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317B1 -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고지혈증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고지혈증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317B1
KR101486317B1 KR20120003944A KR20120003944A KR101486317B1 KR 101486317 B1 KR101486317 B1 KR 101486317B1 KR 20120003944 A KR20120003944 A KR 20120003944A KR 20120003944 A KR20120003944 A KR 20120003944A KR 101486317 B1 KR101486317 B1 KR 101486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composition
present
f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0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265A (ko
Inventor
오좌섭
안은경
홍성수
고혜진
백승호
김동삼
정용환
서인수
박수영
윤원종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주식회사 테라젠이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주식회사 테라젠이텍스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Priority to KR20120003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3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린 등에 의해 분화 촉진된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고 고지방식이에 의한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체중을 감소시키며 혈중 지질 농도를 낮추고 간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활성을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제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besity Using an Extract of Sargassum muticum}
본 발명은 경단구슬모자반(Sargassum muticum)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국민소득이 향상되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각종 동물성 식품의 섭취량이 늘고 있다. 2008년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식품섭취량 중 식물성 식품이 전체의 80.5%이고 동물성 식품이 19.5%로 집계되어 동물성 식품의 섭취 비율이 국민건강 영양조사를 처음 시작한 1969년에 조사된 3%에 비하여 6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비만 인구가 급속히 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비만(BMI>25) 인구 비율은 1995년 11.7%이던 것이 2008년 30.7%, 고도 비만(BMI>30) 인구 비율은 1998년 2.3%에서 2008년 4.1%로 조사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9).
비만은 에너지의 섭취와 소모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내에 에너지가 과잉으로 축적되어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Clinical Endocrinology 28:675-689, 1998; Clinical Obesity (eds. Kopelman PG, Stock MJ) 248-89 (Blackwell Science, Oxford 1998).
세계보건기구(WHO)는 동양인 기준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가 23∼25를 과체중, 25∼30을 비만, 30 이상을 고도비만으로 보고 있다.
비만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과 더불어 고지방·고열량의 식생활, 바쁜 사회적 환경에 따른 운동 부족, 내분비 이상 등 환경적 요인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비만의 50 내지 70% 정도가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나머지가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 치료제는 제니칼(Xenical™, 로슈제약회사, 스위스), 리덕틸(Reductil™, 애보트사, 미국), 아콤플리아(Acomplia™, 사노피아벤티스, 프랑스), 엑소리제(Exorise™, 아코파마사, 프랑스) 등이 있으며, 이들 비만 치료제는 일반적으로 3가지의 범주 즉 식욕 억제제, 체내 에너지 대사 촉진제 및 소화 흡수 억제제로 구분된다. 제니칼의 경우 리파아제 억제제로서 지방의 소화 흡수를 억제하는 약품이며, 리덕틸이나 아콤플리아는 식욕 조절 호르몬인 노르아드레날린와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하거나 뇌에서 식욕을 조절하는 CB1 수용체의 길항제로 작용함으로써 식욕을 억제하는 약품이다. 엑소리제의 경우 열 생성 효과가 있어 신체의 기초대사량을 높여주고, 위장관 리파아제를 억제시켜 지방의 소화 흡수를 낮춘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제들은 고혈압, 우울증, 불안, 자살 충동 등의 부작용을 보이고 있어, 천연물 의약품에 대한 가치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본 발명은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121102 호
발명의 명칭 :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 조성물
본 발명의 목적은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경단구슬모자반의 물과 에탄올에 의한 추출물이 인슐린 등에 의하여 유도된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고,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에서 실험동물의 체중을 감소시키고 지방조직의 중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항비만제 조성물은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조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상기 열거한 용매 중 하나 이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말한다. 추출 방법은 유효성분의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조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조추출물을 실리카 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고 더불어 초음파 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비만"이란, 그것이 유전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든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든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의미하며, 체질량지수의 구분에 따른 비만(BMI이 30.0 이상인 경우)과 과체중(BMI이 25~30인 경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항비만"이란 비만의 예방, 비만의 치료를 포함하여, 체지방의 감소 및/또는 체중의 감소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항비만제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비만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99.99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비만 개선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처방)될 수 있는 대상은 포유동물 및 사람이며, 특히 사람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다이어트"란 체중 상태가 비만이나 과체중은 아니지만 미용이나 건강 목적으로 체중/체지방의 감소가 바람직하거나 필요한 상태로서 정의된다. 