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103B1 -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103B1
KR101486103B1 KR1020107000991A KR20107000991A KR101486103B1 KR 101486103 B1 KR101486103 B1 KR 101486103B1 KR 1020107000991 A KR1020107000991 A KR 1020107000991A KR 20107000991 A KR20107000991 A KR 20107000991A KR 101486103 B1 KR101486103 B1 KR 101486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or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ave
arcua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201A (ko
Inventor
히로유끼 하따께나까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27Tear-lines for separating a package into individual pac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86Ornamental, decorative, pattern, or indic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7Parallel ribs and/or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착체에 깨끗하게 첩부시킬 수 있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 (A)는 시트상 기재 (1)과, 이 시트상 기재 (1)의 일면에 적층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층 (2)로서, 표면에 볼록 원호형 홈부 (31)과 오목 원호형 홈부 (32)가 교대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파형 홈부 (3)을 복수개 갖는 상기 점착제층 (2)를 가지고, 복수개의 상기 파형 홈부 (3)은 상기 파형 홈부 (3)의 진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형 홈부 (3)의 진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임의의 2개의 파형 홈부를 각각 한쪽 파형 홈부 (3a)와 다른쪽 파형 홈부 (3b)로 하였을 때에, 상기 한쪽 파형 홈부 (3a)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의 합계 파장 (S1)과, 상기 다른쪽 파형 홈부 (3b)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로서, 상기 한쪽 파형 홈부 (3a)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상기 오목 원호형 홈부 (32a)에 대응하는 상기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상기 오목 원호형 홈부 (32b)의 합계 파장 (S2)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착 시트{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과 이 점착 시트를 첩부하는 피착체의 표면 사이에 공기가 모이는 곳을 발생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점착 시트에 요철을 발생시키지 않고 점착 시트를 피착체 표면에 깨끗하게 첩부시킬 수 있는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합성 수지 시트로 이루어지는 시트상 기재의 일면에 점착제층이 적층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가 다수 제공되었다. 또한, 이들 점착 시트는 각각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품질이 요구되지만, 표면 화장 장식용으로 이용되는 점착 시트는 건축물 벽면이나 그 밖의 집기 등의 표면 외관 장식을 위해서 이용되기 때문에, 색채나 장식 등에 높은 의장성이 요구된다.
또한, 점착 시트를 피착체 표면에 첩부할 때에는, 점착 시트를 그 임의의 말단 가장자리로부터 스퀴지 등의 첩부 지그를 이용하여 피착체 표면에 대하여 압박하여,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피착체에 서서히 첩부시켰다.
그러나,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과 이에 대향하는 피착체 표면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 공기가 모이는 곳이 발생하고, 이 공기가 모이는 곳에서 기인하여 표면 화장용 점착 시트 표면에 요철이 생겨, 피착체에 첩부된 점착 시트의 외관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는,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에 격자상의 홈부를 형성하고, 이 홈부를 통해,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과 이에 대향하는 피착체의 표면에 들어간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상기 격자상의 홈부는 서로 평행한 다수개의 홈부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며, 이들 홈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다수개의 홈부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었고, 홈부 사이의 피치를 약 400 μm 이하로 한정하였다.
홈부 사이의 피치가 약 400 μm 이하로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홈부 사이에 형성된 볼록부도 매우 미세하다. 한편, 점착 시트를 피착체 표면에 첩부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첩부 지그를 점착 시트의 표면에 대고 꽉 누를 때, 이 첩부 지그의 압력은 홈부 사이에 형성된 볼록부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볼록부가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첩부 지그에 의한 압박력에 의해서 볼록부가 용이하게 변형되고, 그 결과로 점착 시트의 표면에 요철이 생겨, 점착 시트의 외관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홈부 사이의 피치를 넓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홈부의 피치가 너무 넓어지면, 홈부 사이에 형성된 볼록부와 이에 대향하는 피착체 표면 사이에 공기가 들어간 경우에, 이 공기를 원활하게 홈부로 유도할 수 없어, 볼록부와 이에 대향하는 피착체 표면의 대향면 사이에 공기가 저장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인간의 눈은 규칙적으로 형성된 것에 대해서는 특히 인식하기 쉽다고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점착제층에 작은 피치이며 규칙적으로 격자상으로 홈부가 형성된 점착 시트에서는, 점착 시트의 시트상 기재를 통해 홈부가 시인(視認)되기 쉬웠다. 그 때문에, 점착 시트의 시트상 기재 표면에 인쇄된 장식 모양이나 문자 등의 무늬가 홈부에 의해 손상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점착 필름 본체와, 점착 필름 본체의 일면에 적층 일체화된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가공 필름으로서, 점착층의 점착면에 미세한 홈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가공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홈부의 형성 패턴으로서, 격자상, 파선상, 지그재그선상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홈부는, 소정의 형상이 일정 주기로 반복되어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인간의 눈에 인식되기 쉽고, 점착 필름 본체를 통해 홈부가 시인되고, 점착 필름 본체의 표면에 인쇄된 장식 모양 등이 홈부에 의해 손상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중합체 필름과 감압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부착품으로서, 감압 접착제의 표면에는 소정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홈부는 규칙적인 패턴으로 배치될 수도 랜덤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단락 번호[0009]).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홈을 규칙적인 패턴으로 배치하면 중합체 필름 본체의 표면에 인쇄된 장식 모양 등이 홈에 의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홈부를 랜덤한 패턴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홈부의 패턴은 개시되어 있지 않고, 홈부를 단순히 랜덤하게 형성한 것만으로는, 감압 접착제와 피착체 사이에 들어간 공기가 홈부를 통해 잘 배출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홈부가 중합체 필름을 통해 시인되어 상술한 바와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WO2003/02507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138541호 공보 일본 특허 제3550096호 공보
