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517B1 -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가스 배출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가스 배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517B1
KR101486517B1 KR20130105080A KR20130105080A KR101486517B1 KR 101486517 B1 KR101486517 B1 KR 101486517B1 KR 20130105080 A KR20130105080 A KR 20130105080A KR 20130105080 A KR20130105080 A KR 20130105080A KR 101486517 B1 KR101486517 B1 KR 10148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residual gas
stem
dischar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20130105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517B1/ko
Priority to JP2014177888A priority patent/JP5872006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17C2260/042Reducing risk of expl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는 마운팅 컵 중앙의 스템과 결합된 누름버튼을 보호하고,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에어로졸 용기의 시밍부에 결합되는 용기 캡의 내부에 마련되어 에어로졸 용기에 잔류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용기 캡의 내측상면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용기 캡의 내측벽면과 평행하게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템과 상기 내측상면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캡을 시밍부에 결합할 때 상기 스템을 눌러 잔류가스를 배출하도록 된 소정길이의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타단 영역이 상기 내측상면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리브들에 의해 상기 내측상면과 일체로 되도록 상기 용기 캡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배출공의 주변 영역에는, 상기 배출관을 한쪽으로 기울인 후 일단부를 상기 내측상면 쪽으로 눌러 상기 용기 캡으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내측상면을 향하는 상기 배출관의 타단 영역을 받쳐 상기 리브들의 파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받침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관을 용기 캡으로부터 분리한 후 스템에 끼워 용기 캡을 용기의 시밍부에 결합하는 동작만으로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 가스를 안전하고 완전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배출관과 용기 캡의 내측상면 사이에 받침돌기가 돌출 형성됨으로써,배출관의 일단부를 누르게 되면 받침돌기가 배출관의 타단 영역을 지랫대의 받침대와 같이 받치게 되어 각 리브들의 파단이 쉽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배출관을 용기 캡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가스 배출방법{REMAINING GAS EXHAUST APPARATUS OF AEROSOL CAN AND REMAINING GAS EXHAUST METHOD USING THESAME}
본 발명은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가스 배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잔류가스 배출 장치의 사용이 간편하며, 보관시 에어졸의 누름버튼과 배출장치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어 누름버튼 또는 에어졸 용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가스 배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용기(Aerosol cans)는 분사할 내용물(유체 또는 가스)을 용기 내부에 충전하여 분사가스(추진제 또는 추진가스)와 함께 밀봉시켜둔 상태에서 분사가스 또는 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용기를 말한다. 이 때, 분사가스로는 통상 부탄, 프로판, DME, 프레온,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 및 압축공기 등의 가스가 사용되며, 이러한 에어로졸 용기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스프레이 모기약, 헤어 스프레이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스프레이 모기약, 헤어 스프레이 등의 에어로졸 용기는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후에 버려지고 있는데, 이 경우에 잔류가스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고온에 의해 폭발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 사용한 빈 에어로졸 용기일지라도 반드시 구멍을 뚫어 용기 내부의 잔류가스를 모두 배출시킨 후에 버리도록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도구를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 완료시마다 분사가스를 모두 용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용기에 구멍을 뚫어 버린다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므로, 일반 소비자들의 실천을 기대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에 착안하여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2049호(공고일 : 2006.11.29)이 개시되었다. 이 에어로졸 캔의 잔류가스 안전 배출장치는,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마운팅 컵이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 컵의 상부에 분사캡이 결합되며, 상기 마운팅 컵의 체결부에는 밸브 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분사캡의 원통형 내측 가이드 벽 내측에는 상기 밸브 하우징의 스템을 개폐시키기 위한 분사버튼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에 있어서, 상기 분사버튼의 상면에는 그 분사버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사버튼의 주벽에는 돌기를 양측으로 형성하며, 상기 분사캡의 내측 가이드 벽에는 상기 분사버튼의 돌기가 접촉 운동하는 경사캠면을 상부에서 하부까지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각각 형성하고, 상기 양측 경사캠면의 하부에는 상기 분사버튼의 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을 각각 형성하여, 에어로졸 캔 폐기 시 상기 용기본체 내의 잔류 가스를 소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분사버튼을 하부의 밸브 개방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에어로졸 캔을 사용한 후 폐기할 때에 분사버튼을 주위에 상존하여 쉽게 구할 수 있는 동전 등을 이용하여 가볍게 회전시킴으로써 하측으로 이동시켜 내부의 잔류 가스를 안전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에어로졸 캔의 잔류 