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876B1 - 접촉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플러그 형 장치 - Google Patents

접촉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플러그 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876B1
KR101485876B1 KR1020137023532A KR20137023532A KR101485876B1 KR 101485876 B1 KR101485876 B1 KR 101485876B1 KR 1020137023532 A KR1020137023532 A KR 1020137023532A KR 20137023532 A KR20137023532 A KR 20137023532A KR 101485876 B1 KR101485876 B1 KR 101485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ype connector
contact
corresponding plu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506A (ko
Inventor
아킴 푸에트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27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5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br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형 커넥터(2, 102)(plug-type connector) 및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로 이루어진 전기 플러그 형 장치로부터 출발하며, 이 경우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 102)에는 수형-접촉부(18, 118)(male-contact)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에는 암형-접촉부(34, 134)(female-contact)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 102)는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 102)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 128)가 플러그 방식으로 상호 삽입 결합 될 때에는 상기 수형-접촉부(18, 118)와 그에 대응하는 상기 암형-접촉부(34, 134) 간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만들어지기 전에 제 1 접촉 형성 부재(20, 120)와 제 2 접촉 형성 부재(42, 142) 간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만들어진다.

Description

접촉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플러그 형 장치 {ELECTRICAL PLUG-TYPE APPARATUS WITH LEADING CONTACT}
본 발명은 접촉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플러그 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는 플러그 방식의 전기 전도성 결합을 더 이상 별개로 생각할 수가 없다. 한 편으로 이와 같은 플러그 방식의 결합에 의해서는 액추에이터와 센서가 상호 결합 된다. 다른 한 편으로 액추에이터와 센서는 상기와 같은 플러그 방식 결합에 의해서 또한 제어 장치와도 결합 된다. 바로 오늘날에는 소형화(miniaturizing)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 그리고 점점 더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져야만 하는 점점 더 많은 스위칭 과정들에 대한 요구로 인해, 정전기에 민감한 부품들이 없이는 상기와 같은 제어 장치들이 더 이상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다. 따라서, 근래의 제어 장치들은 과전압에 대하여 민감한데, 그 이유는 제어 장치 내부에 있는 전자 부품들이 과전압에 의해서 손상되거나 또는 파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전압은 예를 들어 소정의 전위를 갖는 사람의 손이 제어 장치의 접촉부(contact)에 접촉할 때에 생성되며, 이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사람의 손과 상이한 전위를 갖는다. 이와 같은 효과들은, 예를 들어 차체(car body)가 제어 장치와 다른 전위를 가짐으로써 상기 차체와 상기 제어 장치 간에 전위 보상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같이, 조립 라인(assembly line)에서 제어 장치들을 자동차 내부에 조립할 때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위 보상은 접지 접속부(earth connection)를 통해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상호 전기 절연된 부재들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지 못한 접촉 형성 순서들에 의해서도 제어 장치 내부에 있는 정전기에 민감한 부품들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전에 이미 전압이 공급된 플러그 형 접촉부와 대응 플러그 형 접촉부를 정전기에 민감한 부품들이 구비된 전자 장치의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전압이 접지 접속부를 통해서 차체로 방출될 수 있기 전에 먼저 상기 전자 장치에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관련된 해결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전자 제어 장치의 플러그 형 커넥터와 일반적으로 케이블에 연결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간에 플러그 방식의 삽입 결합이 이루어지는 동안 조기에 접지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서, 몇몇 제어 장치들에서는 연장된 "접지-핀"이 도입되었다. 이 경우에 상기 연장된 "접지-핀"이란,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 또는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 존재하는 추가 접촉부 위로 돌출하는 플러그 형 접촉부로 이해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구현 예의 단점은, 특히 상응하게 형성된 플러그 형 커넥터-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조합이 다수의 연결부를 구비하여 그에 상응하게 길게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조합의 모든 허용 오차 위치들을 통해서는 상기 접지-핀의 최초 접촉 형성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수형-접촉부(male-contact)가 제공된 제어 장치의 플러그 형 커넥터들에서는 길이가 훨씬 더 긴 접촉부들이 필요하지만, 이와 같은 접촉부들은 제조 원가가 비싸고 허용 오차 측면에서 제조하기가 어렵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핀이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위치가 고정적으로 규정되었다는 사실도 단점으로서 작용을 한다. 