본 발명은 피착체 표면에 첩부하였을 때에 점착제층과 이에 대향하는 피착체 표면 사이에 공기가 모이는 곳을 발생시키기 어려우며, 피착체 표면에 첩부하였을 때에 표면에 요철이 생기기 어려운 점착 시트로서, 또한 점착제층에 형성한 파형 홈부를 시인하기 어렵게 하여, 표면에 인쇄된 장식 모양이나 문자 등의 무늬를 손상시키지 않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시트상 기재와, 이 시트상 기재의 일면에 적층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으로서, 표면에 볼록 원호형 홈부와 오목 원호형 홈부가 교대로 연속해서 이루어지는 파형 홈부를 복수개 갖는 상기 점착제층을 가지고, 복수개의 상기 파형 홈부는 상기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임의의 2개의 파형 홈부를 각각 한쪽 파형 홈부 및 다른쪽 파형 홈부로 하였을 때에, 상기 한쪽 파형 홈부를 구성하고 있는 서로 연속되는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과, 상기 다른쪽 파형 홈부를 구성하고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로서, 상기 한쪽 파형 홈부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상기 오목 원호형 홈부에 대응하는 상기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상기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시트상 기재와 이 시트상 기재의 일면에 적층 일체화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제층은 그의 표면에 볼록 원호형 홈부와 오목 원호형 홈부가 교대로 연속해서 이루어지는 파형 홈부를 복수개 가지고, 복수개의 상기 파형 홈부는 상기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 사이에서, 한쪽 파형 홈부를 구성하고 있는 서로 연속되는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과, 이들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에 대하여 상기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대응하는 다른쪽 파형 홈부를 구성하고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 시트에 있어서,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가 sin 함수로 그려지는 원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 시트에 있어서, 진폭 방향으로 반복 형성된 복수개의 파형 홈부 중에, 연속되는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이 일정 길이를 갖는 파형 홈부를 포함하는 제1 블록부와, 연속되는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가 상기 파형 홈부의 상기 합계 파장과는 다른 합계의 파장을 갖는 파형 홈부를 포함하는 제2 블록부를 갖는 파형 홈부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 시트에 있어서, 파형 홈부의 진폭이 일정하고, 진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의 정점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 시트에 있어서,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끼리가 연결 홈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형 홈부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파형 홈부 사이에는 볼록형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형 점착부는, 파형 홈부끼리가 근접한, 소위 면적이 작은 부분과, 파형 홈부가 서로 떨어진, 소위 면적이 큰 부분이 불규칙하게 형성된다.
점착 시트를 피착체 표면에 첩부시킬 때에 첩부 지그를 점착 시트의 표면으로 압박하여 행하는 경우에도, 첩부 지그에 의한 압박력을 볼록형 점착부 면적이 큰 부분이 안정적으로 받아들인다. 그 때문에, 점착제층이 변형되어 점착 시트 표면에 요철이 생겨, 피착체 표면에 첩부된 점착 시트의 외관이 저하되도록 하는 일은 없고, 점착 시트의 표면에 장식 모양이나 문자 등의 무늬가 그려져 있는 경우에는 그 무늬 표시가 깨끗하며 선명해진다.
점착 시트를 피착체 표면에 첩부할 때에,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과 이에 대향하는 피착체 표면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더라도, 첩부 지그에 의해 점착 시트 표면을 문지르는 방향의 여하에 상관없이, 점착 시트와 피착체와의 대향면 사이에 들어간 공기를 특히 볼록형 점착부의 면적이 작은 부분을 통해 파형 홈부로 유도하여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점착 시트를 공기가 모이는 곳의 발생없이 피착체 표면에 원활하게 첩부시킬 수 있다. 이 효과는, 첩부 지그에 의해 점착 시트 표면을 문지르는 방향에 관계없이 얻어진다.
또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에 형성된 서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끼리는, 그의 진폭 방향으로 대응하는 형상이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간의 눈은 규칙적인 모양에 대하여 인식 능력이 높은 것에 비하여, 규칙성이 없는 것에 대해서는 인식 능력이 낮다. 따라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에 형성된 파형 홈부는 시트상 기재를 통해 인식되기 어려워, 점착 시트의 표면에 그린 무늬가 파형 홈부의 시인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점착 시트의 표면에 그려진 무늬를 양호하게 시인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에 형성된 파형 홈부를 나타낸 모식 평면도이다.
도 3은 파형 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파형 홈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파형 홈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파형 홈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파형 홈부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에 형성된 파형 홈부의 일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에 형성된 파형 홈부의 일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3의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에 형성된 파형 홈부의 일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비교예 2, 3의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에 형성된 파형 홈부의 일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2는 비교예 4의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에 형성된 파형 홈부의 일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3은 비교예 5의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에 형성된 파형 홈부의 일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시트상 기재
2 점착제층
3 파형 홈부
30 접속부
31 볼록 원호형 홈부
32 오목 원호형 홈부
4 볼록형 점착부
4a 근접 부분
4b 이격 부분
A 점착 시트
B1 제1 블록부
B2 제2 블록부
L 가상 직선
S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일례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점착 시트 (A)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상 기재 (1)의 일면에 점착제층 (2)가 적층 일체화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상 기재 (1)로서는, 종래부터 점착 시트의 기재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 폴리비닐알코올 시트, 폴리 염화비닐리덴 시트 등을 들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가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상 기재 (1)의 일면에는 점착제층 (2)가 적층 일체화되어 있지만, 이 점착제층 (2)를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고,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 (2) 표면에는 박리 가능하게 박리지(도시하지 않음)가 적층될 수도 있다.
상기 점착 시트 (A)의 점착제층 (2) 표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 홈부 (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파형 홈부 (3)은 볼록 원호형 홈부 (31)과 오목 원호형 홈부 (32)가 교대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의 타단에 오목 원호형 홈부 (32)의 일단이 매끄럽게 접속되고, 이 오목 원호형 홈부 (32)의 타단에 다른 볼록 원호형 홈부 (31)의 일단이 매끄럽게 접속되며, 이와 같이 볼록 원호형 홈부 (31)과 오목 원호형 홈부 (32)가 교대로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연결됨으로써 sin 함수로 그려지는 파형 홈부 (3)이 형성되어 있다. 볼록 원호형 홈부 (31)과 오목 원호형 홈부 (32)의 접속부 (30), (30)…은 전부 가상 직선 (L) 상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볼록 원호형 홈부란, 도 2에 있어서 위쪽으로 원호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홈부를 말하고, 오목 원호형 홈부란, 도 2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원호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홈부를 말한다.
