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232B1 - 해수층별 채수 장치 - Google Patents

해수층별 채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232B1
KR101487232B1 KR20140092494A KR20140092494A KR101487232B1 KR 101487232 B1 KR101487232 B1 KR 101487232B1 KR 20140092494 A KR20140092494 A KR 20140092494A KR 20140092494 A KR20140092494 A KR 20140092494A KR 101487232 B1 KR101487232 B1 KR 101487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dule
watering
dept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정본
김경만
손병근
Original Assignee
(주)지오시스템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시스템리서치 filed Critical (주)지오시스템리서치
Priority to KR20140092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intake at several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Abstract

이 발명은 해수층별 채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대별 및 해수층별로 부유사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특정 시간에서 복수개의 해수층에 대한 채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채수모듈의 수심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수면의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일정한 수심의 해수를 채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설치된 채수모듈을 원하는 해수층으로 이동시켜 채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특정 해수층에 대한 다양한 시간대별 채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이 발명은 조석간만의 차가 큰 연안지역에서도 시간대별로 원하는 수심에서의 채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해역에서의 시간대별 및 해수층별로 부유사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해양과학분야, 특히 해양지질학 분야는 물론, 연안재해 방지분야 등의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해수층별 채수 장치{Sampler of each seawater class}
이 발명은 해수층별 채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대별 및 해수층별로 부유사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특정 시간에서 복수개의 해수층에 대한 채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채수모듈의 수심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수면의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일정한 수심의 해수를 채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설치된 채수모듈을 원하는 해수층으로 이동시켜 채수할 수 있도록 한 해수층별 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안재해는 연안지역에서 일어나는 자연재해를 총칭하는 것으로, 해상의 큰 파도, 큰 파도와 함께 수반되는 해일, 이상 해면상승 등에 따른 범람현상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연안재해는 농경지와 주거지의 침수, 제반 시설물의 붕괴, 유실 및 해안침식을 유발하게 된다.
연안재해는 다양한 원인이 있으나, 육지에서 침식된 많은 양의 퇴적물에 의한 퇴적과 조석간만의 차에 의한 연안해저면의 침식이 주요 원인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이러한 해저면의 침식 및 퇴적은 주로 표사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며, 표사는 그 이동의 연직분포를 고려하면 소류사(Bed load)형태와 부유사(Suspended load)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소류사 및 부유사의 이동을 연구함으로써, 연안재해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류사 및 부유사의 연구자료는 해저 지형의 변화, 퇴적물의 침식과 퇴적 등을 연구하는 해양지질학에서 해양에 관한 전반적인 자연 과학적 환경을 이해하는데 기초가 되는 자료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특히, 시간대별 및 해수층별로 부유사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이루지기 위해서는, 특정 시간에서 복수개의 해수층의 해수를 동시에 채수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작업은 부유사뿐만 아니라 수심에 따른 오염도, 세균 및 생물분포 등을 조사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특2002-0017332호 '하천 및 해양용 채수기'(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채수통의 채수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강한 후, 원하는 수심에 도달하면 채수구가 고무마개로 닫히면서 채수통에 저장된 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채수장치의 경우, 채수통에 형성된 채수구의 개폐와 관련된 기술에 대해서는 나타나 있으나,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수심의 해수를 정확히 채수하는 방법, 특히 동일한 시간에 서로 다른 해수층의 해수를 채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나타나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특2002-0017332호 '하천 및 해양용 채수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원하는 특정 시간에서 복수개의 해수층에 대한 채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해수층별 채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조석간만의 차가 큰 연안지역의 경우에는, 시간대별로 원하는 수심에서의 채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이 발명은 설치된 채수모듈의 수심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수면의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특정 시간에서 복수개의 해수층에 대한 정확한 채수가 가능하도록 한 해수층별 채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이 발명은 설치된 채수모듈을 원하는 해수층으로 이동시켜 채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특정 해수층에 대한 다양한 시간대별 채수가 가능하도록 한 해수층별 채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에 따른 해수층별 채수 장치는, 해수면에 부유되고 요청채수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요청채수시간에 채수대상해수층의 해수를 채수하도록 채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부이형제어모듈; 상기 부이형제어모듈의 하부로부터 해저면까지 유도되도록 구성된 가이드라인; 및 일측에 개폐가능하도록 채수도어가 구성된 채수부; 상기 부이형제어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채수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채수도어를 일정시간 개방하였다가 닫도록 제어하는 유닛제어부; 및 