다른 제어 장치-회로 설계 방식에서는 길이가 긴 핀이 다른 한 장소에 제공된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필요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상응하게 설계도 새롭게 이루어져야만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플러그 형 커넥터 및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접지 접촉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 전도성 플러그 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에 기재된 대상들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들로부터 드러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플러그 형 커넥터는 전기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내부 공간은 한 측벽의 내벽 및 한 바닥 부재의 바닥 벽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이때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 부재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 벽에 정면으로 향하는(facing) 한 면(side)에서는 에지(edge)에 의해 제한되었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상기 바닥 벽에 정면으로 향하며 하나의 플러그 형 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개구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 부재는 내부 공간 내부로 연장되는 수형-접촉부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경우에 전기 전도성의 제 1 접촉 형성 부재는 제 1 접촉 부품 및 제 1 접속 부재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제 1 접촉 부품은 상기 측벽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제 1 접촉 부품은 내부 공간으로부터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속 부재는 전기 전도성 대상물과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 부재를 반드시 완전하게 둘러쌀 필요가 없는 단 하나의 측벽만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평면도 상으로 볼 때에 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삽입 방향으로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외형, 원형의 외형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기하학적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수형-접촉부가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와 사전에 미리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계 방식은 예를 들어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를 제조할 때에 수형-접촉부 및/또는 접속 부재가 분사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형-접촉부는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 로킹(locking)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수형-접촉부 및/또는 접속 부재가 대응 플러그형 커넥터의 삽입 방향으로 바닥 부재 위로 돌출하여 상기 돌출하는 부분이 인쇄 회로와 직접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 부재는 예를 들어 크림핑(crimping), 납땜 또는 용접 공정을 위해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제 1 접촉 부품은 실제로 측벽의 내벽을 따라서 에지로부터 바닥 벽에 이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접속 부재에는 전기 전도성 대상물과의 전기 전도성 접속을 목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1 접촉 부품은 측벽의 에지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상기 접촉 부품은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와 함께 제조될 수도 있다. 접촉 부품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접촉 부품은 플라스틱으로부터 플러그 형 커넥터를 사출 성형하는 동안 사출 성형 몰드 내부로 삽입되고, 플라스틱이 상기 접촉 부품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사된다. 접속 부재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기 위하여 상기 접속 부재는 예를 들어 핀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핀은 바닥 부재로부터 출발하여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접속 부재는 또한 이 접속 부재가 전기 전도성 대상물과, 예컨대 제어 장치의 금속 하우징과 직접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측벽은 전기 전도성으로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형성은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접촉 부품은 플러그 형 커넥터를 제조할 때에 함께 분사되는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형성의 목적은 제 1 접촉 부품을 측벽과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시키거나 또는 플러그 형 커넥터를 제조한 후에 제 1 접촉 부품을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에 단단히 결합시키기 위함이며, 이 경우 "단단히 결합 된"이라는 표현은 해체 가능하게 결합 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된 상태로도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플러그 형 커넥터의 내부 공간 내부로는 그립(grip) 보호 부재가 돌출하며, 이 경우 상기 그립 보호 부재는 바닥 벽으로부터 삽입 개구의 방향으로 그리고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 1 접촉 부품이 상기 그립 보호 부재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 1 접촉 부품은 내부 공간으로부터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그립 보호 부재는 사람의 손 혹은 손가락이 접촉부에 접촉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해준다. 특히 2행 이상의 수형-접촉부와 플러그 방식으로 삽입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하나의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 다수의 그립 보호 부재가 존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특히 평면도 상으로 볼 때에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플러그 형 커넥터의 경우에는, 상기 그립 보호 부재가 하나의 리브(rib)로서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그립 보호 리브들은 코지리(Kojiri)-리브로서도 불린다. 평면도 상으로 볼 때에 대체로 원형으로 보이거나 또는 타원형으로 보이는 플러그 형 커넥터의 경우에는, 상기 그립 보호 소자가 못(spike) 형태의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플러그 형 커넥터는 수형-접촉부를 더 구비하며, 이 경우 암형-접촉부(female-contact)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계된 상기 수형-접촉부의 제 3 접촉 부품은 내부 공간 내에 있는 에지 아래에서 끝난다.