또한, 볼록 원호형 홈부 (31)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 (310)까지의 높이 (H1)과, 오목 원호형 홈부 (32)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 (320)까지의 높이 (H2)는 동일한 높이일 수도 상이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형 홈부 (3)의 진폭은 동일 파형 홈부 (3) 내에서는 전장(全長)에 걸쳐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형 홈부 (3)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반원 형상,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직사각형,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삼각형상,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역사다리꼴 형상으로서 내저면의 일부가 고조되어 단면 W자 형상이 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파형 홈부 (3)이 복수개, 그의 진폭 방향, 즉 볼록 원호형 홈부 (31)과 오목 원호형 홈부 (32)의 접속 방향(가상 직선 (L)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복해서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파형 홈부 (3), (3)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면 파형 홈부가 시트상 기재를 통해 외관상, 모양으로서 인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일정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형 홈부 (3), (3) 사이의 간격이란, 파형 홈부 (3), (3)의 가상 직선 (L), (L)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파형 홈부 (3)의 진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 (3), (3)은, 파형 홈부 (3), (3)의 정점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도 2에 있어서 위쪽에 위치하는 파형 홈부 (3)의 오목 원호형 홈부 (32)의 정점 (320)을 통과하며 가상 직선 (L)에 평행한 선 (N1)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파형 홈부 (3)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의 정점 (310)을 통과하며 가상 직선 (L)에 평행한 선 (N2) 사이에 간극 (V)를 발생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볼록 원호형 홈부 (31)과 오목 원호형 홈부 (32) 사이에 형성되는 볼록형 점착부 (4)의 근접 부분 (4a)의 폭이 너무 좁아져서 첩부 지그의 압박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고, 점착 시트 (A) 표면에 요철이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파형 홈부 (3)의 진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임의의 2개의 파형 홈부 (3a), (3b)를 각각, 한쪽 파형 홈부 (3a), 다른쪽 파형 홈부 (3b)로 한다. 한쪽 파형 홈부 (3a)를 구성하고 있는 임의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이 볼록 원호형 홈부 (31a)에 연속해있는 오목 원호형 홈부 (32a)의 합계 파장과, 다른쪽 파형 홈부 (3b)를 구성하고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이 볼록 원호형 홈부 (31b)에 연속해있는 오목 원호형 홈부 (32b)로서, 한쪽 파형 홈부 (3a)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에 대응하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의 합계 파장이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한쪽 파형 홈부 (3a)를 구성하고 있는 임의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이 볼록 원호형 홈부 (31a)에 연속해있는 오목 원호형 홈부 (32a)의 합계 파장과, 다른쪽 파형 홈부 (3b)를 구성하고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이 볼록 원호형 홈부 (31b)에 연속해있는 오목 원호형 홈부 (32b)로서, 한쪽 파형 홈부 (3a)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를 파형 홈부 (3)의 진폭 방향으로 투영한 위치에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의 합계 파장이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 (3a), (3b) 사이에 있어서,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의 합계 파장이 긴 쪽의 파형 홈부를 한쪽 파형 홈부 (3a)로 하고,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의 합계 파장이 짧은 쪽의 파형 홈부를 다른쪽 파형 홈부 (3b)로 한다.
파형 홈부 (3a), (3b)를 구성하고 있는 서로 연속되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a),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 (32b)의 합계 파장이란, 파형 홈부 (3a), (3b)에서의 서로 연속되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a),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 (32b)에 있어서, 볼록 원호형 홈부 (31a), (31b)의 일단과, 오목 원호형 홈부 (32a), (32b)의 타단을 연결하는 직선의 길이 (S1), (S2)를 말한다.
상세하게는, 한쪽 파형 홈부 (3a)를 구성하고 있는 서로 연속되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의 합계 파장이란, 임의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a)의 일단에 있어서의 오목 원호형 홈부 (32a)와의 접속부 (30a')와, 이 볼록 원호형 홈부 (31a)에 연속되는 오목 원호형 홈부 (32a)와 다음 볼록 원호형 홈부 (31a)의 접속부 (30a") 사이의 가상 직선 (L) 상에서의 거리 (S1)을 말한다.
한편, 다른쪽 파형 홈부 (3b)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로서, 한쪽 파형 홈부 (3a)의 상기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를 파형 홈부 (3a)의 진폭 방향(가상 직선 (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투영한 위치에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의 합계 파장이란, 볼록 원호형 홈부 (31b)의 일단에 있어서의 오목 원호형 홈부 (32b)와의 접속부 (30b')와, 이 볼록 원호형 홈부 (31b)에 연속되는 오목 원호형 홈부 (32b)와 다음 볼록 원호형 홈부 (31b)의 접속부 (30b") 사이의 가상 직선 (L) 상에서의 거리 (S2)를 말한다.
한쪽 파형 홈부 (3a)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를 파형 홈부 (3a)의 진폭 방향(가상 직선 (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투영한 위치에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는 하기 요령으로 정의된 것을 말한다. 한쪽 파형 홈부 (3a)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의 접속점 (30a')로부터 파형 홈부 (3a)의 진폭 방향, 바람직하게는 가상 직선 (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을 그리고, 이 직선과 파형 홈부 (3b)의 가상 직선 (L)과의 교점 (C1)을 특정한다. 다음에, 한쪽 파형 홈부 (3a)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의 접속점 (30a")로부터 파형 홈부 (3a)의 진폭 방향, 바람직하게는 가상 직선 (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을 그리고, 이 직선과 파형 홈부 (3b)의 가상 직선 (L)과의 교점 (C2)를 특정한다. 이 교점 (C1), (C2) 사이에 있는 다른쪽 파형 홈부 (3b)의 가상 직선 (L) 부분을 추출한다. 이 추출된 파형 홈부 (3b)의 가상 직선 (L) 부분에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를, 한쪽 파형 홈부 (3a)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를 파형 홈부 (3a)의 진폭 방향(가상 직선 (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투영한 위치에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로 한다.