부력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부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채수대상해수층의 수심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라인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유닛제어부는, 상기 채수모듈의 수심을 측정하는 수압감지유닛; 상기 수압감지유닛에서 측정된 수심을 확인하여 상기 채수모듈의 수심을 보정하는 수심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처리유닛; 및 상기 수심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확인하고 상기 부유체의 부력을 조절하는 수심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부이형 제어모듈은, 확인된 상기 요청채수시간 이전에 상기 채수대상해수층에 대응하여 상기 채수모듈이 위치하도록 수심확인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처리유닛은, 상기 수심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압감지유닛에서 측정된 수심과 상기 채수대상해수층의 수심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대응하는 수심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이형제어모듈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부이형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해 채수가 시작되면,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채수모듈의 채수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메신저;를 포함하되, 상기 유닛제어부는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메신저의 하강을 감지하여 상기 채수도어를 닫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층별 채수 장치.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이 발명은 원하는 특정 시간에서 복수개의 해수층에 대한 채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 발명은 설치된 채수모듈의 수심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수면의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특정 시간에서 복수개의 해수층에 대한 정확한 채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이 발명은 조석간만의 차가 큰 연안지역에서도 시간대별로 원하는 수심에서의 채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설치된 채수모듈을 원하는 해수층으로 이동시켜 채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특정 해수층에 대한 다양한 시간대별 채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 발명은 특정 해역에서의 시간대별 및 해수층별로 부유사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부유사뿐만 아니라, 특정 해역에서의 수심에 따른 오염도, 세균 및 생물분포 등을 조사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해양과학분야, 특히 해양지질학 분야는 물론, 연안재해 방지분야 등의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해수층별 채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채수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메신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해수층별 채수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유닛제어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에 따른 해수층별 채수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난 채수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난 유닛제어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난 유닛제어부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난 유닛제어부의 동작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 발명에 따른 해수층별 채수 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해수층별 채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채수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수층별 채수 장치는 부이형제어모듈(100), 가이드라인(200), 채수모듈(300) 및 메신저(400)를 포함한다.
부이형제어모듈(100)은 해수면에 부유되고 요청채수시간을 확인하여 채수대상해수층의 해수를 채수하도록 메신저(400)를 제어한다. 여기서, 요청채수시간은 채수가 이루어지는 채수대상해수층에 대한 채수시간을 말하며, 부이형제어모듈(100)내에 저장되거나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무선통신(RF)으로 수신할 수 있다.
가이드라인(200)은 부이형제어모듈(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해저면까지 유도되는 것으로, 원형관이나 와이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저면측 종단부에는 앵커(Anchor) 등의 중량체(210)가 구성될 수 있다.
채수모듈(300)은 채수대상해수층의 수심에 대응하여 가이드라인(200)에 적어도 하나가 구성되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채수부(310) 및 유닛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채수부(310)는 가이드구(311)에 의해 가이드라인(200)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채수도어(312)가 기계식 또는 전자식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식 채수도어(312)는 채수부(310)의 하부에서 가이드라인(200)측으로 돌출된 도어닫힘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힌지회동하도록 구성되고, 도어닫힘스위치와 링크암으로 연결된 채수도어(312) 또한 힌지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외력에 의해 도어닫힘스위치가 힌지회동되면 링크암을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채수도어(312)가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식 채수도어(312)는 유닛제어부(32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 등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신저(400)는 부이형제어모듈(100)의 하부에 구성되며, 부이형제어모듈(100)의 제어에 의해 채수가 시작되면, 가이드라인(200)을 따라 하강하면서 채수모듈(300)의 채수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채수모듈(300)은 육상이나 해상의 선박에서 가이드라인(200)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때, 채수모듈(300)은 채수도어(3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채수대상해수층의 수심에 대응하는 위치의 가이드라인(200)에 설치됨으로써, 가이드라인(200)이 해저면까지 유도되는 과정에서 원하는 채수대상해수층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요청채수시간이 되면, 부이형 제어모듈(100)은 메신저(400)를 하강시킬 수 있으며, 메신저(400)는 가이드라인(200)을 따라 하강하면서 채수모듈(300)의 채수도어(312)가 닫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수도어(312)가 기계식인 경우, 메신저(400)가 하강하면서 기계식 채수도어(312)의 도어닫힘스위치를 조작(회동)하면 채수도어(312)가 닫힐 수 있다.
