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278B1 -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278B1
KR101486278B1 KR1020130098222A KR20130098222A KR101486278B1 KR 101486278 B1 KR101486278 B1 KR 101486278B1 KR 1020130098222 A KR1020130098222 A KR 1020130098222A KR 20130098222 A KR20130098222 A KR 20130098222A KR 101486278 B1 KR101486278 B1 KR 101486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motor
ripple pulse
drive
driv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30098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AC supply for both the rotor and the stator circuits, the frequency of supply to at least one circuit being vari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12Pulse or frequency cou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가 회전시에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공급받고, 이미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 리플 펄스 범위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부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Apparatus for distinguishing driving of motor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차량용 모터는 차량에 제공되어 차량의 전장부품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공되었다.
이때, 종래 차량용 모터는 차량의 전장부품에 동력을 전달할 때에, 전장부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를 출력하여 차량의 전장부품에 동력을 전달하였다.
그런데, 종래 차량용 모터는 전장부품을 구동시키기 위한 현재 구동 전류가 적정 구동 전류에 맞게 출력하는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가 없으므로, 모터의 지속적인 회전시에 모터의 손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데에 한계가 있어 모터의 제작비용 또는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일예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0-0106514(2010.10.0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기 모터의 전기자 전류에 포함된 리플 전류를 검출하여 정류형 DC 모터 또는 이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 모터와 관련된 회전 요소의 회전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회전 요소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모터의 손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의 제작비용 또는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개선된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주행시에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가 이상(abnormal) 전류일 경우, 주의 운전을 유도하면서 현재 구동 전류를 적정 구동 전류인 목표 구동 전류 범위에 맞춰 보상시켜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0-0106514(2010.10.01)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손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모터의 제작비용 또는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는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행시에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를 효율적으로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 보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시에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가 회전시에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공급받고, 이미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부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는 2-pole 모터이고; 감지부는 2-pole 모터가 회전시에 2-pole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일정 주기 동안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는 4-pole 모터이고; 감지부는 4-pole 모터가 회전시에 4-pole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일정 주기 동안 오버레이(overlay)된 지점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판단부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보상시키는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판단부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보상시킴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에서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보상 완료할 때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보상 완료됨을 식별시키는 제 3 식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가 회전시에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제어부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판단부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제 1 식별부에서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감지 단계 이전에, 모터가 2-pole 모터로 제공되는 모터 준비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감지 단계는 2-pole 모터가 회전시에 2-pole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일정 주기 동안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감지 단계 이전에, 모터가 4-pole 모터로 제공되는 모터 준비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감지 단계는 4-pole 모터가 회전시에 4-pole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일정 주기 동안 오버레이(overlay)된 지점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판단 단계 이후에, 판단부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모터 구동 전류 보상부에서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보상시키는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판단 단계 이후에, 판단부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보상시킴을 제 2 식별부에서 식별시키는 제 2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 이후에,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에서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보상 완료할 때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보상 완료됨을 제 3 식별부에서 식별시키는 제 3 식별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모터의 손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모터의 제작비용 또는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주행시에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를 효율적으로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 보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셋째, 주행시에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가 모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감지부에서 2-pole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일정 주기 동안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파형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감지부에서 4-pole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일정 주기 동안 오버레이(overlay)된 지점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가 모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감지부에서 2-pole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일정 주기 동안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감지부에서 4-pole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일정 주기 동안 오버레이(overlay)된 지점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00)는 감지부(102)와 제어부(104) 및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를 포함한다.
감지부(102)는 모터(10)가 회전시에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P1, P2)중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RP1, RP2)를 감지하도록 제공된다.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02)는 2-pole 모터(10)가 회전시에 2-pole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P1)중 일정 주기 동안(T1, T2)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RP1)를 감지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02)는 4-pole 모터(10)가 회전시에 4-pole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P2)중 일정 주기 동안(T1, T2) 오버레이(overlay)된 지점(A1, A2)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RP2)를 감지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서, 감지부(10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현재 구동 전류를 감지하도록 전류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모터(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미도시)에 적용될 수가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미도시)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든 동력 제공 시스템(미도시)에 적용될 수가 있다.
