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267B1 -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267B1
KR101486267B1 KR20130048010A KR20130048010A KR101486267B1 KR 101486267 B1 KR101486267 B1 KR 101486267B1 KR 20130048010 A KR20130048010 A KR 20130048010A KR 20130048010 A KR20130048010 A KR 20130048010A KR 101486267 B1 KR101486267 B1 KR 101486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vehicle
information
wirele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567A (ko
Inventor
강희석
문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Priority to KR2013004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26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9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11Point data, e.g. Point of Interest [POI]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여 GPS 기반의 POI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포함한 스마트기기와; 이동정보 좌표값을 수집하여 위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GPS 모듈과,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무선연결 요청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무선연결 요청에 포함되는 식별정보에 인지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와의 연결세션을 설정하며 상기 스마트기기와 연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GPS 모듈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를 스마트기기 및 관제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기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망을 제공하는 다종 통신 송수신부 및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각 구성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차량 인식 장치; 및 상기 스마트기기에 GIS 기반의 맵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맵 상에 기등록된 POI 지점에 차량이 인접하는 경우 알림 신호와 함께 해당 POI 정보를 상기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Wireless position recognition syste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여 GPS 기반의 POI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위치 기반의 광고 서비스, 구난차량 관제 서비스 및 버스정보 시스템 등을 포함한 다양한 차량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이란 주로 차량에 장착되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가 설정하는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한 경로를 안내해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네비게이션의 경우 사용자가 목적지의 주소 또는 명칭 등을 직접 입력하여 목적지를 선택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목적지의 주소를 알지 못하거나 네비게이션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찾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모바일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의 보급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 중 GPS(Global Position System)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가 스마트폰 기반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중 핵심 서비스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이, GPS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정확한 목적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는 종래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에 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기존에 제공되는 GPS 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폰 기반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목적지 정보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를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의 포맷으로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목적지의 위치에 대한 참고만 가능할 뿐이므로, 사용자가 목적지에 정확히 도착하기 위해 별도로 네비게이션이 제공하는 지도 화면을 통하여 목적지를 검색하는 과정을 거쳐야하므로 위치 정보의 활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2-0071957(2012.7.3.)호에서는 사용자가 목적지의 위치에 대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POI(Point Of Interest) 정보를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로 직접 수신받아 활용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되었으나,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각종 내비게이션 및 시판되고 있는 차량용 제품들은 제작 업체가 아닌 경우 업무 또는 상황에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을뿐더러 다른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2-0071957(2012.7.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여 GPS 기반의 POI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차량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은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포함한 스마트기기와; 이동정보 좌표값을 수집하여 위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GPS 모듈과,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무선연결 요청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무선연결 요청에 포함되는 식별정보에 인지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와의 연결세션을 설정하며 상기 스마트기기와 연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GPS 모듈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를 스마트기기 및 관제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기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망을 제공하는 다종 통신 송수신부 및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각 구성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차량 인식 장치; 및 상기 스마트기기에 GIS 기반의 맵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맵 상에 기등록된 POI 지점에 차량이 인접하는 경우 알림 신호와 함께 해당 POI 정보를 상기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은 중앙 관제 센터와 연결되어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차량이 인접한 경우 알림 신호와 함께 해당 정보를 상기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재난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무선 차량 인식 장치의 다종 통신 송수신부는 WIFI 통신 모듈, CDMA 통신모듈, WCDMA 통신모듈 및 BlueTooth 통신모듈 중 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다종 통신 송수신부는 상기 스마트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 각 통신모듈 별로 통신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순차적으로 통신 접속을 시도하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무선 차량 인식 장치는 USB, SD Memory Socket, LED, Audio Codec 및 USB to