다른 예로, 채수도어(312)가 전자식인 경우, 메신저(400)가 하강하여 채수모듈(300)의 위치에 도달하면 유닛제어부(320)가 메신저(400)의 접근(하강)을 감지하여 채수도어(312)를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유닛제어부(320)에는 메신저(400)가 접근한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센서는 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센서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메신저(400)에 의해 가이드라인(200)에 구성된 모든 채수모듈(300)의 채수도어(312)가 닫히게 되면, 가이드라인(200)을 수면위로 끌어올림으로써, 채수대상해수층의 해수를 채수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라인(200)을 따라 하강하는 메신저(4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대하여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메신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신저(400)의 일측에는 한 쌍의 지지풀리(410 내지 430)가 일정간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쌍의 지지풀리(410 내지 430)는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라인(200)측으로 가압(도 3에서 박스형 화살표)됨으로써, 메신저(400)가 가이드라인(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부이형 제어모듈(100)의 제어에 의해, 메신저(400)가 가이드라인(200)을 따라 하강하는 과정에서 채수모듈(300)을 통과하게 되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구성된 한 쌍의 지지풀리(410 내지 430) 중 어느 하나가 가이드구(311)의 양측면으로 벌어지지만(도 3에서 실선 화살표), 메신저(400)는 다른 두 개의 지지풀리쌍(410 및 430)에 의해 가이드라인(2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신저(400)가 가이드라인(200)에 결합된 채수모듈(300)의 가이드구(311)를 통과하더라도, 가이드라인(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해수층별 채수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해수층별 채수 장치는 부이형제어모듈(100), 가이드라인(200) 및 채수모듈(300)을 포함하며, 도 1의 설명과 동일 내지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채수모듈(300)은 부이형제어모듈(100)과 음파(SW, Sound Wave)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부이형제어모듈(100)에서 출력된 채수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해수의 채수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채수도어(312)가 구성된 채수부(310) 및 유닛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제어부(320)는 부이형제어모듈(100)과 음파통신을 수행하며, 음파통신으로 채수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채수도어(312)를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채수도어(3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채수모듈(300)이 수중으로 유입되면, 원하는 채수대상해수층까지 하강하는 과정에서, 다른 해수층의 해수가 채수부(310)로 유입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채수도어(312)가 닫힌 상태로 채수모듈(300)을 하강시킨 후, 채수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유닛제어부(320)가 채수도어(312)를 일정시간 개방하였다가 닫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유닛제어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닛제어부(320)는 부이형 제어모듈(100)과 음파통신을 수행하는 음파통신유닛(321), 음파통신유닛(321)을 통해 채수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데이터처리유닛(322), 데이터처리유닛(322)의 제어에 의해 채수도어(312)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유닛(32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닛제어부(320)는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채수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채수도어(312)를 일정시간 개방하였다가 닫기 위하여, 개방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유닛(3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유닛(322)은 음파통신유닛(321)을 통해 채수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도어개폐유닛(323)을 제어하여 채수도어(312)를 개방함과 동시에, 타이머유닛(324)을 동작시키고, 타이머유닛(324)의 카운트가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채수도어(312)를 닫도록 도어개폐유닛(323)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조석간만의 차가 큰 연안지역에서는 해수면의 수위변화가 크게 변하므로, 육상이나 해상의 선박에서 해수모듈(300)을 가이드라인에(200)에 고정시킨 상태로 수중에 투입하게 되면, 해수모듈(300)이 원하는 채수대상해수층에 위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이 발명에 따른 해수층별 채수 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난 채수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나타난 유닛제어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채수모듈(300)은 부력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부유체(3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채수모듈(300)이 상하?