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364B1 -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4364B1 KR102394364B1 KR1020210163597A KR20210163597A KR102394364B1 KR 102394364 B1 KR102394364 B1 KR 102394364B1 KR 1020210163597 A KR1020210163597 A KR 1020210163597A KR 20210163597 A KR20210163597 A KR 20210163597A KR 102394364 B1 KR102394364 B1 KR 1023943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procket
- case
- wire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intake at several leve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splitting samples into por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배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권취되거나 풀리도록 연결되는 승강 와이어 및, 상기 승강 와이어에 연결되는 채수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 와이어는, 상기 채수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채수통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채수통의 양단 부근에 각각 설치된 제1 걸림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2 걸림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구는 상기 승강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복수의 채수통이 상기 승강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 가능하므로, 복수의 수심에서 동시에 채수가 가능하게 되어 채수 시간이 크게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며 정확한 수심에서 동시에 채수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등 전기 동력원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수심에서 동시에 채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강이나 하천 등의 수질 측정에 대한 다양한 법률이 제정되고, 수질 측정을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녹조 등의 침전물로 오염된 강이나 하천은 산소 요구량과 수질 분석이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수질 분석은 수질측정용 샘플을 통해 이루어진다.
수질측정용 샘플이라 함은 하천이나 강 등 수환경의 수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해당 수환경의 물을 일정량만큼 수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수질을 측정하고자 하는 장소인 강, 하천 등에 있는 물을 샘플로서 채수한 후에 수질분석기로 그 특성을 분석하게 된다.
종래의 채수방법은 반돈 채수기가 대표적인데, 이는 유리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채수병을 측정하고자 하는 해당 수심의 수중에 투입시켜 채수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반돈 채수기의 채수 방법은, 합성수지제 원통의 길이방향 양단에 고무 덮개를 개방된 상태로 설치하되 탄성 끈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와이어로 상기 채수기를 시료 채수 수심까지 잠기게 한 후 상기 와이어를 따라 메신저를 떨어뜨려 그 충격으로 상기 탄성 끈이 분리되도록 하여 합성 수지제 원통의 양단의 개방된 부분을 고무 덮개로 폐쇄한 후 이를 끌어올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은 반돈 채수기를 사용하는 경우, 수심이 깊을수록 채수포인트가 늘어나게 되어 다수회 채수기를 내렸다 올렸다 하는 작업이 반복되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회 채수기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물의 흐름이 변동됨으로써 수심에 따른 정확한 물시료의 채취가 어려운 단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모터 등 전기 동력이 소요되는 별도의 승강기구를 사용하게 되므로 에너지 낭비로 이어지고 설치 및 연결이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수심에서 동시에 채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채수 시간이 크게 절감되고 전기 동력이 요구되지 않아 에너지 낭비가 없으며 간편한 설치가 가능한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는,
배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권취되거나 풀리도록 연결되는 승강 와이어; 및
상기 승강 와이어에 연결되는 채수통;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 와이어는, 상기 채수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채수통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채수통의 양단 부근에 각각 설치된 제1 걸림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2 걸림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구는 상기 승강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복수의 채수통이 상기 승강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채수통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 원통형의 통 본체;
상기 통 본체의 양단을 폐쇄하기 위한 마개;
상기 통 본체의 양단 개구에 대하여 상기 마개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탄력끈; 및
상기 탄력끈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걸림편 또는 제2 걸림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걸림 해제 와이어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걸림 해제 와이어는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배 위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채수통의 외주면에는 벨로우즈가 설치되되,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의 연결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벨로우즈에는 배 위까지 연장되는 공기공급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걸림구와 제2 걸림구는 연결 로드에 의해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제2 걸림구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에는 캐러비너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의 단부 끼리는 웨이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가 권취되는 제2 권취롤; 및
상기 제2 권취롤을 회전 구동시키는 체인 전동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 전동 유닛은,