통상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조성물은 정상인의 미용이나 건강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조·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조성물에 있어서,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의 의미, 그것의 유효량 등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본 발명의 항비만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개선제 조성물과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이 고지방식이가 원인이 되어 상승한 실험동물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중성지방의 농도, LDH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춤과 함께 혈관 벽의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는 HDL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추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이 고지방식이와 함께 실험동물에 투여되었을 때 의하여 고지방식이만이 투여된 비만유도군에 비하여 간의 지방 공포가 현저하게 줄어듦을 보여주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방간"은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동맥경화 등의 원인이 되는 질병으로서, 간의 지방대사 장애로 인하여 지방이 간세포에 과도한 양으로 축적된 상태의 질환을 말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고지혈증"이란 중성 지방과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혈액 중에 지방량이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혈액 내에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인지질, 유리 지방산 등의 지질 성분이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고지혈증은 그 자체로 어떤 증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동맥 경화, 고혈압 등의 심혈관계 질환의 원인으로서 문제가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고지혈증 개선제 조성물은 고지혈증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상기 질환의 예방제로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지혈증 개선제 조성물과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에 있어서,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의 의미, 그것의 유효량 등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본 발명의 항비만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본 발명의 항비만제 조성물, 다이어트용 조성물,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또는 고지혈증 개선제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외에, 항비만 활성, 고지혈증 개선 활성, 지방간 개선 활성 등을 상승·보강할 수 있도록 항비만 활성, 고지혈증 개선 활성, 지방간 개선 활성 등을 갖는 공지의 천연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천연물 또는 화합물로서는 황기 분말 또는 추출물, 당삼 분말 또는 추출물, 복령 분말 또는 추출물, 감초 분말 또는 추출물, 황정 분말 또는 추출물, 오미자 분말 또는 추출물, 구기자 분말 또는 추출물, 상지 분말 또는 추출물, 댕댕이 나무 열매 분말 또는 추출물, 헛개나무(잎, 줄기, 꽃, 뿌리, 껍질, 열매) 분말 또는 추출물, 인진호 분말 또는 추출물, 갈근 분말 또는 추출물, 진피 분말 또는 추출물, 창출 분말 또는 추출물, 오리나무(잎, 줄기, 꽃, 뿌리, 껍질, 열매) 분말 또는 추출물, 숙지황 분말 또는 추출물, 마가목(잎, 줄기, 꽃, 뿌리, 껍질, 열매) 분말 또는 추출물, 동충하초 분말 또는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추출물의 의미는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추출물은 추출 대상을 혼합하여 얻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 특히 기능성 음료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독성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고지혈증 개선제 조성물과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또는 약품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은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이 인슐린 등에 의하여 유도된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실험동물에서 적출한 지방조직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이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상승한 혈중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춤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4는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이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증가된 간의 지방 공포를 낮춤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의 제조
경단구슬모자반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에서 채집하였으며, 채집된 시료는 염분을 제거하였다. 염분이 제거된 경단구슬모자반의 건조 중량 10g에 농도별(DW, 20%, 40%, 60%, 80%, 100%)로 EtOH을 넣고 교반하였다(여기서 %는 v/v임). 48시간 교반을 한 후 감압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1차 필터(Filter paper, 125mm)를 하였으며, 1차 필터 후 분리된 잔사에 농도별(DW, 20%, 40%, 60%, 80%, 100%)로 EtOH을 넣고 24시간 교반 하였고, 1시간 sonication 후 2차 필터를 하였다. 1차와 2차 여과를 통해 나온 여액을 취해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을 하였으며, 농축된 시료를 증류수로 녹여 vial에 옮겨 deep freezer넣고 동결건조(3일 정도)하여 최종적으로 총 6 가지의 추출물을 제작하였다.
6 가지의 추출물 중 수율이 가장 좋고, 아래의 <실험예 1>의 방법으로 예비실험을 하였을 때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60% 에탄올 추출물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 실험예 >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의 비만 개선 활성, 고지혈증 개선 활성 및 지방간 개선 활성 실험
<실험예 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 활성 실험
실험에 사용한 3T3-L1(CL-173) 세포는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USA)로부터 구입하였고 마우스 전구지방세포인 3T3-L1은 10% BCS DMEM 배지를 넣고 37℃, 5% CO2 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T3-L1 전구지방세포를 24 well plate에 5×104/well의 세포수로 분주한 후 100% confluency 시점이 되면 2일 동안 더 유지시켰다. 전구지방세포는 MDI(0.5m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1 uM dexamethasone, 1 ug/ml insulin)를 포함하는 10% FBS DMEM 배지로 지방세포 분화를 2일 동안 유도하였고, 배양 48 시간 후, 1 ㎍/ml insulin이 함유된 10% FBS DMEM으로 이틀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2일 마다 4일 동안 10% FBS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유도 동안 경단구슬모자반 에탄올 추출물는 25, 50, 100 ㎍/ml 의 농도로 각 배양에 처리하였고, 분화가 완성되는 시점인 8일째에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지방세포 분화정도는 Oil Red O 염색을 통해 1차적으로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고, 지방세포 염색 정도는 510 nm 흡광도에서 세포의 분화 된 지방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 소적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DIO ( diet - induced obesity ) 마우스 모델 실험
생후 5주령된 C57B/6 계통 수컷 마우스(코아텍, 한국)를 구입하였으며, 실험동물들이 변화된 주변 환경과 온도, 습도, 먹이 등에 적응하게 하기 위해 실험 시작 전 1주일 동안 순화시킨 후 건강한 동물만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실의 사육환경은 온도 222, 상대습도 4510%, 환기회수 10-15회/hr, 조명 12시간 간격, 조도 150-250 Lux, 소음 60dB 이하로 조절하였다. Polycarbonate 사육 상자 당 3마리씩 사육하였으며 주 2회 상자를 교환하여 암모니아 농도가 20ppm 이하가 되게 유지하였다. 사료는 자율 급여하였으며, 음수는 정수된 물을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5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체중이 높은 순으로 배열하고 분리하여 군 간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균등하게 되도록 하여 아래 [표 1]과 같이 그룹화하고, 정상군에는 저칼로리 식이(12% calories from fat)를 급여하였고 음성대조군(비만유도군)에는 고칼로리 식이(60% calories from fat)만을 급여하였으며, 시료 투여군에는 고칼로리 식이를 급여함과 함께 시료(Xenical, CLA(Conjugated linoleic acid) 또는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를 하루에 한번 6주간 존데를 이용하여 경구투여 하였다.