상기 실시 예에 의해서는 사람의 손가락이 수형-접촉부에 접촉할 수 없도록 안전하게 보호된다. 그러나 외부로 돌출하는 수형-접촉부들이 다른 대상물 내부로 휩쓸려 들어가서 눈에 띄지 않게 숨겨짐으로써, 결과적으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결점 없는 삽입 과정이 더 이상 보증되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는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는 하우징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은 암형-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하나의 외벽 및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한 전면 벽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은 상기 외벽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은 하나의 수형-접촉부가 대응하는 암형-접촉부와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는 형성되었다. 이 경우에는 전기 전도성의 제 2 접촉 형성 부재가 제 2 접촉 부품 및 제 2 접속 부재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제 2 접촉 형성 부재는 하우징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제 2 접촉 부품은 외부로부터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속 부재는 전기 전도성 대상물과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비-전도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는 플러그 형 커넥터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접촉 부품의 외부로부터의 접촉 가능성"이라는 표현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인 플러그 형 커넥터가 하우징 내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접촉 부품의 한 부분 영역 내부로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접촉 부품이 전기 전도성으로 접촉될 수 있다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이 플러그 형 커넥터의 내벽이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외벽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은 하나의 개구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개구를 통해서는 수형-접촉부의 제 3 접촉 부품이 암형-접촉부의 제 4 접촉 부품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 쪽을 향하고 있는 상기 제 4 접촉 부품의 단부는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에 대하여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 있다. 하지만,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은 상기 암형-접촉부의 제 4 접촉 부품이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과 동일한 높이에서 끝나도록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암형-접촉부의 제 4 접촉 부품이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삽입 방향으로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 위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를 제조할 때에 플라스틱이 암형-접촉부 둘레에 분사되도록 형성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에서는,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전면 벽 위로 돌출하는 제 4 접촉 부품이 공지되어 있다. 제 2 접속 부재는 하나의 케이블이 상기 제 2 접속 부재에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속 부재는 크림핑-접촉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은 제 1 개구를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제 1 개구는 챔버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하우징은 홈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홈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 반대로 연장되고, 하나의 홈 벽에 의해서 제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접촉 부품이 상기 홈 벽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플러그 형 커넥터가 앞에서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그립 보호 리브를 구비하면, 상기 홈은 그루우브(groov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그립 보호 부재가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서 못 형태의 돌출부로 구현되면,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에 상응하는 홈은 원형 실린더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제 2 접촉 부품은 이완된 제 1 위치로부터 탄성 복원력에 대항해서 긴장된 제 2 위치로 옮겨지며, 이 경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가 상호 보완적인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제 2 접촉 부품은 상기 제 2 위치를 취하게 된다. 외벽 및/또는 홈 벽은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며, 이 경우 제 2 접촉 부품은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적어도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외벽 위로 그리고/또는 홈 벽 위로 돌출한다.
상기 탄성 복원력은 한 편으로는 예를 들어 하나의 스프링이 제 2 접촉 부품을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밀어줌으로써 발생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부품은 예를 들어 (탄력적인) 가압 부품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 부품은 또한 탄성 복원력이 상기 접촉 부품 자체에 내재 되어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복원력을 수년에 걸쳐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접촉 부품은 판금으로부터, 특히 냉간 압연 된(cold rolled) 판금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황동 또는 톰백(tombac)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복원력은 추가로, 플러그 형 커넥터-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조합이 진동하는 경우에도 계속해서 제 2 접촉 부품이 제 1 접촉 부품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보증해준다. 상기 개구 또는 리세스는 제 2 접촉 부품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옮겨질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제 2 접촉 부품의 소정의 과도 행정(over stroke)이 추가로 고려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도 행정은 예를 들어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제조 허용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제 2 접촉 부품, 다시 말하자면 예를 들어 두 개, 세 개 또는 네 개의 접촉 부품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제 2 접촉 부품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 근처에 배치되어 있지만, 실제로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을 넘어서까지 돌출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 2 접촉 부품이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을 초과해서 돌출하지 않는 상황은 상기 제 2 접촉 부품이 다른 대상물들과 상호 맞물릴(interlocking) 수 없도록 보증해준다. 따라서, 상기 제 2 접촉 부품은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에 최대한 가깝게 닿을 수 있도록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접촉 부품이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전면 벽에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가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로 삽입될 때에는 수형-접촉부의 제 3 접촉 부품이 암형-접촉부의 제 4 접촉 부품에 접촉하기 전에 먼저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제 2 접촉 부품이 제 1 접촉 부품에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추가 실시 예에서, 하나의 전기 플러그 형 접속부는 하나의 플러그 형 커넥터 및 하나의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에는 수형-접촉부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에는 암형-접촉부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가 플러그 방식으로 상호 삽입 결합 될 때에는 상기 수형-접촉부와 그에 대응하는 상기 암형-접촉부 간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만들어지기 전에 제 1 접촉 형성 부재와 제 2 접촉 형성 부재 간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 2 접촉 형성 부재의 제 2 접촉 부품이 슬라이딩 접촉부(sliding contact)로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가 플러그 형 커넥터 내부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 제 2 접촉 부품이 제 1 접촉 부품으로부터 들어 올려지지(lifting) 않게 되어 전기 전도성이 끊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접촉 부품은 하나의 직선 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직선의 면은 볼 펀치(ball punch)로서 형성된 제 2 접촉 부품의 외벽과 전기 전도성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벽은 단지 라운딩 처리만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라운딩 부분은 제 1 접촉 부품에서 지지가 된다.