상기 제2 권취롤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웃하게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으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제2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 및
상기 제2 스프로킷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페달;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스프로킷의 직경은 제2 스프로킷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에 대하여 상기 제2 권취롤과 체인 전동 유닛을 덮는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페달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채수통을 향하는 전방면에는 상기 걸림 해제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제1 권취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1 권취롤의 위쪽에는 와이어 출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출입공에는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를 모아서 제2 권취롤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안내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권취롤에는 브레이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스프로킷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2 스프로킷과 함께 회전하는 래칫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래칫의 일방향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폴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는 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폴을 작동시키기 위한 래칫-폴 단속 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안장이 설치되고, 상기 안장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기 케이스의 좌우로 돌출되는 한 쌍의 핸들이 설치되되, 하나의 핸들에는 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레버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폴을 작동시키기 위한 래칫-폴 단속 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배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권취되거나 풀리도록 연결되는 승강 와이어 및, 상기 승강 와이어에 연결되는 채수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 와이어는, 상기 승강 와이어는, 상기 채수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채수통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채수통의 양단 부근에 각각 설치된 제1 걸림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2 걸림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구는 상기 승강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복수의 채수통이 상기 승강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 가능하므로, 복수의 수심에서 동시에 채수가 가능하게 되어 채수 시간이 크게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며 정확한 수심에서 동시에 채수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채수통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 원통형의 통 본체, 상기 통 본체의 양단을 폐쇄하기 위한 마개, 상기 통 본체의 양단 개구에 대하여 상기 마개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탄력끈 및, 상기 탄력끈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걸림편 또는 제2 걸림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걸림 해제 와이어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걸림 해제 와이어는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배 위까지 연결되어 있어, 상기 걸림 해제 와이어를 배 위에서 잡아당기면 상기 복수의 채수통에서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 사이의 걸림이 동시에 해제되어 상기 마개가 탄력적으로 상기 통 본체의 양단 개구를 폐쇄하여 통 본체 내에 채수가 완료된 물시료를 밀봉하게 되므로, 특정 시점에 복수의 수심에서 동시에 채수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매우 유용한 수질 데이터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채수통의 외주면에는 벨로우즈가 설치되되,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의 연결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벨로우즈에는 배 위까지 연장되는 공기공급관이 연결되어, 상기 공기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벨로우즈가 팽창하면서 상기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의 연결 부분이 상측으로 꺽여지기 때문에, 상기 걸림 해제 와이어의 상승시 상기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의 걸림 해제가 한층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걸림구와 제2 걸림구는 연결 로드에 의해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제2 걸림구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에는 캐러비너가 설치되어 있어 신속한 착탈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승강 와이어의 단부 끼리는 웨이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승강 와이어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채수할 수심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가 권취되는 제2 권취롤 및, 상기 제2 권취롤을 회전 구동시키는 체인 전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 전동 유닛은, 상기 제2 권취롤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웃하게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으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제2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 및, 상기 제2 스프로킷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페달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스프로킷의 직경은 제2 스프로킷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모터와 같은 전기적 동력 없이 작업자의 인력만으로 쉽게 채수통을 