또한, 한쪽 파형 홈부 (3a)의 상기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를 한쪽 파형 홈부 (3a)의 진폭 방향(가상 직선 (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투영한 위치에, 다른쪽 파형 홈부 (3b)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를 일조의 원호형 홈부 단위로 하였을 때, 복수조의 원호형 홈부 단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조의 원호형 홈부 단위마다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의 합계 파장을 산출하고, 그 합계 파장의 상가 평균값을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의 합계 파장으로 한다.
또한, 파형 홈부 (3a)의 상기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를 파형 홈부 (3a)의 진폭 방향으로 투영한 위치에 존재하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는, 그의 전체가 포함되어 있는 것만을 대상으로 하고, 일부만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대상외로 한다.
또한,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또는 오목 원호형 홈부 (32b) 중 어느 하나의 원호형 홈부가 많은 경우에는, 양쪽 단부에는 수가 많은 쪽의 원호형 홈부가 위치한 상태가 되지만,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의 합계 파장이 커지도록, 양쪽 단부의 원호형 홈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 (A)에서는, 한쪽 파형 홈부 (3a)의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 (S1)과, 다른쪽 파형 홈부 (3b)의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 (S2)가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점착 시트 (A)에서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의 합계 파장이 상이한 파형 홈부 (3a)와 파형 홈부 (3b)가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파형 홈부 (3a), (3b) 사이에서, 볼록 원호형 홈부 (31)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의 합계 파장 (S1), (S2)를 상이하게 하여, 파형 홈부 (3a) 상의 임의의 (P1)과, 이 (P1)로부터 파형 홈부 (3a)의 진폭 방향으로 대응하는 파형 홈부 (3b) 상의 점 (P2)와의 거리 (Q)를 가상 직선 (L)의 길이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변화시키고 있고, 그 결과, 파형 홈부 (3a), (3b) 사이에 형성되는 볼록형 점착부 (4)가 불규칙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형 점착부 (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 홈부 (3a)와 파형 홈부 (3b)가 서로 근접한 면적이 작은 근접 부분 (4a)와, 파형 홈부 (3a)와 파형 홈부 (3b)가 이격된 면적이 큰 이격 부분 (4b)를 불규칙하게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 시트 (A)를 피착체 상에 첩부할 때에는, 점착 시트 (A)를 그의 단부로부터 순차로 피착체를 향해 첩부 지그로 압박함으로써, 점착 시트 (A)의 점착제층 (2)를 그의 단부로부터 순차로 피착체에 첩부시켜 간다.
이 때, 점착 시트 (A)의 점착제층 (2)에는 첩부 지그에 의한 압박력이 가해지고, 이 압박력은 점착제층 (2)의 볼록형 점착부 (4)에서 받아들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볼록형 점착부 (4)는 면적이 큰 이격 부분 (4b)를 불규칙하게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볼록형 점착부 (4)의 이격 부분 (4b)가 첩부 지그로부터의 압박력을 변형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받아들인다. 따라서, 점착제층 (2)의 변형을 저지하고, 점착제층 (2)의 변형에서 기인하여 발생하는 점착 시트 (A) 표면의 요철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또한, 점착 시트를 피착체 상에 첩부할 때에도, 변화량이 큰 부분과 작은 부분이 불규칙하게 혼재하기 때문에, 점착 시트의 외관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점착 시트 (A)를 피착체 표면에 첩부하기 위해서는, 첩부 지그에 의해 점착 시트 (A)의 표면을 문지르면서 압박하지만, 첩부 지그에 의해 점착 시트 (A)의 표면을 문지르는 방향은 불규칙한 방향으로 행해진다. 또한, 점착 시트 (A)의 점착제층 (2)와 이에 대향하는 피착체 표면 사이에 공기가 들어간 경우, 첩부 지그의 접동 방향이 파형 홈부 (3)의 진폭 방향인 경우에는, 공기는 파형 홈부 (3a), (3b) 중 어느 파형 홈부로 유도되어 파형 홈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첩부 지그의 접동 방향이 파형 홈부 (3)의 길이 방향, 즉 볼록 원호형 홈부 (31)과 오목 원호형 홈부 (32)의 접속 방향(가상 직선 (L)의 길이 방향)인 경우에는, 볼록형 점착부 (4)의 근접 부분 (4a)를 통해 원활하게 공기를 어느 파형 홈부 (3) 내로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첩부 지그를 점착 시트 (A)의 표면에 임의의 방향으로 접동시켜도, 점착 시트 (A)의 점착 시트 (A)와, 이에 대향하는 피착체 표면 사이에 예측할 수 없이 들어간 공기를 파형 홈부 (3)을 통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형 홈부 (3)의 홈폭은, 좁으면 공기의 배출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는 한편, 넓으면 점착 시트의 표면에 그린 무늬가 파형 홈부의 시인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5 내지 100 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50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파형 홈부 (3)의 홈폭이란, 파형 홈부 (3)의 한쪽 개구 말단 가장자리의 임의의 위치 (3P1)로부터 상기 개구 말단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다른 개구 말단 가장자리 (3P2)까지의 최단 거리를 말한다.
또한, 상기 파형 홈부의 홈 깊이는, 얕으면 공기의 배출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는 한편, 깊으면 점착 시트의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2 내지 2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파형 홈부의 홈 깊이란, 점착제층 (2) 표면과, 파형 홈부 (3)의 최심부와의 최단 거리를 말하고, 점착제층 (2) 표면은 파형 홈부 (3)을 형성하기 전의 점착제층 (2) 표면으로 한다.
파형 홈부의 진폭은, 작으면 파형 홈부가 직선으로서 시인되는 경우가 있는 한편, 크면 공기를 배출하는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50 내지 100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100 내지 500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쪽 파형 홈부 (3a)의 서로 연속되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의 합계 파장(이하, 단순히 파장이라고도 기재함)은, 진폭에 대하여 1 내지 20배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4 내지 10배의 길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은, 파장이 진폭에 대하여 너무 크면 직선으로서 시인되기 쉬워지고, 작으면 파형 형상이 예리하게 뾰족한 톱날 형상이나 빗날 형상에 근접하고, 굵은 선으로서 시인되기 쉬워진다. 시인됨으로써 점착 시트의 외관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a)의 합계 파장은 400 내지 500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쪽 파형 홈부 (3b)의 서로 연속되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b)의 합계 파장은, 상기 파형 홈부 (3a)와 동일한 범위이며 상기 파형 홈부 (3a)의 합계 파장과 상이할 수 있다.
