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734B1 - 화장품 냉장고 - Google Patents

화장품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734B1
KR101485734B1 KR20140045735A KR20140045735A KR101485734B1 KR 101485734 B1 KR101485734 B1 KR 101485734B1 KR 20140045735 A KR20140045735 A KR 20140045735A KR 20140045735 A KR20140045735 A KR 20140045735A KR 101485734 B1 KR101485734 B1 KR 101485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container
stirring
shaf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용
Original Assignee
우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상용 filed Critical 우상용
Priority to KR20140045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734B1/ko
Priority to PCT/KR2015/001779 priority patent/WO20151600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실의 냉기를 부여하기 위한 냉각방식을 냉각판을 이용한 하부 냉각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냉장실 바닥면에 거치되는 화장품의 냉각 효율이 향상되게 하며, 또한, 화장품 냉장고를 구성함에 있어, 화장품 원료를 이용한 화장품의 제조 및 화장도구 등의 보관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장치 구비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줄이고, 화장품 냉장고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화장품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품 냉장고{Cosmetic refrigerator}
본 발명은 화장품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방식 개선으로 화장품의 안정된 냉장 보관과, 필요에 따라 화장품 원료를 이용하여 화장품의 제조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화장품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피부의 미용뿐만 아니라, 자외선이나 공기 중의 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수분을 공급하는 보습기능 및 영양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가지는 것으로, 최근에는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부여한 기능성 화장품이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은 주로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고온에서 장기간 동안 보관할 경우에 변질의 우려가 한층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변질된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상실하고, 오히려 피부 트러블과 같은 피부질환을 유발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문제로, 최근 들어 화장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장품을 저온에서 보관시킬 수 있는 화장품 전용 냉장고가 개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화장품전용 냉장고의 종래 기술들이 많이 알려져 있는바, 일반적인 화장품 냉장고를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제20-0315376호와 같이 화장품 보관을 위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냉장고는 그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송풍팬을 이용하여 상부에서 냉기를 공급 및 강제 순환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시 소음의 증가 및 오히려 냉기의 손실을 불러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기능에 있어서도, 단순히 화장품 보관 기능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근자에 들어서 화장품 원료를 이용한 화장품의 제조 사용이 각광받고 있는데 반해 이러한 화장품의 제조를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등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153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장실의 냉기를 부여하기 위한 냉각방식을 냉각판을 이용한 하부 냉각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냉장실 바닥면에 거치되는 화장품의 냉각 효율이 향상되게 하기 위한 화장품 냉장고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화장품 냉장고를 구성함에 있어, 화장품 원료를 이용한 화장품의 제조 및 화장도구 등의 보관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장치 구비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화장품 냉장고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화장품 냉장고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화장품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 상부에 형성되며, 냉장실도에 의해 전방 개폐되는 공간부 형태를 이루는 냉장실;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서 냉장실로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발생부; 및
냉장고 본체 외부에 형성되어 냉기발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버튼 조절되는 컨트롤부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냉장고 본체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화장품 원료를 교반하여 화장품의 제조가 가능한 교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냉장고 본체의 상부에 내측면에 거울이 형성된 보관실도어에 의해 상부 개폐되는 공간부 형태를 이루는 도구보관실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는, 냉장실의 바닥면을 이루는 냉각판을 통해 냉기의 발생이 가능하여, 그 냉각판에 거치되는 화장품의 냉각 효율이 현격히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냉장고의 일측에 교반부 및 상부에 도구 보관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화장품 제조나 도구 보관에 따른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매우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낸 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낸 평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의 냉장고 본체 요부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의 교반용기와 교반축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의 구동축과 교반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의 구동축과 교반축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의 화장품 냉장보관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의 교반용기 장착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의 작동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의 구동축과 교반축 분리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의 화장도구 보관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낸 교반용기 분리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낸 정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낸 평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100)로부터 냉장실(110)과 냉기발생부(150)로 구성된다.
이때, 도 6의 도시와 같이 냉장실(110)은, 냉장고 본체(100)의 상부에서 공간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전면으로 힌지 작동하는 냉장실도어(111)에 의해 개폐 가능하며, 그 냉장실(110)에는 화장품의 수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냉기발생부(150)는, 상기 냉장실(110)의 저면에 구성되어 냉장실(110)로 냉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냉각유닛(160)과 방열유닛(17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냉각유닛(160)은, 냉장실(110) 내부에 냉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먼저 냉장실(110)의 바닥부 외면과 접촉되는 냉각판(161)이 구성된다.
