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756B1 - 유리 파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파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756B1
KR101485756B1 KR20130037353A KR20130037353A KR101485756B1 KR 101485756 B1 KR101485756 B1 KR 101485756B1 KR 20130037353 A KR20130037353 A KR 20130037353A KR 20130037353 A KR20130037353 A KR 20130037353A KR 101485756 B1 KR101485756 B1 KR 101485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frame
pillar member
delete delet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1526A (ko
Inventor
최춘문
Original Assignee
최춘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춘문 filed Critical 최춘문
Priority to KR20130037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75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양단부가 창틀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창호용 유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밀착패드 및 상기 프레임부와 창틀 사이에 게재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의 타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둥부재에는 상기 제2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기둥부재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승강부재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밀착패드는 상기 창호용 유리의 프레임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에는 상기 밀착패드의 설치를 위한 설치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밀착패드에는 상기 설치판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패드는 상기 기둥부재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복수개의 상기 밀착패드는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유리 파손 방지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유리 파손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window glass from breakage}
본 발명은 유리 파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물에 시공되어 있는 창호용 유리는 조광을 위해 대형화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와 비교하여 아파트 등에 시공되는 유리창문은 그 크기가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창호용 유리의 크기가 대형화됨에 따라 강한 태풍 또는 돌풍 등의 자연현상에 의해 유리창이 파손되어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부상을 입히거나 재산상의 피해를 끼치고 있으며, 건축물의 고층화로 인해 이러한 피해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즉,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고 강도가 작은 유리창의 전면으로 강한 바람이 압력을 가하면서 창호용 유리의 강성을 넘는 횡압력이 창호용 유리에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해지는 횡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창호용 유리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창호용 유리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강화유리를 설치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강화유리를 설치하는 것은 건축비 부담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결국, 태풍과 같은 자연현상에 의한 강풍으로 인하여 대형화된 창호용 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14382호
강풍에 의한 창호용 유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 파손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는 양단부가 창틀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창호용 유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밀착패드 및 상기 프레임부와 창틀 사이에 게재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의 타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둥부재에는 상기 제2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기둥부재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승강부재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밀착패드는 상기 창호용 유리의 프레임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에는 상기 밀착패드의 설치를 위한 설치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밀착패드에는 상기 설치판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패드는 상기 기둥부재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복수개의 상기 밀착패드는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창호용 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통해 강풍이 창호용 유리를 가압하는 경우에도 창호용 유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100)는 일예로서, 프레임부(120), 밀착패드(140) 및 탄성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20)는 양단부가 창틀(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120)는 창호용 유리(20)가 강풍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창호용 유리(20)의 변형을 억제하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부(12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둥부재(122)와, 기둥부재(122)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124) 및 기둥부재(12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126)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기둥부재(122)는 제1,2 기둥부재(122a,122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창호용 유리(20)에 길이 방향, 즉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2 기둥부재(122a,122b)의 일단부는 상기 창틀(10)에 형성되는 홈(12)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기둥부재(122a,122b)의 타단부에는 승강부재(126)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2 기둥부재(122a,122b)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풍에 의해 창호용 유리(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1,2 기둥부재(122a,122b)의 재질은 금속인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강풍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떤 재질이든 채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제1,2 기둥부재(122a,122b)에는 승강부재(126)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122c)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22c)는 나사부(122d)와 손잡이부(122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2 기둥부재(122a,122b)에 형성되는 나사홀(122f)에 고정부재(122c)가 결합되며 나사부(122e)의 끝단부에 의해 승강부재(126)가 가압되어 승강부재(126)가 제1,2 기둥부재(122a,122b)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기둥부재(122a,122b)의 일측면에는 연결부재(124)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22g)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부재(122)가 제1,2 기둥부재(122a,122b)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둥부재(122)는 창호용 유리(20)의 크기에 따라 3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먼저 길이 방향은 도 1에서 X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은 도 1에서 Y 방향을 의미한다.
