트(500)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d) 상기 UPC 슬래브(300)에 데크 플레이트(400)를 거치시키는 단계
이형 철골보에 대한 UPC 슬래브(300)의 거치가 완료되면, 상기 UPC 슬래브(300)들 사이의 공간에 데크 플레이트(400)를 거치시킨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400)는 요철형상의 골데크 플레이트, 또는 평판상의 베이스판(410)과 상기 베이스판(410)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웨브판(420)을 가지는 평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한다.
요철형상의 골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를 UPC 슬래브(300)의 하판(330)에 거치시키기 전에 단부의 하부공간을 폐쇄시키는 단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e) 상기 UPC 슬래브 및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온도철근(510)을 배근하고 덧침 콘크리트(500)를 타설하는 단계
UPC 슬래브(300) 및 데크 플레이트(4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UPC 슬래브(300)와 데크 플레이트(400)의 상부에 온도철근(510)을 배근한 후 덧침 콘크리트(500)를 타설함으로써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체를 완성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기둥 200: 철골보
210: 상부 플랜지 220: 하부 플랜지
300: UPC 슬래브 310: 상판
320: 측판 330: 하판
340: 막이판 350: 연결철근
400: 데크 플레이트 410: 베이스판
420: 웨브판 500: 덧침 콘크리트
510: 온도철근 HF: 하이브리드 바닥판

Claims (5)

  1. 하부 플랜지(220)의 폭이 상부 플랜지(210)의 폭보다 큰 이형 철골보와, 상기 이형 철골보에 거치되는 UPC 슬래브(300)와, 상기 UPC 슬래브(300)에 거치되는 데크 플레이트(400) 및, 상기 UPC 슬래브(300)와 데크 플레이트(400) 상면에 타설되는 덧침 콘크리트(500)로 이루어지되,
    상기 UPC 슬래브(300)는 상부로 연결철근(350)이 돌출 형성된 상판(310)과, 상판(310)의 양 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측판(320) 및, 상기 측판(320)의 단부에서 수평 절곡되고 단차진 거치면(331)이 형성된 하판(3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310)과 측판(320)에 의해 형성되는 UPC 슬래브(300) 단부의 하부공간에 막이판(340)이 형성되며, 다수 개 UPC 슬래브(300)가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면서 상기 이형 철골보의 하부 플랜지(220) 상면에 단순 거치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400)는 평판상의 베이스판(410)과, 상기 베이스판(410)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웨브판(420)으로 구성되는 평데크 플레이트로서, UPC 슬래브(300)의 하판(330) 상면에 연속하여 거치되되, 상기 웨브판(420)이 UPC 슬래브(300)의 측판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 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
  2. 삭제
  3. 삭제
  4. 건축물의 바닥판을 시공함에 있어서, a) 기둥(100)을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기둥(100)에 철골보(200)를 거치하는 단계; c) 상기 철골보(200)의 하부 플랜지(220)에 다수 개의 UPC 슬래브(300)를 단순 거치시키는 단계; d) 상기 UPC 슬래브(300)에 데크 플레이트(400)를 거치시키는 단계; e) 상기 UPC 슬래브 및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온도철근(510)을 배근하고 덧침 콘크리트(500)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철골보(200)는 하부 플랜지(220)의 폭이 상부 플랜지(2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이형 철골보이고, 상기 UPC 슬래브(300)는 상부로 연결철근(350)이 돌출 형성된 상판(310)과, 상판(310)의 양 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측판(320) 및, 상기 측판(320)의 단부에서 수평 절곡되고 상면에 단차진 거치면(331)이 형성된 하판(3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400)는 평판상의 베이스판(410)과, 상기 베이스판(410)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웨브판(420)으로 구성되는 평데크 플레이트이되, d)단계에서의 데크 플레이트 거치는 웨브판(420)이 UPC 슬래브(300)의 측판(320)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PC 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의 시공방법
  5. 삭제
KR20120132989A 2012-11-22 2012-11-22 Upc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KR101487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2989A KR101487815B1 (ko) 2012-11-22 2012-11-22 Upc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2989A KR101487815B1 (ko) 2012-11-22 2012-11-22 Upc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918A KR20140065918A (ko) 2014-05-30
KR101487815B1 true KR101487815B1 (ko) 2015-02-04

Family

ID=5089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2989A KR101487815B1 (ko) 2012-11-22 2012-11-22 Upc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470B1 (ko) * 2015-05-28 2016-02-16 주식회사 네비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이들의 결합구조
KR101640079B1 (ko) * 2016-02-04 2016-07-18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단부긴장장치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합성슬래브 시공방법
CN109667376B (zh) * 2019-01-29 2024-04-26 天津城建大学 适用于钢结构h型钢梁的新型叠合楼盖及其施工方法
KR102487497B1 (ko) * 2022-09-30 2023-01-10 유광종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511A (ko) *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장지간 하이브리드 딥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림 플로어구조물
KR101008414B1 (ko) 2008-11-18 2011-01-19 이창남 역삼각강선트러스와 박강판골데크 거푸집 바닥판 제조공법
JP2012158886A (ja) 2011-01-31 2012-08-23 Asahi Kasei Homes Co デッキプレート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床構造
KR101179442B1 (ko) 2012-02-08 2012-09-07 (주)이지파트너 1방향 장선슬래브용 pc슬래브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511A (ko) * 2007-09-04 2009-03-09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장지간 하이브리드 딥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림 플로어구조물
KR101008414B1 (ko) 2008-11-18 2011-01-19 이창남 역삼각강선트러스와 박강판골데크 거푸집 바닥판 제조공법
JP2012158886A (ja) 2011-01-31 2012-08-23 Asahi Kasei Homes Co デッキプレート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床構造
KR101179442B1 (ko) 2012-02-08 2012-09-07 (주)이지파트너 1방향 장선슬래브용 pc슬래브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918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918B1 (ko)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해 채널에 의한 나뭇가지형 스틸프레임을 이용한 역타공법
JP3180817U (ja) 型枠取り外し不要の建築構造
KR101590032B1 (ko) 지중 매입 파일을 이용한 주열식 벽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301081B1 (ko)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6555408A (zh) 地下综合管廊的结构及施工方法
KR101487815B1 (ko) Upc슬래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CN112962663B (zh) 深基础狭窄外围护空间施工方法
KR20180014793A (ko) 연결형강을 이용한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CN105220697A (zh) 型钢与预应力钢筋混凝土组合结构支撑及其施工方法
KR101146758B1 (ko) 횡방향 스트럿부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549673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構築方法
KR100817685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과 철근콘크리트 무량판의 접합구조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지하층의 탑-다운 시공방법
KR102286225B1 (ko)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KR101082995B1 (ko) 지하실 외벽 공사용 매립형 pc 띠장 및 이를 이용한 매립형 pc 띠장 합벽 일체화 공법
KR101289155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
KR101487814B1 (ko)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KR101258043B1 (ko) 친환경 옹벽 구조체 및 그 설치 방법
CN101906775A (zh) 多功能预制拱片
KR101495997B1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JP4083334B2 (ja) アーチ屋根を有する地下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908943B1 (ko) Rc 벽체 역타 구조
CN109653191A (zh) 装配式预应力地下连续墙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20094666A (ko) 분리형 좌대와 띠장 지점조절용 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지지 구조 및 흙막이 지지 공법
RU108473U1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