그리고, 냉각판(161)의 하부에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162)가 형성된다.
여기서, 열전소자(162)는 통상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냉각열이 발생하는 것으로, 그 냉각열은 냉각판(161)으로 전달하여 냉장실(110)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켜 냉장실(110)을 통해 화장품 또는 화장품 원료의 저온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냉각판(161)는 냉장실(110)의 하부 외면에서 냉장실(110)의 후방 외면을 통하여 냉장실(110)의 상부 외면 까지 연장되어서 냉장실(110)의 하부 냉각과 함께 상부를 냉각하여 냉장실(110) 내부에서 냉기가 하부로 유동되는 대류유동을 유발시켜 냉장실(110)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또한, 냉장실(110)은 하나의 함체로 형성함으로서, 냉장실(110)의 온도를 하강시키는데 있어서 냉장실(110)의 전체면을 통하여 온도를 하강시키도록 구성하여 증대된 냉각효과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110)의 외면에는 냉각판(161)이 외부 공기와 접촉에 의한 열손실에 의한 결로가 유발되지 않게 하는 단열재(163)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방열유닛(170)은, 상기 열전소자(162)가 일측(상부) 냉각판(161)으로 냉각을 수행함에 있어 반대측(하부)에는 열이 발생하는 것인바, 이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열전소자(162)의 저면에는 상기 열전소자(162)로부터 열기를 흡수하는 다수의 방열핀(171a)을 갖는 방열판(171)이 접촉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171)의 하부에는 상기 방열판(171)을 냉각시킨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방열팬(172)이 형성된 것으로, 방열팬(172)은 냉장고 본체(100)의 바닥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방열팬(172)이 위치한 냉장고 본체(100)의 측면에는 방열팬(172)에 의한 공기의 강제 배기에 따라 외부 자연공기를 방열판(171)으로의 유입되게 하는 공기흡입공(174)이 다수 천공 형성된 것이다.
또한, 냉장고 본체(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방열판(171)과 연통되도록 공기배출공(173)이 다수 천공 형성된 것으로, 공기배출공(173)은 방열팬(172)을 통한 공기 냉각방식으로 방열판(171)을 냉각시 열교환에 의해 발생 된 냉각열을 외부로 방출시켜주게 된다.
한편, 냉장고 본체(100)에는 버튼(410) 조작되는 컨트롤부(400)이 더 포함된 것으로, 상기 컨트롤부(400)에 의해 냉기발생부(150)의 조작에 따른 냉장실(110)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다시 도 1 내지 도 7로 돌아가 냉장고 본체(100) 일측에는 교반부(200)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교반부(200)에서는 하나 이상의 화장품 원료를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교반부(200)는, 구동부(210)와, 용기 출입부(220)와, 용기거치부(230)와, 교반용기(240)와, 교반축(25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210)는, 교반부(200)의 상부를 이루며, 사방이 막힌 함체 형태의 구동실(211)로 구성된 것으로, 그 구동실(211) 내부에는 구동모터(212)가 구비된다.
그리고, 구동모터(212)에는 구동축(213)이 형성된 것으로, 그 구동축(213)은 구동실(211) 바닥면을 관통하여 하기하는 용기 출입부(220)로 하방 돌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용기 출입부(220)는, 상기 구동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전면과 측면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좌,우 슬라이딩 개폐되는 출입부 덮개(221)에 의해 개방되어 하기하는 교반용기(240)의 출입을 단속 및 그 교반용기(240)가 수용되게 구성된다.
상기 용기거치부(230)는, 하기하는 교반용기(240)가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용기 출입부(2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용기 출입부(220)의 바닥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용기거치부(230)의 상부에는 가열판(232)이 형성된 것인데, 그 가열판(232)의 상부면은 함몰 형태를 이루는 용기 거치홈(233)이 형성된 것으로, 그 용기 거치홈(233)에 하기하는 교반용기(240)가 거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교반용기(240)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용기본체(241)와 용기본체(241)를 마감하는 용기덮개(245)로 구성된 것으로, 용기본체(241)와 용기덮개(245)는 나사결합 등에 의해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241)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화장품 또는 화장품 원료 등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되며, 그 용기본체(241)는 상기 용기거치부(230)의 용기 거치홈(233)에 거치되게 구성된다.