가스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분사버튼이나 마운팅 컵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과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에어로졸 캔이나 캡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동전과 같은 별개의 물건을 이용하여 잔류가스를 배출해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던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2049호(공고일 : 2006.11.29)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배출을 위한 배출관을 용기 캡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용기 캡으로부터 배출관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로졸 용기에 잔류된 가스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마운팅 컵 중앙의 스템과 결합된 누름버튼을 보호하고,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에어로졸 용기의 시밍부에 결합되는 용기 캡의 내부에 마련되어 에어로졸 용기에 잔류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용기 캡의 내측상면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용기 캡의 내측벽면과 평행하게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템과 상기 내측상면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캡을 시밍부에 결합할 때 상기 스템을 눌러 잔류가스를 배출하도록 된 소정길이의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타단 영역이 상기 내측상면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리브들에 의해 상기 내측상면과 일체로 되도록 상기 용기 캡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내측상면에는, 상기 배출관을 한쪽으로 기울인 후 일단부를 상기 내측상면 쪽으로 눌러 상기 용기 캡으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내측상면을 향하는 상기 배출관의 타단 영역을 받쳐 상기 리브들의 파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받침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배출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스템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끼움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에는,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가 상기 내측상면에 밀착될 때, 상기 스템으로부터 분사되는 잔류가스가 상기 배출관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용기 캡의 내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돌기는, 상기 배출공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상면 중앙을 향하는 영역에 형성되되, 반구형상, 원호형상, "┃"형상, "〈"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있다.
상기 받침돌기는, 상기 배출관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배출관의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돌기는, 상기 배출공 주변 영역에 형성되거나, 상기 내측상면의 중앙과 상기 배출공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 쪽으로 치우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를 배출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용기 캡의 내측상면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배출관을 상기 용기 캡으로부터 분리하되, 상기 배출관의 일단부를 상기 내측상면 방향으로 눌러 상기 배출관이 상기 받침돌기에 받쳐져 상기 리브들이 파단 되도록 하여 상기 용기 캡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용기 캡으로부터 분리된 배출관을 상기 스템의 단부와 끼움 결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출관이 상기 스템에 결합되면, 상기 용기 캡을 시밍부에 결합시켜 상기 용기 캡의 내측상면으로 상기 배출관을 가압하고, 상기 배출관에 의해 눌려진 스템으로부터 잔류가스가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받침돌기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배출관을 눕혀 상기 안착홈에 안착시켜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상면 방향으로 눌러 상기 각 리브들을 파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배출관의 일단부에 형성된 끼움 결합부에 상기 스템의 단부를 끼워 결합하거나,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에 상기 스템의 단부를 끼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관을 용기 캡으로부터 분리한 후 스템에 끼워 용기 캡을 용기의 시밍부에 결합하는 동작만으로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 가스를 안전하고 완전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출관과 용기 캡의 내측상면 사이에 받침돌기가 돌출 형성됨으로써,배출관의 일단부를 내측상면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받침돌기가 배출관의 타단 영역을 지랫대의 받침대와 같이 받치게 되어 각 리브들의 파단이 쉽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배출관을 용기 캡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출장치는 구조가 단순하여 사용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3b,3c,3d,3e는 도 2에 도시된 받침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3f는 도 2에 도시된 받침돌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받침돌기에 배출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4a,4b,4c,4d,4e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를 이용하여 에어졸 용기에 잔류된 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배출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는, 마운팅 컵(12)의 중앙으로 돌출된 스템(14)과 결합된 누름버튼(18)을 보호하고,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에어로졸 용기(10)의 시밍부(16)에 결합되는 용기 캡(20)의 내부에 마련되고, 선택적으로 용기 캡(20)으로부터 분리한 후 스템(14)에 결합하여 에어로졸 용기(10)에 잔류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는 용기 캡(20)의 내측상면(22)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용기 캡(20)의 내측벽면(24)과 평행하게 하부로 돌출 형성된 중공형의 배출관(30)과, 내측상면(22)의 배출공(26) 주변 영역(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배출관(30)의 분리시 지렛대 받침 역할을 하기 위한 받침돌기(29)를 포함한다.