항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라인(200)에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유체(330)는 밸러스트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채수모듈(300)의 유닛제어부(320)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채수모듈(300)의 수심을 측정하는 수압감지유닛(325)과, 부유체(330)의 부력을 조절하는 수심제어유닛(32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압감지유닛(325)은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데이터처리유닛(322)은 채수대상해수층의 수심과 수압감지유닛(325)에서 측정된 수심이 다른 경우, 수심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수심제어유닛(326)로 전송하여 부유체(330)의 부력을 조절함으로써, 채수모듈(300)이 원하는 채수대상해수층에 위치하도록 채수모듈(300)의 수심(위치)을 보정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난 유닛제어부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부이형 제어모듈(100)은 채수를 시작하기 이전(확인된 요청채수시간이 되기 이전)에 원하는 채수대상해수층에 채수모듈(300)이 위치하도록 수심확인신호를 수중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유닛(322)은 음파통신유닛(321)을 통해 부이형 제어모듈(100)로부터 수심확인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101), 수압감지유닛(325)을 통해 현재의 수심을 측정할 수 있다(단계 S102).
데이터처리유닛(322)은 측정된 수심과 채수대상해수층의 수심을 비교하고(단계 S103), 현재의 수심이 오차범위 이내에서 채수대상해수층의 수심에 위치할 경우(단계 S104), 현재 채수모듈(300)이 정상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의 수심을 고정할 수 있다(단계 S105). 여기서, 채수대상해수층의 수심에 대한 정보는 수심확인신호와 함께 부이형 제어모듈(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만약, 현재의 수심이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단계 S104), 데이터처리유닛(322)은 비교결과(수심 차)에 대응하는 수심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수심제어유닛(326)으로 전송함으로써, 채수모듈(300)의 수심을 조절할 수 있다(단계 S106).
상기한 바와 같이, 채수모듈(300)이 채수대상해수층에 위치하게 되면, 데이터처리유닛(322)은 음파통신유닛(321)을 통해 부이형 제어모듈(100)에 이를 통보하고, 부이형 제어모듈(100)은 요청채수시간이 되면 채수대상해수층의 해수를 채수하도록 채수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S107).
따라서, 별도의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원하는 채수대항해수층의 해수를 채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동일한 시간대에 서로 다른 해수층의 해수를 채취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하나의 해수층별 채수 장치를 이용하여 동일한 해수층에 대하여 다른 시간대의 해수를 채수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난 유닛제어부의 동작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채수모듈(300) 중 첫번째 채수모듈(300, 도 6에서 최하부에 위치하는 채수모듈)은 부이형 제어모듈(100)로부터 전송된 채수대상해수층을 확인하고(단계 S201) 현재의 수심을 확인 한 후(단계 S202), 수심조절이 필요하면(단계 S203), 부유체(330)의 부력을 조절하여(단계 S204) 수심을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첫번째 채수모듈(300)은 자신의 요청채수시간이 되면(단계 S205), 현재의 위치에서 해수를 채수할 수 있다(단계 S206).
이때, 첫번째 채수모듈(300)을 제외한 다른 채수모듈(300)들은 현재의 수심을 유지한 상태에서 대기할 수 있다.
부이형 제어모듈(100)은 첫번째 채수모듈(300)에 의한 채수가 완료되면,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두번째 채수모듈(300)에 의한 채수를 위하여, 두번째 요청채수시간을 음파통신으로 출력할 수 있다.
두번째 채수모듈(300, 도 6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채수모듈)은 도 10의 단계 'S201' 내지 단계 'S204'를 수행한 상태에서 첫번째 채수모듈(300)의 상부에 위치하여 대기한 후, 두번째 요청채수시간(자신의 요청채수시간)이 수신되면 해당 요청채수시간 이전에(단계 S205), 첫번째 채수모듈(300)이 채수한 채수대상해수층으로 수심을 변경하여(단계 S207) 이동한 후(단계 S204), 자신의 요청채수시간에 해당 채수대상해수층의 해수를 채수할 수 있다(단계 S206).