한쪽 파형 홈부 (3a)의 합계 파장과, 다른쪽 파형 홈부 (3b)의 합계 파장과의 차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파형 홈부를 진폭 방향으로 다수 배열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의 파장차가 작으면, 동일 패턴의 반복으로서 시인되는 경우가 있다. 서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의 파장차가 크면, 모양으로서 인식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파형 홈부 사이의 파장차는, 파형 홈부의 합계 파장 중, 긴 쪽의 파형 홈부의 합계 파장의 0.01 내지 0.1배에 상당하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의 차는 이 비율의 길이일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0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형 홈부의 합계 파장차가 상기 하한보다 작은 파형 홈부가 연속해서 배열되어도, 그 수가 4개 이하이면, 시인성에 문제가 생기기 어렵다.
또한, 상기 점착 시트 (A)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우선 이형 처리면을 가지며 이 이형 처리면에 파형 홈부에 합치된 패턴을 갖는 볼록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이형지를 준비한다. 다음에, 이 이형지의 이형 처리면 상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켜, 이형지의 이형 처리면 상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적층 시트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이 적층 시트를 그 점착제층이 시트상 기재에 대향한 상태로 시트상 기재의 일면에 적층시켜 점착제층을 시트상 기재의 일면에 전사, 적층 일체화시켜 점착 시트 (A)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시트상 기재의 다른 면에는 장식 모양이나 문자 등의 장식 무늬가 필요에 따라서 미리 인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점착 시트 (A)에서는, 파형 홈부 (3)은, 볼록 원호형 홈부 (31)과 오목 원호형 홈부 (32)가 교대로 연속해서 sin 함수로 그려지는 원호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 홈부 (3)은, 반원 형상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c)의 타단에 반원 형상의 오목 원호형 홈부 (32c)가 그의 일단에서 접속되고, 상기 오목 원호형 홈부 (32c)의 타단에서 다른 볼록 원호형 홈부 (31c)가 일단에서 접속됨으로써, 반원 형상의 볼록 원호형 홈부 (31c)와 오목 원호형 홈부 (32c)가 교대로 연속해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볼록 원호형 홈부 (31c)와 오목 원호형 홈부 (32c)와의 접속부 (30c), (30c)…는 전부 가상 직선 (L) 상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볼록 원호형 홈부 (31c)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 (310c)까지의 높이 (H1)과, 오목 원호형 홈부 (32c)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 (320c)까지의 높이 (H2)는 동일 높이일 수도 상이할 수도 있지만, 동일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형 홈부 (3)은, 소정 형상을 갖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과 오목 원호형 홈부 (32)를 교대로 연속적으로 접속시켜 파형 형상을 구성하고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합계 파장을 갖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d)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d)가 교대로 접속되어 연속해서 이루어지는 제1 블록부 (B1)과, 이 제1 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d)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d)의 합계 파장은 상이한 합계 파장을 갖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e)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e)가 교대로 접속되어 연속해서 이루어지는 제2 블록부를 갖는 파형 홈부 (3)일 수도 있다.
즉, 도 2에 나타낸 파형 홈부와 동일한 요령으로, 소정의 합계 파장을 갖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d)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d)가 교대로 접속되어 연속해서 제1 블록부 (B1)이 형성되어 있음와 동시에, 이 제1 블록부 (B1)을 구성하고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d)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d)의 합계 파장과는 상이한 합계 파장을 갖는 볼록 원호형 홈부 (31e) 및 오목 원호형 홈부 (32e)가 교대로 접속되어 연속해서 제2 블록부 (B2)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블록부 (B1)의 타단에, 제2 블록부 (B2)의 일단을 연속적으로 접속시켜 파형 홈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볼록 원호형 홈부 (31d), (31e)와 오목 원호형 홈부 (32d), (32e)의 접속부 (30d), (30e)는 전부, 가상 직선 (L) 상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볼록 원호형 홈부 (31d), (31e)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 (310d), (310e)까지의 높이 (H1)과, 오목 원호형 홈부 (32d), (32e)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 (320d), (320e)까지의 높이 (H2)는 동일 높이일 수도 상이할 수도 있지만, 동일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의 파형 홈부 (3a), (3b)의 어느 하나 또는 둘다를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파형 홈부 (3)과 교체시킬 수도 있고,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파형 홈부 (3), (3)을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파형 홈부 (3)의 진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임의의 2개의 파형 홈부를 각각, 한쪽 파형 홈부, 다른쪽 파형 홈부로 하였을 때에, 한쪽 파형 홈부를 구성하고 있는 임의의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이 볼록 원호형 홈부에 연속해있는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과, 다른쪽 파형 홈부를 구성하고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이 볼록 원호형 홈부에 연속해있는 오목 원호형 홈부로서, 한쪽 파형 홈부의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를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투영한 위치에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이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합계 파장이 다른 2종류의 파형 홈부를 그의 진폭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이 다른 3종류 이상(바람직하게는 10종류 이상)의 파형 홈부 (3a), (3b), (3e), (3f)(도 6에서는 4종류)를 이들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임의의 순서로 반복해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파형 홈부 (3)의 진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임의의 2개의 파형 홈부를 각각, 한쪽 파형 홈부, 다른쪽 파형 홈부로 하였을 때에, 한쪽 파형 홈부를 구성하고 있는 임의의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이 볼록 원호형 홈부에 연속해있는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과, 다른쪽 파형 홈부를 구성하고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이 볼록 원호형 홈부에 연속해있는 오목 원호형 홈부로서, 한쪽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를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투영한 위치에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이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파형 홈부 (3)의 진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 (3a), (3b)끼리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 홈부 (3a), (3b)끼리를 직선상 또는 곡선상의 연결 홈부 (3g), (3g)…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연결 홈부 (3g)는 상기 가상 직선 (L)에 대하여 직교되어 있을 수도 비스듬하게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파형 홈부 (3a), (3b)끼리를 연결 홈부 (3g), (3g)…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점착 시트 (A)의 점착제층 (2)와 이에 대향하는 피착체 표면 사이에 들어간 공기를 파형 홈부 (3) 및 연결 홈부 (3g)를 통해 외부로 더욱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 홈부 (3g)를 복수개 형성하는 경우에는, 가상 직선 (L)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연결 홈부 (3g), (3g)끼리의 간격은 불규칙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연결 홈부 (3g), (3g)끼리의 간격을 불규칙하게 함으로써, 점착 시트의 표면에 그린 무늬가 연결 홈부 (3g)의 시인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홈부 (3g)는 2개의 파형 홈부 (3a), (3b)만을 연결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연결 홈부 (3g)가 3개 이상의 파형 홈부를 연결하여 있으면, 연결 홈부의 길이가 길어지고, 시트상 기재를 통해 시인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평량이 80 g/m2인 상질지 일면에 두께가 25 μm인 폴리에틸렌층이 적층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이형지를 준비하였다. 이 이형지의 폴리에틸렌층 표면에는, 점착제층 표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파형 홈부의 형상 및 패턴에 대응한 상태로, 단면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조(條)부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형지의 폴리에틸렌층 상의 볼록조부는 하기 요령으로 형성하였다. 우선, 점착제층에 형성하는 파형 홈부와 동일 패턴의 전사 홈부가 일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동판을 준비하였다. 또한, 동판의 전사 홈부는 공지된 에칭 방법에 의해 형성하였다.