받침돌기(29)는, 도 1 및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26)의 가장자리에서 도 1을 기준으로 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반구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받침돌기(29)는 배출공(26)와 내측상면(22)의 중앙 영역 사이에 형성되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배출공(26)과 내측상면(22)의 중앙을 연장하는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대략 45°가량 벌어지는 부채꼴 형상의 범위 내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돌기(29)의 위치를 배출공(26)의 주변 영역(가장자리)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내측상면(22)의 중앙(C)과 배출공(26)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받침돌기(29)는 배출공(26) 쪽으로 치우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받침돌기(29)는 배출관(30)이 눕혀지는 방향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받침돌기(29)가 배출관(30)의 지렛대 받침 역할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의 내측상면(22)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내측상면(22)의 중앙(C)과 배출공(26)을 잇는 가상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 가상의 연장선을 벗어난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받침돌기(29)는 도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26)과 내측상면(22)의 중앙 사이에 형성되되, 배출공(26)을 감싸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받침돌기(29)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3b,3c,3d,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상, "┃"형상, "〈"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위에서 언급한 형상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배출관(30)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장치는, 받침돌기(29)에 배출관(30)의 일부가 안착되어 좌,우 이동이나 유격이 없도록 하기 위한 안착홈(29A)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안착홈(29A)은 배출관(30)이 눕혀진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용기 캡(20)과 연결하는 리브(28)들로부터 배출관(30)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형상, "〔"형상,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받침돌기(29)는 배출공(26)과 내측상면(22)의 중앙 사이 어느 곳에나 형성될 수 있으나,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26)에 근접한 영역, 바람직하게는 배출공(26)의 가장자리에 형성한다.
배출관(3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그 길이는 다음의 조건으로 결정된다. 즉,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30)에서 끼움 결합부(32)를 제외한 길이(L1)는 스템(14)의 단부와 용기 캡(20)의 내측상면(22) 간의 거리(L2)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용기 캡(20)을 시밍부(16)에 결합하였을 때, 배출관(30)이 용기 캡(20)의 누름(시밍부에 결합되었을 때)에 의해 스템(14)을 가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끼움 결합부(32)의 길이(L3)는 스템(14)을 충분히 감싸 주어 용기 캡(20)을 시밍부(16)에 결합할 때 중심을 잡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즉, 끼움 결합부(32)의 길이 (L3)는 누름 버튼이 결합되는 스템(14)의 상부 영역 보다는 길고 마운팅 컵(12)에서 돌출되어 있는 스템(14)의 최대 스트로크시 남아있는 길이 보다는 짧게 형성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끼움 결합부(32)의 길이(L3)는 누름 버튼이 결합되는 스템(14)의 상부 영역 보다는 길고 마운팅 컵(12)에서 돌출되어 있는 스템(14)의 최대 스트로크시 남아있는 길이 보다는 짧게 형성 되므로, 끼움 결합부(32)의 내부에 스템(14)의 상부 영역이 안정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배출관(30)의 일단부에는 스템(14)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끼움 결합부(32)가 형성된다. 