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477U - 믹서기 방음박스 - Google Patents

믹서기 방음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477U
KR20150000477U KR2020130006091U KR20130006091U KR20150000477U KR 20150000477 U KR20150000477 U KR 20150000477U KR 2020130006091 U KR2020130006091 U KR 2020130006091U KR 20130006091 U KR20130006091 U KR 20130006091U KR 20150000477 U KR20150000477 U KR 201500004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lender
switch
mix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김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KR2020130006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477U/ko
Publication of KR201500004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4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믹서기의 사용소음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믹서기 방음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믹서기의 수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박스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믹서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 편리하게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믹서기 방음박스로써 믹서기의 수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통하여 믹서기를 본체의 내측에 수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믹서기의 분쇄 소음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며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믹서기의 사용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본체와 도어의 구성을 통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인 믹서기 사용을 이룰 수 있고, 믹서기 또는 믹서기 방음박스를 재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이동하여 재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을 줄여 전체적인 유지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전원부의 구성을 통하여 믹서기는 물론이고, 별도의 전기기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본체의 내측에 수용된 믹서기의 사용상태를 사용자가 원활하게 육안으로 확인하며 사용할 수 있어 믹서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이룰 수 있다.
넸째, 믹서기가 수용된 상태에서도 믹서기는 물론이고, 전원부의 작동 또한 원활하게 이룰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이에 따른 효율적인 믹서기 사용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믹서기 방음박스{a soundproof box for blender}
본 고안은 믹서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믹서기의 사용소음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믹서기 방음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믹서기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통하여 믹서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믹서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믹서기 방음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믹서기란, 전동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분쇄날을 통하여 내측에 수용되는 각종 물품을 분쇄할 수 있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믹서기는 문헌(1), 문헌(2)에서와 같이, 전동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분쇄날을 통하여 내측에 수용되는 물품을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이러한 믹서기는 소형 전동기에 의한 가정용 믹서기와 공업용 믹서기로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가정용 믹서기는 내용을 넣는 용기(컵)와 전동기를 넣은 몸체(stand)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가정용 믹서기의 컵은 경질의 내열유리로 구성되고, 컵의 바닥에는 스테인레스 강의 날이 4~6장 구비되어 전동기의 축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전동기는 매분 l만∼l만 6000회 전후의 고속으로 회전하도로 구성되어 상기 컵의 내측에 수용되는 물품을 컵의 내면에 있는 돌기(突起)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교반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믹서기는 사용시 발생 되는 소음을 줄이고자 구성되는 경우에도 각종 물품의 분쇄 소음을 억제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으며, 최근에는 생활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음료를 제공하고 있는 커피전문점 등이 많아지고, 이와 같은 커피전문점에서 얼음 등의 분쇄를 위하여 믹서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커피전문점과 같이 실내에서 얼음 등을 분쇄하여 믹서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믹서기의 분쇄과정에서 과다한 분쇄 소음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자는 물론이고, 음료를 취식하는 다양한 사용자가 소음으로 인한 불퀘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329310(2003.09.27) (2)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450937(2010.11.05)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믹서기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통하여 믹서기의 사용시에도 믹서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믹서기 방음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구성 없이도 믹서기를 본체의 내측에 수용한 후에 구비된 스위치를 통하여 믹서기의 가동은 물론이고, 본체에 구비된 LED램프, 배출팬을 원활하게 가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편리하고 효율적인 믹서기 사용을 이룰 수 있는 믹서기 방음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믹서기의 수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박스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방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전원부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되며 내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도어몸체와, 상기 도어몸체의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명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와, 본체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LED램프와, 외부 전원을 통하여 상기 LED램프와 배출팬의 작동 유무를 조절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외부전원을 통하여 상기 LED램프와 배출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다수개의 콘센트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믹서기의 수용시. 상기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믹서기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믹서기의 하단이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유동방지홈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믹서기를 작동시키는 제1스위치와, 상기 LED램프, 배출팬을 구동시키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 제2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 구성되고, 상기 제3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믹서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 편리하게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믹서기 방음박스로써 믹서기의 수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통하여 믹서기를 본체의 내측에 수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믹서기의 분쇄 소음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며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복잡한 구성 없이도 믹서기의 사용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본체와 도어의 구성을 통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인 믹서기 사용을 이룰 수 있고, 믹서기 또는 믹서기 방음박스를 재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이동하여 재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설치비용 및 설치시간을 줄여 전체적인 유지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전원부의 구성을 통하여 믹서기는 물론이고, 별도의 전기기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본체의 내측에 수용된 믹서기의 사용상태를 사용자가 원활하게 육안으로 확인하며 사용할 수 있어 믹서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이룰 수 있다.
넸째, 믹서기가 수용된 상태에서도 믹서기는 물론이고, 전원부의 작동 또한 원활하게 이룰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이에 따른 효율적인 믹서기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믹서기 방음박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믹서기 방음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믹서기 방음박스의 도어가 개폐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믹서기 방음박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믹서기 방음박스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믹서기 방음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본체의 내측에 유동방지홈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인 믹서기 방음박스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위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8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믹서기(10)의 수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방음부재(1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본 고안인 믹서기 방음박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내측에 구비되는 방음부재(120)의 설치가 편리하도록 도 1에서와 같이, 박스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본체(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구성하거나, 사용상의 편의 또는 제작상의 편의를 위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내측으로 믹서기(10)가 수용되어 얼음 등의 분쇄 과정을 진행하는 경우에도 믹서기(10)의 유동을 견고하게 억제할 수 있도록 목재, 금속과 같이 무거운 중량을 이루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도어(20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믹서기(10)가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100)의 입구 부위를 밀폐하여 믹서기(10)의 분쇄 소음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어(200)는 도 1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힌지(110)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상기 