또한, 용기덮개(245)는, 상기 용기본체(241)의 상부를 마감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용기덮개(245)의 중앙에는 하기하는 교반축(250)이 관통되는 축설부(246)가 형성되고, 그 축설부(246)의 주변에는 용기본체(24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나 이상이 통공(247)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축설부(246)에는 교반축(250)의 회전시 그 회전간섭을 받지 않도록 교반축(25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교반축공(246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설부(246)에는 교반축 진입홈(246b)이 더 형성된 것인데, 그 교반축 진입홈(246b)은 어느 하나의 통공(247)과 연통되게 절개홈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교반축(250)은, 교반용기(240)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교반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상기 용기덮개(245)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 및 구동축(213)과 결합되게 구성되며, 그 하부에는 용기본체(241) 내부에 수용되는 교반날개(251)가 형성된다.
즉, 교반축(250)은 외둘레가 교반축 진입홈(246b)을 통해 용기덮개(245)의 축설부(246)에 형성된 교반축공(246a)에 장착된 한편, 상부가 돌출되어 구동축(213)과 결합되고, 그 하부의 교반날개(251)가 용기본체(241)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축(213)과 교반축(250)의 결합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도 8의 도시와 같이 구동축(213)의 하단에는 그 구동축(213)보다 확장된 형태를 이루는 제1 자석체(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축(250)의 상단에는 구동축(213)의 제1 자석체(214)와 다른 극성을 가져 서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교반축(250)보다 확장된 형태를 이루는 제2 자석체(254)가 형성된다.
즉, 구동축(213)과 교반축(250)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 자석체(214)와 제2 자석체(254)에 의해 서로 긴밀한 접착력에 의해 결합되어 구동축(213)과 교반축(250)이 연동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자석체(214)와 제2 자석체(254)는, 그 표면에 수지를 이용하여 수지코팅(C) 처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도시와 같이 구동축(213)의 제1 자석체(214)의 외둘레는 각형체를 이루게 구성하고, 교반축(250)의 제2 자석체(254)는 그 상부가 각형체 형태의 제1 자석체(214)가 형합될 수 있도록 각홈(254a)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이는, 각형체의 제1 자석체(214)가 제2 자석체(254)의 각홈(254a)에 형합 및 자력에 의해 접착되게 함으로, 구동축(213)과 교반축(250)의 보다 견고하고 긴밀한 결합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교반부(200)의 작동은 냉장고 본체(100)에 형성된 컨트롤부(400)에서 작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시 도 1 내지 도 5로 돌아가 냉장고 본체(100)에는 도구본관실(30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있느 것으로, 도구보관실(300)에는 화장도구 및 상기 교반부(200)에서 사용된 교반축(250)의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구보관실(300)은, 냉장고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힌지 회동되는 보관실도어(310)에 의해 상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관실도어(310)의 내측면에는 거울(311)이 형성되어 그 보관실도어(310)를 개방시 화장시 사용되는 경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구보관실(300) 내부에는 자외선 살균램프(330)를 더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도구보관실(300)에서 교반축(250)을 포함한 위생이 중요시되는 화장도구의 살균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도구보관실(300)의 자외선 살균램프(330)의 작동은 냉장고 본체(100)에 형성된 컨트롤부(400)에서 작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냉기발생부(150)과 교반부(200)과 도구보관실(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400)에는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점등램프(420)와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기(430)가 더 포함된 것으로, 점등램프(420)에 의해 원활한 작동 상태의 표시와 작동 시상시 경보기(430)에 의한 출력으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0의 도시와 같이 교반부(200)의 상부에 저울(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저울(500) 에서는 교반시키고자 하는 화장품 원료의 무게 측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11의 도시와 같이 화장품은 냉장고 본체(100)에서 저온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냉장실(110)에 제조된 화장품을 수용 및 냉각유닛(160)의 작동으로 냉장실(110) 온도를 화장품 종류에 맞게 조절하여 보관하면 된다.