제어부(104)는 감지부(102)에서 감지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RP1, RP2)를 공급받고, 이미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포함한다.
판단부(106)는 감지부(102)에서 감지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RP1,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도록 제공된다.
일예로, 판단부(106)는 감지부(102)에서 감지한 2-pole 모터(10)의 현재 구동 펄스(P1)중 일정 주기 동안(T1, T2)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RP1)가 시간당 기준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판단부(106)는 감지부(102)에서 감지한 4-pole 모터(10)의 현재 구동 펄스(P2)중 일정 주기 동안(T1, T2) 오버레이(overlay)된 지점(A1, A2)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RP2)가 시간당 기준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04)와 판단부(10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에 적용되는 메인 컴퓨터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하기 위한 통상적인 ECU(Electric Control Unit, 미도시) 또는 단일 칩 내부에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갖춰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하기 위한 통상적인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모든 제어 수단과 판단 수단이면 가능하다.
여기서, 제어부(104)와 판단부(106)는 통합형으로 ECU(Electric Control Unit, 미도시) 또는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로 제공될 수가 있고, 분리형으로 ECU(Electric Control Unit, 미도시) 또는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로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식별부(108)는 판단부(106)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RP1,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일예로, 제 1 식별부(108)는 판단부(106)에서 2-pole 모터(10)의 현재 구동 펄스(P1)중 일정 주기 동안(T1, T2)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RP1)가 시간당 기준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2-pole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1 식별부(108)는 판단부(106)에서 4-pole 모터(10)의 현재 구동 펄스(P2)중 일정 주기 동안(T1, T2) 오버레이(overlay)된 지점(A1, A2)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RP2)가 시간당 기준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4-pole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제 1 식별부(1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보기(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 및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기(미도시)의 경보 동작과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 및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과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 및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의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00)를 이용하여 차량용 모터의 구동을 판별하기 위한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5 내지 도 7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1 및 도2의 1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500, 600, 700)은 감지 단계(S502, S602, S702)와 판단 단계(S504, S604, S704) 및 제 1 식별 단계(S506, S606, S706)를 포함한다.
먼저, 감지 단계(S502)는 모터(도1 및 도2의 10)가 회전시에 모터(도1 및 도2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도3 및 도4의 P1, P2)중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를 감지부(도2의 102)에서 감지한다.
일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단계(S602) 이전에, 모터(도1 및 도2의 10)가 2-pole 모터(도1 및 도2의 10)로 제공되는 모터 준비 단계(S601)를 더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감지 단계(S602)는 2-pole 모터(도1 및 도2의 10)가 회전시에 2-pole 모터(도1 및 도2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도3의 P1)중 일정 주기 동안(도3의 T1, T2)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의 RP1)를 감지부(도2의 102)에서 감지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단계(S702) 이전에, 모터(도1 및 도2의 10)가 4-pole 모터(도1 및 도2의 10)로 제공되는 모터 준비 단계(S701)를 더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감지 단계(S702)는 4-pole 모터(도1 및 도2의 10)가 회전시에 4-pole 모터(도1 및 도2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도4의 P2)중 일정 주기 동안(도4의 T1, T2) 오버레이(overlay)된 지점(도4의 A1, A2)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4의 RP2)를 감지부(도2의 102)에서 감지할 수가 있다.
이 후, 판단 단계(S504)는 감지부(도2의 102)에서 감지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가 제어부(도2의 104)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도2의 104)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2의 106)에서 판단한다.
일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 단계(S604)는 감지부(도2의 102)에서 감지한 2-pole 모터(도1 및 도2의 10)의 현재 구동 펄스(도3의 P1)중 일정 주기 동안(도3의 T1, T2)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의 RP1)가 시간당 기준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도2의 104)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2의 106)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 단계(S704)는 감지부(도2의 102)에서 감지한 4-pole 모터(도1 및 도2의 10)의 현재 구동 펄스(도4의 P2)중 일정 주기 동안(도4의 T1, T2) 오버레이(overlay)된 지점(도4의 A1, A2)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4의 RP2)가 시간당 기준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제어부(도2의 104)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2의 106)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제 1 식별 단계(S506)는 판단부(도2의 106)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모터(도1 및 도2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제 1 식별부(도2의 108)에서 식별시킨다.
