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118B1 - 통신 시스템, 제어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제어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118B1
KR101487118B1 KR1020137017224A KR20137017224A KR101487118B1 KR 101487118 B1 KR101487118 B1 KR 101487118B1 KR 1020137017224 A KR1020137017224 A KR 1020137017224A KR 20137017224 A KR20137017224 A KR 20137017224A KR 101487118 B1 KR101487118 B1 KR 101487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nodes
packet forwarding
forwarding path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193A (ko
Inventor
준이치 야마토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9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관리하지 않고도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제어를 실행하고,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제어를 실행하는 코스트를 줄인다. 패킷을 각각 포워딩하는 복수의 노드들; 상기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말 디바이스; 및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되며 패킷 포워딩 경로의 설정을 요청하는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제어 디바이스는: 각각의 노드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설정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및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제어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COMMUNICATION SYSTEM,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관련 출원의 설명)
본 발명은 일본특허출원 제2010-269164호 (2010년 12월 2일) 의 우선권에 기초한 것으로 그 이점을 청구하며, 그 개시는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본원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제어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에서 패킷 포워딩 경로의 설정을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제어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들의 확산에 따라, 유저가 컴퓨터들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을 네트워크들에 접속시켜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수행하고, 여러 서비스들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할 때, 디바이스들의 각각은 그 각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식별 정보의 일 예는 IP 어드레스이다. IP 어드레스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ID) 이며, 또한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예를 들면, IP 어드레스의 프리픽스 (prefix) 가 위치 정보를 형성한다. 디바이스들이 통신할 때, 위치 정보에 기초한 경로 제어 (routing control) 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 위치 정보를 참조하게 된다.
한편, 최근 휴대형 디바이스들 (이하, "모바일 디바이스들이라 칭함) 의 증가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분리함으로써 관리가 수행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IP 어드레스와 같이, 식별자와 위치 정보 양자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에 따라 당해 모바일 디바이스와 네트워크의 접속 지점이 변하게 되면, 그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된 식별 정보도 또한 변하게 된다. 이것은 접속 지점이 변할 때 그 위치 정보도 변하기 때문이다. 식별 정보가 변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의 식별자도 또한 변하기 때문에, 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와 식별자를 분리하여 관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된다.
특허문헌1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와 식별자를 분리하여 관리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한다. 특허문헌1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홈 어드레스"를 사용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로서 "관리 어드레스 (care-of address) "를 사용하는 것을 개시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와 식별자를 각각 2개의 어드레스들로 분리하는 것에 의해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특허문헌1: 일본 특개 제2001-268129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의 전체 개시는 그것의 참조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하기의 분석은 본 개시에 의해 주어진다.
특허문헌1에 개시된 기술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와 식별자가 상이한 어드레스들에 의해 각각 관리되기 때문에, 어드레스들의 관리 코스트가 상승한다. 결과적으로, 디바이스들이 통신할 때, 위치 정보에 기초한 경로 제어를 실행하는 코스트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양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상기 통신 시스템은: 패킷을 각각 포워딩하는 복수의 노드들; 상기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말 디바이스; 및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되며 패킷 포워딩 경로의 설정을 요청하는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어 디바이스는: 각각의 노드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설정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및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양태에 따르면, 패킷을 각각 포워딩하는 복수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패킷 포워딩 경로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제어 디바이스는: 각각의 노드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및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로부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고,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의 양태에 따르면, 패킷을 각각 포워딩하는 복수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패킷 포워딩 경로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으로부터 참조하는 단계, 참조된 위치 정보로부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사용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노드들에서 프로세싱 룰을 설정하는 제어 디바이스로서 알려진 특정 장치에 연관됨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 4의 양태에 따르면, 패킷을 각각 포워딩하는 복수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패킷 포워딩 경로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프로세스,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으로부터 참조하는 프로세스, 참조된 위치 정보로부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관리하지 않으면서도,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 제어를 실행할 수 있고, 위치 정보에 기초한 경로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노드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노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저장 디바이스인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저장 관리 디바이스에 유지된 파일 메타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저장 관리 디바이스에 유지된 오브젝트 배치 관리 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저장 디바이스인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저장 디바이스인 경우의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저장 디바이스인 경우의 저장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저장 디바이스인 경우의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저장 디바이스인 경우의 노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19는 오픈플로우 기술에서 플로우 엔트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의 예시적인 구체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패킷 포워딩을 수행하는 노드들 (10A 내지 10D), 상기 노드들 (10A 내지 10D)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 디바이스 (30), 및 상기 복수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패킷의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 (20) 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 (20) 는 복수의 노드들 (10A 내지 10D)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한다. 오픈플로우 (OpenFlow) 기술은, 복수의 노들들에 관한 패킷 포워딩 경로의 제어를 이와 같이 중점적으로 수행하는 중점 관리형 기술 (central management technology) 의 예로서 존재한다.
오픈플로우에서, 통신은 엔드-투-엔드 플로우로서 취해지고, 경로 제어, 장해 회복, 부하 분산, 및 최적화는 플로우 단위들로 수행된다. 중계 디바이스로서의 오픈플로우 스위치 기능은 제어 디바이스로서 위치된 오픈플로우 컨트롤러와 통신하는 보안 채널을 구비하고, 적절한 추가 또는 재기록이 오픈플로우 컨트롤러에 의해 지시되는 플로우 테이블에 따라 동작한다. 플로우 테이블은, 각각의 플로우마다, 패킷 헤더들을 조회하는 매칭 룰들 (조회 룰들), 플로우 통계 정보 (Counters), 및 매칭 룰들 (조회 룰들) 과 매칭하는 패킷에 적절한 프로세싱 내용을 정의하는 액션들 (Actions) 의 세트들의 정의이다 (도 19 참조).
예를 들면, 패킷 수신시,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수신된 패킷의 헤더 정보와 매치하는 매칭 룰 (도 19의 헤더 필드 참조) 을 갖는 엔트리를 플로우 테이블로부터 검색한다. 검색 결과로서, 수신된 패킷과 매치하는 엔트리가 발견되는 경우,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플로우 통계 정보 (카운터들) 을 업데이트하고, 또한 수신된 패킷에 대해, 당해 엔트리의 액션 필드에서 설명된 프로세싱 내용 (특정 포트로부터의 패킷 전송, 플러딩, 드라핑, 등) 을 구현한다. 한편, 검색의 결과로서, 수신된 패킷과 매치하는 엔트리가 발견되지 않으면,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보안 채널을 통해 오픈플로우 컨트롤러로 요청을 송신하고, 수신된 패킷의 소스와 목적지에 기초한 패킷 경로의 결정을 요청하고, 이것을 실현하는 플로우 엔트리를 수신하고, 플로우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이렇게 하여, 플로우 엔트리로서 플로우 테이블에 저장된 엔트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오픈플로우 스위치는 패킷 포워딩을 수행한다.
상술한 오픈플로우 기술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오픈플로우 기술을 본 발명에 적용하는 경우에서의 예시적인 구체예가 하기에 설명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어 디바이스는 복수의 노드들에 대한 패킷 포워딩 경로 (또는 패스 (path)) 를 제어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은 오픈플로우 기술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노드들 (10A 내지 10D) 은 패킷들을 포워딩하는 디바이스들이다. 단말 디바이스 (30) 는 노드들 (10A 내지 10D)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 노드들 (10A 내지 10D) 의 각각은 제어 디바이스 (20) 와의 통신을 위한 보안 채널을 확립한다. 노드들 (10A 내지 10D) 의 각각은, 추가 및 재기록이 제어 디바이스 (20) 에 의해 적절히 지시되는 플로우 테이블에 따라 동작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에 적용될 플로우 엔트리들 관련 프로세싱 및 프로세싱이 적용될 패킷을 식별하는 매칭 룰들을 저장하는 플로우 엔트리 저장 유닛 (12), 및 플로우 엔트리 저장 유닛 (12) 을 참조하여, 수신된 패킷에 매치하는 매칭 룰을 갖는 플로우 엔트리에 따라 패킷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패킷 프로세싱 유닛 (11) 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노드들 (10A 내지 10D) 이 구성된다.