상기와 같은 전기 플러그 형 접속부는 자동차 산업에서 제기되는 여러 가지 요구 조건들을 충족시켜야만 된다. 구조적인 특징들로서는 단지 몇 가지 주요 특징들만 언급된다: 플러그 형 장치는 먼지에 대하여 보호되어야만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형 장치는 진동으로 인해 느슨하게 풀어져서도 안 되며, 상황에 따라서는 로킹 기구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형 장치는 특히 이 플러그 형 장치가 모터 공간 내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분사되는 물에 대하여 보호된 형태로 구현되어야만 한다. 자동차 산업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가격 경쟁으로 인해 상기 전기 플러그 형 장치는 제조시에 비싸지 않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부로서 구현되었다. 또한, 상기 플러그 형 장치는 특히 모터 공간 내부에서는 약 120 °K의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해서도 안정적이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대한 사상은 플러그 형 커넥터와 관련해서뿐만 아니라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와 관련해서도 그리고 상기 두 가지 커넥터로 이루어진 전기 플러그 형 장치와 관련해서도 기술된다. 이와 관련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된 개별 특징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조합시킬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플러그 형 커넥터 및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로 이루어진 전기 전도성 플러그 형 커넥터를 제공하여, 접지 접촉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각의 도면들은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었기 때문에 척도에 맞지 않는다:
도 1은 세 개의 수형-접촉부를 구비한 1행의 플러그 형 커넥터를 3D-단면도로 보여주고 있으며;
도 2는 도 1의 플러그 형 커넥터에 대응하는 1행의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를 3D-도면으로 보여주고 있고;
도 3은 1행의 플러그 형 커넥터-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조합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4는 각 행당 네 개의 수형-접촉부를 구비한 2행 플러그 형 커넥터를 3D-단면도로 보여주고 있고;
도 5는 도 4의 플러그 형 커넥터에 대응하는 2행의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를 3D-도면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그리고
도 6은 2행의 플러그 형 커넥터-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조합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은 1행의 플러그 형 커넥터(2)를 내부 공간(4)의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3D-단면도이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는 전기 비-전도성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되었다. 상기 내부 공간(4)은 내벽(6), 측벽(8) 그리고 바닥 부재(12)의 바닥 벽(10)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상기 바닥 부재(12)에는 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챔버를 제한하는 벽들과 상호 결합 된다. 측벽(8)은 바닥 부재(12)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측벽(8)은 상기 바닥 벽(10)에 정면으로 향하는 한 면에서 에지(14)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의 한 가지 삽입 방향은 도면 부호 (E)로 표기된 화살표에 의해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바닥 부재(12)는 내부 공간 내부로 연장되는 수형-접촉부(18), 본 경우에는 세 개의 접촉 부품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플러그 형 커넥터(2)에 수형-접촉부(18)가 사전에 미리 제공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는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전기 전도성의 제 1 접촉 형성 부재(20)는 하나의 제 1 접촉 부품(22) 그리고 도 3에서 더 잘 볼 수 있는 하나의 제 1 접속 부재(24)를 구비한다. 제 1 접촉 부품(22)은 측벽(8)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접촉 부품(22)은 황동 판금으로부터 제조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접촉 부품(22)은 상기 측벽(8)의 내벽(6)과 동일한 높이에서 끝나도록 구현되었다. 상기 제 1 접촉 부품(22)은 실제로 상기 측벽(8)의 내벽(6)을 따라서 상기 에지(14)로부터 바닥 벽(10)에 이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접촉 부품(22)은 내부 공간(4)으로부터 접촉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수형-접촉부(18) 중에서 단지 상기 수형-접촉부의 제 3 접촉 부품(26)만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형 커넥터(2)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인 1행의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를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38)에 대한 3D-도면으로 보여주고 있다.