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494B1 -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또는 풍압에 의한 문짝 탈창을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 - Google Patents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또는 풍압에 의한 문짝 탈창을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494B1
KR100593494B1 KR1020040059091A KR20040059091A KR100593494B1 KR 100593494 B1 KR100593494 B1 KR 100593494B1 KR 1020040059091 A KR1020040059091 A KR 1020040059091A KR 20040059091 A KR20040059091 A KR 20040059091A KR 100593494 B1 KR100593494 B1 KR 100593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ressure
housing
glass
fix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406A (ko
Inventor
박정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융
Priority to KR102004005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494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또는 풍압에 의한 문짝 탈창을 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압보호구(1)는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를 갖고 종방향으로 기다란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하부 개구부를 통해 종방향으로 탈삽입가능한 길이조절용 보조관체(200a, 200b)와, 상기 보조관체(200a, 200b)를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300a, 300b)과, 상기 보조관체(200a, 200b)의 각각에 결합되고 유리문이 설치된 상하부 샷시에 각각 고정되는 횡방향의 고정관체(400a, 400b)와,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에 접착된 유리보호패드(500)와, 상기 각각의 고정관체(400a, 400b)의 일면에 접착된 샷시보호패드(600a, 6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풍압보호구는 간단한 구성을 갖고 누구나 쉽게 사용가능하면서도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및 문짝 탈창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Description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또는 풍압에 의한 문짝 탈창을 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WIND PRESSURE PROTECTION APPARATUS WHICH PROTECTS DAMAGES OF GLASSES OR WINDOWS FROM WIND PRESSU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풍압보호구의 측면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풍압보호구의 정면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또는 풍압에 의한 문짝 탈창을 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태풍은 북태평양 서부에서 발생하는 열대저기압 중에서 중심 부근의 최대풍속이 17 m/s이상의 강한 폭풍우를 동반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매년 3-5회의 빈도로 태풍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 태풍 "매미"의 경우 최대 풍속이 50 m/s에 달한 정도로 강력한 바람을 동반 하였으며, 이로 인해 많은 가구의 유리창이 파손되는 피해를 입었다. 지구 온난화와 이상기류의 영향에 의해 태풍에 의한 피해는 점차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태풍에 동반되는 바람에 의한 영향도 점차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태풍 또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강력한 바람의 풍압에 의한 유리창의 파손은 주거에 방해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때로는 유리 파편에 의해 인명피해를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풍압으로부터 유리파손 또는 문짝의 탈창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요청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러한 보호구는 알려져 있지 아니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풍압으로부터 유리손상 또는 문짝 탈창 등을 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를 갖고 종방향으로 기다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하부 개구부를 통해 종방향으로 탈삽입가능한 길이조절용 보조관체와, 상기 보조관체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보조관체의 각각에 결합되고 유리문이 설치된 상하부 샷시에 각각 고정되는 횡방향의 고정관체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접착된 유리보호패드와, 상기 각각의 고정관체의 일면에 접착된 샷시보호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풍압보호구가 제공된다.
상기한 풍압보호구는 간단한 구성을 갖고 누구나 쉽게 사용가능하면서도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및 문짝 탈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풍압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태풍 등에 동반되는 강한 풍압으로부터 유리파손, 문짝 탈창을 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압보호구의 바람직한 구현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풍압보호구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풍압보호구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압보호구는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를 갖고 종방향으로 기다란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하부 개구부를 통해 종방향으로 탈삽입가능한 길이조절용 보조관체(200a, 200b)와, 상기 보조관체(200a, 200b)를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300a, 300b)과, 상기 보조관체(200a, 200b)의 각각에 결합되고 유리문이 설치된 상하부 샷시에 각각 고정되는 횡방향의 고정관체(400a, 400b)와,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에 접착된 유리보호패드(500)와, 상기 각각의 고정관체(400a, 400b)의 일면에 접착된 샷시보호패드(600a, 6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을 갖는 관형태를 갖고, 단면이 직사각형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는 두 개의 보조관체(200a, 200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 일면에는 유리보호패드(50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보조관체(200a, 200b)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하부 개구부를 통해 탈삽입되며, 이것에 의해 길이 조정이 성취된다. 적절한 길이 조정이 행해지면, 고정수단(300a, 300b)(예를 들면,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보조관체(200a, 200b)의 상기 하우징(100)으로의 고정이 수행된다. 상기 고정수단(300a, 300b)은 유리보호패드(500)의 반대면에 위치하여, 유리보호패드(500)가 유리와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유리보호패드(500)는 고무 등과 같은 신축성 물질로 형성되며, 유리와의 긴밀한 접촉을 가능하게 하고, 유리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한다.