본체(1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의 결합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를 연결 구성하는 힌지(110)는 본 고안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에 형성된 결합공(미도시)에 관통 결합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하여, 상기 도어(200)는 상기 본체(100)와 힌지 결합되며 내측에 결합홈(211)이 형성되는 도어몸체(210)와, 상기 도어몸체(210)의 결합홈(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명판(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홈(211)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몸체(210)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투명판(220)의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투명판(22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믹서기(10)가 수용되는 경우에도 믹서기(10)의 분쇄 과정을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유리, 아크릴, 플라스틱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믹서기(10)를 편리하게 수용한 후 본체(100)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0)를 통하여 믹서기(10)의 분쇄 소음이 본체(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원활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본체(100) 내측의 믹서기(10) 사용상태를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하며 효율적인 믹서기(10)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방음부재(12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본체(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믹서기(10)의 분쇄 소음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방음이 가능한 스티로폼, 섬유, 합성수지 등은 물론이고, 방음이 가능한 종래의 방음재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공기흡입구(130)와, 배출팬(14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공기흡입구(13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 공기가 외부와 연통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습기가 차게되는 경우에는 후술할 전원부(300)의 구성이 습기로 인하여 고장이 발생 될 수 있고,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수용된 믹서기(10)를 사용하는 중에도 믹서기(10)에서 발생되는 열기로 인하여 본체(100)가 과열되어 고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공기흡입구(130)를 통하여 본체(100) 내부의 공기순환을 효율적으로 이루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팬(140)은 상기 공기흡입구(130)를 통하여 본체(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믹서기(10)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열기를 본체(100)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출하고, 본체(100)의 내측에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본체(100)의 내측에 불퀘한 냄새가 발생 되거나 습기로 인한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본체(100) 내측의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공기흡입구(130)와 배출팬(140)은 도시된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측벽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나,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설치위치 및 갯 수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전원부(30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300)는 본체(10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LED램프(310)와, 배출팬(140)의 작동을 조절하는 스위치(320)로 구성된다.
상기 LED램프(310)는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되,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 구성하여 본체(100)의 내측으로 넣어지는 믹서기(1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상기 LED램프(3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점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종래의 LED램프(310)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의 LED램프(310)는 조명등으로서의 기능과 살균등으로서의 기능을 이룰 수 있는 LED램프(310)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LED램프(310)의 점등되는 구성을 상기에서는 외부전원의 공급에 따라 점등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의 일측에 압력센서(미도시) 또는 감지센서(미도시) 등을 설치 구성하여 상기 본체(100)와 도어(200)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LED램프(310)가 점등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위치(320)를 통하여 상기 LED램프(310)와 배출팬(140)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본 고안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LED램프(310)와 배출팬(140)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콘센트(15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콘센트(15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믹서기(10)가 놓여지는 경우에 믹서기(10)의 전원플러그(미도시)가 결합되어 믹서기(1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콘센트(150)는 종래의 콘센트(150)와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32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믹서기(10)를 작동시키는 제1스위치(321)와, 상기 LED램프(310), 배출팬(140)을 구동시키는 제2스위치(322)와, 상기 제1스위치(321)와 제2스위치(322)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제3스위치(323)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위치(321)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믹서기(10)의 작동버튼(미도시)과 밀착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사용자의 손으로 제1스위치(321)를 누르는 경우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수용된 믹서기(10)의 작동버튼(미도시)을 상기 제1스위치(321)를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322)는 상기 LED램프(310)와 배출팬(14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LED램프(310)와 배출팬(140)이 구비된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삭제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3스위치(323)는 상기 제1스위치(321)와 제2스위치(322)를 동시에 누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제3스위치(323)를 누르는 경우에 믹서기(10), LED램프(310), 배출팬(140)을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스위치(320)를 도시된 도 4에서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시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1스위치(321), 제2스위치(322)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여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설치 구성하고, 상기 제3스위치(323)는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스위치(320)의 구성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 고안의 구성에서 삭제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믹서기(10)와 LED램프(310), 배출팬(140)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형태 및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믹서기(10)의 구동 방식이 전자식 또는 아날로그식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가 본체(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믹서기(10)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3스위치(323)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믹서기(10)는 물론이고,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LED램프(310), 배출팬(140)의 작동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더하여,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는 유동방지수단(160)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동방지수단(160)은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수용된 믹서기(10)가 작동하여 본체(100)로 상기 믹서기(10)의 유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본체(1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믹서기(10)의 사용상태에 따라 본체(100)가 유동되어 쓰러지거나, 본체(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믹서기(10)가 외부로 떨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유동방지수단(160)은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구성되고, 본체(100)가 놓이는 바닥면과 밀착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고무, 합성수지와 같이 마찰력을 형성하면서도 무거운 중량을 이루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도시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믹서기(10)가 사용중에 흔들리는 경우에도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된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믹서기(10)의 하단이 결합 가능하게 유동방지홈(170)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유동방지홈(170)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측 하단에 홈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으로서, 본체(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믹서기(10)의 하단이 탈착 가능하게 안착 결합되어 믹서기(10)의 사용시에도 믹서기(10)가 유동되어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믹서기(10)를 수용하여 사용하는 중에도 더욱 안전한 믹서기(10)의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본 고안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유동방지홈(170)의 내측에는 믹서기의 하단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부착수단(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믹서기(10)를 내측에 수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음은 물론이고, 믹서기(10)의 사용시에는 믹서기(10)의 분쇄 소음이 본체(100)의 외측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믹서기의 분쇄소음을 효율적으로 줄이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믹서기 100: 본체
110: 힌지 120: 방음부재
130: 공기흡입구 140: 배출팬
150: 콘센트 160: 유동방지수단
170: 유동방지홈 200: 도어
210: 도어몸체 211: 결합홈
220: 투명판 300: 전원부
310: LED램프 320: 스위치
321: 제1스위치 322: 제2스위치
323: 제3스위치 324: 제4스위치