단말 디바이스 (또는 호스트 디바이스)(30) 가 노드 (10A) 에 접속되는 경우, 노드 (10A) 는 단말 디바이스 (30) 로부터 수신된 패킷과 플로우 엔트리 저장 유닛 (12) 에 기록된 플로우 엔트리를 비교한다. 예를 들면, 수신된 패킷에 대응하는 플로우 엔트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노드 (10A) 는 플로우 엔트리의 설정에 대한 요청을 보안 채널을 통해 제어 디바이스 (20) 로 송신한다.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제어 디바이스 (20) 는, 단말 디바이스 (30) 로부터 노드 (10A) 에 의해 수신된 패킷이 속하는 플로우에 대응하는 경로 (패스) 를 결정하고, 결정된 경로에 대응하는 플로우 엔트리를 생성한다. 플로우 엔트리를 생성한 이후, 제어 디바이스 (20) 는 결정된 경로에 관련된 노드의 플로우 엔트리 저장 유닛 (12) 에 플로우 엔트리를 설정한다. 제어 디바이스 (20) 는, 예를 들면, 노드들 (10A 내지 10D) 중 적어도 하나에 플로우 엔트리를 설정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대응하는 플로우 엔트리가 설정된 이후, 패킷 프로세싱 유닛 (11) 은 수신된 패킷의 프로세싱을 설정된 플로우 엔트리에 따라 수행한다.
제어 디바이스 (20) 는 복수의 노드들 (10A 내지 10D)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한다. 제어 디바이스 (20) 는 노드들 (10A 내지 10D) 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제어한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 제어 디바이스 (20) 는, 노드들 (10A 내지 10D) 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노드 위치 정보 기록 유닛 (21), 단말 디바이스 (30) 의 위치를 고려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 (패스) 를 계산하는 패스 결정 유닛 (22), 결정된 경로 (패스) 를 실현하는 플로우 엔트리를 생성하고, 경로 상의 노드에 플로우 엔트리를 설정하는 패스 설정 유닛 (23), 및 통신 유닛 (24) 을 구비한다.
노드 위치 정보 기록 유닛 (21) 은 노드들 (10A 내지 10D) 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기록한다. 예를 들면, 노드들 (10A 내지 10D) 의 각각의 지리학적 위치들의 정보이기도 한 위치 정보는 네트워크 내의 논리적 위치들의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정보는 노드가 특정 영역 (예를 들면, 특정 국가, 특정 영역, 등) 에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도 있다. 위치 정보는 이들 실시형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관리된 노드의 위치를 제어 디바이스가 식별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정보일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예를 들면, 새로운 노드가 추가되는 경우, 추가된 노드의 위치 정보는 노드 위치 정보 기록 유닛 (21) 에 추가된다.
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노드들 (10A 내지 10D) 의 각각의 위치 정보가 제어 디바이스 (20) 에 포함된 노드 위치 정보 기록 유닛 (21) 에 기록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기능은 제어 디바이스 (20) 와는 상이한 서버 등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통신 유닛 (24) 이 노드들 (10A 내지 10D)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패스 결정 유닛 (22) 은 그 요청에 대응하는 경로를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 (30) 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통과한 노드로부터 통신 유닛 (24) 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패스 결정 유닛 (22) 은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사용하여 경로를 결정한다. 즉, 단말 디바이스 (30) 가 접속된 노드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패스 결정 유닛 (22) 은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사용하여 경로 (패스) 를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 (30) 가 접속된 노드"는 단말 디바이스 (30) 가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노드에 간접적으로 접속된 경우를 포함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단말 디바이스 (30) 가 휴대형 전화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인 경우, 단말 디바이스 (30) 는 기지국 등을 통해 노드에 접속된다. 패스 결정 유닛 (22) 은 단말 디바이스 (30) 가 접속된 노드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노드 위치 정보 기록 유닛 (21) 으로부터 참조한다. 패스 결정 유닛 (22) 은, 참조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에 접속된 단말 디바이스 (30) 의 위치를 추정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 은, 단말 디바이스 (30) 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 (예를 들면, 단말 디바이스 (30) 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예컨대 관리 어드레스) 를 관리하지 않고도,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면, 호스트 디바이스)(30) 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노드 (예를 들면, 노드 (10A)) 가 단말 접속 전용의 노드이고, 제어 디바이스 (20) 가 이 소정의 노드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패스 결정 유닛 (22) 은 이 요청이 단말 디바이스 (30) 가 접속된 노드로부터의 요청인 것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의 에지에서 설정된 소정의 노드로부터의 요청은, 단말 디바이스 (30) 가 접속된 노드로부터의 요청으로서 인식될 수도 있다. 즉, 제어 디바이스 (20) 는 단말 디바이스 (30) 에 대한 네트워크 입구 (ingress) 인 입구 노드 (ingress node) 를 기록하고, 입구 노드로부터의 요청이 단말 디바이스 (30) 가 접속된 노드로부터의 요청인 것으로 인식한다. 이 경우, 코어에 제공된 노드로부터의 요청에 대해서는, 단말 디바이스 (30) 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으면서 패킷 포워딩 경로에 대해 제어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소정의 노드 (예를 들면, 노드 (10A)) 의 소정의 포트가 단말 접속 전용의 포트로 설정되고, 제어 디바이스 (20) 가 이 소정의 포트에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패스 결정 유닛 (22) 은 이 요청이 단말 디바이스 (30) 가 접속된 노드로부터의 요청인 것으로 인식한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 (20) 는, 소정의 노드 (예를 들면, 노드 (10A)) 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관련되는 패킷에 포함되는 소정의 정보 (헤더 정보) 에 기초하여, 이것이 단말 디바이스 (30) 가 접속된 노드로부터의 요청인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단말 디바이스 (30) 가 접속된 노드로부터의 요청인지의 여부를 패스 결정 유닛 (22) 이 인식하는 시스템은 상술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주목해야 한다.
패스 결정 유닛 (22) 에 의해 결정된 경로를 따라 패킷을 포워딩하기 위해, 패스 설정 유닛 (23) 은, 결정된 경로에 관련된 노드에 대해 설정하는 플로우 엔트리를 생성한다. 패스 설정 유닛 (23) 에 의해 생성된 플로우 엔트리는 보안 채널을 통해 노드로 통지된다.
제어 디바이스 (20) 의 각각의 기능들은, 컴퓨터 하드웨어 및 노드 위치 정보 기록 유닛 (21) 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술한 각각의 프로세싱이 실행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또한 실현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단말 디바이스 (30) 는 노드들 (10A 내지 10D)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 단말 디바이스 (30) 는 노드 (10A) 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단말 디바이스 (30) 는, 이동으로 인해, 노드 (10A) 이외의 다른 노드에 접속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이동 목적지에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구체예의 동작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단말 디바이스 (30) 가 노드 (10A) 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먼저, 단말 디바이스 (30) 는 노드 (10A) 에 접속되고, 패킷을 송신한다 (도 3의 S001). 패킷을 수신하는 노드 (10A) 는 수신된 패킷과 플로우 엔트리 기록 유닛 (12) 에 기록된 플로우 엔트리들을 비교한다. 수신된 패킷에 대응하는 플로우 엔트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노드 (10A) 는 플로우 엔트리를 설정하기 위한 요청 (패스 설정 요청) 을 송신한다 (도 3의 S002).