이때, 상기 냉각유닛(160)의 작동은 통상의 화장품 냉장고에 구비되는 컨트롤부(400)에 의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즉, 냉각유닛(160)의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냉각유닛(160)에서는 열전소자(162)에 전원이 인가되고, 그 열전소자(162)의 일측에는 냉각열이 발생하는 것으로, 그 냉각열은 일체로 형성된 냉장실(110)의 바닥과 후방 및 상부 외면에 까지 연장 구비된 냉각판(161)에 의하여 냉기가 냉장실(110)의 벽면 및 천장면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때, 냉장실(110) 내부에서는 냉각판(161)의 냉각열에 의해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장실(110) 내부의 냉기 발생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냉각 과정에서 열전소자(162)에 면접 형성된 방열판(171)에서는 열전소자(162)로부터 발생 된 열기를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열교환 공기냉각방식이 적용되는 것인데, 이는 방열팬(172)의 작동으로 외부의 자연공기를 공기흡입공(174)을 통해 흡입한 후, 재차 방열판(171)으로 토출시키게 되는 것으로, 토출된 외부 자연공기는 방열판(171)의 방열핀(171a)을 냉각시켜주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열교환 냉각과정에서 발생된 더운 열기는 공기배출공(17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냉장실(110) 내부의 안정된 냉기발생과 이로 인한 화장품의 냉장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냉장시 발생되는 소음의 방지와 냉장실(110) 전체에 고른 냉기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냉장고 본체(100)는 필요에 따라 화장품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이는 교반부(200)에서 가능하다.
먼저, 교반용기(240)의 용기본체(241)에는 화장품 원료 등 내용물을 수용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화장품 원료는 저울(500)을 통해 그 혼합되는 원료의 계량이 가능하다.
이후, 용기본체(241)의 상부는 용기덮개(245)로 마감하면 되는 것이고, 용기덮개(245)에는 축설부(246)의 교반축공(246a)을 통해 교반축(250)을 장착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교반날개(251)가 통공(247)을 통해 용기본체(241) 내부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그 통공(247)과 연통된 교반축 진입홈(246b)을 통해 교반축(250)이 교반축공(246a)에 수용되게 하면 된다.
이후, 교반용기(240)는 도 12의 도시와 같이 용기 출입부(220)를 통해 용기거치부(230)의 가열판(232)에 형성된 용기 거치홈(233)에 거치하면 된다.
이후, 교반축(250)의 회전을 위해 구동부(210)와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구동축(213)의 제1 자석체(214)와 교반축(250)의 제2 자석체(254)의 접촉에 의해 연결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9의 도시와 같이 제1 자석체(214)를 각형체로 구성하고, 제2 자석체(254)에 각홈(254a)을 구성시에는 각형체의 제1 자석체(214)가 제2 자석체(254)의 각홈(254a)에 형합 및 자력에 의해 접착되게 함으로, 구동축(213)과 교반축(250)의 보다 견고하고 긴밀한 결합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후, 도 13의 도시와 같이 교반을 수행하되, 교반 작동시에는 출입부 덮개(221)를 이용하여 용기 출입부(220)를 폐쇄 후, 작동하면 된다.
즉, 컨트롤부(400)을 통해 구동모터(212)를 작동시켜 구동축(213)에 회전력을 부여하게 되면, 구동축(213)에 연결된 교반축(250)이 회전되고, 이에 교반날개(251)의 회전에 의해 용기본체(241)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교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용기거치부(230)의 히터(231)를 작동시키게 되면 그 열기가 용기본체(241)의 바닥면을 이루는 가열판(232)에 전달 및 용기본체(241)를 통해 용기본체(241)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로 전달되는 것인바, 교반시 내용물의 점도가 교반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시켜주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내용물의 교반이 완료되면 교반용기(240)를 분리하여야 하는 것인바, 이는 도 14의 도시와 같이 외력을 가해 구동축(213)의 제1 자석체(214)와 교반축(250)의 제2 자석체(254)의 접착력을 해제시켜 분리하면 된다.