Claims (9)

  1. 믹서기의 수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박스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방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방음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전원부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되며 내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도어몸체와,
    상기 도어몸체의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투명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방음박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와,
    본체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방음박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LED램프와,
    외부 전원을 통하여 상기 LED램프와 배출팬의 작동 유무를 조절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외부전원을 통하여 상기 LED램프와 배출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방음박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다수개의 콘센트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방음박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믹서기의 수용시. 상기 본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방음박스.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믹서기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믹서기의 하단이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유동방지홈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방음박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믹서기를 작동시키는 제1스위치와,
    상기 LED램프, 배출팬을 구동시키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방음박스.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 제2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 구성되고,
    상기 제3스위치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방음박스.
KR2020130006091U 2013-07-22 2013-07-22 믹서기 방음박스 KR201500004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091U KR20150000477U (ko) 2013-07-22 2013-07-22 믹서기 방음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091U KR20150000477U (ko) 2013-07-22 2013-07-22 믹서기 방음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477U true KR20150000477U (ko) 2015-01-30

Family

ID=5248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091U KR20150000477U (ko) 2013-07-22 2013-07-22 믹서기 방음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47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212U (ko) 2016-07-11 2018-01-19 송성현 생활 전자 기기의 소음 차폐 부스
WO2021206270A1 (ko) * 2020-04-08 2021-10-1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발생이 차단되는 블렌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212U (ko) 2016-07-11 2018-01-19 송성현 생활 전자 기기의 소음 차폐 부스
WO2021206270A1 (ko) * 2020-04-08 2021-10-1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발생이 차단되는 블렌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32627A1 (en) Spice Grinder
KR101631979B1 (ko) 블렌더용 엔클로져
JP4907520B2 (ja) オン/オフ・スイッチ用のロックを備えたシュレッダ
US5957577A (en) Enclosure apparatus for processing devices
KR2016004411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3565301A (zh) 电动食物加工机
JP2023083537A (ja) パルプ処理装置
KR1013753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7552676B1 (en) Power operated container crushing device
KR20150000477U (ko) 믹서기 방음박스
KR20190000449U (ko) 믹서기 방음박스
US20190239694A1 (en) Food processor having detachable spring-loaded lid
EP3005909B1 (en) Convertible juicer
US3302894A (en) Pivoted power unit for portable waste disposer
KR200485526Y1 (ko) 자성체를 이용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요리 기기
CN219206523U (zh) 烹饪器具
CN211559801U (zh) 便携式料理机
CN209202919U (zh) 料理设备
CN215686955U (zh) 烹饪器具
KR101415803B1 (ko) 착즙기
JPH0970552A (ja) シュレッダーの安全機構
KR20170142464A (ko) 전동 연필깎이
KR102473289B1 (ko) 전환가능한 주스기
JP2004290432A (ja) 電動調理器
JPS61143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