이 끼움 결합부(32)는 스템(14)의 외경이 자연스럽게 끼워질 수 있는 내경 사이즈로 형성되며, 입구 가장자리에는 스템(14)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확장 유도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 결합부(32)의 내측에는 스템(14)의 단부에 접촉되어 스템(14)이 더 이상 끼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템 걸림턱(32A)이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 결합부(32)의 길이(L3) 또는 깊이는 스템(14)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길이(L3) 또는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배출관(30)의 타단부에는 배출관(30)의 타단부가 내측상면(22)에 밀착될 때, 스템(14)으로부터 분사되는 잔류가스가 배출관(30)의 내부를 통하여 용기 캡(20)의 내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홈(34)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 배출홈(34)은 타단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타단면이 내측상면(22)에 밀착되더라도 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30)의 타탄부에도 스템(14)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배출관(30)의 양단부를 선택적으로 스템(14)과 결합시켜 잔류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배출관(30)의 끼움 결합부(32) 반대쪽 내경에는 스템 걸림리브(31)들이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스템이 삽입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까지)로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 스템 걸림리브(31)들에 의해 스템(14)이 더 이상 끼워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끼움 결합부(32)의 입구에는 배출관(30)의 타단부가 스템(14)에 결합되었을 때 내측상면(22)과의 사이로 잔류가스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보조 배출홈(39)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배출관(30)은, 용기 캡(2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즉, 배출관(30)은 배출홈(34)이 형성된 타단 영역이 내측상면(22)에 형성된 배출공(26)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리브(28)들에 의해 내측상면(22)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출관(30)이 용기 캡(2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므로, 배출관(30)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용기(10)에 잔류된 가스를 안전하고 완전하게 배출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a,4b,4c,4d,4e를 토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이 완료된 에어로졸 용기(10)에 잔류된 가스를 안전하게 배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용기(10)에 용기 캡(20)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스템(14)에 누름버튼(18)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용기(10)로부터 용기 캡(20)을 분리하고, 스템(14)으로부터 누름버튼(18)을 분리한다.
이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캡(20)의 내측상면(22) 일측(중앙을 제외한 가장장리 영역)으로 치우쳐 일체로 형성된 배출관(30)을 용기 캡(20)의 내측상면(22)으로부터 분리하되, 손가락을 배출관(30)과 내측벽면(24) 사이로 삽입한 후 내측상면(22)의 중앙 영역(C) 방향으로 누른다. 이 과정으로, 리브(28) 중에서 내측벽면(24) 쪽의 리브(28)들이 먼저 파단된다.
그리고, 배출관(30)의 내측(내측상면의 중앙 영역을 향하는 영역) 외주면이 받침돌기(29)에 닿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출관(30)을 내측상면(22)의 중앙 영역(C) 방향으로 더욱 누르게 되면, 배출관(30)의 타단 영역이 받침돌기(29)를 기준으로 용기 캡(20)의 입구 방향으로 들리고, 일단부는 중앙 영역(C) 방향 또는 내측상면(22) 방향으로 이동하는 지렛대 운동을 하게 된다. 즉, 배출관(30)을 내측상면(22) 방향으로 누를 때, 받침돌기(29)가 지렛대 받침 역할을 하게 되어 손가락으로 배출관(30)의 일단부를 누름 동작으로 배출관(30)의 타단 영역에 연결된 리브(28)가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다.
따라서, 리브(28)들에 의해 용기 캡(20)에 일체로 성형된 배출관(30)의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받침돌기(29)가 배출공(26)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관(30)이 지렛대 운동을 하게 되고, 받침돌기(29)와 배출관(30)의 타단 영역과의 거리보다 받침돌기(29)와 일단부와의 거리가 더 멀게 되어, 배출관(30)의 일단부를 적은 힘으로 누르더라도 타단 영역과 배출공(26)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리브(28)들은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으로, 배출관(30)과 배출공(26)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리브(28)들이 모두 파단되어 배출관(30)이 용기 캡(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관(30)이 배출공(26)에서 분리되면, 배출공(26)은 개구된 상태가 된다.
즉, 배출관(30)이 배출공(26)의 내경에 위치한 상태에서 각 리브(28)들에 의해 배출공(26)의 내경과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배출관(30)을 분리하게 되면, 배출공(26)이 완전히 개구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캡(20)으로부터 분리된 배출관(30)의 끼움 결합부(32)를 스템(14)의 단부와 끼움 한다.