또한, 동판의 전사 홈부 상에 이형지를 그 폴리에틸렌층이 동판에 대향한 상태로 중첩시키고, 추가로 이형지 상에 110 ℃로 가열한 금속판을 전면적으로 중첩시켰다. 또한, 금속판에 10 kg/cm2의 압력을 가하고, 이형지의 폴리에틸렌층을 용융시키면서 이형지의 일부를 동판의 전사 홈부 내에 압입함으로써, 이형지의 폴리에틸렌층 상에 동판의 전사구에 대응한 형상 및 패턴을 갖는 볼록조부를 형성하였다.
다음에, 이형지의 폴리에틸렌층 상에 아크릴계 점착제의 아세트산에틸 용액(고형분 농도: 45 중량%)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은 건조 후의 도포량이 30/m2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또한, 이형지 상의 아크릴계 점착제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90 ℃에서 10 분간에 걸쳐 건조시켜, 이형지 상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적층시켜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를 얻었다.
한편, 두께가 100 μm인 연질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 폴리염화비닐 필름의 일면은 광택이 있는 미러식 인쇄가 실시되어 있었다. 폴리염화비닐 필름의 다른 면에, 적층 시트를 그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폴리염화비닐 필름에 대향한 상태로 중첩시키고,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폴리염화비닐 필름의 다른 면에 전사하여 적층 일체화시켜 점착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 전체면에는, 동판의 전사 홈부와 동일 형상 및 동일 패턴의 파형 홈부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었다.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에 형성된 파형 홈부는 하기와 같았다. 파형 홈부는, 볼록 원호형 홈부와 오목 원호형 홈부가 교대로 연속해서 이루어지는 파형 홈부가 복수개,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었다. 파형 홈부(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는 sin 함수로 그려진 원호였다. 각 파형 홈부 내에서는,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 및 진폭은 일정하였다. 파형 홈부의 홈폭은 30 μm, 홈의 깊이는 12 μm였다.
각 파형 홈부에 대하여, 볼록 원호형 홈부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까지의 높이 (H1), 오목 원호형 홈부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까지의 높이 (H2),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 (S)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 사이의 간격은 표 1의 「간격 (W)」의 란에 표기하였다. 서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 사이의 간격이란, 파형 홈부의 가상 직선 (L), (L)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또한, 제1 파형 홈부와 제2 파형 홈부의 간격은 제1 파형 홈부의 「간격 (W)」의 란에 기재하였다.
파형 홈부의 일단은 모두 볼록 원호형 홈부로부터 시작되었지만, 볼록 원호형 홈부는 반드시 가상 직선 (L)과의 교점을 기점으로 하지 않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의 파형 홈부는 그 일부가 절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각 파형 홈부의 절제 길이 (R)을,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길이 (S)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고, 표 1의 「절제 길이 (R)」의 란에 기재하였다. 예를 들면, 제2 파형 홈부는 「절제 길이 (R)」이 68 %가 되었다. 따라서, 제2 파형 홈부에 있어서의 일단(좌단)의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 중,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의 68 %에 상당하는 부분이 절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점선으로 그려진 부분이 절제된 부분이다.
제1 내지 제50의 파형 홈부를 이 순서로 진폭 방향으로 표 1에 나타낸 간격마다 배열되어 있고, 제1 내지 제50의 파형 홈부의 모든 일단은, 파형 홈부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 (T) 상에 위치하고 있고, 각 파형 홈부의 가상 직선 (L)끼리는 전부 서로 평행하였다(도 9 참조). 또한, 도 9에서는, 제1 내지 제4의 파형 홈부를 나타내었다.
제1 내지 제50의 파형 홈부를 이 순서로 배열한 것을 파형 홈부 그룹으로 하고, 이 파형 홈부 그룹이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가상 직선 (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복해서 형성되었다. 또한, 파형 홈부 그룹의 제50 파형 홈부와, 이 파형 홈부 그룹에 이어지는 파형 홈부 그룹의 제1 파형 홈부 사이의 간격은, 제50 파형 홈부의 「간격」의 란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각 파형 홈부에 대하여, 볼록 원호형 홈부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까지의 높이 (H1), 오목 원호형 홈부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까지의 높이 (H2),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 (S), 서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 사이의 간격 (W), 및 파형 홈부의 볼록 원호형 홈부의 절제 길이 (R)이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도록 전사 홈부가 형성된 동판을 준비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파형 홈부의 홈폭은 45 μm, 홈의 깊이는 18 μm였다.
