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460B1 -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 - Google Patents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460B1
KR101486460B1 KR1020130106622A KR20130106622A KR101486460B1 KR 101486460 B1 KR101486460 B1 KR 101486460B1 KR 1020130106622 A KR1020130106622 A KR 1020130106622A KR 20130106622 A KR20130106622 A KR 20130106622A KR 101486460 B1 KR101486460 B1 KR 101486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groove
ring
pressure vessel
pressur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티아이
엄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티아이, 엄재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티아이
Priority to KR102013010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2/00Pressure vessels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3/00Covers or similar closure members for pressure vessels in general
    • F16J13/02Detachable closure members; Means for tightening clo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는 압력 용기 본체와 상기 압력 용기 본체를 덮는 덮개 부재를 포함하는 산업용 압력 용기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밀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에서 상기 덮개 부재와 대면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링 홈; 상기 링 홈에 압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링 홈 내부의 압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링 홈 압력 관; 및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링 홈에 삽입되는 밀폐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링 부재가 상기 링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링 홈 압력 관을 통해 상기 링 홈에 압력이 공급되면, 상기 밀폐 링 부재가 상승되어 상기 덮개 부재와 접하게 되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가 상기 밀폐 링 부재에 의해 밀폐될 수 있으며, 상기 링 홈 압력 관을 통해 상기 링 홈에서 압력이 제거되면, 상승 상태였던 상기 밀폐 링 부재가 하강되어 상기 덮개 부재와 이격되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의 밀폐가 해제되고, 상기 밀폐 링 부재는 상기 링 홈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형태로 이루어지는 링 부재 몸체와, 상기 링 홈 내부에서의 상기 링 부재 몸체의 승강 시에 상기 링 부재 몸체와 상기 링 홈 내벽 사이의 마찰이 국부적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링 부재 몸체에서 상기 링 홈 내벽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링 홈 내벽과 닿는 링 홈 접촉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링 홈 접촉 돌기는 상기 링 부재 몸체의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링 홈 내벽에 각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에 의하면, 링 부재 몸체가 좌우의 폭에 비해 상하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링 부재 몸체가 링 홈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아니하게 되면서도, 링 부재 몸체에서 링 홈 접촉 돌기가 돌출됨에 따라, 밀폐 링 부재의 승강 시에, 링 부재 몸체가 전체적으로 링 홈과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링 홈 접촉 돌기만 링 홈과 접촉되어, 밀폐 링 부재와 링 홈 사이의 마찰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밀폐 링 부재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밀폐 링 부재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Seal structure of pressure vessel for industry and seal ring member applied to the seal structure of pressure vessel for industry}
본 발명은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압력 용기는 반도체, 엘씨디, 항공기 동체 제작 등 광범위한 산업 시설에서 적용되는 것으로, 내부를 고압 분위기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산업용 압력 용기에 대하여는 내부의 고압 분위기 유지를 위하여 밀폐 구조가 중요하다.
종래의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으로는, 공개특허 제 10-2009-0116689호(발명의 명칭: 압축가스로 충진될 수 있는 냉가스발생기의 압력용기용 밀폐장치), 공개특허 제 10-2008-0097194호(발명의 명칭: 압력용기의 실링 구조) 등이 있다.