경로 (패스) 를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제어 디바이스 (20), 노드 위치 정보 기록 유닛 (21) 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한 노드 (10A) 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 정보로부터 단말 디바이스 (30) 의 위치를 인식한다. 제어 디바이스 (20) 는 인식된 위치를 고려하여, 단말 디바이스 (30) 에 의해 송신된 패킷의 경로를 결정한다. 결정된 경로에 대응하는 플로우 엔트리가 생성되고, 플로우 엔트리의 통지가 결정된 경로 상의 노드들에 주어진다 (도 3의 S003).
그 후, 노드 (10A) 는, 제어 디바이스 (20) 에 의해 통지된 플로우 엔트리에 따라, 패킷을 다른 노드들로 포워딩한다 (도 3의 S004).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도 3의 시퀀스에서의 제어 디바이스와 노드들의 각각의 동작에 관해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노드들)
도 4는 노드 (10A) 에 대한 프로세싱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노드 (10A) 에서 단말 디바이스 (30) 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 (스텝 S100), 노드 (10A) 는 플로우 엔트리 기록 유닛 (12) 을 검색하고, 수신된 패킷과 매치하는 플로우 엔트리의 존재를 체크한다 (스텝 S101).
수신된 패킷과 매치하는 플로우 엔트리가 발견되는 경우 (스텝 S102에서 예), 노드 (10A) 는 당해 플로우 엔트리에서 정의된 프로세싱 내용을 실행한다 (단계 S103).
수신된 패킷과 매치하는 플로우 엔트리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 (스텝 S102에서 아니오), 노드 (10A) 는 수신된 패킷에 대한 플로우 엔트리의 설정을 위한 요청을 제어 디바이스 (20) 로 송신한다 (스텝 S104).
(제어 디바이스)
도 5는 상술한 노드 (10A) 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는 제어 디바이스에서의 프로세싱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 디바이스 (20) 는 요청을 송신한 노드 (10A) 의 위치 정보를 노드 위치 정보 기록 유닛 (21) 으로부터 검색하고 (스텝 S110), 취출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 (30) 의 위치를 식별한다 (스텝 S111).
다음에, 제어 디바이스 (20) 는, 상술한 스텝 S111에서 식별된 단말 디바이스 (30) 의 위치에 기초하여, 패킷 경로를 결정한다 (스텝 S112).
다음에, 제어 디바이스 (20) 는 결정된 경로 상의 노드에 설정될 플로우 엔트리를 생성한다 (스텝 S113).
마지막으로, 제어 디바이스 (20) 는 스텝 S113에서 생성된 플로우 엔트리를 결정된 경로 상의 노드에 설정한다 (스텝 S11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 (20) 는 노드들 (10A 내지 10D) 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단말 디바이스 (30) 가 접속된 노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 (30) 의 위치를 식별한다.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 (20) 는, 단말 디바이스 (30) 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지 않고도, 단말 디바이스 (30) 의 위치에 기초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어 디바이스 (20) 는 소망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의 경로를, 단말 디바이스 (30) 의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 (30) 로부터 계산하고, 또한 그 경로에 따른 패킷 포워딩을 수행하는 플로우 엔트리를 그 경로 상의 노드에 설정한다. 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 1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는 부분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하기에서는 제 1의 예시적인 구체예와 다른 부분들에 집중하여 설명함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포워딩을 수행하는 노드들 (10A 내지 10D), 노드들 (10A 내지 10D)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 디바이스 (예를 들면, 호스트 디바이스)(30), 노드들 (10B 내지 10D) 에 각각 접속되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들 (40B 내지 40D), 및 복수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 (20) 로부터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노드 (10A) 및 노드들 (10B 내지 10D) 사이에 다른 노드가 존재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는, 서비스 대체 관계들을 기록하는 맵 정보를 저장하는 맵 정보 기록 유닛 (25) 을 더 구비하는데, 서비스들은 복수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들 (40B 내지 40D) 각각에 의해 제공된다. 대체 관계들은,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40D) 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40B) 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맵 정보는, 예를 들면, 소정의 서버의 미러 서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또는 소정의 서버의 부분적 기능 (부분적 서비스) 을 제외하는/대체하는 서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 디바이스 (20) 와 관련하여, 노드들 (10A 및 10C) 을 통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40C) 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디바이스 (호스트 디바이스)(30) 가 도 6의 점선 위치에서 실선 위치로 이동한 경우, 제어 디바이스 (20) 는 맵 정보를 참조하고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40) 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40B) 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40C) 를 대체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 (20) 는, 예를 들면, 이동한 단말 디바이스 (30) 가 접속된 노드 (10B) 와, 단말 디바이스 (30) 가 이동하기 이전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던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40C), 또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40C) 를 대체하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40B) 사이의 경로들 중에서 최단 경로를 계산한다. 여기에서는, 노드 (10B) 를 통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40B) 에 액세스하는 경로가 최단이다. 제어 디바이스 (20) 는 계산된 최단 경로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노드에 플로우 엔트리를 설정한다. 제어 디바이스 (20) 에 의한 경로 계산은 최단 경로 계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주목해야 한다. 제어 디바이스 (20) 는 단말 디바이스 (30) 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사이의 액세스에 필요한 코스트에 기초하여 경로를 계산한다.
제어 디바이스 (20) 에 의한 경로의 계산은 최단 경로의 계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40B) 와 노드 (10B) 사이의 트래픽 상태 또는 노드 (10B) 에 접속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부하에 따라, 제어 디바이스 (20) 는 노드 (10B) -노드 (10A) - (노드 (10C) 또는 노드 (10D)) 를 통한 경로 (패스) 를 계산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 (30) 가 도 6의 실선 위치에서 점선 위치로 되돌아가는 경우, 제어 디바이스 (20) 는 노드 (10A) 및 노드들 (10B 내지 10D) 중 임의의 하나를 통해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들 (40B 내지 40D) 중 임의의 것에 액세스하는 최단 경로를 계산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노드들 (10B 내지 10D) 에 대한 부하 또는 트래픽을 고려하여 주어질 수도 있다), 경로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들 (40B 내지 40D) 과 단말 디바이스 (호스트 디바이스)(30) 사이에서 교환되는 패킷을 포워딩하는 플로우 엔트리를 경로 상의 노드들에 설정한다.
상술한 플로우 엔트리의 설정에 따르면, 데이터 액세스 경로는, 단말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시도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들 (40B 내지 40D) 과 단말 디바이스 사이에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저장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하기에,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저장 디바이스인 경우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소망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은 저장 디바이스에 제한되지 않음을 주목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저장 디바이스에 적용될 때의 제어 디바이스 (2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저장 디바이스 (40), 복수의 노드들 (10) 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 (100), 제어 디바이스 (20), 단말 디바이스 (호스트 디바이스)(30), 및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가 도시된다.
저장 디바이스 (40) 는, 예를 들면, FC (Fiber Channel), iSCSI (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FCoE (FC over Ethernet), Express Ethernet 등과 같은 프로토콜로 접속된 블록 액세스 디바이스, 또는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또는 파일 서버 등이다.