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는 비-전도성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되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는 하우징(30)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하우징(30)은 외벽(36) 및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38)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38)은 외벽(36)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38)은 세 개의 제 1 개구(40)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를 통해서는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2)의 수형-접촉부(18)의 제 3 접촉 부품(26)이 도 3에서 볼 수 있는 암형-접촉부(34)의 (마찬가지로 도 3에서 볼 수 있는) 제 4 접촉 부품(35)에 도달하게 된다. 도 3에서는 또한 상기 암형-접촉부(34)가 하우징(30)의 한 챔버(32)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전기 전도성의 제 2 접촉 형성 부재(42)는 자신의 제 1 단부에 제 2 접촉 부품(44)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단부에 마주 놓인 자신의 제 2 단부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제 2 접속 부재(46)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접촉 형성 부재(42)는 하우징(30)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접촉 부품(44)은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접촉 부품(44)은 판금으로부터 제조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판금은 상기 제 2 접촉 부품(44)을 형성하기 위하여 후크 형태로 유연하게(plastically) 구부러져 있으며, 이때 하나의 휘어진 외벽은 상기 외벽(3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접촉 부품(44)은 이완된 제 1 위치(50)에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접촉 부품은 상기 제 2 접촉 형성 부재(42)에 내재 된 탄성력에 대항해서 도 3에 도시된 긴장된 제 2 위치로 옮겨진다.
도 3은 플러그 형 커넥터(2)-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조합의 횡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 1 접속 부재(24)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의 삽입 방향을 상징적으로 지시하는 화살표(E)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측면에서는 측벽(8)을 넘어서까지 돌출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암형-접촉부(34)의 제 4 접촉 부품(35)의 전방 단부(37)가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38) 뒤에서 하우징(30) 내부로 들어가 있다는 것도 분명하게 볼 수 있다. 상기 암형-접촉부(34)는 상기 전방 단부(37)에 마주 놓인 후방 단부(53)에서는 크림핑 연결부(54)로서 설계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크림핑 연결부는 케이블(56)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다. 본 도면은, 수형-접촉부(18)의 제 3 접촉 부품(26)이 암형-접촉부(34)의 제 4 접촉 부품(35)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수형-접촉부(18)와 암형-접촉부(34) 간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가 플러그 형 커넥터(2)의 삽입 개구(16) 내부로 삽입되는 동안 제 2 접촉 부품(44)이 긴장된 제 2 위치(52)로 옮겨져서 제 1 접촉 형성 부재(20)의 제 1 접촉 부품(22)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플러그 형 커넥터(2)-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조합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위차로 인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전자 제어 장치 - 이 전자 제어 장치의 경우에는 접지가 제 1 접속 부재(24)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음 - 사이에서 발생하는 과전압은 상기 제어 장치의 수형-접촉부(18)가 암형-접촉부(34)에 접촉하기 전에 제 1 접촉 부품(22)을 통해서는 제 2 접촉 부품(44)으로 그리고 계속해서 제 2 접속 부재(46)를 통해서는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차체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암형-접촉부(34)는 결국에는 케이블(56)에 의해서 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센서에 결합 된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상기 수형-접촉부(18)의 제 3 접촉 부품(26)이 내부 공간(4) 내에 있는 에지(14) 아래에서 끝난다는 것도 잘 알 수 있다. 상기 제 2 접촉 부품(44)이 슬라이딩 접촉부로 형성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28)가 플러그 형 커넥터(2) 내부로 삽입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 2 접촉 부품(44)이 제 1 접촉 부품(22)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없어서 전기 전도성이 끊어질 가능성이 있다.
