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356B1 - 냉장고 홈바 힌지 - Google Patents

냉장고 홈바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356B1
KR101486356B1 KR20080065457A KR20080065457A KR101486356B1 KR 101486356 B1 KR101486356 B1 KR 101486356B1 KR 20080065457 A KR20080065457 A KR 20080065457A KR 20080065457 A KR20080065457 A KR 20080065457A KR 101486356 B1 KR101486356 B1 KR 101486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aft
housing
angl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6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427A (ko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6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3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홈바 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는 냉장고 홈바의 개방시 스프링에 의한 비틀림 탄성력이 작용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먼저 작용하고,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 이상에서 댐핑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탄성력과 댐핑력은 미리 결정된 구간에서 중첩적으로 발생하여, 도어의 개방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냉장고, 홈바, 힌지, 댐핑, 탄성

Description

냉장고 홈바 힌지{HOMEBAR HINGE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홈바 힌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냉장고 홈바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여 홈바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하고,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 이상으로 도어가 개방되면 오일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여 도어를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 홈바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에 구비된 홈바에 의하여, 사용자는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아도 간단한 음료 등을 홈바 도어 내부에 구비된 공간에 저장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최근 많이 사용되는 홈바는 홈바 도어 하부 양단에 설치된 힌지에 의하여 수평축을 기준으로 도어의 상부가 회전하며 홈바를 개방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홈바의 도어는 단열재가 포함되며, 일정 두께 이상이므로 어느 정도의 하중을 갖으므로, 도어를 개방하는데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필요할 수 있다.
홈바의 도어를 개방하는데 필요한 힘은 여성 사용자 또는 어린이 사용자는 부담을 느낄 수 있다. 그러므로, 도어의 개방에 필요한 힘을 보상하기 위하여 스프 링을 장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홈바 도어의 간편한 개방을 위하여 힌지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도어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는 경우에는 그 하중에 의한 가속도가 발생하여 도어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홈바 도어의 개방에 필요한 힘을 제공함과 동시에 적절한 댐핑이 필요한 냉장고 홈바 힌지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홈바 도어가 간편하게 개방될 수 있는 냉장고 홈바 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홈바 도어의 하중을 상쇄하는 탄성력이 제공되므로 도어의 개방에 큰 힘이 필요하지 않고,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홈바 도어의 하중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홈바 도어와 냉장고 도어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도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에서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냉장고 홈바 힌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오일이 충진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에서 상기 탄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댐핑력을 제공하며, 상기 탄성력과 상기 댐핑력이 함께 작용하는 미리 결정된 제1각도 내지 제2각도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홈바 힌지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탄성력은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에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 측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샤프트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가이드홈 내부의 일측에 가압되면,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에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상기 제2각도로 개방될 때까지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홈 일측에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일이 충전되는 공간에 상기 샤프트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부채꼴 형상의 걸림턱 한 쌍이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바닥면에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부채꼴 형상의 한 쌍의 대향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걸림턱의 중심에 오일의 투입을 위한 오일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투입구 상측에 상기 걸림턱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을 연통하는 오일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개방되는 경우,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는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이격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오일유로를 차단하는 제1각도 범위에서 댐핑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의 원주 상에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오일링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오일링의 직경은 상기 장착홈 내측면과 상기 하우징 내측면 사이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의 도어측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와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도어측 일단의 원주면과 상면이 상기 고정부재의 하면에 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각도는 35도 내지 45도 범위의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각도는 55도 내지 65도 범위의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에 의하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도어가 간편하게 개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에 의하면, 도어의 하중을 상쇄하는 탄성력이 제공되므로 도어의 개방에 큰 힘이 필요하지 않고,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홈바 도어의 하중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홈바 도어와 냉장고 도어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홈바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상기 냉장고(10)는 도어(20), 도어(20)에 형성되며, 개구부(30)가 마련된 홈바 프레임(40), 홈바 프레임(40)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50)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50)는 연결 부재(80)를 통해 홈바 프레임(4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홈바 프레임(40)에 마련된 래치(60)와 연동하는 걸쇠(70)를 구비하여, 개구부(30)를 닫을 때 걸쇠(70)가 래치(60)에 걸려서 고정되고, 개구부(30)를 개방할 때 걸쇠(70)가 래치(60)로부터 해제된다. 