그리고, 배출관(30)이 스템(14)에 결합되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캡(20)을 시밍부(16)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배출관(30)이 스템(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 캡(20)을 시밍부(16)에 결합하게 되면, 배출관(30)의 단부가 내측상면(22)에 밀착된 상태가 됨과 동시에, 내측상면(22)이 배출관(30)을 스템(14)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스템(14)은 눌리면서 그 내부의 밸브가 개방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내부의 잔류 가스가 스템(14)을 통하여 배출된다.
스템(14)으로부터 분출되는 잔류 가스는 배출관(30)의 내부를 통하여 이동한 후 배출홈(34)으로 빠져나와 용기 캡(20) 내부로 배출된다. 또한, 용기 캡(20) 내부로 배출된 잔류 가스는 배출관(30)이 제거된 배출공(26)을 통하여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출관(30)이 용기 캡(2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므로, 배출관(30)의 사용 전에는 분실의 염려가 없고, 이러한 배출관(30)을 사용시에는 용기 캡(20)에서 분리하여 스템(14)에 끼운 후 용기 캡(20)을 시밍부(16)에 결합하는 동작만으로 에어로졸 용기(10) 내의 잔류가스가 배출될 수 있으므로, 잔류가스의 배출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30)을 용기 캡(20)으로부터 분리한 후, 배출관(30)의 타탄부 내경에 스템(14)을 끼움 결합한다. 이때, 스템(14)의 단부는 배출관(30)의 내부에 형성된 스템 걸림리브(31)에 간섭되어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배출관(30)의 타단부에 스템(14)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 캡(20)을 시밍부(16)에 결합하게 되면, 용기 캡(20)의 내측상면(22)이 배출관(30)을 가압하게 되므로, 스템(14)이 눌려 용기(10) 내부의 잔류가스가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잔류가스는 보조 배출홈(39)을 통하여 배출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에어로졸 용기 12 : 마운팅 컵
14 : 스템 16 : 시밍부
18 : 누름버튼 20 : 용기 캡
22 : 내측상면 24 : 내측벽면
26 : 배출공 28 : 리브
29 : 받침돌기 29A : 안착홈
30 : 배출관 31 : 스템 걸림리브
32 : 끼움 결합부 32A : 스템 걸림턱
34 : 배출홈 39 : 보조 배출홈

Claims (9)

  1. 마운팅 컵 중앙의 스템과 결합된 누름버튼을 보호하고,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에어로졸 용기의 시밍부에 결합되는 용기 캡의 내부에 마련되어 에어로졸 용기에 잔류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용기 캡의 내측상면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용기 캡의 내측벽면과 평행하게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템과 상기 내측상면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캡을 시밍부에 결합할 때 상기 스템을 눌러 잔류가스를 배출하도록 된 소정길이의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타단 영역이 상기 내측상면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리브들에 의해 상기 내측상면과 일체로 되도록 상기 용기 캡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내측상면에는, 상기 배출관을 한쪽으로 기울인 후 일단부를 상기 내측상면 쪽으로 눌러 상기 용기 캡으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내측상면을 향하는 상기 배출관의 타단 영역을 받쳐 상기 리브들의 파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받침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스템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끼움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에는,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가 상기 내측상면에 밀착될 때, 상기 스템으로부터 분사되는 잔류가스가 상기 배출관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용기 캡의 내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기는,
    상기 배출공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상면 중앙을 향하는 영역에 형성되되, 반구형상, 원호형상, "┃"형상, "〈"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기는,
    상기 배출관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배출관의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기는,
    상기 배출공 주변 영역에 형성되거나, 상기 내측상면의 중앙과 상기 배출공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 쪽으로 치우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를 배출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용기 캡의 내측상면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배출관을 상기 용기 캡으로부터 분리하되, 상기 배출관의 일단부를 상기 내측상면 방향으로 눌러 상기 배출관이 상기 받침돌기에 받쳐져 상기 리브들이 파단 되도록 하여 상기 용기 캡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용기 캡으로부터 분리된 배출관을 상기 스템의 단부와 끼움 결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출관이 상기 스템에 결합되면, 상기 용기 캡을 시밍부에 결합시켜 상기 용기 캡의 내측상면으로 상기 배출관을 가압하고, 상기 배출관에 의해 눌려진 스템으로부터 잔류가스가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받침돌기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배출관을 눕혀 상기 안착홈에 안착시켜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상면 방향으로 눌러 상기 각 리브들을 파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배출관의 일단부에 형성된 끼움 결합부에 상기 스템의 단부를 끼워 결합하거나,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에 상기 스템의 단부를 끼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방법.