또한, 교반시 사용된 교반축(250) 및 화장도구는 도 15의 도시와 같이 세척 후, 도구보관실(300)에서 보관하면 될 것이고, 도구보관실(300)에 살균력을 부여하는 자외선 살균램프(330)를 설치시에는 도구보관실(300)에 도구를 보관함으로 그 살균 소독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구보관실(300)의 자외선 살균램프(330)의 작동은 컨트롤부(400)에서 버튼(410)의 작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화장품 냉장고는 냉각판을 이용한 냉각방식을 적용함으로 화장품 냉장고 작동에 따른 소음 등의 감소화 냉장실 전체에 고른 냉기의 발생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냉각효율이 현격히 향상되고, 특히 교반부를 통해 다양한 화장품의 제조가 가능하며, 도구보관실을 통해 화장도구 등의 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등 매우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 냉장고 본체 110 : 냉장실 111 : 냉장실도어
150 : 냉기발생부 160 : 냉각유닛 161 : 냉각판
162 : 열전소자 163 : 단열재
170 :방열유닛
171 : 방열판 171a : 방열핀 172 : 방열팬
173 : 공기배출공 174 : 공기흡입공
200 : 교반부
210 : 구동부 211 : 구동실 211a : 가이드공
212 : 구동모터 213 : 구동축 214 : 제1 자석체
216 : 레버
220 : 용기 출입부 221 : 출입부 덮개
230 : 용기거치부 231 : 히터 232 : 가열판
233 : 용기 거치홈
240 : 교반용기 241 : 용기본체 245 : 용기덮개
246 : 축설부 246a : 교반축공 246b : 교반축 진입홈
247 : 통공
250 : 교반축 251 : 교반날개 254 : 제2 자석체
254a : 각홈
300 : 도구보관실 310 : 보관실도어 311 : 거울
330 : 자외선 살균램프
500 : 저울

Claims (8)

  1. 화장품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100) 상부에 형성되며, 냉장실도어(111)에 의해 전방 개폐되는 공간부 형태를 이루는 냉장실(110);
    상기 냉장실(110)의 하부에서 냉장실(110)로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발생부(150); 및
    냉장고 본체(100) 외부에 형성되어 냉기발생부(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버튼(410) 조절되는 컨트롤부(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냉기발생부(150)는,
    상기 냉장실(110)과 바닥 외면과 접촉되어 냉장실(110)의 후방 및 상부 외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냉각판(161)과 상기 냉각판(161)의 하부와 면접되게 설치되는 열전소자(162)로 이루어진 냉각유닛(160); 및
    상기 열전소자(162)의 저면에 면접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방열핀(171a)을 갖는 방열판(171)과, 상기 방열판(171)의 하부에 형성되어 방열판(171)을 냉각시키는 방열팬(172)과,
    상기 방열팬(172)의 측면에서 냉장고 본체(100)의 측면에 다수 천공 형성되는 공기흡입공(174)과, 냉장고 본체(100)의 바닥면에 다수 천공 형성되는 공기배출공(173)으로 된 방열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냉장실(110)의 외면에는 냉각판(161)이 외부 공기와 접촉에 의한 열손실에 의한 결로가 유발되지 않게 하는 단열재(163)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냉장고 본체(100)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화장품 원료를 교반하여 화장품의 제조가 가능한 교반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교반부(200)는,
    상부의 함체 형태의 구동실(211) 내부에 구동실(211) 저면으로 돌출되는 구동축(213)이 형성된 구동모터(212)가 내장된 구동부(210);
    상기 구동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전면과 측면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는 용기 출입부(220);
    상기 용기 출입부(220)의 하부에서 바닥을 이루며 내부에는 히터(231)가 내장되어 열을 발생시키고 상부면에는 히터(231)의 열이 전달되며 용기 거치홈(233)이 함몰 형성된 가열판(232)으로 된 용기거치부(230);
    상기 용기거치부(230)의 용기 거치홈(233)에 거치되는 상부 개방형 용기본체(241)와 그 용기본체(241)의 상부를 마감하는 용기덮개(245)로 된 교반용기(240); 및
    상단이 상기 구동축(213)과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용기본체(241)에 수용되는 교반날개(251)를 갖는 교반축(25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교반부(200)의 작동은 컨트롤부(400)에 의해 수행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출입부(220)에는 개방된 전면과 측면을 슬라이딩 개폐하는 출입부 덮개(221)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용기(240)는,
    용기덮개(245)의 중앙에 교반축(250)이 관통 및 그 교반축(250)의 회전 간섭을 받지 않는 교반축공(246a)을 갖는 축설부(246)가 형성되고,
    상기 축설부(246)의 주변에는 용기본체(241) 내부와 연통되게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통공(247)이 더 형성되며,
    상기 축설부(246)에,