종래의 압력 용기에서는 압력 용기 본체와, 상기 압력 용기 본체를 덮는 덮개 부재와, 상기 압력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 부재에 각각 형성된 각 플랜지가 함께 내삽되어 상기 플랜지들을 잡아주는 클램프 부재를 포함하는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압력 용기 본체에는 링 홈과 상기 링 홈에 압력을 공급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링 홈 압력 관이 형성되고, 상기 링 홈에 밀폐 링 부재가 내삽된다. 그러면, 링 홈 압력 관을 통해 링 홈 내부로 압력이 공급되면, 링 홈 내부의 밀폐 링 부재가 상승되어 덮개 부재와 접하게 되고, 그에 따라 압력 용기 본체와 덮개 부재 사이가 밀폐 링 부재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한편, 링 홈 압력 관을 통해 링 홈 내부에서 압력이 제거되면, 링 홈 내부의 밀폐 링 부재가 원위치로 하강되어 덮개 부재와 분리되고, 그에 따라 압력 용기 본체와 덮개 부재 사이의 밀폐가 해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있어서는, 밀폐 링 부재가 원형 단면을 가지는 링 형태로 제작되었는데, 이러한 원형 단면의 밀폐 링 부재는 링 홈에서 임의로 쉽게 이탈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고, 그에 따라 밀폐 링 부재를 재장착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밀폐 링 부재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링 형태로 제작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직사각형 단면의 링 부내는 임의로 쉽게 이탈되지는 아니하였지만, 직사각형 단면의 양 측면이 링 홈의 내벽과 전체적으로 마찰되는 결과를 가져와서, 밀폐 링 부재와 링 홈 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그에 따라 덮개 부재를 열기 위해 링 홍 압력 관을 통해 링 홈 내부의 압력을 제거하여도 그러한 커진 마찰력으로 인해 밀폐 링 부재가 링 홈 내부에서 하강되지 못하고 상승된 상태로 머물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었으며, 그로 인해 덮개 부재의 개방을 위해 덮개 부재를 회전시킬 시에 덮개 부재의 플랜지 상단과 클램프 부재 내측면이 서로 마찰되면서 금속 버어(burr)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밀폐 링 부재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밀폐 링 부재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는 압력 용기 본체와 상기 압력 용기 본체를 덮는 덮개 부재를 포함하는 산업용 압력 용기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밀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에서 상기 덮개 부재와 대면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링 홈; 상기 링 홈에 압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링 홈 내부의 압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링 홈 압력 관; 및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링 홈에 삽입되는 밀폐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링 부재가 상기 링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링 홈 압력 관을 통해 상기 링 홈에 압력이 공급되면, 상기 밀폐 링 부재가 상승되어 상기 덮개 부재와 접하게 되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가 상기 밀폐 링 부재에 의해 밀폐될 수 있으며, 상기 링 홈 압력 관을 통해 상기 링 홈에서 압력이 제거되면, 상승 상태였던 상기 밀폐 링 부재가 하강되어 상기 덮개 부재와 이격되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의 밀폐가 해제되고,
상기 밀폐 링 부재는 상기 링 홈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형태로 이루어지는 링 부재 몸체와, 상기 링 홈 내부에서의 상기 링 부재 몸체의 승강 시에 상기 링 부재 몸체와 상기 링 홈 내벽 사이의 마찰이 국부적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링 부재 몸체에서 상기 링 홈 내벽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링 홈 내벽과 닿는 링 홈 접촉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링 홈 접촉 돌기는 상기 링 부재 몸체의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링 홈 내벽에 각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는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와 대면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링 홈과, 상기 링 홈에 압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링 홈 내부의 압력을 제거할 수 있는 링 홈 압력 관이 형성되는 압력 용기 본체를 포함하는 산업용 압력 용기에 적용되어,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밀폐시킬 수 있는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것으로,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링 홈에 삽입되어, 상기 링 홈 압력 관을 통해 상기 링 홈에 압력이 공급되면 상승되어 상기 덮개 부재와 접하게 되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를 밀폐시키고, 상기 링 홈 압력 관을 통해 상기 링 홈에서 압력이 제거되면 하강되어 상기 덮개 부재와 이격되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의 밀폐를 해제시킬 수 있는 링 부재 몸체; 및 상기 링 홈 내부에서의 상기 링 부재 몸체의 승강 시에 상기 링 부재 몸체와 상기 링 홈 내벽 사이의 마찰이 국부적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링 부재 몸체에서 상기 링 홈 내벽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링 홈 내벽과 닿는 링 홈 접촉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링 홈 접촉 돌기는 상기 링 부재 몸체의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링 홈 내벽에 각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에 의하면, 링 부재 몸체가 좌우의 폭에 비해 상하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링 부재 몸체가 링 홈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아니하게 되면서도, 링 부재 몸체에서 링 홈 접촉 돌기가 돌출됨에 따라, 밀폐 링 부재의 승강 시에, 링 부재 몸체가 전체적으로 링 홈과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링 홈 접촉 돌기만 링 홈과 접촉되어, 밀폐 링 부재와 링 홈 사이의 마찰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밀폐 링 부재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밀폐 링 부재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가 