도 4는 각 행당 네 개의 수형-접촉부(118)를 구비한 2행 플러그 형 커넥터(102)를 내부 공간(104)에 대한 3D-단면도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 내부 공간(104)은 한 측벽(108)의 내벽(106) 그리고 한 바닥 부재(112)의 바닥 벽(110)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102)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부로서 구현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플라스틱은 전기 비-전도성이며, 이때 상기 측벽(108)은 상기 바닥 부재(112)에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측벽(108)은 상기 바닥 벽(110)에 정면으로 향하는 한 면에서는 에지(114)에 의해 제한되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를 화살표로 표시된 삽입 방향(E)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개구(116)가 상기 바닥 벽(110)에 정면으로 향해 있다. 상기 바닥 부재(112)는 내부 공간(104) 내부로 연장되는 수형-접촉부(118)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형-접촉부(118)는 상기 바닥 부재(112)에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102)는 각각 네 개의 수형-접촉부(118)를 구비한 두 개의 행이 리브로서 형성된 그립 보호 부재(119)에 의해 상호 분리되었다는 점에서 도 1에 공지된 플러그 형 커넥터(2)와 실질적으로 구별된다. 상기 그립 보호 부재(119)는 상기 바닥 부재(112)에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지만, 자신의 좁은 측(121)에서는 내벽(106)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있다. 상기 그립 보호 부재(119)는 상기 에지(114)에 대하여 내부 공간(104) 내부로 들어가 있는 수형-접촉부(118)의 제 3 접촉 부품(126)에 사람의 손가락이 실수로 접촉할 수 없게끔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형-접촉부(118)의 한 행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는 그립 보호 부재 벽(123) 내부에는 제 1 접촉 형성 부재(120)의 제 1 접촉 부품이 동일한 높이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접촉 부품(122)은 상기 그립 보호 부재(119)에 대하여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접촉 형성 부재(120)의 제 1 접촉 부품(122) 내부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제 1 접속 부재(124)가 마주 놓여 있고, 상기 제 1 접속 부재는 삽입 방향(E)으로 상기 바닥 부재(112) 위로 돌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플러그 형 커넥터(102)에 대응하는 2행의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를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에 대한 3D-도면으로 보여주고 있다.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도 비-전도성 플라스틱으로부터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는 하나의 하우징(130)을 형성하며, 이 경우 상기 하우징(130)은 도 6에서 볼 수 있는, 암형-접촉부(134)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132)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30)은 한 외벽(136) 및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은 상기 외벽(136)에 해체 불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 내부에는 챔버(132)까지 뻗는 제 1 개구(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개구(140)를 통해서는 플러그 형 커넥터(102)의 제 3 접촉 부품(126)이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의 제 4 접촉 형성 부재(135)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촉될 수 있다. 하우징(130) 내부에는 그립 보호 부재(119)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된 홈(158)이 존재하며, 이 경우 상기 홈은 제 1 개구(140)의 두 개의 행 사이에 하나의 그루우브의 형태로 형성되었으며, 이때 상기 홈(158)은 하나의 홈 벽(160)에 의해서 제한되었다. 상기 세로 측 홈 벽(160)의 대략 중앙에서는 제 2 개구(148)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에 대하여 홈(158) 내부로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개구(148)를 통해서는 제 2 접촉 형성 부재(142)의 제 2 접촉 부품(144)이 상기 홈(158) 내부로 돌출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6에 더 잘 볼 수 있다. 제 2 접촉 부품(144)은 이완된 제 1 위치(150)에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접촉 부품(144)은 제 2 접촉 형성 부재(14)에 내재 된 탄성 복원력에 대항해서 도 6에 도시된 긴장된 제 2 위치(152)로 옮겨진다.