JTA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무선 차량 인식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차량의 주행 거리 및 이동 경로를 포함한 차량 이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인식 장치를 통해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여 GPS 기반의 POI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차량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은 차량 인식 장치에서 차량의 주행 정보 이동 경로 정보 등을 백업하게 함으로써 차량관리가 필요한 소규모 영세 사업장에서도 최적화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수집된 차량 이력 정보는 차량 관련 통계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다종 통신 송수신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의 서비스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의 개념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인식 장치(200)가 다종의 무선 통신망을 제공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포함한 스마트기기(100)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인식 장치는(200) 고유의 식별코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유의 식별코드는 차량 번호로 설정되어 차량 인식 장치(200)가 구비된 운행 차량을 인식하거나 해당 차량의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추후 차량 이력 정보 관리로 각종 차량 관련 통계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인식 장치(200)는 GPS 모듈(210)이 내재되어 실시간 이동정보 좌표값을 수집하고 이를 통하여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인식 장치(200)와 스마트기기(100)를 다종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도록 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서비스 제공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예를 들어 GPS 기반의 POI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위치기반의 푸시 광고 서비스, 구난차량 관제 서비스 등을 포함한 다양한 차량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다종 통신 송수신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의 서비스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인식 장치(200)는 GPS 모듈(210)과 제어부(220)와 다종 통신 송수신부(230) 및 전원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GPS 모듈(210)은 실시간으로 이동정보 좌표값을 수집하게 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GPS 모듈(21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를 통해 차량의 주행 정보 내지 이동 경로 정보를 파악하며 이를 저장하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스마트기기(100)와의 동기화에 의해 상기 차량 인식 장치(200)와 차량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스마트기기(100)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접속됨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100)에서 무선연결 요청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무선연결 요청에 포함되는 식별정보에 인지하여 상기 스마트기기(100)와의 연결 세션을 설정하며 상기 스마트기기(100)와 연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제어부(22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기기(100)와 세션을 연결하고 제어 명령을 상기 스마트기기(100)로 전송하여 스마트기기(100)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20)는 무선 연결요청이 발생하면 무선 연결요청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차량 인식 장치(200)와 스마트기기(100) 사이에 세션을 설정한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스마트기기(100)를 구분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별자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20)는 세션을 설정하여 차량 인식 장치(200)와 스마트기기(1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채널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220)는 수동 조작 즉, 외부 조작을 입력받아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망이 선택될 수 있으며, 선택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출되는 무선 연결요청에 대해 스마트기기(100)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차량 인식 장치(200)와 스마트기기(100) 사이에 채널로서의 세션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20)가 BlueTooth와 연관된 세션 연결을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20)는 BlueTooth 통신 모듈 검색과 비밀번호 설정에 따른 패어링을 실행하여 무선 통신망으로 BlueTooth를 선택한다.
반면, WIFI과 연관된 세션 연결을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220) WIFI의 보안 설정에 따른 접속 상태를 할당하여 무선 통신망으로 WIFI를 선택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설정된 세션을 통해 차량 인식 장치(200)와 스마트기기(100)에 연관된 단말정보를 교환하여 차량 인식 장치(200)와 스마트기기(100)를 데이터 동기화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이러한 데이터 동기화를 통해 차량 인식 장치(200)와 스마트기기(100) 사이의 세션을 경유하여 데이터가 원활하게 송수신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20)는 차량 인식 장치(200)와 상기 스마트기기와의 통신 장애 발생 시 장애 내역을 판단하고 이를 기록함으로써 추후 통신 장애에 대한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다종 통신 송수신부(230)는 실질적으로 상기 차량 인식 장치(200)와 스마트기기(10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어부(220)에 의해 설정된 세션을 통해 제어신호의 전송상태와 관련한 회신신호를 상기 스마트기기(10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다종 통신 송수신부(230)는 회신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알맞은 조치를 실행하고자 회신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20)에 제공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220)는 회신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조정하는 조정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조정신호를 다종 통신 송수신부(230)를 통해 스마트기기(1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차량 인식 장치(200)는 제어신호로부터 조정된 조정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정신호에 따라 스마트기기와(100) 연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종 통신 송수신부(2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기기(10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어느 한 통신망을 선택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다종 통신 송수신부(230)는 상기 스마트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통신망에 각각 우선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우선 순위에 의해 어느 한 통신망이 접속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상기 다종 통신 송수신부(230)는 상기 스마트기기(100)와 통신 접속을 위해 우선순위에 따라 각각 무선 통신망이 접속을 시도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기기(100)에서 설정 상 제 1순위인 BlueTooth와 제 2순위인 WIFI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면 이를 파악하고 차순위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연결을 시도하게 된다.