적용된 산업용 압력 용기를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의 일부를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가 하강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의 일부를 보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가 적용된 산업용 압력 용기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의 일부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가 하강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100)의 밀폐 구조는 링 홈(125)과, 링 홈 압력 관(126)과, 밀폐 링 부재(140)를 포함하고, 압력 용기 본체(120)와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를 덮는 덮개 부재(110)를 포함하는 산업용 압력 용기(100)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의 상단에는 압력 용기 본체측 플랜지(121)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 부재(110) 하단에는 덮개 부재측 플랜지(111)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 용기 본체측 플랜지(121)에는 클램핑 홀(122)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100)는 클램프 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부재(130)는 'ㄷ'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하단의 돌출부는 상기 클램핑 홀(122)에 삽입되고, 상단의 돌출부는 상기 덮개 부재측 플랜지(111) 상단을 덮으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측 플랜지(121)와 상기 덮개 부재측 플랜지(111)를 함께 집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와 상기 덮개 부재(11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링 홈(125)은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에서 상기 덮개 부재(110)와 대면되는 상단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폐 링 부재(140)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링 홈(125)은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의 상단을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되고, 링 형태로 연속적으로 함몰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링 홈(125)의 깊이는 상기 밀폐 링 부재(140)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되어, 상기 링 홈(125) 내부에서 상기 밀폐 링 부재(140)가 승강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링 홈 압력 관(126)은 상기 링 홈(125)에 압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링 홈(125) 내부의 압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링 홈(125)과 연통되도록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링 홈 압력 관(126)에 외부의 공압 펌프 등 압력 조절 수단이 연결되어, 상기 링 홈 압력 관(126)을 통해 상기 링 홈(125) 내부에 고압의 외기가 공급되어 상기 링 홈(125)에 압력이 공급되거나, 상기 링 홈(125) 내부에서 공기가 유출되어 상기 링 홈(125) 내부의 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링 홈 압력 관(126)은 상기 링 홈(125)과 연결되도록 단수 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 링 부재(140)는 상기 링 홈(125)에 삽입되어, 상기 링 홈(125) 내부에서 승강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밀폐 링 부재(140)가 상승된 상태가 되면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와 상기 덮개 부재(11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고, 상기 밀폐 링 부재(140)가 하강된 상태가 되면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와 상기 덮개 부재(110) 사이의 밀폐가 해제되어 상기 덮개 부재(110)가 열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세히, 상기 밀폐 링 부재(140)가 상기 링 홈(1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링 홈 압력 관(126)을 통해 상기 링 홈(125)에 압력이 공급되면, 상기 밀폐 링 부재(140)가 상기 링 홈(125)을 따라 상승되어 상기 덮개 부재(110)와 접하게 되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와 상기 덮개 부재(110) 사이가 상기 밀폐 링 부재(14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링 홈 압력 관(126)을 통해 상기 링 홈(125)에서 압력이 제거되면, 상승 상태였던 상기 밀폐 링 부재(140)가 상기 링 홈(125)을 따라 하강되어 상기 덮개 부재(110)와 이격되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와 상기 덮개 부재(110) 사이의 밀폐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밀폐 링 부재(140)는 링 부재 몸체(141)와, 링 홈 접촉 돌기(142)를 포함한다.
상기 링 부재 몸체(141)는 상기 링 홈(125)에 삽입되어, 상기 링 홈 압력 관(126)을 통해 상기 링 홈(125)에 압력이 공급되면 상승되어 상기 덮개 부재(110)와 접하게 되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와 상기 덮개 부재(110) 사이를 밀폐시키고, 상기 링 홈 압력 관(126)을 통해 상기 링 홈(125)에서 압력이 제거되면 하강되어 상기 덮개 부재(110)와 이격되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와 상기 덮개 부재(110) 사이의 밀폐를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링 부재 몸체(141)는 상기 링 홈(125)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링 부재 몸체(141)가 상기 링 홈(125)을 따라 이동되는 방향이 상기 링 부재 몸체(141)의 길이가 되고, 상기 링 부재 몸체(141)의 길이에 수직되는 방향이 상기 링 부재 몸체(141)의 폭이 된다.
상기 링 부재 몸체(141)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함몰된 압력 받이 홈(143)이 형성되어, 상기 링 홈 압력 관(126)을 통해 상기 림 홈으로 유입된 압력을 상기 압력 받이 홈(143)이 받게 된다.
상기 링 홈 접촉 돌기(142)는 상기 링 홈(125) 내부에서의 상기 링 부재 몸체(141)의 승강 시에 상기 링 부재 몸체(141)와 상기 링 홈(125) 내벽 사이의 마찰이 국부적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링 부재 몸체(141)에서 상기 링 홈(125) 내벽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링 홈(125) 내벽과 닿는 것이다.