일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식별 단계(S606)는 판단부(도2의 106)에서 2-pole 모터(도1 및 도2의 10)의 현재 구동 펄스(도3의 P1)중 일정 주기 동안(도3의 T1, T2)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의 RP1)가 시간당 기준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2-pole 모터(도1 및 도2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제 1 식별부(도2의 108)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식별 단계(S706)는 판단부(도2의 106)에서 4-pole 모터(도1 및 도2의 10)의 현재 구동 펄스(도4의 P2)중 일정 주기 동안(도4의 T1, T2) 오버레이(overlay)된 지점(도4의 A1, A2)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4의 RP2)가 시간당 기준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4-pole 모터(도1 및 도2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제 1 식별부(도2의 108)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00) 및 그 판별 방법(500, 600, 700)은 감지부(102)와 제어부(104) 및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를 포함하여 감지 단계(S502, S602, S702)와 판단 단계(S504, S604, S704) 및 제 1 식별 단계(S506, S606, S706)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00) 및 그 판별 방법(500, 600, 700)은 모터(10)가 회전시에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를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로 감지하여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에 대한 이상(abnormal)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00) 및 그 판별 방법(500, 600, 700)은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를 효율적으로 감지하면서 현재 구동 전류에 대한 이상(abnormal) 상황을 빠르게 식별시킬 수가 있어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할 수가 있으므로, 모터(10)의 손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모터(10)의 제작비용 또는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8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00)와 동일하게 감지부(102)와 제어부(104) 및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8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2의 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800)는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810)를 더 포함한다.
즉,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810)는 판단부(106)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를 보상시키도록 제공된다.
일예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810)는 판단부(106)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의 RP1)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2-pole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의 RP1)를 보상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810)는 판단부(106)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4의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4-pole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4의 RP2)를 보상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810)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에 적용되는 메인 컴퓨터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보상하도록 구동 전류 조절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ECU(Electric Control Unit, 미도시) 또는 단일 칩 내부에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갖춰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보상하도록 구동 전류 조절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보상할 수 있는 모든 구동 전류 보상 수단이면 가능하다.
여기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810)는 제어부(104) 및 판단부(106)와 통합형으로 ECU(Electric Control Unit, 미도시) 또는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로 제공될 수가 있고, 분리형으로 ECU(Electric Control Unit, 미도시) 또는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로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800)를 이용하여 차량용 모터의 구동을 판별하기 위한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9 내지 도 11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8의 8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900, 1000, 11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2의 1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500, 600, 700)과 동일하게 감지 단계(S502, S602, S702)와 판단 단계(S504, S604, S704) 및 제 1 식별 단계(S506, S606, S70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8의 8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900, 1000, 1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2의 1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500, 600, 7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8의 8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900, 1000, 1100)은 판단 단계(S504, S604, S704) 이후에,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S908, S1008, S1108)를 더 수행한다.
일예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8의 8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900, 1000, 1100)은 제 1 식별 단계(S506, S606, S706) 이후에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S908, S1008, S1108)를 더 수행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8의 8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900, 1000, 110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판단 단계(미도시) 이후와 제 1 식별 단계(미도시) 이전에,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미도시)를 더 수행할 수가 있다.
또 다른 일예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8의 8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900, 1000, 110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식별 단계(미도시)와 동기화되어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미도시)를 더 수행할 수가 있다.
즉,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S908)는 판단부(도8의 106)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도8의 104)의 제어에 따라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도8의 8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를 보상시킨다.