인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에 대하여 상기 제2 권취롤과 체인 전동 유닛을 덮는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페달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작업자가 케이스에 올라탄 상태에서 페달을 밟아 채수통을 인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한층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채수통을 향하는 전방면에는 상기 걸림 해제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제1 권취롤이 설치되어 손잡이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걸림 해제 와이어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걸림구와 제2 걸림구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제시켜서 채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1 권취롤의 위쪽에는 와이어 출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출입공에는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를 모아서 제2 권취롤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안내롤이 설치되므로, 한 쌍의 승강 와이어가 제2 권취롤에 무리없이 권취되고 서로 꼬이는 경우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권취롤에는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어, 채수를 위해 상기 채수통을 물을 향해 하강시킬 때 채수통이 충격적으로 물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채수통이나 상기 채수통과 승강 와이어 사이의 연결부위 등이 파손되는 것과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부의 걸림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스프로킷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2 스프로킷과 함께 회전하는 래칫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래칫의 일방향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폴이 설치되어 있어, 작업작 페달을 밟아 채수통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페달에서 발을 떼더라도 채수통이 다시 물속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채수통 부근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걸림 해제 와이어와 제1 걸림편 및 제2 걸림편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구동부 및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채수통 부근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걸림 해제 와이어와 제1 걸림편 및 제2 걸림편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구동부 및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1000)는, 배(900)에 설치되는 구동부(100), 상기 구동부(100)에 의해 권취되거나 풀리도록 연결되는 승강 와이어(200) 및, 상기 승강 와이어(200)에 연결되는 채수통(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강 와이어(200)는, 상기 채수통(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채수통(300)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채수통(300)의 양단 부근에 각각 설치된 제1 걸림구(3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2 걸림구(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구(210)는 상기 승강 와이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복수의 채수통(300)이 상기 승강 와이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채수통(300)이 상기 승강 와이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복수의 수심에서 동시에 채수가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채수 시간이 크게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 와이어(20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수심에서 동시에 채수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채수통(300)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 원통형의 통 본체(320), 상기 통 본체(320)의 양단을 폐쇄하기 위한 마개(330), 상기 통 본체(320)의 양단 개구에 대하여 상기 마개(330)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탄력끈(340) 및, 상기 탄력끈(34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걸림편(351)과 제2 걸림편(3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걸림편(351)과 제2 걸림편(352)은 후크와 걸림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200) 사이에 배치되어 배(900) 위까지 연결되는 걸림 해제 와이어(400)가 상기 제1 걸림편(351) 또는 제2 걸림편(352)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걸림 해제 와이어(400)를 배(900) 위에서 잡아당기면 상기 복수의 채수통(300)에서 제1 걸림편(351)과 제2 걸림편(352) 사이의 걸림이 동시에 해제되어 상기 마개(330)가 탄력적으로 상기 통 본체(320)의 양단 개구를 폐쇄하여 통 본체(320) 내에 채수가 완료된 물시료를 밀봉하게 된다.
상기 제1 걸림편(351)인 후크 또는 탄성끈(340)에 걸리도록 상기 걸림 해제 와이어(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캐러비너(470)가 설치되어 용이한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걸림편(351)이 제2 걸림편(352)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 걸림편(351)은 상기 캐러비너(470)를 통과하게 되므로 마개(330)가 통 본체(320)의 개구를 폐쇄하는데 지장이 없게 된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복수의 수심에서 동시에 채수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매우 유용한 수질 데이터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채수통(300)의 외주면에는 벨로우즈(380)가 설치되되, 상기 벨로우즈(380)는 상기 제1 걸림편(351)과 제2 걸림편(352)의 연결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벨로우즈(380)에는 배(900) 위까지 연장되는 유연한 공기공급관(390)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공급관(390)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벨로우즈(380)가 팽창하면서 상기 제1 걸림편(351)과 제2 걸림편(352)의 연결 부분이 상측으로 꺽여지기 때문에 상기 걸림 해제 와이어(400)의 