한편 걸쇠(70)의 래치(60)로부터의 개방은 사용자가 걸쇠(70) 부근의 도어(50)를 홈바 프레임(40) 측으로 가압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사용자의 간단한 가압동작에 의해, 개구부(30)를 개방함에 있어, 개구부(30) 측과 냉장고(10) 외부측의 압력차나 냉장고의 설계 구조(냉장고(10)가 뒷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됨) 등에 의해 래치(60)와 걸쇠(70)의 해제에도 불구하고, 도어(50)가 쉽게 열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80)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5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 내부에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후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도어는 닫힘 상태에서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면, 상기 걸쇠(70) 부근의 도어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도어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5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상기 도어(50)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도어는 상기 스프링이 탄성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도어의 무게 중 수직방향 성분에 의하여 회전 속도가 가속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홈바 도어(50)의 회전속도가 가속되면, 상기 도어(50)가 완전 개방된 상태가 되는 순간 상기 홈바 프레임(40)에 도어(50)에 의한 충격이 전달되므로 장기간 홈바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홈바 프레임(40), 상기 도어(50) 또는 연결부재(80) 등이 파손될 수 있으며, 파손되지 않더라도 홈바 도어를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없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는 홈바 도어(50)가 닫힘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됨과 동시에, 미리 결정된 제1각도 이상으로 도어(50)가 회전하면, 상기 도어(50)가 개방되는 방향 반대 방향으로 오일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가 장착된 홈바 도어의 개방 각도에 따른 탄성력과 댐핑력의 작용구간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상기 홈바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제2각도(θ2)까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힌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비틀림 탄성력을 상기 연결부재(80)를 매개로 연결된 도어에 인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걸쇠(70) 부근의 도어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도어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는 상기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댐핑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댐핑력은 상기 도어의 회전 범위 전체에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결정된 제1각도(θ1) 이상으로 상기 도어(50) 가 개방되는 경우에 작동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어느 정도 도어가 개방되어야 도어에 의한 하중에 의하여 도어의 회전속도가 가속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1각도(θ1)는 제2각도(θ2) 보다 작은 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과 오일에 의한 댐핑력은 제1각도(θ1) 내지 제2각도(θ2) 범위에서 함께 작용한다.
만일 상기 제1각도(θ1)가 제2각도(θ2) 보다 크다면 댐핑력과 탄성력이 함께 작용하는 구간이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탄성력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하다 탄성력과 댐핑력이 작용하지 않는 구간에서는 탄성력이 아닌 중력에 의하여 가속되던 도어가 갑자기 댐핑구간에 진입하여 감속하게 되므로 충분한 감속이 불가능할 수 있으며, 속도 편차가 증가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각도(θ1)는 제2각도(θ2) 보다 작은 각으로 설정하면 상기 제1각도(θ1) 내지 제2각도(θ2)에서 탄성력과 댐핑력이 함께 작용하게 되어 스프링의 탄성력 또는 도어 무게에 의한 중력에 의하여 도어가 가속되는 구간에서 도어의 회전속도를 감속함과 동시에 댐핑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2에서 상기 제2각도(θ2)는 60도로 표시되었으나, 상기 제2각도(θ2)는 상기 도어(50)가 스스로의 자중에 의하여 가속되는 구간에 충분히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각도이면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각도(θ2)는 약 55도 내지 65도 범위의 각이면 의도하는 목 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각도(θ1)는 40도로 표시되었으나, 상기 제1각도(θ1)는 상기 도어(50)가 스스로의 자중에 의하여 지나치게 가속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개방동작을 위하여 충분히 댐핑력이 작용할 수 있는 각도에서 작용하기 시작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각도(θ1)는 약 35도 내지 45도 범위의 각이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가 장착된 냉장고의 홈바 도어의 회전각도에 따른 a) 각속도(rad/s)와 b) 소요시간(sec)를 기록한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회전각에 따른 각속도는 댐핑력이 작용하는 구간까진 대략 선형적으로 증가하지만, 댐핑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대략 등속도로 회전하여 완전 개방상태(90도)에 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한 누름 동작을 수행하면 탄성력에 의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도어의 개방과정이 시작되지만, 일정각도 회전한 뒤 댐핑력이 작용하여 도어를 안정적으로 완전 개방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댐핑력이 작용하는 구간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요시간은 대략 등속 회전하는 구간이므로 회전각도와 소요시간은 대략 정비례관계가 성립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분해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연결부재(80)에 연결되어 도어를 회전시키는 샤프트(2)와 상기 샤프트(2)를 수용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냉장고 도어 등에 매립되어 도 1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도어(50)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0)은 양단에 결합부(12,13)가 냉장고 도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10)의 하면 사이에 오일이 충진되어 댐핑력을 제공한다. 또한,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링(9)이 상기 샤프트(2)의 원주에 형성된 삽입홈에 안착된다.