    교반축공(246a)과 어느 하나의 통공(247)과 연통되는 절개형 교반축 진입홈(246b)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13)의 하단에는 확장된 형태를 이루는 제1 자석체(214)가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250)의 상단에는 상기 제1 자석체(214)와 다른 극성을 갖는 확장된 형태를 이루는 제2 자석체(254)가 형성되어,
    그 제1 자석체(214)와 제2 자석체(254)에 의해 구동축(213)과 교반축(250)이 서로 접촉 연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체(214)와 제2 자석체(254)는 수지코팅(C)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체(214)는, 외둘레를 다각형상을 이루는 각형체로 구성하고,
    상기 제2 자석체(254)는, 상부가 상기 각형체가 형합되는 각홈(254a)을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7. 제 1항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100)의 상부에 내측면에 거울(311)이 형성된 보관실도어(310)에 의해 상부 개폐되는 공간부 형태를 이루는 도구보관실(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도구보관실(300) 내부에 자외선 살균램프(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자외선 살균램프(330)의 작동은 컨트롤부(400)에서 수행되게 구성하며,
    상기 컨트롤부(400)에는,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점등램프(420)와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기(430)를 구성하며,
    상기 교반부(200)의 상부에는 저울(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보관 기능을 갖는 화장품 냉장고.
KR20140045735A 2014-04-17 2014-04-17 화장품 냉장고 KR101485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735A KR101485734B1 (ko) 2014-04-17 2014-04-17 화장품 냉장고
PCT/KR2015/001779 WO2015160082A1 (ko) 2014-04-17 2015-02-24 화장품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735A KR101485734B1 (ko) 2014-04-17 2014-04-17 화장품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734B1 true KR101485734B1 (ko) 2015-01-22

Family

ID=52592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5735A KR101485734B1 (ko) 2014-04-17 2014-04-17 화장품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5734B1 (ko)
WO (1) WO201516008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546A (ko) * 2003-09-02 2005-03-08 (주)성철사 화장품 냉장고
KR20140023175A (ko) * 2012-08-17 2014-02-26 노경부 소도구 살균 칸이 구비된 화장품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5299B2 (en) * 2001-10-19 2004-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or cosmetic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546A (ko) * 2003-09-02 2005-03-08 (주)성철사 화장품 냉장고
KR20140023175A (ko) * 2012-08-17 2014-02-26 노경부 소도구 살균 칸이 구비된 화장품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0082A1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211B2 (en) Portable hygenic ice chest for medical supplies or the like
CN108523722A (zh) 浴室管理器
KR100645118B1 (ko) 유아용 다기능 보관고
US9448006B2 (en) Turbo-chill chamber using secondary coolant
US8348173B2 (en) Portable temperature controlled container
CN108523723A (zh) 浴室管理器
JP3165503U (ja) 携帯用扇風機
KR101485734B1 (ko) 화장품 냉장고
KR20040098412A (ko)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춘 빌트인타입의 서랍식 냉온장 장치
JP2716945B2 (ja) 磁化水製造装置
JPH074764A (ja) スターリングサイクルを利用した冷凍機
KR20010067781A (ko) 화장품용 냉장고가 구비된 화장대
ITMI20081782A1 (it) Macchina automatica per la preparazione di granite, gelato, frappe', e/o simili.
US20120031112A1 (en) Turbo-chill chamber with air-flow booster
KR101389633B1 (ko) 냉장보관 기능을 갖는 화장품 제조장치
KR200304023Y1 (ko) 화장품냉온장보관함
KR101944195B1 (ko) 다용도 화장품 냉장고
KR101975770B1 (ko) 장탈착이 용이한 수납 트레이를 구비한 화장품 냉장고
CN208740627U (zh) 一种双风道散热的加热破壁机
US20150245636A1 (en) Frozen Beverage Preparation Method and Device
CN109330314A (zh) 一种夏天用可快速降温的饮用杯
KR20150000477U (ko) 믹서기 방음박스
KR102225692B1 (ko) 쌀통이 구비된 식기 건조기
KR200234881Y1 (ko) 화장품 냉장 저장부가 구비된 화장대
KR200298899Y1 (ko) 도자기 및 열전 냉각 소자를 이용한 화장품 냉장고 및보관함을 포함하는 개폐식 화장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