상승시 상기 제1 걸림편(351)과 제2 걸림편(352)의 걸림 해제가 한층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걸림구(310)와 제2 걸림구(210)가 연결 로드(353)에 의해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제2 걸림구(210)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 로드(353)의 일단에는 캐러비너(354)가 설치되어 신속한 착탈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200)의 단부 끼리는 중량물인 웨이트(50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승강 와이어(200)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채수할 수심을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0)는,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200)가 권취되는 제2 권취롤(110) 및, 상기 제2 권취롤(110)을 회전 구동시키는 체인 전동 유닛(12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발을 이용하여 상기 체인 전동 유닛(120)을 구동하면 상기 제2 권취롤(110)이 회전하면서 승강 와이어(100)를 인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인 전동 유닛(120)은, 상기 제2 권취롤(110)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웃하게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 스프로킷(121), 상기 제1 스프로킷(121)으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스프로킷(122), 상기 제1 스프로킷(121)과 제2 스프로킷(122)을 연결하는 체인(123) 및, 상기 제2 스프로킷(122)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페달(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권취롤(110)과 제1 스프로킷(121), 상기 제2 스프로킷(122) 및 페달(124)은 배(900)의 바닥이나 후술하는 케이스(600)의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6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페달(124)을 발로 밟으면 상기 제2 스프로킷(122), 체인(123) 및 제1 스프로킷(121)이 동시에 회전함에 따라 제2 권취롤(11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승강 와이어(100)가 상승하면서 채수가 왼료된 채수통(300)을 인양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스프로킷(121)의 직경은 제2 스프로킷(1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페달(124)을 통해 제2 스프로킷(122)을 회전시키게 되면 모터와 같은 전기적 동력 없이 작업자의 인력만으로 쉽게 채수통(300)을 인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바닥에 대하여 상기 제2 권취롤(110)과 체인 전동 유닛(120)을 덮는 케이스(600)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페달(124)은 상기 케이스(6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람이 상기 케이스(600) 위에 올라탄 상태에서 페달(124)을 밟음으로써 용이하게 채수통(300)을 인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600)에서 상기 채수통(300)을 향하는 전방면에는 상기 걸림 해제 와이어(400)를 권취하기 위한 제1 권취롤(410)이 설치되어 손잡이(420)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걸림 해제 와이어(400)를 상승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걸림편(351)과 제2 걸림편(352)의 연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에서 상기 제1 권취롤(410)의 위쪽에는 와이어 출입공(610)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출입공(610)에는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200)를 모아서 제2 권취롤(110)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안내롤(6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롤(620)은 적절한 브라켓(미도시)를 통해 상기 케이스(6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200)는 한 쌍의 안내롤(620) 사이로 진입하여 이송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한 쌍의 승강 와이어(200)가 제2 권취롤(110)에 무리없이 권취되고 서로 꼬이는 경우가 없게 된다.
도 2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권취롤(110)에는 브레이크(130)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스프로킷(122)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2 스프로킷(122)과 함께 회전하는 래칫(140)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600)의 내부에는 상기 래칫(140)의 일방향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폴(1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130)와 폴(150)은 상기 케이스(600)나 고정 프레임(630)에 설치되는 브라켓(650)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600)의 외부에는 상기 브레이크(130)를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131)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600)의 외면에는 상기 폴(150)을 작동시키기 위한 래칫-폴 단속 레버(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케이스(600)에 올라타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131)을 밟을 수 있으므로 채수를 위해 상기 채수통(300)을 물을 향해 하강시킬 때 채수통(300)이 충격적으로 물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채수통(300)이나 상기 채수통(300)과 승강 와이어(200) 사이의 연결부위 등이 파손되는 것과 제1 걸림편(351)과 제2 걸림편(352)의 걸림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페달(131)을 밟아 채수통(300)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페달(131)에서 발을 떼더라도 폴(150)이 래칫(140)에 걸리게 되므로 채수통(300)이 다시 물속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없게 되어 기구들이 파손되거나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파이어럴 스프링(155)과 같은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폴(150)은 상기 래칫(140)에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래칫-폴 단속 레버(170)에 의해 폴(150)이 래칫(14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1000)의 다른 예로서, 상기 케이스(600)의 상단에는 안장(700)이 