홈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는 상기 하우징 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샤프트(2)의 원주의 일정구간에 형성된 가이드홈(후술함)에 안착되어 일정구간 범위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스프링(4)을 상기 하우징 측에 연결하는 방법은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하우징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이종 재질의 고정부재(5)를 사용하여 상기 샤프트(2)가 회전하여도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6) 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4)의 타단 역시 상기 샤프트(2)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닌 상기 별도의 가이드부재(3)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이와 같으 가이드부재(3) 또는 고정부재(5)를 사용하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4)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으며, 상기 샤프트(2)와 상기 스프링(4)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4)의 양단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오일을 주입할 수 있는 오일 주입구가 형 성되며, 상기 오일 주입구를 차단하는 밀봉부재(7)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7)와 하우징(10) 사이에 별도의 오일링(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 이하에서 각각의 부품들의 특징들을 검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의 샤프트(2)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샤프트(2)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는 도어의 연결부재(80, 도1)에 끼움되어 도어와 함께 회전되도록 일단에 슬롯(21)을 구비하며, 측면에 스프링(4)의 일단(41)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단턱(22, 23)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홈(24)을 구비하고, 하부 원주상에 도 4의 오일링(9)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슬롯(21)의 원주에 상기 고정부재(5)와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플렌지(29)가 형성된다. 상기 플렌지(29)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9를 이용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하우징(10)의 걸림턱에 걸려 상기 샤프트(2)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걸림부(28)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8)는 부채꼴 형상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8)와 상기 걸림턱은 상기 샤프트(2)를 상기 하우징(10)에 일정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그 회전범위를 제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에 구비되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상기 하우징(10)은 전술한 결합부(12,13) 이외에 상기 밀봉부재(7)이 삽입되며 오일을 충진하는 오일 투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 투입구(11) 상측에 오일유로(14)가 형성된다.
상기 오일유로(14)는 상기 하우징(10)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턱(15)에 의하여 구획되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공간을 연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걸림턱(15)에 의하여 구획된 양 공간에 잔류하는 오일이 상기 샤프트(2)의 회전시 샤프트(2)의 걸림부(28)가 회전하는 경우, 오일이 유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28)이 샤프트(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오일유로(14)를 차단하면 댐핑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28)에 의하여 구획되는 상기 양 공간은 오목부(17)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오목하지 않은 부분(16) 단차를 갖을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2)의 회전에 대응하여 걸림부가 오일이 충전된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 상부를 이동하면서 오일을 밀어내면, 상기 오목부(17) 또는 오일유로(14)를 통하여 오일이 유동하면서 댐핑력을 발생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의 하우징에 삽입되는 샤프트(2)와 스프링(4) 등의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조립체는 홈바 도어가 닫힌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4)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비틀림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에 형성된 고정홀(51)에 상기 스프링(4)의 일단(42)이 삽입되어 하우징 측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과 이종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과 이종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4)은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린 상태로 상기 홈바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홈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도어의 래치 부분의 도어를 가압하면, 상기 래치(70)에 의한 구속상태에서 벗어나므로, 스프링에 의한 비틀림 탄성력이 상기 샤프트(2)를 반시계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7에서 상기 스프링(4)의 타단(41)은 상기 샤프트(2)의 가이드홈(24)의 일측 단턱(22)를 가압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래치(7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4)의 타단(41)은 상기 샤프트(2)의 일측 단턱(22)를 가압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양 단턱(22,23)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홈(24)은 상기 샤프트(2)의 회전시 상기 스프링의 타단(41)이 가압되지 않는 구간으로서, 도 2의 제2각도보다 큰 범위의 각도 구간이다.
상기 샤프트(2)가 회전하여 상기 스프링의 타단(41)이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은 도어를 회전하는 탄성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4)의 양단의 위치는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비틀린 상태로 상기 하우징과 샤프트 측에 장착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 하부에 충진되는 오일은 상기 걸림부(28), 상기 걸림 턱(15), 상기 오목부(17) 그리고 상기 오일유로(14)는 도 2의 제1각도 이상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댐핑력이 발생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각도까지 도어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부(28)가 상기 오일유로(14)를 차단하지 않지만 상기 제1각도보다 더 회전하기 시작하면 상기 걸림부(28)가 상기 오일유로(14)를 차단하며, 상기 오일유로(14)를 통한 오일의 이동을 방해하여 오일에 의한 댐핑력이 발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17)는 오일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도어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28)가 상기 오목부(17)의 상부에서 오목하지 않은 부분(16)으로 이동하면 댐핑이 발생할 수 있다. 오일이 상대적으로 수용공간이 적은 부분으로 이동하며 댐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의 단면도이다. 상기 샤프트(2)의 원주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진 오일링(7)은 상기 하우징(10)의 하부공간에 충진된 오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오일링(9)의 직경은 상기 하우징(10)의 삽입홈(26)과 상기 하우징(10) 내측면 사이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링(9) 자체의 탄성에 의한 실링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도 9는 상기 샤프트(2)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다.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형성된 플렌지(29)는 상기 고정부재(5) 하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플렌지(29)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5)는 상기 샤프트(2)의 상단을 두 방향에서 접촉하게 된다. 만일 상기 샤프트(2)의 상단이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는다면 상기 하우징(10)을 덮는 커버(6)와의 마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는 발생가능한 마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홈바가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가 장착된 홈바 도어의 개방 각도에 따른 탄성력과 댐핑력의 작용구간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가 장착된 냉장고의 홈바 도어의 회전각도에 따른 a) 각속도(rad/s)와 b) 소요시간(sec)를 기록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의 샤프트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에 구비되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의 하우징에 삽입되는 샤프트와 스프링 등의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홈바 힌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다.