단말 디바이스 (30) 에 의해 액세스되는 파일들은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들에 의해 구성되며, 각각의 저장 디바이스들에 오브젝트 단위들로 저장됨을 주목해야 한다.
도 7의 실시형태에서, 제어 디바이스 (20) 는 저장 디바이스들 (40) 과 노드들 (10) 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구성 저장 유닛 (26), 및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에 의해 통지된 동일한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들로부터,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노드 위치 정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액세스 목적지인 저장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접속 목적지 결정 유닛 (27) 을 더 구비한다.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노드들 (10) 중 어느 것이 저장 디바이스 (40) 에 접속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관련된다. 도 7의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기록하는 네트워크 구성 저장 유닛 (26), 및 노드들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는 노드 위치 정보 기록 유닛 (21) 은 상이한 구성들을 갖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2개의 기록 유닛들은 동일한 구성 유닛을 구비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그 경우,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노드 위치 정보는 동일한 정보에 포함되고, 예를 들면, 노드의 식별자, 당해 노드의 위치 정보, 및 당해 노드에 접속된 저장 디바이스의 식별자 사이의 관련성이 기록되게 된다.
단말 디바이스 (30) 는 노드 (10) 측으로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로부터 수신된 메타 정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하고, 노드 (10) 를 통해 저장 디바이스 (40) 로부터 리턴된 패킷을 수신한다.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는, 저장 디바이스들 (40) 중 어느 것이 각각의 데이터를 저장하는지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 서버 등으로서 알려진 디바이스이다. 도 7의 실시형태에서,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는 파일 (또는 논리 유닛) 을 구성하는 오브젝트들의 정보 및 파일 속성들 등과 같은 메타 정보를 관리하는 파일 메타 정보 관리 유닛 (51); 및 복수의 저장 디바이스들 (40) 중 어느 저장 디바이스가 오브젝트를 저장하고 있는지를 저장하는 오브젝트 배치 관리 테이블 (52) 을 구비한다. 상술한 파일의 메타 정보와 오브젝트 배치 관리 테이블 (52) 은 도 6에 도시된 맵 정보에 대응한다.
도 8은 파일 메타 정보 관리 유닛 (51) 에서 관리되는 파일 메타 정보의 실시형태이다. 도 8의 실시형태에서, 파일명, 타임 스탬프 등과 같은 파일 속성들, 및 파일을 형성하는 오브젝트 (그룹) 의 식별자 외에, 당해 파일의 배치 정책이 저장될 수 있다.
파일의 배치 정책은 각 파일의 포워딩 목적지 또는 구성에 관한 정책이다; 예를 들면, 당해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할 수 없는) 지리적 영역 또는 저장 디바이스가 설정된다. 또한, 파일의 배치 정책으로서, 당해 파일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리적 영역 또는 저장 디바이스가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법적 규제들 또는 보안 정책의 관점에서, 당해 파일의 배치 정책은 특정 영역으로부터의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는 정보 (정책), 또는 특정 영역에 대해서만 액세스를 허용하는 정보 (정책) 를 설정할 수도 있다. 저장 디바이스가 복수의 국가들과 영토들에 걸쳐 배치되는 경우, 법적 규제들 및 보안 정책의 관점에서 액세스 가능한 국가 또는 영토에 대한 제한이 이루어지면, 이러한 형태의 설정은 단말 디바이스 (30) 가 액세스할 수 있는 저장 디바이스들을 제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일 배치 정책이 설정되는 경우, 접속 목적지 결정 유닛 (27) 은, 당해 파일 배치 정책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 (30) 가 액세스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단말 디바이스 (30) 가 접속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특정 영역의 저장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수 없는 파일 배치 정책이 설정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 (30) 가 액세스할 수 있는 저장 디바이스는 그 특정 영역의 저장 디바이스들 외의 저장 디바이스들로부터 결정된다.
본 예시적인 구체예에 맞추어,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책을 통해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르면 당해 정책은 여러 가지 모드들을 갖는 것이 명확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단말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접속되는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법적 규제들 또는 보안 정책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 (30) 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액세스 불가능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관련된 정책이 설정될 수도 있다.
도 9는 오브젝트 배치 관리 테이블 (52) 에서 유지되는 오브젝트 관리 엔트리의 실시형태이다. 도 9의 실시형태는 각각의 오브젝트에 대해 당해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의 ID가 저장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파일 시스템의 이름 공간들 및 파일들의 대응하는 관련성들을 관리하는 디렉토리와 같은 이름 공간을 관리하는 기능을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가 갖는 것으로 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이 기능은 다른 서버 등에 의해, 또는 제어 디바이스 (20) 의 엘리먼트로서 또한 구성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제어 디바이스 (20) 의 각각의 유닛들 (프로세싱 수단들) 은, 제어 디바이스 (20) 를 형성하는 컴퓨터에서, 그 하드웨어와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술한 각각의 프로세싱이 실행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또한 실현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구체예의 동작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단말 디바이스 (30) 가 저장 시스템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할 때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호스트 디바이스로서의) 단말 디바이스가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에 파일 "열기"를 요청하면 (도 10의 S201),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는 파일의 메타 정보 (파일을 형성하는 오브젝트 정보) 를 포함하는 "열기" 응답을 리턴한다 (도 10의 S202).
그 후, 단말 디바이스 (30) 에 의한 판독/기록 액세스 등을 위해 액세스에 관련된 패킷이 노드 (10) 측으로 송신되면 (도 10의 S203), 각 노드 (10) 는 플로우 엔트리 기록 유닛 (12) 을 참조하지만, 관련된 플로우 엔트리가 없기 때문에, 수신된 패킷은 제어 디바이스 (20) 로 송신되고, 플로우 엔트리의 설정이 요청된다 (도 10의 S204).
플로우 엔트리의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제어 디바이스 (20) 는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오브젝트들의 식별자들에 의해 특정된 오브젝트들을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 그룹의 리스트 (오브젝트 배치) 를,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로 요청한다 (도 10의 S205).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가 오브젝트 배치 관리 테이블 (52) 을 참조하여 오브젝트들을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 그룹의 리스트 (오브젝트 배치) 를 송신하면 (도 10의 S206), 제어 디바이스 (20) 는, 단말 디바이스 (30) 의 위치와 저장 디바이스 그룹의 리스트에 포함된 저장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저장 디바이스 그룹 중에서 적절한 저장 디바이스 (40) 를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 (30) 와 저장 디바이스 그룹 (40) 사이의 액세스 경로들 (패스들) 을 계산한다. 그 후, 계산된 경로에 대해, 제어 디바이스 (20) 는 각각의 액세스 경로들 (패스들) 을 실현하는 플로우 엔트리들을 생성하고, 계산된 액세스 경로 (패스) 상의 노들들 (10) 에 설정을 수행한다 (도 10의 S207).
플로우 엔트리 설정들을 수신하는 노드들 (10) 은 수신시 버퍼링되었던 수신된 패킷, 또는 제어 디바이스 (20) 로부터 리턴된 패킷을, 설정된 플로우 엔트리에 따라 포워딩한다 (도 10의 S208).