설치되고, 상기 안장(700)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60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기 케이스(600)의 좌우로 돌출되는 한 쌍의 핸들(800)이 설치되되, 하나의 핸들에는 상기 브레이크(130)를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레버(810)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핸들에는 상기 폴(150)을 작동시키기 위한 래칫-폴 단속 레버(170)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치 일반적인 자전거에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거나 기어 변속을 할 때와 같이 손으로 브레이크 레버(810)나 래칫-폴 단속 레버(170)을 누름으로써 브레이크(130)를 작동시키거나 래칫(140)으로부터 폴(150)을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900) 갑판의 난간(910)에는 상기 승강 와이어(200)와 걸림 해제 와이어(400)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920)이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들이 마모나 흔들림 없이 제2 권취롤(110)과 제1 권취롤(410)에 권취되거나 풀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술하지 않은 구성부호 136과 159는 각각 브레이크(130)와 브레이크 레버(810) 사이, 및 폴(150)과 래칫-폴 단속 레버(17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래 기재된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구동부
110... 제2 권취롤
120... 체인 전동 유닛
121... 제1 스프로킷
122... 제2 스프로킷
123... 체인
124... 페달
130... 브레이크
131... 브레이크 페달
140... 래칫
150... 폴
170... 래칫-폴 단속 레버
200... 승강 와이어
210... 제2 걸림구
300... 채수통
310... 제1 걸림구
320... 본체
330... 마개
340... 탄력끈
351... 제1 걸림편
352... 제2 걸림편
380... 벨로우즈
400... 걸림 해제 와이어
410... 제1 권취롤
420... 손잡이
500... 웨이트
600... 케이스
610... 와이어 출입공
620... 안내롤
630... 고정 프레임
650... 브라켓
700... 안장
800... 핸들
810... 브레이크 레버
900... 배
910... 난간
920... 지지롤
1000...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110... 제2 권취롤
120... 체인 전동 유닛
121... 제1 스프로킷
122... 제2 스프로킷
123... 체인
124... 페달
130... 브레이크
131... 브레이크 페달
140... 래칫
150... 폴
170... 래칫-폴 단속 레버
200... 승강 와이어
210... 제2 걸림구
300... 채수통
310... 제1 걸림구
320... 본체
330... 마개
340... 탄력끈
351... 제1 걸림편
352... 제2 걸림편
380... 벨로우즈
400... 걸림 해제 와이어
410... 제1 권취롤
420... 손잡이
500... 웨이트
600... 케이스
610... 와이어 출입공
620... 안내롤
630... 고정 프레임
650... 브라켓
700... 안장
800... 핸들
810... 브레이크 레버
900... 배
910... 난간
920... 지지롤
1000...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Claims (12)
- 배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권취되거나 풀리도록 연결되는 승강 와이어; 및
상기 승강 와이어에 연결되는 채수통;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 와이어는, 상기 채수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채수통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채수통의 양단 부근에 각각 설치된 제1 걸림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2 걸림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구는 상기 승강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복수의 채수통이 상기 승강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 가능하고,
상기 채수통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 원통형의 통 본체;
상기 통 본체의 양단을 폐쇄하기 위한 마개;
상기 통 본체의 양단 개구에 대하여 상기 마개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탄력끈; 및
상기 탄력끈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걸림편 또는 제2 걸림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걸림 해제 와이어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걸림 해제 와이어는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배 위까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가 권취되는 제2 권취롤; 및
상기 제2 권취롤을 회전 구동시키는 체인 전동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 전동 유닛은,
상기 제2 권취롤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웃하게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으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스프로킷;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제2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 및
상기 제2 스프로킷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페달;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스프로킷의 직경은 제2 스프로킷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수통의 외주면에는 벨로우즈가 설치되되, 상기 벨로우즈는 상기 제1 걸림편과 제2 걸림편의 연결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벨로우즈에는 배 위까지 연장되는 공기공급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구와 제2 걸림구는 연결 로드에 의해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제2 걸림구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 로드의 일단에는 캐러비너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의 단부 끼리는 웨이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바닥에 대하여 상기 제2 권취롤과 체인 전동 유닛을 덮는 케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페달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채수통을 향하는 전방면에는 상기 걸림 해제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제1 권취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제1 권취롤의 위쪽에는 와이어 출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출입공에는 상기 한 쌍의 승강 와이어를 모아서 