Claims (1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도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에서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냉장고 홈바 힌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오일이 충진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에서 상기 탄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댐핑력을 제공하며, 상기 탄성력과 상기 댐핑력이 함께 작용하는 미리 결정된 제1각도 내지 제2각도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 측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샤프트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가이드홈 내부의 일측에 가압되면,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에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상기 제2각도로 개방될 때까지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홈 일측에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홈바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은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홈바 힌지.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충전되는 공간에 상기 샤프트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부채꼴 형상의 걸림턱 한 쌍이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바닥면에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부채꼴 형상의 한 쌍의 대향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홈바 힌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걸림턱의 중심에 오일의 투입을 위한 오일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투입구 상측에 상기 걸림턱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을 연통하는 오일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홈바 힌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개방되는 경우,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는 서 로 인접한 상태에서 이격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오일유로를 차단하는 제1각도 범위에서 댐핑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홈바 힌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원주 상에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 오일링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는 오일링의 직경은 상기 장착홈 내측면과 상기 하우징 내측면 사이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홈바 힌지.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의 도어측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샤프트와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홈바 힌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도어측 일단의 원주면과 상면이 상기 고정부재의 하면에 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홈바 힌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는 35도 내지 45도 범위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홈바 힌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각도는 55도 내지 65도 범위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홈바 힌지.
KR20080065457A 2008-07-07 2008-07-07 냉장고 홈바 힌지 KR101486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5457A KR101486356B1 (ko) 2008-07-07 2008-07-07 냉장고 홈바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5457A KR101486356B1 (ko) 2008-07-07 2008-07-07 냉장고 홈바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27A KR20100005427A (ko) 2010-01-15
KR101486356B1 true KR101486356B1 (ko) 2015-01-26

Family

ID=4181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65457A KR101486356B1 (ko) 2008-07-07 2008-07-07 냉장고 홈바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915B1 (ko) * 2012-02-02 2013-12-20 동우정밀(주) 가전 제품 도어의 싱글 힌지 댐핑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702B1 (ko) * 2006-03-17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힌지 조립체
US7275626B2 (en) * 2002-08-02 2007-10-02 Toto Ltd. Damper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5626B2 (en) * 2002-08-02 2007-10-02 Toto Ltd. Damper device
KR100756702B1 (ko) * 2006-03-17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힌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27A (ko)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6537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861676B1 (ko) 의류처리장치
US7591395B2 (en) Acceleration/deceleration mechanism and vehicle small article compartment having acceleration/deceleration mechanism
KR101346866B1 (ko) 냉장고
WO2008075622A1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のリッドロック構造
KR101821208B1 (ko) 의류처리장치
WO2010055778A1 (ja) 開閉自在容器
EP3296444B1 (en) Washing device
KR101486356B1 (ko) 냉장고 홈바 힌지
TWI451027B (zh) 流體阻尼鉸鏈
KR102516827B1 (ko) 냉장고
KR100813607B1 (ko) 힌지 어셈블리
KR102420814B1 (ko) 리드 탄지 구조
KR20110125727A (ko) 도어 힌지
CN209944867U (zh) 冰箱或冰柜
JP6033188B2 (ja) ゲーム機用蝶番
JP4283465B2 (ja) 格納式フック装置
JP2003003731A (ja) 扉開閉機構
KR102115121B1 (ko) 세탁기 도어의 힌지장치
KR101870903B1 (ko) 가스· 전자기기용 도어 잠금장치
KR100578604B1 (ko)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JP2005002567A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20180087708A (ko) 방화문용 자동 폐쇄장치
JP4369342B2 (ja) 振動感知ロック装置
JPH09250267A (ja) 扉キャ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