이러한 다종 통신 송수신부(230)는 다양한 무선 통신망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종 통신 송수신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WIFI 통신모듈(231), CDMA 통신모듈(232), WCDMA 통신모듈(233) 및 BlueTooth 통신모듈(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40)는 차량 인식 장치(200)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차량 인식 장치(200)의 각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24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각 구성의 입력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컨버터와 같이 전원변환모듈과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한 안정회로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인식 장치(200)와 연동되는 스마트기기(100)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스마트기기(100)에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맵(Map)과 상기 맵 상에서 차량의 이동경로를 표시하며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App)을 제공한다.
일 예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본적으로 맵 상에 기등록된 POI 지점에 차량이 인접하는 경우 알림 신호와 함께 해당 POI(Point Of Interest) 정보를 상기 스마트기기(100)로 전송하게 되며 설정에 따라 주요 포인트에 근접할 경우 광고 서비스가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서비스 실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OI 지점은 관광명소는 물론 주유소, 식당, 마트, 약국 등의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장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설정한 POI에 대한 길 안내 수락시 해당 POI로 최적의 검색하여 차량을 유도하도록 한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지도 맵은 물론 POI 등록 지점에 대한 정기적인 업데이트 및 펌웨어 수정 등을 통해 서비스의 최적화를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최초로 맵과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후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며, 이러한 서비스 실행은 상기 차량 인식 장치(200)가 상기 스마트기기(100)와 무선 통신망으로 접속될 경우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위치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에 더하여 재난 서버(400)를 더 포함함으로써 구난차량 관제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재난 서버(400)는 기상청 또는 소방방재청의 중앙 관제 센터와 연계되어 날씨 정보, 자연재해 및 재난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이러한 재난 서버(400)는 이러한 수신 정보를 기반으로 재난 발생 지역에 차량이 인접한 경우 알림 신호와 함께 해당 재난 정보를 상기 스마트기기(1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난 장소와 정보를 인지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재난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상기 재난 서버(400)는 실시간 재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있도록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100)와 상시 접속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인식 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250)와 인터페이스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250)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 내역이 저장되는데 상기 GPS 모듈(21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를 통해 차량의 주행 정보 내지 이동 경로 정보는 물론 스마트기기(100)와의 통신 시 통신 장애 내역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인식 장치(200)의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된 메모리부(250)의 구성을 통해 차량 이력정보 관리로 각종 차량 관련 통계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60)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USB, SD Memory Socket, LED, Audio Codec, USB to JTAG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60)는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거나 차량 인식 장치(200)의 상태 표시 및 외부 확장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 백업의 경우, USB나 SD카드의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260)는 상기 제어부(220)와 연동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메모리를 인식하여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메모리에 바로 백업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 스마트 기기 200 : 차량 인식 장치
210 : GPS 모듈 220 : 제어부
230 : 무선 통신 송수신부 240 : 전원부
300 : 서비스 제공 서버 400 : 재난 서버

Claims (6)

  1.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포함한 스마트기기와;
    이동정보 좌표값을 수집하여 위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GPS 모듈과,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무선연결 요청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무선연결 요청에 포함되는 식별정보에 인지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와의 연결세션을 설정하며 상기 스마트기기와 연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GPS 모듈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를 스마트기기 및 관제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스마트기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망을 제공하는 다종 통신 송수신부 및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각 구성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차량 인식 장치;
    상기 스마트기기에 GIS 기반의 맵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맵 상에 기등록된 POI 지점에 차량이 인접하는 경우 알림 신호와 함께 해당 POI 정보를 상기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중앙 관제 센터와 연결되어 날씨 정보, 자연 재해 및 재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차량이 인접한 경우 알림 신호와 함께 해당 정보를 상기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재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다종 통신 송수신부는,