제2 권취롤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안내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권취롤에는 브레이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스프로킷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2 스프로킷과 함께 회전하는 래칫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래칫의 일방향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폴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는 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폴을 작동시키기 위한 래칫-폴 단속 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안장이 설치되고, 상기 안장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기 케이스의 좌우로 돌출되는 한 쌍의 핸들이 설치되되, 하나의 핸들에는 상기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레버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폴을 작동시키기 위한 래칫-폴 단속 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3597A KR102394364B1 (ko) | 2021-11-24 | 2021-11-24 |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3597A KR102394364B1 (ko) | 2021-11-24 | 2021-11-24 |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4364B1 true KR102394364B1 (ko) | 2022-05-04 |
Family
ID=8158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3597A KR102394364B1 (ko) | 2021-11-24 | 2021-11-24 |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436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481853A (zh) * | 2023-05-12 | 2023-07-25 |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七地质大队(山东省第七地质矿产勘查院) | 一种水文地质检测采样器 |
CN117232896A (zh) * | 2023-08-09 | 2023-12-15 | 华南农业大学 | 一种调节式的河口底泥采集装置及其控制方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6566Y1 (ko) | 1987-11-16 | 1990-07-26 | 정의조 | 시료 채수기(試料 採水器) |
KR100666533B1 (ko) * | 2003-11-19 | 2007-01-09 | (주)에코션 | 수중 자동채수 컨베이어 시스템 |
KR20140098990A (ko) * | 2013-02-01 | 2014-08-1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수중펌프 지지장치 |
KR101487232B1 (ko) * | 2014-07-22 | 2015-02-03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해수층별 채수 장치 |
CN208109500U (zh) * | 2018-01-25 | 2018-11-16 | 知与(杭州)科技有限公司 | 一种海洋水质勘测用取样设备 |
CN211553410U (zh) * | 2020-02-20 | 2020-09-22 | 水利部牧区水利科学研究所 | 一种新型水质检测取样装置 |
KR20210034151A (ko) * | 2019-09-19 | 2021-03-30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핸즈프리 기능을 가진 낚싯대 |
-
2021
- 2021-11-24 KR KR1020210163597A patent/KR1023943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6566Y1 (ko) | 1987-11-16 | 1990-07-26 | 정의조 | 시료 채수기(試料 採水器) |
KR100666533B1 (ko) * | 2003-11-19 | 2007-01-09 | (주)에코션 | 수중 자동채수 컨베이어 시스템 |
KR20140098990A (ko) * | 2013-02-01 | 2014-08-1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수중펌프 지지장치 |
KR101487232B1 (ko) * | 2014-07-22 | 2015-02-03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해수층별 채수 장치 |
CN208109500U (zh) * | 2018-01-25 | 2018-11-16 | 知与(杭州)科技有限公司 | 一种海洋水质勘测用取样设备 |
KR20210034151A (ko) * | 2019-09-19 | 2021-03-30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핸즈프리 기능을 가진 낚싯대 |
CN211553410U (zh) * | 2020-02-20 | 2020-09-22 | 水利部牧区水利科学研究所 | 一种新型水质检测取样装置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481853A (zh) * | 2023-05-12 | 2023-07-25 |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七地质大队(山东省第七地质矿产勘查院) | 一种水文地质检测采样器 |
CN116481853B (zh) * | 2023-05-12 | 2023-12-08 |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七地质大队(山东省第七地质矿产勘查院) | 一种水文地质检测采样器 |
CN117232896A (zh) * | 2023-08-09 | 2023-12-15 | 华南农业大学 | 一种调节式的河口底泥采集装置及其控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94364B1 (ko) | 무전원 채수기 조립체 | |
CN110514480B (zh) | 一种遥控式河流或湖泊用采水装置 | |
US20200011768A1 (en) | Long-term in-situ sampling and analysis device for sediment pore water and method thereof | |
CN104677676B (zh) | 一种采水器 | |
CN104677677A (zh) | 一种投放式水体采集系统 | |
CN115266217A (zh) | 一种伸缩式水体定深取样装置 | |
CN115356158B (zh) | 一种环境保护用的湖水取样检测设备 | |
US20090277070A1 (en) | Deep water fishing rod and electric reel | |
CN109540594B (zh) | 水污染监测取样装置 | |
US20100071485A1 (en) | System for sampling sludge | |
CN115541312A (zh) | 一种水体采样装置及采样方法 | |
CN108181135B (zh) | 一种用于水质监测的取样装置及取样方法 | |
CN213023115U (zh) | 一种便携式水质检测仪器 | |
CN219714839U (zh) | 水环境监测取样装置 | |
JP5229814B2 (ja) | 採水器 | |
CN111853423A (zh) | 一种管道支管检测系统 | |
CN216207847U (zh) | 一种简易多层水样采集装置 | |
US5029484A (en) | Hazardous waste sampler | |
CN109187903A (zh) | 一种带污泥抓取功能的遥控式污水检测设备 | |
CN111595618A (zh) | 一种手持式地表水取样装置 | |
KR102511915B1 (ko) | 지하수 시료 채취기 | |
CN216201601U (zh) | 一种管道支管检测系统 | |
WO2017150966A1 (en) | A water sampling device | |
CN212458995U (zh) | 一种地下水采样器 | |
CN111044326A (zh) | 一种便携式底泥采样器及使用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