그 후, 단말 디바이스 (30) 에 의한 판독/기록 액세스를 위해, 액세스에 관련된 패킷이 노드 (10) 측으로 송신되면 (도 10의 S211), 각 노드 (10) 는 액세스에 관련된 패킷을, 설정된 플로우 엔트리들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들의 액세스 목적지들로서 결정된 저장 디바이스들 (40) 로 포워딩한다 (도 10의 S212). 또한, 각 노드 (10) 는, 설정된 플로우 엔트리들에 기초하여, 저장 디바이스들 (40) 로부터 리턴된 패킷을 단말 디바이스 (30) 로 포워딩한다 (도 10의 S213).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도 10의 시퀀스에서의 각각의 디바이스들의 관련 동작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말 디바이스 ("열기" 이후 파일 액세스))
도 11은, 도 10의 단말 디바이스 (호스트 디바이스)(30) 에 의한, 파일에 대한 "열기" 요청으로부터 응답으로서 파일의 메타 정보의 수신까지 (도 10의 S201 내지 S203) 의 프로세싱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단말 디바이스 (30) 는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에 대해 이름 분석 (name resolution) 을 요청하고, 경로명에 대응하는 파일의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220).
다음에, 단말 디바이스 (30) 는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에 대해 획득된 파일을 특정하여 "열기" 요청을 행한다 (단계 S221).
다음에, 단말 디바이스 (30) 는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로부터의 응답으로서 수신된 파일의 메타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S222). 파일의 메타 정보는 파일을 형성하는 오브젝트들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8 참조).
마지막으로, 판독/기록 액세스를 위해, 단말 디바이스 (30) 는 액세스에 관련된 패킷을 노드 (10) 측으로 송신한다 (도 10의 S203).
(저장 관리 디바이스)
도 12는, 도 10의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가 제어 디바이스 (20) 로부터의 오브젝트 배치 획득 요청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때까지 (도 10의 S205 내지 S206) 의 프로세싱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는, 단말 디바이스 (30) 로부터 포워딩된 오브젝트가 배치된 저장 디바이스를 검색하기 위해 오브젝트 배치 관리 테이블 (52) 을 참조한다 (S230).
다음에,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는, 제어 디바이스 (20) 에 대해, 단말 디바이스 (호스트 디바이스)(30) 에 의해 특정된 파일의 상태를 "열기" 상태로 업데이트한다 (S231).
다음에,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는 검색된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 그룹의 리스트 (오브젝트 배치 정보) 를 제어 디바이스 (20) 로 송신한다 (스텝 S232).
(제어 디바이스)
도 13은 도 10의 S204에서 노드 (10) 로부터의 수신된 패킷의 포워딩을 수신한 제어 디바이스 (20) 에서의 프로세싱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패킷을 수신하면 (스텝 S240), 제어 디바이스 (20) 는 수신된 패킷으로부터 오브젝트의 식별자를 획득한다 (스텝 S241).
다음에, 제어 디바이스 (20) 는,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로부터, 당해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 그룹의 리스트 (오브젝트 배치 정보) 를 획득한다 (스텝 S242).
다음에, 제어 디바이스 (20) 는 네트워크 구성 저장 유닛 (26) 에 저장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참조하고, 리스트에 포함된 저장 디바이스가 접속된 노드를 식별하고, 노드의 위치 정보를 노드 위치 정보 기록 유닛 (21) 으로부터 검출하며, 리스트에 포함된 저장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한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 (20) 는 노드 위치 정보 기록 유닛 (21) 을 참조하고, 패킷을 송신한 노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며, 노드가 접속된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한다 (스텝 S243).
다음에, 제어 디바이스 (20) 는, 상술한 스텝 S243에서 체크된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 (30) 가 접속되어야만 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스텝 S244). 저장 디바이스의 선택은 스루풋, 응답 식간, 및 통신 경로 상에서의 부하와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제어 디바이스 (20) 는 저장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코스트에 기초하여 저장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다음에, 제어 디바이스 (20) 는 단말 디바이스 (30) 와 선택된 저장 디바이스 (40) 를 접속시키는 액세스 경로 (패스) 를 계산한다 (스텝 S245).
다음에, 제어 디바이스 (20) 는 계산된 액세스 경로 (패스) 상의 노드 (10) 에 설정될 플로우 엔트리를 생성한다 (스텝 S246). 오브젝트의 식별자는 플로우 엔트리의 매칭 룰에 포함되며, 송신되고 수신된 패킷이 어느 오브젝트에 액세스하는지가 명확해진다. 플로우 엔트리들 중의 패킷에 적용되는 프로세싱 (액션) 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싱 룰에 매치하는 패킷이 수신되면, 프로세싱은, 각 오브젝트에 대해 계산된 액세스 경로 (패스) 상의 후속 노드가 접속되는 포트로부터 패킷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싱이 설정된다.
마지막으로, 제어 디바이스 (20) 는 단계 S246에서 생성된 플로우 엔트리를, 계산된 액세스 경로 (패스) 상의 노드 (10) 에 설정한다 (스텝 S247).
(노드들)
도 14는 도 10의 노드 (10) 에 대한 프로세싱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패킷을 수신하면 (단계 S250), 노드 (10) 는 수신된 패킷과 매치하는 매칭 룰을 갖는 플로우 엔트리를, 플로우 엔트리 기록 유닛 (12) 으로부터 검색한다 (스텝 S251).
검색의 결과로서, 수신된 패킷과 매치하는 플로우 엔트리가 발견되면 (단계 S252의 예), 노드 (10) 는 당해 플로우 엔트리에서 정의된 프로세싱 내용을 실행한다 (스텝 S253).
한편, 수신된 패킷에 매치하는 플로우 엔트리가 발견되지 않으면 (스텝 S252의 아니오), 노드 (10) 는 패킷을 제어 디바이스 (20) 로 포워딩하고, 플로우 엔트리 설정을 요청한다 (스텝 S25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액세스가 실제 수행되면, 액세스 경로 (패스) 및 플로우 엔트리가 설정되는 모드에서의 실현이 가능하다. 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저장 디바이스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 디바이스 (30) 에 대해 통상의 파일 액세스와 동일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적절한 저장 디바이스 (40) 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이유는, 제어 디바이스 (20) 가 단말 디바이스 (30) 에 의해 액세스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 그룹 중에서 적절한 선택을 행하고, 경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이다.
(제 3의 예시적인 구체예)
상술한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오브젝트들이 소정의 방법에 의해 저장 장치들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오브젝트들의 배치를 수정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하, 오브젝트들의 배치를 수정하는 기능이 추가된 제 3의 예시적인 구체예에 관해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제 1 및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들에서 이미 설명된 사항은 적절히 생략됨을 주목해야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 2의 예시적인 구체예와 비교하여, 제어 디바이스 (20) 에 히스토리 저장 유닛 (28) 이 추가되고, 또한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 (60) 가 추가된 구성이다.
제어 디바이스 (20) 의 히스토리 저장 유닛 (28) 은 네트워크 (100) 내부의 각 노드 (10) 에서의 패킷 통과 히스토리 및 플로우 엔트리 설정 히스토리를 기록한다. 이 히스토리 정보에 관해, 오픈플로우 기술에서는, 오픈플로우 스위치들에서 각 플로우 엔트리에 대해 각각의 스위치들에 의해 기록된 플로우 통계 정보 (counters) 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 (60) 는 제어 디바이스 (20) 의 히스토리 저장 유닛 (28) 에 유지된 히스토리 정보를 분석하고 오브젝트의 카피를 수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배치 계획 유닛 (61), 및 명령에 따라 저장 디바이스 (40) 중의 오브젝트의 배치 계획 유닛 (61) 으로의 카피를 수행하는 데이터 이동 유닛 (62) 을 구비한다. 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 (60) 는 독립적인 디바이스로서 제공되지만,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 (60) 와 등가의 기능이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또는 제어 디바이스 (20) 에 추가되는 구성도 또한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예시적인 구체예의 동작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데이터 변경 프로세싱이 시작되면, 일정 시각, 일정 시간 간격, 소정 조건의 실현 등의 타이밍에서,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 (60) 는 제어 디바이스 (20) 의 히스토리 저장 유닛 (28) 에 유지된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한다 (도 16의 S301 및 S302).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 (60) 에 의해 획득된 히스토리 정보는 오브젝터의 식별자, 단말 디바이스, 및 실제 액세스된 저장 디바이스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 히스토리로부터, 오브젝트로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적 국소성 (locality) 을 갖는 단말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오브젝트로의 액세스에 대한 시간적 국소성을 갖는 단말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특정 오브젝트로의 액세스 빈도가 임계값보다 더 큰 단말 디바이스 등이다.