KR20130105080A 2013-09-02 2013-09-02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가스 배출방법 KR10148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080A KR101486517B1 (ko) 2013-09-02 2013-09-02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가스 배출방법
JP2014177888A JP5872006B2 (ja) 2013-09-02 2014-09-02 エアロゾル容器の残留ガス排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残留ガス排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080A KR101486517B1 (ko) 2013-09-02 2013-09-02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가스 배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517B1 true KR101486517B1 (ko) 2015-01-27

Family

ID=5259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5080A KR101486517B1 (ko) 2013-09-02 2013-09-02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가스 배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72006B2 (ko)
KR (1) KR1014865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86U (ja) * 1993-08-20 1995-03-14 株式会社三谷バルブ エアゾ−ル容器用キャップ
JPH09193980A (ja) * 1996-01-18 1997-07-29 Yasuhide Ikuta ガスボンベ及びスプレー缶の残存ガス除去具
JP2001031158A (ja) 1999-05-14 2001-02-06 Daizo:Kk エアゾール製品
JP2001146281A (ja) 1999-11-19 2001-05-29 Suriiaroozu:Kk 噴射缶のキャ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86U (ja) * 1993-08-20 1995-03-14 株式会社三谷バルブ エアゾ−ル容器用キャップ
JPH09193980A (ja) * 1996-01-18 1997-07-29 Yasuhide Ikuta ガスボンベ及びスプレー缶の残存ガス除去具
JP2001031158A (ja) 1999-05-14 2001-02-06 Daizo:Kk エアゾール製品
JP2001146281A (ja) 1999-11-19 2001-05-29 Suriiaroozu:Kk 噴射缶のキャッ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72006B2 (ja) 2016-03-01
JP2015048151A (ja)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217B2 (en) Spuit-type container cap for automatic filling and fixed-amount dispensing
MY140427A (en) Head cap for aerosol type atomizer
JP2007000649A (ja) 流体状冷媒用のディスペンス装置及びディスペンシングユニット
US9840362B2 (en) Cap for gas vessel having separable gas exhaust unit
JP2010273920A (ja) 吐出容器
KR101486517B1 (ko)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가스 배출방법
KR101600550B1 (ko) 화장품용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JP2007099284A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キャップ及びエアゾール噴射装置
KR101427255B1 (ko) 용기 마개에 구비되는 구조물용 분리장치
JPH11278563A (ja) エアゾール容器
JP6082232B2 (ja) 吐出装置および吐出製品
KR101322480B1 (ko) 에어로졸 용기의 잔류가스 배출방법 및 그 장치
KR200454617Y1 (ko) 잔여가스 배출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KR200484262Y1 (ko) 에어 스프레이 안전 캡
JP5213617B2 (ja) エアゾール容器
JP4901328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噴射装置
KR101619992B1 (ko) 라이터 가스용 용기의 캡에 구비되는 가스 배출장치
WO2008001780A1 (fr) Capuchon pour bombe aérosol et dispositif de projection d'aérosol
JP3999248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キャップ
JP3130194U (ja) エアゾール缶用押しボタン
JPS6231156Y2 (ko)
KR200461491Y1 (ko) 잔여가스 배출구조를 갖는 용기마개
KR101545114B1 (ko) 가스용기의 잔류가스배출장치
KR200404393Y1 (ko) 잔존가스 폐기가 용이한 가스 용기용 안전캡
KR200432049Y1 (ko) 에어로졸 캔의 잔류가스 안전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