일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S1008)는 판단부(도8의 106)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의 RP1)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도8의 104)의 제어에 따라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도8의 810)의 2-pole 모터(도8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의 RP1)를 보상시킬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S1108)는 판단부(도8의 106)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4의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제어부(도8의 104)의 제어에 따라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도8의 810)의 4-pole 모터(도8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4의 RP2)를 보상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800) 및 그 판별 방법(900, 1000, 1100)은 감지부(102)와 제어부(104) 및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 및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810)를 포함하여 감지 단계(S502, S602, S702)와 판단 단계(S504, S604, S704) 및 제 1 식별 단계(S506, S606, S706)와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S908, S1008, S1108)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800) 및 그 판별 방법(900, 1000, 1100)은 모터(10)가 회전시에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를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로 감지하여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에 대한 이상(abnormal)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800) 및 그 판별 방법(900, 1000, 1100)은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를 효율적으로 감지하면서 현재 구동 전류에 대한 이상(abnormal) 상황을 빠르게 식별시킬 수가 있어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할 수가 있으므로, 모터(10)의 손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모터(10)의 제작비용 또는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800) 및 그 판별 방법(900, 1000, 1100)은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를 보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800) 및 그 판별 방법(900, 1000, 1100)은 주행시에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를 효율적으로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 보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20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8의 800)와 동일하게 감지부(102)와 제어부(104) 및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 및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8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2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8의 8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200)는 제 2 식별부(1209)를 더 포함한다.
즉, 제 2 식별부(1209)는 판단부(106)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를 보상시킴을 식별시킨다.
일예로, 제 2 식별부(1209)는 판단부(106)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의 RP1)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2-pole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의 RP1)를 보상시킴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2 식별부(1209)는 판단부(106)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4의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4-pole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4의 RP2)를 보상시킴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제 2 식별부(1209)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보기(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 및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기(미도시)의 경보 동작과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 및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과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 및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의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를 보상시킴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200)를 이용하여 차량용 모터의 구동을 판별하기 위한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13 내지 도 15와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12의 12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1300, 1400, 150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8의 8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도9 내지 도11의 900, 1000, 1100)과 동일하게 감지 단계(S502, S602, S702)와 판단 단계(S504, S604, S704) 및 제 1 식별 단계(S506, S606, S706)와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S908, S1008, S11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12의 12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1300, 1400, 1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8의 8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도9 내지 도11의 900, 1000, 1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12의 12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1300, 1400, 1500)은 판단 단계(S504, S604, S704) 이후에, 제 2 식별 단계(S1307, S1407, S1507)를 더 수행한다.
일예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12의 12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1300, 1400, 1500)은 제 1 식별 단계(S506, S606, S706) 이후와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S908, S1008, S1108) 이전에, 제 2 식별 단계(S1307, S1407, S1507)를 더 수행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12의 12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1300, 1400, 150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미도시)와 동기화되어 제 2 식별 단계(미도시)를 더 수행할 수가 있다.
즉, 제 2 식별 단계(S1307)는 판단부(도12의 106)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제어부(도12의 104)의 제어에 따라 모터(도12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를 보상시킴을 제 2 식별부(도12의 1209)에서 식별시킨다.
일예로, 제 2 식별 단계(S1407)는 판단부(도12의 106)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의 RP1)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제어부(도12의 104)의 제어에 따라 2-pole 모터(도12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의 RP1)를 보상시킴을 제 2 식별부(도12의 1209)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2 식별 단계(S1507)는 판단부(도12의 106)에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4의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제어부(도12의 104)의 제어에 따라 4-pole 모터(도12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4의 RP2)를 보상시킴을 제 2 식별부(도12의 1209)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200) 및 그 판별 방법(1300, 1400, 1500)은 감지부(102)와 제어부(104) 및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 및 제 2 식별부(1209)와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810)를 포함하여 감지 단계(S502, S602, S702)와 판단 단계(S504, S604, S704) 및 제 1 식별 단계(S506, S606, S706)와 제 2 식별 단계(S1307, S1407, S1507) 및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S908, S1008, S1108)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200) 및 그 판별 방법(1300, 1400, 1500)은 모터(10)가 회전시에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를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로 감지하여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에 대한 이상(abnormal)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200) 및 그 판별 방법(1300, 1400, 1500)은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를 효율적으로 감지하면서 현재 구동 전류에 대한 이상(abnormal) 상황을 빠르게 식별시킬 수가 있어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할 수가 있으므로, 모터(10)의 손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모터(10)의 제작비용 또는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200) 및 그 판별 방법(1300, 1400, 1500)은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를 보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200) 및 그 판별 방법(1300, 1400, 1500)은 주행시에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를 효율적으로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 보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200) 및 그 판별 방법(1300, 1400, 1500)은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를 보상시킴을 식별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200) 및 그 판별 방법(1300, 1400, 1500)은 운전자에게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를 보상시킴을 인지시킬 수가 있으므로, 주행시에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제 4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60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8의 800)와 동일하게 감지부(102)와 제어부(104) 및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 및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8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8의 8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600)는 제 3 식별부(1612)를 더 포함한다.