다음에,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 (60) 는, 상기 국소성을 갖는 단말 디바이스와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의 오브젝트 배치 테이블 (52) 에 유지된 저장 디바이스 리스트를 참조하고, 네트워크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이웃에 있는 저장 디바이스 (40) 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저장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이웃에 있는 있는지의 여부는, 노드들의 위치 정보와 네트워크 토폴로지로부터 요청되는 홉들의 수, 개별적으로 측정된 응답 시간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 (60) 는 저장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코스트에 기초하여 이웃의 저장 디바이스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단말 디바이스로부터의 홉들의 수가 경로 후보들 중에서 가장 작은 저장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이웃하는 저장 디바이스로서 결정될 수도 있다.
다음에,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 (60) 는, 선택된 저장 디바이스 (40) 에서 배치 수정의 대상인 오브젝트의 카피를 수행한다 (도 16의 S303 내지 S306).
다음에,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 (60) 는 배치 수정의 대상인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에서의 증가의 통지를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로 제공한다 (도 16의 S307).
오브젝트의 배치 변경의 통지 수신을 계기로, 저장 관리 디바이스 (50) 는 오브젝트와 그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 그룹의 정보를 제어 디바이스 (20) 로 지정하고, 액세스 경로 (패스) 의 재계산을 요청한다 (도 16의 S309).
오브젝트와 그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 그룹의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경로 (패스) 의 재계산을 한번 더 수행한 이후, 제어 디바이스 (20) 는 재계산 이후 액세스 경로 (패스) 를 실현하는 플로우 엔트리를 생성하고, 당해 노드 (10) 에 플로우 엔트리의 설정을 수행한다 (도 16의 S310).
도 17은 상술한 액세스 경로 (패스) 의 재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어 디바이스 (20) 는, 배치가 변경된 오브젝트를 액세스 목적지로 하는 기존의 액세스 경로 (패스들) 중에서, 임의의 경로 (패스) 를 선택하고 (스텝 S321), 네트워크 구성 저장 유닛 (26) 에 저장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참조하며, 단말 디바이스 (30) 와 변경 후의 저장 디바이스 그룹의 네트워크 위치를 조사한다 (스텝 S322).
다음에, 제어 디바이스 (20) 는 접속 목적지 저장 디바이스를 변경함으로써 최적화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23 "저장 변경"). 여기에서, 저장 디바이스의 변경이 더 낫다고 판정되는 경우 (단계 S323의 예 "저장 변경"), 제어 디바이스 (20) 는 접속 목적지 저장 디바이스가 변경된 액세스 경로 (패스) 를 계산하고 (스텝 S324), 액세스 경로 (패스) 상의 노드에서 설정될 플로우 엔트리를 계산한다 (스텝 S325). 마지막으로, 제어 디바이스 (20) 는 계산된 플로우 엔트리를 노드 (10) 에 설정한다 (스텝 S326).
한편, 저장 디바이스의 변경이 불필요하다고 판정하는 경우, 제어는 스텝 S320으로 되돌아가서, 수정 대상인 후속 경로 (패스) 가 선택된다.
상기 프로세싱은, 그 구성이 변경된 오브젝트를 액세스 목적지로서 구비하는 액세스 경로 (패스) 에 대해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위치를 고려하여, 최적의 저장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카피할 수 있다. 이 이유는, 데이터 액세스 히스토리가 제어 디바이스에 유지되고, 이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액세스할 때 단말 디바이스 (30) 가 코스트를 고려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오브젝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것을 계기로, 액세스 목적지 저장 디바이스의 수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저장 디바이스 고장의 경우에 액세스 목적지 저장 디바이스의 수정을 수행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는 것이 명확함을 주목해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구체예에서는, 오브젝트가 카피되는 (복제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오브젝트를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도 명확하다. 또한, 소정의 계기에서 오브젝트를 적절히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오브젝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경우,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 (60) 는 파일의 메타 정보의 배치 정책 (도 8 참조) 을 참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파일 "a"가 영역 A에 저장될 수 없는 배치 정책이 결정되면, 오브젝트가 새롭게 카피된 저장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 (30) 에 대해 최적의 네트워크 위치에 있더라도, 당해 저장 디바이스가 영역 A에 있는 경우, 선택이 일어나지 않도록 정렬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파일 "b"가 서비스 "d"에서 사용되고 이 서비스 "d"가 영역 C에서 동작할 수 없도록 배치 정책이 결정되면, 오브젝트가 새롭게 카피된 저장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 (30) 에 대해 최적의 네트워크 위치에 있더라도, 당해 저장 디바이스가 영역 C에 있는 경우, 선택이 일어나지 않도록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3의 실시형태의 구체예에서는,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 (60) 를 통해 오브젝트가 카피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데이터가 직접적으로 카피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예시적인 구체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예시적인 구체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들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변경들, 대체들 및 조정들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예시적인 구체예들에서, 오브젝트 기반의 저장 디바이스들에 대해 적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제어 디바이스 (컨트롤러) 및 포워딩 노드들을 구비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다른 병렬 파일 시스템들에 전반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예시적인 구체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저장 시스템 외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형태들의 정보 시스템들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특허문헌의 각 개시는 참조에 의해 본원에 통합됨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개시의 경계 내에서,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 사상들에 기초하여, 예시적인 구체예들의 변경예들 및 수정예들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 가지 개시된 엘리먼트들의 광범위한 조합 및 선택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포함하는 전체 개시에 따라 그리고 그 기술적 사상들에 따라 당업자가 실현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변화예 및 변경예를 포함하는 것은 명확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양호한 모드들이 요약된다. 먼저,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칭해질 수도 있다.
(제 1의 모드)
상술한 제 1의 양상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참조한다.
제 1의 모드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패킷을 각각 포워딩하는 복수의 노드들; 상기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말 디바이스; 및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되며 패킷 포워딩 경로의 설정을 요청하는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어 디바이스는: 각각의 노드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 1의 유닛;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설정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제 2의 유닛; 및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고, 그리고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 3의 유닛을 포함한다.
(제 2의 모드)
소정의 노드로부터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소정의 노드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로부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 1의 모드에 따른 통신 시스템.
(제 3의 모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에 관련되며,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약 조건을 나타내는 정책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정책 정보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초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 1 또는 제 2의 모드에 따른 통신 시스템.
(제 4의 모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의 접속을 위한 후보들인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위치들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초하여 접속될 서버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결정된 서버 디바이스 사이의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3의 모드들 중 어느 한 모드에 따른 통신 시스템.
(제 5의 모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 각각의 사이에서의 액세스에 필요한 코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서버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제 4의 모드에 따른 통신 시스템.