결과적으로, 부이형 제어모듈(100)은 동일한 채수대상해수층에 대하여, 복수개의 채수모듈(300)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해수를 채수함으로써, 동일한 해수층에 대하여 다른 시간대의 해수를 채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해수층별 채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부이형제어모듈
200 : 가이드라인
300 : 채수모듈
310 : 채수부 312 : 채수도어
320 : 유닛제어부
321 : 음파통신유닛 322 : 데이터처리유닛
323 : 도어개폐유닛 325 : 수심제어유닛
326 : 수압감지유닛
330 : 부유체
400 : 메신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해수면에 부유되고 요청채수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요청채수시간에 채수대상해수층의 해수를 채수하도록 채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부이형제어모듈;
    상기 부이형제어모듈의 하부로부터 해저면까지 유도되도록 구성된 가이드라인; 및
    일측에 개폐가능하도록 채수도어가 구성된 채수부; 상기 부이형제어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채수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채수도어를 일정시간 개방하였다가 닫도록 제어하는 유닛제어부; 및 부력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부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채수대상해수층의 수심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라인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유닛제어부는, 상기 채수모듈의 수심을 측정하는 수압감지유닛; 상기 수압감지유닛에서 측정된 수심을 확인하여 상기 채수모듈의 수심을 보정하는 수심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처리유닛; 및 상기 수심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확인하고 상기 부유체의 부력을 조절하는 수심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층별 채수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형 제어모듈은,
    확인된 상기 요청채수시간 이전에 상기 채수대상해수층에 대응하여 상기 채수모듈이 위치하도록 수심확인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처리유닛은,
    상기 수심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압감지유닛에서 측정된 수심과 상기 채수대상해수층의 수심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대응하는 수심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층별 채수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형제어모듈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부이형제어모듈의 제어에 의해 채수가 시작되면,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채수모듈의 채수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메신저;를 포함하되, 상기 유닛제어부는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메신저의 하강을 감지하여 상기 채수도어를 닫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층별 채수 장치.





KR20140092494A 2014-07-22 2014-07-22 해수층별 채수 장치 KR101487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2494A KR101487232B1 (ko) 2014-07-22 2014-07-22 해수층별 채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2494A KR101487232B1 (ko) 2014-07-22 2014-07-22 해수층별 채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232B1 true KR101487232B1 (ko) 2015-02-03

Family

ID=5258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2494A KR101487232B1 (ko) 2014-07-22 2014-07-22 해수층별 채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23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583B1 (ko) 2015-05-20 2015-11-13 (주)지오시스템리서치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
CN105203729A (zh) * 2015-10-20 2015-12-30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水体污染物表观降解系数原位测定装置及方法
KR101732303B1 (ko) * 2016-02-15 2017-05-11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폐수 내의 슬러지 채취장치
CN111024453A (zh) * 2019-12-31 2020-04-17 金宇龙 一种多级式海洋水质分层取样设备及其取样方法
CN111487091A (zh) * 2020-03-31 2020-08-04 河海大学 一种上覆水与间隙水同步分层取样与水文测验耦合装置
CN112577784A (zh) * 2020-11-25 2021-03-30 澜途集思生态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水质现场勘探设备
CN114062624A (zh) * 2020-07-31 2022-02-18 力合科技(湖南)股份有限公司 一种地表水入海口断面潮汐自动采样方法及系统