즉, 제 3 식별부(1612)는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구동 전류 리플 펄스 보상부(810)에서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를 보상 완료할 때에,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보상 완료됨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
일예로, 제 3 식별부(1612)는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구동 전류 리플 펄스 보상부(810)에서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를 보상 완료할 때에,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2-pole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보상 완료됨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3 식별부(1612)는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구동 전류 리플 펄스 보상부(810)에서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를 보상 완료할 때에,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4-pole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보상 완료됨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제 3 식별부(161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보기(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 및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기(미도시)의 경보 동작과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 및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과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 및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의 HUD(Head-UP Display)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보상 완료됨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600)를 이용하여 차량용 모터의 구동을 판별하기 위한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17 내지 도 19와 같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16의 16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1700, 1800, 190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8의 8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도9 내지 도11의 900, 1000, 1100)과 동일하게 감지 단계(S502, S602, S702)와 판단 단계(S504, S604, S704) 및 제 1 식별 단계(S506, S606, S706)와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S908, S1008, S11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16의 16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1700, 1800, 19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8의 8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도9 내지 도11의 900, 1000, 1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도16의 1600)의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1700, 1800, 1900)은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S908, S1008, S1108) 이후에, 제 3 식별 단계(S1710, S1810, S1910)를 더 수행한다.
즉, 제 3 식별 단계(S1710)는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구동 전류 리플 펄스 보상부(도16의 810)에서 모터(도16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를 보상 완료할 때에, 제어부(도16의 104)의 제어에 따라 모터(도16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가 보상 완료됨을 제 3 식별부(도16의 1612)에서 식별시킨다.
일예로, 제 3 식별 단계(S1810)는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구동 전류 리플 펄스 보상부(도16의 810)에서 모터(도16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의 RP1)를 보상 완료할 때에, 제어부(도16의 104)의 제어에 따라 2-pole 모터(도16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의 RP1)가 보상 완료됨을 제 3 식별부(도16의 1612)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3 식별 단계(S1910)는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구동 전류 리플 펄스 보상부(도16의 810)에서 모터(도16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4의 RP2)를 보상 완료할 때에, 제어부(도16의 104)의 제어에 따라 4-pole 모터(도16의 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4의 RP2)가 보상 완료됨을 제 3 식별부(도16의 1612)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600) 및 그 판별 방법(1700, 1800, 1900)은 감지부(102)와 제어부(104) 및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 및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810) 및 제 3 식별부(1612)를 포함하여 감지 단계(S502, S602, S702)와 판단 단계(S504, S604, S704) 및 제 1 식별 단계(S506, S606, S706)와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S908, S1008, S1108) 및 제 3 식별 단계(S1710, S1810, S1910)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600) 및 그 판별 방법(1700, 1800, 1900)은 모터(10)가 회전시에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를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로 감지하여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에 대한 이상(abnormal) 상황을 식별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600) 및 그 판별 방법(1700, 1800, 1900)은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를 효율적으로 감지하면서 현재 구동 전류에 대한 이상(abnormal) 상황을 빠르게 식별시킬 수가 있어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할 수가 있으므로, 모터(10)의 손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모터(10)의 제작비용 또는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600) 및 그 판별 방법(1700, 1800, 1900)은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날 경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를 보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600) 및 그 판별 방법(1700, 1800, 1900)은 주행시에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를 효율적으로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 보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600) 및 그 판별 방법(1700, 