연결부재(124)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둥부재(122)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연결부재(124)는 일단부가 제1 기둥부재(122a)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제2 기둥부재(122b)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124)는 폭 방향, 다시 말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124)는 제1,2 연결부재(124a,124b)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결부재(124)는 하나 또는 세 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연결부재(124)의 갯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연결부재(124)는 창호용 유리(20)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기둥부재(122)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강풍에 의해 창호용 유리(20)가 가장 많이 변형되는 영역에 연결부재(124)가 설치되어 창호용 유리(2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1,2 연결부재(124a,124b)의 양단부에는 기둥부재(122)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연결부재 고정구(124c)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 고정구(124c)도 상기한 고정부재(122c)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연결부재(124)도 기둥부재(122)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풍에 의해 창호용 유리(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연결부재(124)의 재질은 금속인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강풍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떤 재질이든 채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연결부재(124)는 기둥부재(12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연결부재(124)와 기둥부재(122)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부재(126)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둥부재(122)의 타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승강부재(126)는 파이프 형상을 가진 기둥부재(122)의 내부로 입출 가능하도록 기둥부재(122)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126)는 창틀(10)의 길이 방향 길이에 관계없이 창틀(10)에 프레임부(1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승강부재(126)도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승강부재(126)는 중공을 가지지 않는 사각형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126)에는 고정부재(122c)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22c)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부재(126)가 고정부재(122c)에 의해 기둥부재(122)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승강부재(126)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고 기둥부재(122)에 돌기가 형성되어 승강부재(126)가 승강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부재(126)가 기둥부재(122)의 타단부에만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승강부재(126)는 기둥부재(122)의 양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밀착패드(140)는 창호용 유리(20)에 밀착되도록 프레임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밀착패드(140)는 창호용 유리(20)에 대향되는 기둥부재(122)와 연결부재(124)의 대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 파손 방지장치(100)가 창호용 유리(20)에 밀착 설치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창호용 유리(2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밀착패드(140)에 의해 프레임부(120)가 미끄러지거나 창호용 유리(20)로부터 이격되지 않을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창호용 유리(2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밀착패드(140)는 탄성을 가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서 밀착패드(140)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밀착패드(140)가 기둥부재(122)와 연결부재(124)의 일면 전 영역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밀착패드(14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둥부재(122)와 연결부재(124)의 일면에 복수개의 밀착패드(140)가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밀착패드(140)는 접착제에 의해 기둥부재(122)와 연결부재(124)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밀착패드(140)의 두께는 창호용 유리(20)가 설치되는 유리설치용 프레임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프레임부(120)와 창틀(10) 사이에 게재되도록 프레임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60)는 기둥부재(122)의 일단과 승강부재(126)의 끝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120)가 창틀(10)를 가압하면서 창틀(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결국 프레임부(120)가 창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탄성부재(160)는 창틀(10)이 긁히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탄성을 가진 재질, 예를 들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창호용 유리(20)가 프레임부(120)에 지지되므로 강풍에 의해 창호용 유리(20)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풍에 의해 창호용 유리(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먼저, 기둥부재(122)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제1 기둥부재(122a)]에 설치되는 승강부재(126)를 조절한 후 제1 기둥부재(122a)를 창틀(10)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밀착패드(140)가 창호용 유리(20)에 밀착되도록 제1 기둥부재(122a)가 창틀(10)에 설치된다.
이후, 연결부재(124)의 일단을 제1 기둥부재(122a)에 설치한다. 그리고, 연결부재(124)에 설치되는 밀착패드(140)가 창호용 유리(20)에 밀착되도록 연결부재(120)의 일단이 제1 기둥부재(122a)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124)의 일단이 제1 기둥부재(122a)에 연결되면 이후 제2 기둥부재(122b)를 연결부재(124)의 타단에 연결하여 제2 기둥부재(122b)를 창틀(10)에 고정 설치한다.
이와 같이, 간단한 방법에 의해 유리 파손 방지장치(100)를 창호용 유리(20)에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200)는 일예로서, 프레임부(220), 밀착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재(222)와, 기둥부재(222)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부재(224) 및 기둥부재(222)의 타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부재(226)를 구비할 수 있다.
기둥부재(222)는 창호용 유리(20)에 길이 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둥부재(222)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가진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풍에 의한 창호용 유리(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기둥부재(222)의 재질은 금속인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강풍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떤 재질이든 채용 가능할 것이다.
기둥부재(222)에는 제2 부재(226)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222c)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222c)는 나사부(222d)와 손잡이부(222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둥부재(222)에 형성되는 나사홀(222f)에 고정부재(222c)가 결합되며, 나사부(222d)의 끝단부에 의해 제2 부재(226)가 기둥부재(222)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기둥부재(222)에는 밀착패드(240)의 설치를 위한 설치판(223)이 구비될 수 있다. 설치판(223)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기둥부재(222)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설치판(223)은 밀착패드(24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예로서 설치판(223)은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설치판(223)은 기둥부재(22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해 설치판(223)이 기둥부재(22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설치판(223)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부재(224)는 기둥부재(222)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폭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재(224)는 기둥부재(22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둥부재(222)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부재(224)는 기둥부재(222)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부재(222)에는 중공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1 부재(224)는 창틀(10)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즉, 유리 설치프레임(미도시)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유리 설치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홈에 제1 부재(224)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제2 부재(224)는 기둥부재(222)의 타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부재(224)는 기둥부재(222)의 내부공간으로 입출되는 입출부(224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부재(224)는 창호용 유리(2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24b)와 지지부(224b)로부터 창호용 유리(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입출부(224a)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24b)는 기둥부재(222)의 내부로 입출 가능하도록 기둥부재(222)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224)는 창틀(10)의 길이 방향 길이에 관계없이 창틀(10)에 프레임부(2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제2 부재(224)도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부재(224)는 중공을 가지지 않는 사각형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재(224)의 지지부(224b)는 제1 부재(222)와 같이 창틀(10)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밀착패드(240)는 창호용 유리(20)에 밀착되도록 프레임부(220), 즉 기둥부재(222)의 설치판(223)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밀착패드(240)는 설치판(223)의 형상에 따라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밀착패드(24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한편, 밀착패드(240)는 원판 형상을 가지는 설치판(223)에 씌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밀착패드(240)에는 설치판(223)이 삽입되는 삽입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홈(242)에 설치판(223)이 삽입 배치되도록 밀착패드(240)를 기둥부재(222)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둥부재(222)와 설치판(223)의 이격 거리에 따라 알맞은 두께의 밀착패드(240)를 설치판(223)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창호용 유리(20)가 프레임부(220)에 지지되므로 강풍에 의해 창호용 유리(20)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풍에 의해 창호용 유리(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300)는 일예로서, 프레임부(320)와 밀착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재(322)와, 기둥부재(322)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부재(324) 및 기둥부재(322)의 타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부재(326)를 구비할 수 있다.