도 6은 2행의 플러그 형 커넥터(102)-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조합을 횡단면도로 보여주고 있다. 본 도면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는 것은, 제 1 접촉 형성 부재(120)의 제 1 접속 부재(124)가 바닥 부재(112)로부터 출발하여 화살표(E)에 의해서 지시된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의 삽입 방향의 방향으로 연장된다는 것이다. 또한, 제 2 접속 부재(146)가 상기 제 2 접촉 부품(144)에 마주 놓이도록 형성되었다는 것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접속 부재(146)는 크림핑 연결부(162)로서 형성되었다. 상기 제 2 접속 부재(146)에는 케이블(164) 그리고 그와 더불어 제 2 접촉 형성 부재(142)가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암형-접촉부(134)의 제 4 접촉 형성 부재(135)의 한 전방 단부(137)가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138)에 대하여 챔버(132) 내부로 들어가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 2 접촉 부품(144)은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는 이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의 제 2 접촉 형성 부재(142)의 제 2 접촉 부품(144)이 플러그 형 커넥터(102)의 제 1 접촉 형성 부재(120)의 제 1 접촉 부품(122)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촉할 정도까지 플러그 형 커넥터의 삽입 개구(116)를 통해서 삽입 방향(E)을 따라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의 내부 공간(104)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형-접촉부(128)의 제 3 접촉 부품(126)은 - 이때 상기 제 3 접촉 부품(126)은 에지(144)에 대하여 내부 공간(104) 내부로 들어가 있음 - 전기 전도성 접속이 불가능할 정도로 암형-접촉부(134)의 제 4 접촉 형성 부재(135)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또한, 도 3에서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정전기에 민감한 부품이 제공된 제어 장치의 금속 하우징과 자동차 차체 간의 전위 차로 인해 발생하는 전압 피크가 상기 금속 하우징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된 제 1 접속 부재(124)에 의해 상기 제 1 접촉 부품(122)을 거쳐서 제 2 접촉 부품(144)으로 그리고 그와 더불어 케이블(164)로 방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케이블(164)은 자동차 차체에 결합 되어 있다.

Claims (9)

  1. 전기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플러그 형 커넥터(102)로서,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102)는 내부 공간(104)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104)은 한 측벽(108)의 내벽(106) 및 한 바닥 부재(112)의 바닥 벽(110)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측벽(108)은 상기 바닥 부재(112)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108)은 상기 바닥 벽(110)에 정면으로 향하는(facing) 한 면(side)에서는 에지(114)에 의해 제한되었으며,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102)는, 상기 바닥 벽(110)에 정면으로 향하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개구(116)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바닥 부재(112)는 상기 내부 공간(104) 내부로 연장되는 수형-접촉부(118)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전기 전도성의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형성 부재(120)가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부품(122) 및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속 부재(124)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속 부재(124)는 전기 전도성 대상물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는 플러그 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104) 내부로 그립 보호 부재(119)가 돌출하며, 이때 상기 그립 보호 부재(119)는 바닥 벽(110)으로부터 삽입 개구(116)의 방향으로 그리고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의 삽입 방향(E)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이때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부품(122)이 상기 그립 보호 부재(119)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부품(122)은 내부 공간(104)으로부터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부품(122)이 실제로 그립 보호 부재의 그립 보호 부재 벽(123)을 따라서 상기 에지(114)로부터 상기 바닥 벽(110)에 이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때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속 부재(124)에는 전기 전도성 대상물과의 전기 전도성 접속을 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형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102)가 수형-접촉부(118)를 더 구비하며, 이때 암형-접촉부(134)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계된 상기 수형-접촉부(118)의 제 3 접촉 부품(126)은 내부 공간(104) 내에 있는 에지(114) 아래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형 커넥터.
  4.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로서,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는 하우징(130)으로 형성되었으며,
    상기 하우징(130)은 암형-접촉부(134)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132)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130)은 한 외벽(136) 및 한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은 상기 외벽(136)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전면 벽(138)은 하나의 수형-접촉부(118)가 대응하는 암형-접촉부(134)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전기 전도성의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형성 부재(142)가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부품(144) 및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속 부재(146)를 구비하며,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형성 부재(142)가 상기 하우징(130)에 단단히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속 부재(146)가 전기 전도성 대상물과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될 수 있는,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0)이 홈(158)을 가지며, 이때 상기 홈(158)은 대응하는 플러그 형 커넥터(102)의 그립 보호 부재(119)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태로 형성되었으며, 이때 상기 홈(158)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의 삽입 방향(E)과 반대로 연장되고, 하나의 홈 벽(160)에 의해서 제한되어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부품(144)이 상기 홈 벽(160)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부품(144)이 이완된 제 1 위치(150)로부터 탄성 복원력에 대항해서 긴장된 제 2 위치(152)로 옮겨질 수 있으며,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가 상호 보완적인 플러그 형 커넥터(102)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부품(144)이 상기 제 2 위치(152)를 취하게 되며,