상기 보조관체(200a, 200b)에는 횡방향의 고정관체(400a, 400b)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관체(400a, 400b)는 상하부 샷시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관체(400a, 400b)는 횡방향으로 기다란 형태를 갖는데, 이것은 샷시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풍압보호구의 고정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고정관체(400a, 400b)에는 샷시보호패드(600a, 600b)가 일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샷시보호패드(600a, 600b)는 통상 고무 등과 같은 신축성 물질로 형성된다. 이것은 풍압보호구의 장기간 설치에 의한 샷시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하, 제조예와 설치예를 통해 상기 풍압보호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예
두께가 1.5 mm인 30×30×1500 mm의 관형태의 직육면체 스텐을 하우징(100)으로 이용하였고,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에 두께가 2 mm인 30×30×1500 mm의 고무를 부착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에 유리보호패드(500)를 형성하였다. 두께가 1.5 mm인 25×25×750 mm의 관형태의 직육면체 스텐 2개를 상기 하우징(100)의 상하부에 삽입하여 보조관체(200a, 200b)로 이용하였다. 상기 유리보호패드(500)가 형성된 반대면에 4개의 고정볼트(300a, 300b)를 형성하였고, 이것에 의해, 두 개의 보조관체(200a, 200b)가 상기 하우징(100)에 각각 고정된다. 두께가 1.5 mm인 25×25×250 mm의 관형태의 직육면체 스텐 2개를 상기 보조관체(200a, 200b)의 중앙에 결합시켜, 고정관체(400a, 400b)를 형성하였다. 상기 고정관체(400a, 400b)의 외부면에 25×25×250 mm의 고무를 각각 접착하여 샷시보호패드(600a, 600b)를 형성하였다. 외관상기 고정관체(400a, 400b)의 내부공간에 의한 미관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캡(700)을 사용하여 고정관체(400a, 400b)를 밀봉하였다.
설치예
우선, 도 1에 도시된 유리보호패드(500)가 유리면과 접촉되도록 배치한다. 고정볼트(300a)를 푼 후, 상기 보조관체(200a)를 상기 상부쪽으로 끌어올려 유리보호패드(500)가 유리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한 후 고정볼트(300a)를 잠근다. 고정관체(400a)에 부착된 샷시보호패드(600a)를 상부쪽 샷시와 레일속으로 완전히 밀어 올린다. 그 후, 고정볼트(300b)를 푼 후, 상기 보조관체(200b)를 하부쪽 샷시와 레일속으로 완전히 밀어내려 고정관체(400b)에 부착된 샷시보호패드(600b)를 하부쪽 샷시에 고정시키고, 고정볼트(300b)를 죄어 상기 보조관체(200b)를 하우징(100)에 고정한다. 유리보호패드(500)가 유리의 중앙부에 위치하지 아니할 경우, 상기 단계를 반복수행하여 조정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고정볼트 4개를 최대한 조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풍압보호구는 해마다 3차례 이상의 태풍에 의해 유리창의 파손, 문짝탈창 및 이에 따른 인명피해를 예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압보호구는 간단한 구성을 갖고 누구나 쉽게 사용가능하면서도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및 문짝 탈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2)

  1.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를 갖고 종방향으로 기다란 관형태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하부 개구부를 통해 종방향으로 탈삽입가능한 길이조절용 보조관체(200a, 200b)와, 상기 보조관체(200a, 200b)를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300a, 300b)과, 상기 보조관체(200a, 200b)의 각각에 결합되고 유리문이 설치된 상하부 샷시에 각각 고정되는 횡방향의 고정관체(400a, 400b)와, 상기 하우징(100)의 일면에 접착된 유리보호패드(500)와, 상기 각각의 고정관체(400a, 400b)의 일면에 접착된 샷시보호패드(600a, 6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풍압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0a, 300b)이 유리보호패드(500)의 반대면에 위치한 고정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보호구.