상기 링 홈 접촉 돌기(142)는 상기 링 부재 몸체(141)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링 부재 몸체(141)의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링 홈(125) 내벽에 각각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링 부재 몸체(141)가 좌우의 폭에 비해 상하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링 부재 몸체(141)가 상기 링 홈(125)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아니하게 되면서도, 상기 링 부재 몸체(141)에서 상기 링 홈 접촉 돌기(142)가 돌출됨에 따라, 상기 밀폐 링 부재(140)의 승강 시에, 상기 링 부재 몸체(141)가 전체적으로 상기 링 홈(125)과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링 홈 접촉 돌기(142)만 상기 링 홈(125)과 접촉되어, 상기 밀폐 링 부재(140)와 상기 링 홈(125) 사이의 마찰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 링 부재(140)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밀폐 링 부재(14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 홈 접촉 돌기(142)에서 상기 링 홈(125) 내벽과 닿는 말단부는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 홈(125)은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의 상단에서 링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 링 부재(140)는 상기 링 홈(125)에 전체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연속적인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링 홈 접촉 돌기(142)는 상기 링 부재 몸체(141)에서 상기 링 홈(125) 내벽을 향해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링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링 홈(125) 내벽과 전체적으로 닿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링 홈 접촉 돌기(142)가 상기 밀폐 링 부재(140)와 상기 링 홈(125)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밀폐 링 부재(140)에서 상기 덮개 부재(110)와 닿는 상부는 소정 곡률로 만곡되어 둥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100)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100)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14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100)를 밀폐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밀폐 링 부재(140)가 상기 링 홈(125) 바닥에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 부재(110)가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에 얹히고, 상기 클램프 부재(130)가 상기 압력 용기 본체측 플랜지(121)와 상기 덮개 부재측 플랜지(111)를 함께 잡아주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링 홈 압력 관(126)을 통해 외부에서 압력이 전달되면, 상기 밀폐 링 부재(140)가 상기 링 홈(125)을 따라 상승되어, 상기 덮개 부재(110)와 닿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100) 내부가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100) 내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100) 내부로 압력이 가해져서, 반도체 제조 등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100)가 적용된 목적에 부합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100)의 밀폐를 해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100) 내부의 압력이 먼저 제거된 다음, 상기 링 홈 압력 관(126)을 통해 상기 링 홈(125) 내부의 압력이 제거된다. 그러면, 상기 밀폐 링 부재(140)가 상기 링 홈(125)을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덮개 부재(110)와 이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부재(130)가 제거되고, 상기 덮개 부재(110)가 상기 압력 용기 본체(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의 일부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링 부재 몸체(241)에서 덮개 부재와 닿는 상부는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밖에도 링 부재(24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에 의하면, 밀폐 링 부재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밀폐 링 부재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산업용 압력 용기 110 : 덮개 부재
120 : 압력 용기 본체 125 : 링 홈
126 : 링 홈 압력 관 130 : 클램프 부재
140 : 밀폐 링 부재 141 : 링 부재 몸체
142 : 링 홈 접촉 돌기

Claims (7)

  1. 압력 용기 본체와 상기 압력 용기 본체를 덮는 덮개 부재를 포함하는 산업용 압력 용기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밀폐시킬 수 있는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에서 상기 덮개 부재와 대면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링 홈;
    상기 링 홈에 압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링 홈 내부의 압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링 홈 압력 관; 및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링 홈에 삽입되는 밀폐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링 부재가 상기 링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링 홈 압력 관을 통해 상기 링 홈에 압력이 공급되면, 상기 밀폐 링 부재가 상승되어 상기 덮개 부재와 접하게 되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가 상기 밀폐 링 부재에 의해 밀폐될 수 있으며,
    상기 링 홈 압력 관을 통해 상기 링 홈에서 압력이 제거되면, 상승 상태였던 상기 밀폐 링 부재가 하강되어 상기 덮개 부재와 이격되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1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의 밀폐가 해제되고,
    상기 밀폐 링 부재는
    상기 링 홈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형태로 이루어지는 링 부재 몸체와,