    WIFI 통신 모듈, CDMA 통신모듈, WCDMA 통신모듈 및 BlueTooth 통신모듈 중 둘 이상을 포함하며,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통신 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세션을 통해 제어신호의 전송상태와 관련한 회신신호를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회신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조정하는 조정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다종 통신 송수신부를 통해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차량 인식 장치는
    USB, SD Memory Socket, LED, Audio Codec 및 USB to JTA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차량 인식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차량의 주행 거리 및 이동 경로를 포함한 차량 이력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
KR20130048010A 2013-04-30 2013-04-30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 KR101486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010A KR101486267B1 (ko) 2013-04-30 2013-04-30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010A KR101486267B1 (ko) 2013-04-30 2013-04-30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567A KR20140129567A (ko) 2014-11-07
KR101486267B1 true KR101486267B1 (ko) 2015-01-28

Family

ID=5245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8010A KR101486267B1 (ko) 2013-04-30 2013-04-30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3538A (zh) * 2014-12-13 2015-03-25 广西科技大学 基于定位的物流车辆监控系统
CN106809218B (zh) * 2015-11-27 2019-10-0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模式选择方法、系统及车辆
CN107835505A (zh) * 2017-10-20 2018-03-23 丁文斌 一种室内外定位技术
KR102415453B1 (ko) * 2021-11-26 2022-07-05 (주)엔토포스 지능형 공간정보를 활용한 자율주행차량자료와 지리정보체계 자료처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393A (ko) * 2004-04-30 2005-11-04 자바정보기술 주식회사 차량 위치추적 시스템
KR20100051900A (ko) * 2008-10-28 2010-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 연동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122195A (ko) * 2009-05-12 2010-11-22 팅크웨어(주) 내비게이션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들의 동작 방법
KR101096376B1 (ko) * 2011-04-06 2011-12-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단말 및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운행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393A (ko) * 2004-04-30 2005-11-04 자바정보기술 주식회사 차량 위치추적 시스템
KR20100051900A (ko) * 2008-10-28 2010-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 연동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122195A (ko) * 2009-05-12 2010-11-22 팅크웨어(주) 내비게이션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들의 동작 방법
KR101096376B1 (ko) * 2011-04-06 2011-12-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단말 및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 운행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567A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4286B1 (en) Selecting vehicle pickup location
US10205510B2 (en) Multi-input and multi-output (MIMO)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atellite service
JP4620054B2 (ja) 携帯端末とこれを用いた無線品質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US909479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users
CN109936816B (zh) 定位方法和通信设备
US9414425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CN103064980A (zh) 基于移动终端及gps查询景点信息的方法和系统
CN104052539A (zh) 智能手机利用北斗终端使用卫星通讯的方法和装置
CN103442100A (zh) 物流过程中的动态收件地址的实现方式
CN101577057A (zh) 一种实现公交查询业务的方法、系统及移动终端
KR101486267B1 (ko) 다목적 차량 무선 인식 시스템
JP2006217498A (ja) 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情報収集サーバ、情報通知システム、情報通知方法および情報収集方法
CN105451329B (zh) 一种定位方法及电子设备
CN105208130A (zh) 景点解说方法及系统、服务器、终端
US9936371B2 (en) Discovery message transmission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KR20120045172A (ko) 픽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픽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정보 제공 장치, 그리고 그의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97079B1 (ko) WiFi를 이용한 공공 교통 수단 내에 위치한 휴대 기기의 위치 추정 방법
JP2005027239A (ja) 情報供給システム、情報供給方法、情報要求装置、情報要求方法、情報中継装置、情報中継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761822A (zh) 一种消息发送方法和移动终端
CN101662492B (zh) 点对点无线移动通讯互动系统及其互动方法
US20210350637A1 (en) Device and software enabling vehicle-to-everything capabilities in on-board diagnostics based vehicles and a platform accessing and managing data of nearby vehicle-to-everything capable vehicles
US923256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0488177B1 (ko)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15453B1 (ko) 지능형 공간정보를 활용한 자율주행차량자료와 지리정보체계 자료처리 시스템
CN112054834A (zh) 兼容vslam的卫星差分定位服务系统及提供位置服务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