KR1020040059091A 2004-07-28 2004-07-28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또는 풍압에 의한 문짝 탈창을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 KR100593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091A KR100593494B1 (ko) 2004-07-28 2004-07-28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또는 풍압에 의한 문짝 탈창을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091A KR100593494B1 (ko) 2004-07-28 2004-07-28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또는 풍압에 의한 문짝 탈창을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505U Division KR200367645Y1 (ko) 2004-07-28 2004-07-28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또는 풍압에 의한 문짝 탈창을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406A KR20060010406A (ko) 2006-02-02
KR100593494B1 true KR100593494B1 (ko) 2006-06-30

Family

ID=3712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091A KR100593494B1 (ko) 2004-07-28 2004-07-28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또는 풍압에 의한 문짝 탈창을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4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398B1 (ko) * 2012-11-26 2013-10-16 이재승 창문 보호장치
KR101485756B1 (ko) 2013-04-05 2015-02-12 최춘문 유리 파손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513A1 (ko) 2008-08-28 2010-03-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마트 카드 기반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스마트 카드
KR101366138B1 (ko) * 2013-06-28 2014-02-25 최춘문 유리 파손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398B1 (ko) * 2012-11-26 2013-10-16 이재승 창문 보호장치
KR101485756B1 (ko) 2013-04-05 2015-02-12 최춘문 유리 파손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406A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3494B1 (ko)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또는 풍압에 의한 문짝 탈창을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
CN212086291U (zh) 一种工厂用智能安防监控设备
CN212004790U (zh) 一种人防密闭套管
KR200367645Y1 (ko) 풍압에 의한 유리손상 또는 풍압에 의한 문짝 탈창을방지하기 위한 풍압보호구
US8910421B2 (en) Under track garage door seal
CN205936279U (zh) 一种钢制防火平开窗
CN216666882U (zh) 一种用于封堵管道穿墙缝隙的隔声装置
CN109743480B (zh) 一种基于计算机的监控装置
CN209799221U (zh) 一种墙体护角
KR101175351B1 (ko) 외장유리의 힌지볼트 체결구조
CN211422304U (zh) 一种节能型铝合金耐火隔声门窗
KR100653616B1 (ko) 발파소음 저감방법 및 장치
KR101527493B1 (ko) 유리창 파손 방지기
CN219718368U (zh) 一种密封性能好的防爆摄像机护罩
CN211477398U (zh) 一种基于工厂的数字式噪声检测仪器
CN213418934U (zh) 一种塑钢推拉窗降噪排水孔封堵件
CN216746279U (zh) 一种集成式防盗水表箱
CN209724088U (zh) 一种铝合金门窗
KR20220102713A (ko) 유리창 파손 방지장치
CN220616854U (zh) 一种减震钢化玻璃
CN218566472U (zh) 一种裂缝计保护装置
CN212573152U (zh) 一种衰减器插芯
CN214941402U (zh) 一种建筑幕墙安装用辅助结构
CN212249646U (zh) 一种门窗防撞装置
CN211573202U (zh) 一种抗震型钢化夹层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