(제 6의 모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후보들인 상기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이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가 변화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서버 디바이스를 재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재결정된 서버 디바이스로의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 4 또는 제 5의 모드에 따른 통신 시스템.
(제 7의 모드)
복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을 더 포함하고,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맵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와 상기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저장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저장 디바이스로의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내지 제 3의 모드들 중 하나의 모드에 따른 통신 시스템.
(제 8의 모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저장 디바이스들로의 액세스에 관련된 제약 조건을 저장하는 수단; 상기 맵 정보,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저장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저장 디바이스로의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 7의 모드에 따른 통신 시스템.
(제 9의 모드)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소정의 데이터로의 액세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제 7 또는 제 8의 모드에 따른 통신 시스템.
(제 10의 모드)
소정의 데이터를 새롭게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소정의 데이터로의 액세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저장 디바이스에 복제하는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제 7 또는 제 8의 모드에 따른 통신 시스템.
(제 11의 모드)
상기 데이터 변경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사이에서의 액세스에 필요한 코스트에 기초하여 저장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제 9 또는 제 10의 모드에 따른 통신 시스템.
(제 12의 모드)
상술한 제 2의 양태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를 참조한다.
제 12의 모드는 패킷을 각각 포워딩하는 복수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패킷 포워딩 경로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로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각각의 노드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 1의 유닛;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제 2의 유닛;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 3의 유닛을 포함한다.
(제 13의 모드)
소정의 노드로부터 상기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는 상기 소정의 노드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식별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를 사용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가 제어되는, 제 12의 모드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
(제 14의 모드)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에 관련되며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약 조건을 나타내는 정책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는 상기 정책 정보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제 12 또는 제 13의 모드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
(제 15의 모드)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의 접속을 위한 후보들인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와 상기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접속될 서버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결정된 서버 디바이스 사이의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 12 내지 제 14 모드들 중 어느 한 모드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
(제 16의 모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서버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 각각과 상기 단말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액세스에 필요한 코스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 15의 모드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
(제 17의 모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후보들인 상기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이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가 변화되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서버 디바이스가 재결정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재결정된 서버 디바이스로의 패킷 포워딩 경로가 제어되는, 제 15 또는 제 16의 모드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
(제 18의 모드)
상기 복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맵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와 상기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저장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저장 디바이스로의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제 12 내지 제 14의 모드들 중 하나의 모드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
(제 19의 모드)
상기 저장 디바이스들로의 액세스에 관련된 제약 조건을 저장하는 수단; 상기 맵 정보,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저장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저장 디바이스로의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 18의 모드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
(제 20의 모드)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소정의 데이터로의 액세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데이터 배치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제 18 또는 제 19의 모드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
(제 21의 모드)
소정의 데이터를 새롭게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소정의 데이터로의 액세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저장 디바이스에 복제하는 데이터 배치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제 18 또는 제 19의 모드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
(제 22의 모드)
상기 데이터 변경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상기 단말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액세스에 필요한 코스트에 기초하여 저장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제 20 또는 제 21의 모드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
(제 23의 모드)
상술한 제 3의 양상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참조한다.
(제 24의 모드)
상술한 제 4의 양태에 따른 프로그램을 참조한다.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에 기초한 원출원의 전체 개시는 후출원 (즉, 본원의 국제출원) 에 진입한 추가되거나 변경된 개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청구된 우선권주장일에 기초하여 이해되어야 함을 주목해야 한다.
10, 10A 내지 10D: 노드
11: 패킷 프로세싱 유닛
12: 플로우 엔트리 저장 유닛
20: 제어 디바이스
21: 노드 위치 정보 기록 유닛
22: 패스 결정 유닛
23: 패스 설정 유닛
24: 통신 유닛
25; 맵 정보 기록 유닛
26: 네트워크 구성 저장 유닛
27: 접속 목적지 결정 유닛
28: 히스토리 저장 유닛
30: 단말 디바이스
40: 저장 디바이스
40B 내지 40D: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
50: 저장 관리 디바이스
51: 파일 메타 정보 관리 유닛
52: 오브젝트 배치 관리 테이블
60: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
61: 배치 계획 유닛
62: 데이터 이동 유닛
100: 네트워크

Claims (24)

  1. 통신 시스템으로서,
    패킷을 각각 포워딩하는 복수의 노드들;
    상기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접속된 노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말 디바이스; 및
    상기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송되며 패킷 포워딩 경로의 설정을 요청하는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각각의 노드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접속된 노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소정의 노드로부터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소정의 노드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에 관련되며,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약 조건을 나타내는 정책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정책 정보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초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후보들인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위치들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초하여 접속될 서버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결정된 서버 디바이스 사이의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 각각의 사이에서의 액세스에 필요한 코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서버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통신 시스템.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후보들인 상기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이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가 변화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서버 디바이스를 재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재결정된 서버 디바이스로의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맵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와 상기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저장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저장 디바이스로의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저장 디바이스들로의 액세스에 관련된 제약 조건을 저장하는 수단;
    상기 맵 정보,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제약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저장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저장 디바이스로의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소정의 데이터로의 액세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소정의 데이터로의 액세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새롭게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저장 디바이스에 복제하는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치 변경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사이에서의 액세스에 필요한 코스트에 기초하여 저장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통신 시스템.
  12. 패킷을 각각 포워딩하는 복수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패킷 포워딩 경로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각각의 노드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에 대한 상기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소정의 노드로부터 상기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는 상기 소정의 노드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식별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를 사용하여 패킷 포워딩 경로가 제어되는, 제어 디바이스.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에 관련되며,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약 조건을 나타내는 정책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는 상기 정책 정보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제어 디바이스.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후보들인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와 상기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접속될 서버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결정된 서버 디바이스 사이의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서버 디바이스는 상기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 각각과 상기 단말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액세스에 필요한 코스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어 디바이스.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후보들인 상기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들이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가 변화되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서버 디바이스가 재결정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재결정된 서버 디바이스로의 패킷 포워딩 경로가 제어되는, 제어 디바이스.
  18. 제 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맵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와 상기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저장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저장 디바이스로의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디바이스들로의 액세스에 관련된 제약 조건을 저장하는 수단;
    상기 맵 정보,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 및 상기 제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될 저장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저장 디바이스로의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소정의 데이터로의 액세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데이터 배치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소정의 데이터로의 액세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새롭게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저장 디바이스에 복제하는 데이터 배치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
  22. 제 20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치 변경 수단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의 각각의 사이에서의 액세스에 필요한 코스트에 기초하여 저장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제어 디바이스.
  23. 패킷을 각각 포워딩하는 복수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부터 패킷 포워딩 경로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에 대한 상기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참조하는 단계;
    참조된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사용하여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에 의한 통신 방법.