Figure 112012003190527-pat00001
체중 주 3회 측정하였으며, 실험 종료 후 동물을 희생하여 지방조직의 중량(subcutaneous fat, peritoneal fat 및 epididymal fat)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2](체중 변화) 및 [표 3](지방조직의 중량 변화)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03190527-pat00002
Figure 112012003190527-pat00003
[표 2] 및 [표 3]를 참조하여 보면,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이 투여 용량에 비례하여 체중을 감소시키고 지방조직의 중량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 실험동물에서 적출한 지방조직을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었으며, 식이효율(FER)과 칼로리 효율(EER)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도 2]와 [표 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표 2] 및 [표 3]과 유사한 경향의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2003190527-pat00004
<실험예 3> 혈액 생화학적 검사
6주 동안의 경구투여 후 복대정맥으로부터 채혈한 혈액을 항응고제인 EDTA가 들어있는 채혈병에 넣어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혈장을 채취한 다음 혈액생화학분석기(Hitachi 7020, Japan)를 이용하여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및 LDL cholesterol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결과는 경단구슬모자반 투여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투여 용량에 비례하여 음성대조군(비만유도군)과 비교할 때 Total cholesterol의 농도, Triglyceride의 농도 및 LDL cholesterol의 농도를 낮추나 HDL cholesterol의 농도는 낮추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험예 2-2> 간 조직 검사
6주 동안의 경구투여 후 동물을 희생하여 간을 적출하고 10% Formalin에 5일 동안 고정시킨 후 파라핀 블럭을 만들어 4㎛ 두께로 조직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조직 슬라이드는 xylene, 100%, 95%, 90%, 80%, 70% ethanol의 단계로 탈파라핀과 함수과정을 거친 후 hematoxylin과 eosin으로 핵과 세포질을 염색하였고, permount를 이용하여 봉입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의 결과를 참조하여 보면, 비만유도군에 비하여 경단구슬모자반 투여군(100 mg/kg 투여군)의 경우 지방 공포가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경단구슬모자반의 60%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경단구슬모자반의 60%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120003944A 2012-01-12 2012-01-12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고지혈증 개선용 조성물 KR101486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3944A KR101486317B1 (ko) 2012-01-12 2012-01-12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고지혈증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3944A KR101486317B1 (ko) 2012-01-12 2012-01-12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고지혈증 개선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478A Division KR101562553B1 (ko) 2014-02-14 2014-02-14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제 조성물
KR20140017475A Division KR101486312B1 (ko) 2014-02-14 2014-02-14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지방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65A KR20130083265A (ko) 2013-07-22
KR101486317B1 true KR101486317B1 (ko) 2015-01-27

Family

ID=4899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03944A KR101486317B1 (ko) 2012-01-12 2012-01-12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고지혈증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3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68B1 (ko) * 2007-10-10 2008-05-08 아미코젠주식회사 푸코잔틴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121102A (ko) * 2008-05-21 2009-11-25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68B1 (ko) * 2007-10-10 2008-05-08 아미코젠주식회사 푸코잔틴 또는 이를 함유하는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121102A (ko) * 2008-05-21 2009-11-25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rine Biology. Vol. 80, pp. 109-115 (1984) *
Marine Biology. Vol. 80, pp. 109-115 (1984)*
Townsend Letter, pp. 87-92 (2008. 6.) *
Townsend Letter, pp. 87-92 (2008. 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65A (ko)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02554A1 (en)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obesity using wheat bran extract or active ingredient isolated therefrom
KR101486312B1 (ko)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지방간 개선용 조성물
KR20140114801A (ko) 제주조릿대 잎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파라-쿠마르산을 이용한 비만 및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20110068958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92197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613685B1 (ko) 푸코산틴 유도체를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440781B1 (ko)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간 기능 개선제 조성물
KR101076185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562553B1 (ko)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제 조성물
KR101486317B1 (ko)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고지혈증 개선용 조성물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3748B1 (ko) 문주란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 및 항고지혈증 조성물
KR20160058203A (ko) 유채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814257B1 (ko) 큰천남성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601843B1 (ko) 사링고스테롤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62736B1 (ko) 클라우세나 엑스카바타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91631B1 (ko)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140072418A (ko) 비만 개선용 조성물
KR101076583B1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885949B1 (ko) 광대나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289895B1 (ko) 비만 및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20140041632A (ko) 제주조릿대 잎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파라-쿠마르산을 이용한 비만 및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20200081310A (ko) 노루오줌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076200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76575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식품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