1800, 1900)은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를 보상 완료할 때에,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가 보상 완료됨을 식별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1600) 및 그 판별 방법(1700, 1800, 1900)은 운전자에게 모터(10)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도3 및 도4의 RP1, RP2)가 보상 완료됨을 인지시킬 수가 있으므로, 주행시에 주의 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모터가 회전시에 상기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공급받고, 이미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보상시키는 구동 전류 리플 펄스 보상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2-pole 모터이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2-pole 모터가 회전시에 상기 2-pole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일정 주기 동안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4-pole 모터이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4-pole 모터가 회전시에 상기 4-pole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일정 주기 동안 오버레이(overlay)된 지점의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보상시킴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상기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부에서 상기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보상 완료할 때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보상 완료됨을 식별시키는 제 3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8. 모터가 회전시에 상기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에 해당하는 현재 구동 펄스중 시간당 현재 구동 전류 변화율에 따른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감지 단계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제어부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제 1 식별부에서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 및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가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리플 펄스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목표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범위에 맞춰지도록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모터 구동 전류 보상부에서 상기 모터의 현재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를 보상시키는 구동 전류 리플(ripple) 펄스 보상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098222A 2013-08-20 2013-08-20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KR101486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222A KR101486278B1 (ko) 2013-08-20 2013-08-20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222A KR101486278B1 (ko) 2013-08-20 2013-08-20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278B1 true KR101486278B1 (ko) 2015-01-26

Family

ID=5259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222A KR101486278B1 (ko) 2013-08-20 2013-08-20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2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000B1 (ko) * 2015-06-15 2016-12-20 주식회사 만도 모터 단선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2116A (ja) * 2007-07-12 2009-01-29 Toyota Motor Corp モータリップル検出装置
KR20100108013A (ko) * 2009-03-27 2010-10-06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력 제어방법
JP2013042614A (ja) * 2011-08-18 2013-02-28 Fujitsu Telecom Networks Ltd 電子サーマル保護装置と電子サーマル保護装置の動作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2116A (ja) * 2007-07-12 2009-01-29 Toyota Motor Corp モータリップル検出装置
KR20100108013A (ko) * 2009-03-27 2010-10-06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력 제어방법
JP2013042614A (ja) * 2011-08-18 2013-02-28 Fujitsu Telecom Networks Ltd 電子サーマル保護装置と電子サーマル保護装置の動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000B1 (ko) * 2015-06-15 2016-12-20 주식회사 만도 모터 단선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87688B (zh) 用于电动马达转矩监测的方法和设备
JP5345192B2 (ja) 電動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8099525A (ja) 発電制御装置
KR20160006056A (ko) 레졸버 고장판단 방법
KR101428387B1 (ko) 차량용 쿨링팬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70106015A (ko) 타이어 압력 추정 장치 및 그 추정 방법
US20130342143A1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of synchronous motor with amplifier protection function
KR101486278B1 (ko) 차량용 모터 구동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KR101576055B1 (ko) 차량 거리 간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4257A (ko)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484472A (zh) 用于故障保护电动助力转向的方法和设备
JP2007181330A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102544498B1 (ko) 모터 회전속도 보상장치 및 그 보상방법
KR102396540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70712A (ko) 승객 하차 보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KR101822914B1 (ko) 모터 위치 판별 장치 및 그 판별 방법
JP5902051B2 (ja) 画像監視装置、車両、プログラム、および故障判別方法
KR20140092025A (ko) 차선 보조 장치 및 그 보조 방법
KR101896502B1 (ko) 차량용 epb 장치의 고장 판별 장치 및 그 고장 판별 방법
KR101853781B1 (ko) 브레이크 페달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69255B1 (ko) 모터 제어 장치 및 모터 제어 방법
KR101486275B1 (ko) 전동식 부스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1526B1 (ko) 차량용 유압 제어 장치 및 그 유압 제어 방법
KR101717554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8065B1 (ko) 전기 부스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