(실시예 3)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형성한 점착제층의 파형 홈부에 있어서, 서로 진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끼리가 복수개의 직선상 연결 홈부로 연결되도록 전사 홈부가 형성된 동판을 준비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연결 홈부의 홈폭은 30 μm, 홈의 깊이는 12 μm였다. 연결 홈부 사이의 간격 (U)는 400 내지 750 μm 사이에서 임의로 설정하였다. 연결 홈부 사이의 간격 (U)란, 연결되어 있는 2개의 파형 홈부가 모두 동일한 연결 홈부끼리의 간격을 말한다. 연결 홈부끼리가 결합되지 않도록 조정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층 상에 볼록조부를 형성하지 않은 이형지를 이용하고,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에 파형 홈부를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2)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부가 격자상으로 형성되도록 전사 홈부가 형성된 동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홈부의 폭은 50 μm, 홈부의 깊이는 18 μm였다. 서로 인접하는 평행한 홈부 사이의 간격은 500 μm였다.
(비교예 3)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부가 격자상으로 형성되도록 전사 홈부가 형성된 동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홈부의 폭은 30 μm, 홈부의 깊이는 12 μm였다. 서로 인접하는 평행한 홈부 사이의 간격은 300 μm였다.
(비교예 4)
각 파형 홈부에 대하여, 볼록 원호형 홈부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까지의 높이 (H1), 오목 원호형 홈부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까지의 높이 (H2),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 (S), 서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 사이의 간격 (W), 및 파형 홈부의 볼록 원호형 홈부의 절제 길이 (R)이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도록 전사 홈부가 형성된 동판을 준비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에 형성된 파형 홈부의 일부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또한, 파형 홈부의 홈폭은 30 μm, 홈의 깊이는 12 μm였다. 파형 홈부는 전부 동일하고, 파형 홈부 사이의 간격 (W)는 500 μm였다.
(비교예 5)
각 파형 홈부에 대하여, 볼록 원호형 홈부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까지의 높이 (H1), 오목 원호형 홈부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까지의 높이 (H2),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 (S), 서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 사이의 간격 (W), 및 파형 홈부의 볼록 원호형 홈부의 절제 길이 (R)이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도록 전사 홈부가 형성된 동판을 준비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파형 홈부의 홈폭은 30 μm, 홈의 깊이는 12 μm였다. 파형 홈부는 제1 파형 홈부와 제2 파형 홈부가 진폭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었다. 파형 홈부 사이의 간격 (W)는 500 μm였다.
표 1 내지 4에 있어서, 「볼록 원호형 홈부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까지의 높이 (H1)」, 「오목 원호형 홈부의 일단 또는 타단으로부터 정점까지의 높이 (H2)」,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 (S)」 및 「서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 사이의 간격 (W)」는 각각 「높이 (H1)」「높이 (H2)」, 「합계의 파장 (S)」 및 「파형 홈부 사이의 간격 (W)」로 약칭하였다.
얻어진 점착 시트에 대하여, 탈기성 및 의장성을 하기 요령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탈기성)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1변이 15 cm인 평면 정방형상의 시험편을 잘라내었다. 한편, 1변이 15 cm인 평면 정방형상의 아크릴판을 준비하였다. 아크릴판의 평활면에 시험편을 그의 점착제층에 의해 전면적으로 동시에 점착시켰다. 아크릴판과 점착 시트 사이에 형성된 공기가 모인 곳을 손끝으로 가압한 후의 상태를 육안 관찰하고, 하기 기준에 기초하여 판단하였다.
우수(excellent): 공기가 모인 곳이 전부 없어졌다.
양호(good): 공기가 모인 곳이 거의 없어졌지만, 약간 공기가 모인 곳이 남아 있었다.
불량(bad): 공기가 모인 곳은 작아졌지만, 공기가 모인 곳은 대부분 남아 있었다.
매우 불량(very bad): 공기가 모인 곳은 거의 작아지지 않았고, 공기가 모인 곳은 대부분 남아 있었다.
(의장성)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1변이 5 cm인 평면 정방형상의 시험편을 잘라내었다. 한편, 1변이 10 cm인 평면 정방형상의 투명한 유리판을 준비하였다. 시험편과 유리판 사이에 공기가 모이는 곳이 생기지 않도록, 유리판 상에 시험편을 그의 단부로부터 서서히 점착시켰다.
이렇게 한 후, 시험편을 40 ℃에서 24 시간에 걸쳐 방치한 후, 시험편의 표면을 육안 관찰하고, 비교예 1의 시험편을 기준으로서 하기 기준에 기초하여 판단하였다.
우수(excellent): 시험편 표면의 광택은 균일하며 홈부도 시인할 수 없었다.
양호(good): 시험편 표면의 광택이 약간 불균일하였지만, 홈부는 시인할 수 없었다.
불량(bad): 홈부에서 기인하여 간섭 줄무늬가 발생하고, 이 간섭 줄무늬에 의해 시험편 표면의 광택이 불균일해졌다.
매우 불량(very bad): 홈부를 명확하게 시인할 수 있고, 시험편의 외관이 완전히 손상되어 있었다.