    상기 외벽(136) 또는 상기 홈 벽(160)이 하나의 개구(148)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부품(144)이 상기 개구(148)를 관통하여 적어도 상기 제 1 위치(150)에서는 상기 홈 벽(160) 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부품(144)이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138) 근처에 배치되어 있지만, 실제로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전면 벽(138)을 넘어서까지 돌출하지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
  7. 제 1 항에 따른 플러그 형 커넥터(102) 및 제 4 항에 따른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로 이루어진 전기 플러그 형 장치로서,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102)에는 수형-접촉부(118)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에는 암형-접촉부(134)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102)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된, 전기 플러그 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형 커넥터(102)와 상기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128)가 플러그 방식으로 상호 삽입 결합 될 때에는 상기 수형-접촉부(118)와 그에 대응하는 상기 암형-접촉부(134) 간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만들어지기 전에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형성 부재(120)와 대응 플러그 형 커넥터의 접촉 형성 부재(142) 간에 전기 전도성 결합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형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37023532A 2011-04-07 2012-03-09 접촉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플러그 형 장치 KR101485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6934A DE102011006934A1 (de) 2011-04-07 2011-04-07 Elektrische Steckvorrichtung mit voreilender Kontaktierung
DE102011006934.8 2011-04-07
PCT/EP2012/054068 WO2012136441A1 (de) 2011-04-07 2012-03-09 Elektrische steckvorrichtung mit voreilender kontaktie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506A KR20130127506A (ko) 2013-11-22
KR101485876B1 true KR101485876B1 (ko) 2015-01-26

Family

ID=4581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532A KR101485876B1 (ko) 2011-04-07 2012-03-09 접촉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플러그 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95250B1 (ko)
JP (1) JP6049689B2 (ko)
KR (1) KR101485876B1 (ko)
CN (1) CN103460523B (ko)
DE (1) DE102011006934A1 (ko)
WO (1) WO201213644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936A (en) * 1983-12-19 1986-08-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for a shielded cable
US4917616A (en) * 1988-07-15 1990-04-17 Amp Incorporated Backplane signal connector with controlled impedance
US5567168A (en) * 1990-09-27 1996-10-2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20010031572A1 (en) 2000-03-02 2001-10-18 Takeya Miwa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14094T2 (de) * 1990-09-21 1996-05-30 Whitaker Corp Elektrische Steckverbinderanordnung.
JP3049766B2 (ja) * 1990-11-28 2000-06-05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88545Y2 (ja) * 1992-02-25 1996-03-06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カープラグ
US6682356B2 (en) * 2002-03-14 2004-01-27 Wingcast, Llc Peripheral device port for motor vehicles
ES2354636T3 (es) * 2006-04-13 2011-03-16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Dispositivo de conexión eléctrico para conductores planos.
JP5029232B2 (ja) * 2007-08-31 2012-09-19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936A (en) * 1983-12-19 1986-08-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for a shielded cable
US4917616A (en) * 1988-07-15 1990-04-17 Amp Incorporated Backplane signal connector with controlled impedance
US5567168A (en) * 1990-09-27 1996-10-2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20010031572A1 (en) 2000-03-02 2001-10-18 Takeya Miwa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506A (ko) 2013-11-22
WO2012136441A1 (de) 2012-10-11
DE102011006934A1 (de) 2012-10-11
CN103460523A (zh) 2013-12-18
EP2695250A1 (de) 2014-02-12
CN103460523B (zh) 2016-04-13
JP6049689B2 (ja) 2016-12-21
JP2014510382A (ja) 2014-04-24
EP2695250B1 (de)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2603B (zh) 連接器
JP5006610B2 (ja) コネクタ
TWI513113B (zh) 連接器裝置
US7938683B2 (en) Connector with a tubular shield with double left and right sides formed from a single metal plate
JP5006618B2 (ja) コネクタ
TWI573351B (zh)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cable connector having the electrical connector
CN101667694B (zh) 具有抗电磁干扰触头的连接器组件
JP5748111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6097072B2 (ja) コネクタ
CN107666048B (zh) 连接器
US958387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ecting structure
TWM500383U (zh) 電連接器及具有該電連接器的線纜連接器
JP5481595B1 (ja) 電気コネクタ
JP7056756B2 (ja) コネクタ
TW200832830A (en) Connector
CN103427243A (zh) 电连接器
TWI540804B (zh) 具有預設之接點夾的電插接連接器
CN109378608B (zh) 插座连接器
WO2021112258A1 (ja) コネクタ
JP5284150B2 (ja) 一対の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US768217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KR101485876B1 (ko) 접촉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플러그 형 장치
WO2008047482A1 (en) Connector
US20110256762A1 (en) Connector assembly with contact protection function
CN110945721A (zh) 具有屏蔽的控制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