  24. 패킷을 각각 포워딩하는 복수의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로부터 패킷 포워딩 경로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프로세스;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노드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참조하는 프로세스;
    참조된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식별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위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패킷 포워딩 경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제어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37017224A 2010-12-02 2011-09-09 통신 시스템, 제어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487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9164 2010-12-02
JP2010269164 2010-12-02
PCT/JP2011/005084 WO2012073406A1 (en) 2010-12-02 2011-09-09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193A KR20130109193A (ko) 2013-10-07
KR101487118B1 true KR101487118B1 (ko) 2015-01-28

Family

ID=4617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224A KR101487118B1 (ko) 2010-12-02 2011-09-09 통신 시스템, 제어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64862B2 (ko)
EP (1) EP2647165A4 (ko)
JP (2) JP5804061B2 (ko)
KR (1) KR101487118B1 (ko)
CN (1) CN103250449B (ko)
AU (1) AU2011336056B2 (ko)
BR (1) BR112013013630A2 (ko)
RU (1) RU2560821C2 (ko)
WO (1) WO2012073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0146B2 (ja) * 2012-12-26 2016-11-02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40134943A (ko) * 2013-05-15 2014-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망에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달 장치 및 방법
CN105264841B (zh) * 2013-06-26 2018-03-13 华为技术有限公司 报文转发系统、设备和方法
JPWO2015022908A1 (ja) * 2013-08-12 2017-03-02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トレージ提供システム、ストレージ選択装置、ストレージ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823428B (zh) * 2013-08-31 2019-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存储系统中操作请求处理方法和装置
JP5866083B1 (ja) 2013-12-05 2016-02-17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ソフトウェア定義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制御方法、制御装置およびプロセッサ
US20160352815A1 (en) * 2014-04-28 2016-12-0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Data Distribution Based on Network Information
US9491031B2 (en) * 2014-05-06 2016-11-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devices for collecting information and shar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session flows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and servers
CN104135539B (zh) 2014-08-15 2018-03-1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存储方法、sdn控制器和分布式网络存储系统
US10097979B2 (en) * 2014-11-24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by reference for an over-the-top emergency call
JP6554042B2 (ja) * 2016-02-17 2019-07-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データ再配置システム、データ再配置装置、及びデータ再配置方法
JP6677052B2 (ja) * 2016-03-31 2020-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管理装置、通信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47660B2 (ja) * 2018-08-08 2022-04-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知装置および通知方法
US11935350B2 (en) 2019-04-02 2024-03-19 Rai Strategic Holdings, Inc. Functional control and age verification of electronic devices through speaker communication
US11451627B2 (en) * 2020-04-03 2022-09-20 Open Text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management with intelligent data store access across distributed stor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285A (ja) * 1997-07-18 1999-02-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ルーティング方法及びサービスマネージャ
JP2003534750A (ja) 2000-05-22 2003-11-18 インターナップ ネットワーク サービセ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ンテンツ要求をネットワーク性能に基づいてコンテンツサーバへ導く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90032193A (ko) * 2007-09-27 2009-04-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정보 기반 라우팅 방법 및 시스템
WO2010103909A1 (ja) 2009-03-09 2010-09-16 日本電気株式会社 OpenFlow通信システムおよびOpenFlow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5867B2 (ja) 2000-01-14 2010-05-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EP1117231A3 (en) 2000-01-14 2004-03-2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I20011075A0 (fi) * 2001-05-22 2001-05-22 Keijo Laehetkangas Maantieteellisten paikkatiedon hyödyntäminen internet osoitteissa
CA2410172A1 (en) * 2001-10-29 2003-04-29 Jose Alejandro Rueda Content routing architecture for enhanced internet services
CN100375470C (zh) * 2003-11-18 2008-03-12 株式会社东芝 设置通信路径的设备和方法
US8031720B2 (en) * 2004-02-18 2011-10-04 Ntt Docomo, Inc. Packet transfer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packet transfer route optimization method
WO2007077958A1 (en) 2005-12-26 2007-07-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bile network managing apparatus and mobile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requests
US20080215681A1 (en) * 2006-05-01 2008-09-04 Thomas Darcie Network architecture for multi-user collaboration and data-stream mixing and method thereof
CN100466856C (zh) * 2007-01-12 2009-03-04 华为技术有限公司 网际协议承载语音用户接入方法、定位装置和网络设备
US20080228926A1 (en) * 2007-03-13 2008-09-18 Asher Shiratzky Methods, media, and systems for balanc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erver load
JP5174401B2 (ja) * 2007-08-27 2013-04-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EP2193630B1 (en) 2007-09-26 2015-08-26 Nicira, Inc. Network operating system for managing and securing networks
US8238314B2 (en) 2007-09-27 2012-08-07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istributed forwarding plane for a mobility home agent
WO2010090182A1 (ja) 2009-02-03 2010-08-12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スイッチシステ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スイッチ方法
CN102365846B (zh) 2009-03-26 2014-07-02 日本电气株式会社 路由设置服务器、路由设置方法和路由设置程序
JP5672235B2 (ja) * 2009-10-19 2015-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フロー制御装置、フローテーブルの更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937438B1 (en) * 2009-12-07 2011-05-03 Amazon Technologies, Inc. Using virtual networking devices to manage external connections
US8224971B1 (en) * 2009-12-28 2012-07-17 Amazon Technologies, Inc. Using virtual networking devices and routing information to initiate external actions
US8699484B2 (en) * 2010-05-24 2014-04-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to route packets in a network
US8619546B2 (en) * 2010-08-17 2013-12-31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coping with link failures in central control plane architectures
US9124515B2 (en) * 2010-11-22 2015-09-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phant flow detection in a compu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285A (ja) * 1997-07-18 1999-02-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ルーティング方法及びサービスマネージャ
JP2003534750A (ja) 2000-05-22 2003-11-18 インターナップ ネットワーク サービセ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ンテンツ要求をネットワーク性能に基づいてコンテンツサーバへ導く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90032193A (ko) * 2007-09-27 2009-04-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정보 기반 라우팅 방법 및 시스템
WO2010103909A1 (ja) 2009-03-09 2010-09-16 日本電気株式会社 OpenFlow通信システムおよびOpenFlow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7165A1 (en) 2013-10-09
WO2012073406A1 (en) 2012-06-07
RU2013129987A (ru) 2015-01-10
JP5804061B2 (ja) 2015-11-04
AU2011336056A1 (en) 2013-06-27
US10164862B2 (en) 2018-12-25
CN103250449B (zh) 2016-04-20
KR20130109193A (ko) 2013-10-07
JP2016001922A (ja) 2016-01-07
AU2011336056B2 (en) 2016-04-14
EP2647165A4 (en) 2016-10-19
JP2014504044A (ja) 2014-02-13
BR112013013630A2 (pt) 2016-09-13
RU2560821C2 (ru) 2015-08-20
JP6112165B2 (ja) 2017-04-12
CN103250449A (zh) 2013-08-14
US20130242879A1 (en)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118B1 (ko) 통신 시스템, 제어 디바이스,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US11134012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ontroller,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forwarding path of packet flow
JP6137384B2 (ja) 通信システム、転送ノード、経路管理サーバおよび通信方法
EP2985971B1 (en) Reputation-based instruction processing over a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JP4541745B2 (ja) ホームエージェント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JP5800019B2 (ja) 通信経路制御システム、経路制御装置、通信経路制御方法および経路制御プログラム
US20130176861A1 (en) Control apparatus, a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munication program
CN107615710B (zh) Sdn交换机中的直接回复动作
CN106302638B (zh) 一种数据管理方法、转发设备及系统
US20140317271A1 (en) Method and node apparatus for collecting information in content network based on information-centric networking
US20150236867A1 (en) Network, network node, distribution method and network node program
CN102740392B (zh) 一种机会网络下基于分层地理标签的路由方法
KR101992869B1 (ko) Sdn환경에서 멀티 프로토콜 라벨 스위칭을 이용한 서비스별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2165335A (ja)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通信方法
KR20150040113A (ko) 식별자 위치지시자 매핑 서비스의 라우팅 제어 방법
WO20091511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in wireless network
JP6583272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724427B2 (ja) コントローラ、通信スイッチ、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01215B2 (ja) 中継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17834437A (zh) 基于互联网路由配置的量化属性验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