    상기 링 홈 내부에서의 상기 링 부재 몸체의 승강 시에 상기 링 부재 몸체와 상기 링 홈 내벽 사이의 마찰이 국부적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링 부재 몸체에서 상기 링 홈 내벽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링 홈 내벽과 닿는 링 홈 접촉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링 홈 접촉 돌기는 상기 링 부재 몸체의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링 홈 내벽에 각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홈은 상기 압력 용기 본체의 상단에서 링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 링 부재는 상기 링 홈에 전체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연속적인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링 홈 접촉 돌기는 상기 밀폐 링 부재에서 상기 링 홈 내벽을 향해 연속적인 링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링 홈 내벽과 전체적으로 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3. 덮개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와 대면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링 홈과, 상기 링 홈에 압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링 홈 내부의 압력을 제거할 수 있는 링 홈 압력 관이 형성되는 압력 용기 본체를 포함하는 산업용 압력 용기에 적용되어,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밀폐시킬 수 있는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것으로,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링 홈에 삽입되어, 상기 링 홈 압력 관을 통해 상기 링 홈에 압력이 공급되면 상승되어 상기 덮개 부재와 접하게 되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를 밀폐시키고, 상기 링 홈 압력 관을 통해 상기 링 홈에서 압력이 제거되면 하강되어 상기 덮개 부재와 이격되면서 상기 압력 용기 본체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의 밀폐를 해제시킬 수 있는 링 부재 몸체; 및
    상기 링 홈 내부에서의 상기 링 부재 몸체의 승강 시에 상기 링 부재 몸체와 상기 링 홈 내벽 사이의 마찰이 국부적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링 부재 몸체에서 상기 링 홈 내벽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링 홈 내벽과 닿는 링 홈 접촉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링 홈 접촉 돌기는 상기 링 부재 몸체의 양 측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링 홈 내벽에 각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홈 접촉 돌기에서 상기 링 홈 내벽과 닿는 말단부는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 몸체에서 상기 덮개 부재와 닿는 상부는 소정 곡률로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 몸체에서 상기 덮개 부재와 닿는 상부는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
KR1020130106622A 2013-09-05 2013-09-05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 KR101486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622A KR101486460B1 (ko) 2013-09-05 2013-09-05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622A KR101486460B1 (ko) 2013-09-05 2013-09-05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9704A Division KR20150028182A (ko) 2014-04-03 2014-04-03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460B1 true KR101486460B1 (ko) 2015-01-27

Family

ID=5259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622A KR101486460B1 (ko) 2013-09-05 2013-09-05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4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936A (ko) * 2020-09-28 2022-04-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용 컨테이너의 밀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인공위성용 컨테이너의 밀폐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509A (ja) * 1995-01-24 1996-08-06 Yokohama Rubber Co Ltd:The インフレートシール部材
JPH10339535A (ja) * 1997-06-09 1998-12-22 Miura Co Ltd 密閉容器の気密装置
US6942224B2 (en) * 2003-07-16 2005-09-13 Steris Inc. Inflatable seal
KR20090063968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링용 가스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509A (ja) * 1995-01-24 1996-08-06 Yokohama Rubber Co Ltd:The インフレートシール部材
JPH10339535A (ja) * 1997-06-09 1998-12-22 Miura Co Ltd 密閉容器の気密装置
US6942224B2 (en) * 2003-07-16 2005-09-13 Steris Inc. Inflatable seal
KR20090063968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링용 가스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936A (ko) * 2020-09-28 2022-04-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용 컨테이너의 밀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인공위성용 컨테이너의 밀폐 방법
KR102506209B1 (ko) 2020-09-28 2023-03-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공위성용 컨테이너의 밀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인공위성용 컨테이너의 밀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583B1 (ko) 반도체 웨이퍼 수납용기
JP2016519633A5 (ko)
WO2015141557A1 (ja) 管状体のロック機構
KR101486460B1 (ko)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
JP2016513050A (ja) 真空容器用チェックバルブ及びこれを用いた真空容器蓋
JP2021501855A5 (ko)
KR910007249B1 (ko) 맞물림 장치
KR20060007374A (ko) 밀폐체 및 이를 위치 및 제거하는 방법
CN109600998B (zh) 具有改进密封件的开口端容器
KR20150028182A (ko)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 및 상기 산업용 압력 용기의 밀폐 구조에 적용되는 밀폐 링 부재
JPWO2009107495A1 (ja) シール材およびシール材が装着されたゲートバルブ
JP6160926B2 (ja) ゲートバルブ
JP2007314233A (ja) 蓋付き高気密容器
JP4928414B2 (ja) 接続部シール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シール部材
JP2005256958A (ja) シール部材
KR200270678Y1 (ko) 밀폐용기
JP2014172613A (ja) 蓋付き金属缶
JP6043714B2 (ja) シール部材
AU2013263364B2 (en) Container closure having a vacuum releaser
JP2005308019A (ja) シール装置
KR200485939Y1 (ko) 밀폐용기
JP2010025161A (ja) 気密設備・気密容器間の気密構造
JP2007176557A (ja) キャップ
JP3177482U (ja) 圧力容器の密封装置
JP5125651B2 (ja) チャンバ装置のシール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チャン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403

Effective date: 2014120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