Figure 112010002764914-pct00001
Figure 112010002764914-pct00002
Figure 112010002764914-pct00003
Figure 112010002764914-pct00004
Figure 112010002764914-pct00005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피착체 상에 시트상 기재를 상기 시트상 기재에 요철을 발생시키지 않고 깨끗하게 점착시킬 수 있고, 시트상 기재의 표면에 문자나 무늬를 인쇄함으로써 광고 용도 등의 각종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시트상 기재와, 이 시트상 기재의 일면에 적층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으로서, 표면에 볼록 원호형 홈부와 오목 원호형 홈부가 교대로 연속해서 이루어지는 파형 홈부를 복수개 갖는 상기 점착제층을 가지고, 복수개의 상기 파형 홈부는 상기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임의의 2개의 파형 홈부를 각각 한쪽 파형 홈부(3a)와 다른쪽 파형 홈부(3b)로 하였을 때에, 상기 한쪽 파형 홈부(3a)를 구성하고 있는 서로 연속되는 볼록 원호형 홈부(31a) 및 오목 원호형 홈부(32a)의 합계 파장(S1)과, 상기 다른쪽 파형 홈부(3b)를 구성하고 있는 볼록 원호형 홈부(31b) 및 오목 원호형 홈부(32b)로서, 상기 한쪽 파형 홈부(3a)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볼록 원호형 홈부(31a) 및 상기 오목 원호형 홈부(32a)에 대응하는 상기 볼록 원호형 홈부(31b) 및 상기 오목 원호형 홈부(32b)의 합계 파장(S2)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가 sin 함수로 그려지는 원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진폭 방향으로 반복해서 형성된 복수개의 파형 홈부 중에, 연속되는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의 합계 파장이 일정 길이를 갖는 파형 홈부를 포함하는 제1 블록부와, 연속되는 볼록 원호형 홈부 및 오목 원호형 홈부가 상기 파형 홈부의 상기 합계 파장과는 다른 합계의 파장을 갖는 파형 홈부를 포함하는 제2 블록부를 갖는 파형 홈부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파형 홈부의 진폭이 일정하고, 진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의 정점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파형 홈부의 진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파형 홈부끼리가 연결 홈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KR1020107000991A 2007-07-17 2008-07-17 점착 시트 KR101486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85962 2007-07-17
JP2007185962 2007-07-17
PCT/JP2008/062943 WO2009011396A1 (ja) 2007-07-17 2008-07-17 粘着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201A KR20100038201A (ko) 2010-04-13
KR101486103B1 true KR101486103B1 (ko) 2015-01-23

Family

ID=4025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991A KR101486103B1 (ko) 2007-07-17 2008-07-17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13822B2 (ko)
EP (1) EP2177581B1 (ko)
JP (1) JP4263233B2 (ko)
KR (1) KR101486103B1 (ko)
CN (1) CN101755023B (ko)
WO (1) WO2009011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7890A1 (en) 1996-05-20 2006-11-16 Maxyge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ellular and metabolic engineering
US10008067B2 (en) * 2008-06-16 2018-06-26 Visa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financial transactions with online merchants
JP5258679B2 (ja) * 2009-06-17 2013-08-07 王子タック株式会社 剥離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5797025B2 (ja) * 2011-06-20 2015-10-21 日東電工株式会社 静電容量タッチパネル
JP6421019B2 (ja) * 2014-04-24 2018-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シート
JP6574598B2 (ja) * 2014-04-24 2019-09-11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接着シート
US20160324241A2 (en) * 2014-08-08 2016-11-10 Yo Han Lee An adhesive device for attaching a false eyelash and a false eyelash kit
KR102618085B1 (ko) * 2015-09-28 2023-12-26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JP6892186B2 (ja) * 2015-09-28 2021-06-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80061194A (ko) 2015-09-28 2018-06-0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JP6830342B2 (ja) * 2016-11-21 2021-02-1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7327934B2 (ja) 2018-12-21 2023-08-1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を粗面に適用する方法
JP7358717B2 (ja) 2019-08-30 2023-10-11 共和レザー株式会社 加飾フィルム、加飾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5137A (ko) * 1974-10-16 1976-04-17 Unitika Ltd
JP2000008009A (ja) 1998-06-19 2000-01-11 Asahipen Corp 粘着剤付紙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75845A (ja) 2002-08-19 2004-03-11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19198Y1 (ko) * 1963-02-08 1966-05-02
JPS5944750A (ja) 1982-09-07 1984-03-13 Toshiba Corp 磁気絶縁形イオンダイオ−ド
JPS5944750U (ja) * 1982-09-16 1984-03-24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用粘着フイルム
JPH01173147A (ja) 1987-12-28 1989-07-07 Oki Electric Ind Co Ltd Prom内蔵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H01173147U (ko) * 1988-05-26 1989-12-08
EP0725617B1 (en) 1993-10-29 2003-04-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uctured adhesive closure systems
JPH07138541A (ja) 1993-11-15 1995-05-30 Nichiei Kako Kk 粘着加工フィルム
CN2359107Y (zh) * 1998-01-12 2000-01-19 王威强 自粘式仪表用保护膜
US6524675B1 (en) 1999-05-13 2003-02-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back articles
CA2460248A1 (en) 2001-09-14 2003-03-27 Lintec Corporation Easily applicabl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709746B1 (ko) * 2005-01-28 2007-04-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단계 공기 배출 통로가 구비된 점착 시트
US7687126B2 (en) * 2005-08-22 2010-03-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rticles and release lin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5137A (ko) * 1974-10-16 1976-04-17 Unitika Ltd
JP2000008009A (ja) 1998-06-19 2000-01-11 Asahipen Corp 粘着剤付紙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75845A (ja) 2002-08-19 2004-03-11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96669A1 (en) 2010-08-05
EP2177581A4 (en) 2014-03-05
EP2177581A1 (en) 2010-04-21
KR20100038201A (ko) 2010-04-13
JPWO2009011396A1 (ja) 2010-09-24
JP4263233B2 (ja) 2009-05-13
CN101755023B (zh) 2013-03-20
EP2177581B1 (en) 2017-07-05
WO2009011396A1 (ja) 2009-01-22
US8313822B2 (en) 2012-11-20
CN101755023A (zh)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103B1 (ko) 점착 시트
EP1373424B1 (en) Adhesive layers and release liners with pyramidal structures
KR100740846B1 (ko) 접착 물품에 대하여 개선된 접착력을 갖는 구조화된 박리 라이너
KR100751287B1 (ko) 구조화된 릴리스 라이너 및 그것의 코팅 방법
JP4761470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剥離材
JP5112780B2 (ja) 易貼付性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09746B1 (ko) 다단계 공기 배출 통로가 구비된 점착 시트
JP4664290B2 (ja) 角錐構造を有する接着剤層および剥離ライナ
EP3472046B1 (en) Aerodynamic articles and methods thereof
US20120070622A1 (en) Method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Microstructure on a Surface, Uses Thereof, and Microstructured Products so Obtained
JP2004149811A (ja) 接着剤付き物品
JP2010180271A (ja) 易貼付性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226351B2 (ja) 易貼付性粘着シート
JP5258679B2 (ja) 剥離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3049818A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2006452B2 (en) Adhesive sheet
US11572492B2 (en) Microstructured release liners for selective transfer of ink to film
JP2003253227A (ja) 粘着シート
JPWO2020050332A1 (ja) 剥離ライナー、剥離ライナーの作製方法、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シートの作製方法
JP2011073198A (ja) 印刷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