KR102394364B1 (ko) * 2021-11-24 2022-05-04 서정민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CN115372219A (zh) * 2022-10-24 2022-11-22 北京易科立德生态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河道含沙量测量装置及方法
CN115403112A (zh) * 2022-09-27 2022-11-29 青岛海洋地质研究所 针对不同层位水深悬浮体的分层过滤装置
CN117741085A (zh) * 2024-02-17 2024-03-22 浙江信捷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水质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533B1 (ko) * 2003-11-19 2007-01-09 (주)에코션 수중 자동채수 컨베이어 시스템
JP2011021323A (ja) 2009-07-13 2011-02-03 Takahiro Kobayashi 採水装置
KR101144285B1 (ko) 2011-11-15 2012-05-11 (주)인텔리지오 다단 채수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533B1 (ko) * 2003-11-19 2007-01-09 (주)에코션 수중 자동채수 컨베이어 시스템
JP2011021323A (ja) 2009-07-13 2011-02-03 Takahiro Kobayashi 採水装置
KR101144285B1 (ko) 2011-11-15 2012-05-11 (주)인텔리지오 다단 채수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583B1 (ko) 2015-05-20 2015-11-13 (주)지오시스템리서치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
CN105203729A (zh) * 2015-10-20 2015-12-30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水体污染物表观降解系数原位测定装置及方法
KR101732303B1 (ko) * 2016-02-15 2017-05-11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폐수 내의 슬러지 채취장치
CN111024453A (zh) * 2019-12-31 2020-04-17 金宇龙 一种多级式海洋水质分层取样设备及其取样方法
CN111487091B (zh) * 2020-03-31 2021-04-09 河海大学 一种上覆水与间隙水同步分层取样与水文测验耦合装置
CN111487091A (zh) * 2020-03-31 2020-08-04 河海大学 一种上覆水与间隙水同步分层取样与水文测验耦合装置
CN114062624A (zh) * 2020-07-31 2022-02-18 力合科技(湖南)股份有限公司 一种地表水入海口断面潮汐自动采样方法及系统
CN112577784A (zh) * 2020-11-25 2021-03-30 澜途集思生态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水质现场勘探设备
KR102394364B1 (ko) * 2021-11-24 2022-05-04 서정민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CN115403112A (zh) * 2022-09-27 2022-11-29 青岛海洋地质研究所 针对不同层位水深悬浮体的分层过滤装置
CN115403112B (zh) * 2022-09-27 2023-11-21 青岛海洋地质研究所 针对不同层位水深悬浮体的分层过滤装置
CN115372219A (zh) * 2022-10-24 2022-11-22 北京易科立德生态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河道含沙量测量装置及方法
CN117741085A (zh) * 2024-02-17 2024-03-22 浙江信捷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水质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7741085B (zh) * 2024-02-17 2024-05-03 浙江信捷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水质检测装置及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232B1 (ko) 해수층별 채수 장치
US10684208B2 (en) Device for multi-parameter integrated monitoring of deep submarine turbidity current
CN103439082B (zh) 新型浮式海上多功能试验平台
JP2018127207A (ja) 海底ステーション多点定位置長期観測システム
CN107807406A (zh) 基于压差测量的深海底流变化观测装置
CN104929144A (zh) 深水吸力式桶形基础间歇沉贯设备以及安装方法
CN104471189B (zh) 海底泄漏检测系统
CN108592993A (zh) 深海海底边界层动态观测装置和方法
CN106405662A (zh) 一种基于水下机器人的水下管线探测仪
CN111649984A (zh) 一种深海沉积物取样设备及其取样方法
KR101619176B1 (ko) 고정형 부력식 자동 취수장치
CN104567993A (zh) 走航式水体探测系统
KR20180054995A (ko) 해수침투 저감을 위한 무동력 해수양수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관정의 최적화 설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6230256A (ja) 海洋生態系実験装置
KR102078721B1 (ko) 유량 및 수질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자동 빗물제어 시스템
CN204269640U (zh) 一种海水检测及采集设备
CN105675254A (zh) 一种摆动式防淤海床基
CN103569311B (zh) 推进器安装定位装置及推进器水下安装方法
KR100989898B1 (ko) 수문제어용 유압실린더 동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1706311B (zh) 磁悬浮式水位、分层沉降两用仪
CN112051187B (zh) 海底基槽内不同深度处回淤物容重的原位测试及微扰动取样方法
CN110641629A (zh) 一种用于黑臭地表水水体的自动检测无人船
CN103938662A (zh) 水下载荷试验系统
CN106405656B (zh) 一种海底坐底式测量设备触底过程的组合判别方法及装置
Gibbes et al. Measurement of hydrodynamics and pore water chemistry in intertidal groundwat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