기둥부재(322)는 창호용 유리(20)에 길이 방향, 즉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기둥부재(322)는 제1,2 기둥부재(322a,322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기둥부재(322a,322b)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가진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풍에 의한 창호용 유리(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1,2 기둥부재(322a,322b)의 재질은 금속인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강풍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떤 재질이든 채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제1,2 기둥부재(322a,322b)의 나머지 구성은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200)에 구비되는 기둥부재(222)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또한, 제1,2 부재(324,326)도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200)에 구비되는 제1,2 부재(224,226)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다만, 제2 부재(326)에는 지지부(324b)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입출부(324a)가 제1,2 기둥부재(322a,322b)에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제2 부재(326)가 기둥부재(32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밀착패드(340)도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손 방지장치(200)에 구비되는 밀착부재(24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한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200, 300 : 유리 파손 방지장치
120, 220, 320 : 프레임부
140, 240, 240 : 밀착부재
160 : 탄성부재

Claims (13)

  1. 양단부가 창틀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부;
    창호용 유리에 밀착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밀착패드; 및
    상기 프레임부와 창틀 사이에 게재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기둥부재의 타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둥부재에는 상기 제2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기둥부재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승강부재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밀착패드는 상기 창호용 유리의 프레임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재에는 상기 밀착패드의 설치를 위한 설치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밀착패드에는 상기 설치판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패드는 상기 기둥부재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복수개의 상기 밀착패드는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유리 파손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20130037353A 2013-04-05 2013-04-05 유리 파손 방지장치 KR101485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7353A KR101485756B1 (ko) 2013-04-05 2013-04-05 유리 파손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7353A KR101485756B1 (ko) 2013-04-05 2013-04-05 유리 파손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526A KR20140121526A (ko) 2014-10-16
KR101485756B1 true KR101485756B1 (ko) 2015-02-12

Family

ID=51992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7353A KR101485756B1 (ko) 2013-04-05 2013-04-05 유리 파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7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173Y1 (ko) 2005-07-28 2005-10-12 송태만 유리 보호용 지지대
KR100593494B1 (ko) 2004-07-28 2006-06-30 주식회사 상융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또는 풍압에 의한 문짝 탈창을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
JP2007120256A (ja) * 2005-10-31 2007-05-17 Hiroshi Matsukuma 窓ガラス破損防止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494B1 (ko) 2004-07-28 2006-06-30 주식회사 상융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또는 풍압에 의한 문짝 탈창을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
KR200398173Y1 (ko) 2005-07-28 2005-10-12 송태만 유리 보호용 지지대
JP2007120256A (ja) * 2005-10-31 2007-05-17 Hiroshi Matsukuma 窓ガラス破損防止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526A (ko)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748B1 (ko) 대형 도광판의 열팽창을 탄력적으로 완충할 수 있는 구조로 된 백라이트 장치
JP6313754B2 (ja) 緩衝材システムおよび型材
CN105064867B (zh) 一种上下移动式卡置组合式窗体结构
KR101421965B1 (ko) 테라코타패널 고정장치
US10154731B2 (en) Slide rail assembly
CN214363149U (zh) 一种用于公路的移动式弯道铝型材护栏
CN102628570A (zh) 显示装置及其背光模组
KR101485756B1 (ko) 유리 파손 방지장치
PL2088256T3 (pl) Ościeżnica okna dachowego i sposób jej wytwarzania
KR101366138B1 (ko) 유리 파손 방지장치
US9322983B2 (en) Backlight frame and backlight module
DK1468161T3 (da) Glasisætningssystem til bygninger
KR101091703B1 (ko) 단열 및 방음 기능을 지닌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호
CN108346372B (zh) 显示装置
CN105317328A (zh) 一种无障碍通道用门槛组件
CN214786589U (zh) 一种建筑施工安全防护栏加固装置
US11360607B2 (en) Touch device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JP4922243B2 (ja) 移動可能な間仕切り壁
CN112282506A (zh) 一种便于安装的建筑施工用隔音装置及其安装方法
DK1522668T3 (da) Forbindelsesdel til dobbeltvindue-rammeprofiler
US10900274B2 (en) Anti-rattle elements for internal divider of glass assembly
KR100834581B1 (ko) 평편형 모니터 높낮이 조절장치
KR1024654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04877088U (zh) 一种上下移动式卡置组合式窗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