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177B1 - 조립식 이동 폴 - Google Patents

조립식 이동 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177B1
KR101483177B1 KR20140143440A KR20140143440A KR101483177B1 KR 101483177 B1 KR101483177 B1 KR 101483177B1 KR 20140143440 A KR20140143440 A KR 20140143440A KR 20140143440 A KR20140143440 A KR 20140143440A KR 101483177 B1 KR101483177 B1 KR 101483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ipe
connection
plat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복
Original Assignee
(주)협신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협신통신 filed Critical (주)협신통신
Priority to KR20140143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지국 등의 통신용 중계기가 설치되는 조립식 이동 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재지변으로 재난이 발생하거나 대규모 행사 및 휴가철 등으로 인해 사람이 긴급하게 밀집되는 경우 통신사용량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통화두절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에 통신용 안테나를 설치하고 하단에 통신용 장비를 설치하여 설정된 지역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세워둘 수 있는 조립식 이동 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이동 폴{Prefabricated portable pole}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지국 등의 통신용 중계기가 설치되는 조립식 이동 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재지변으로 재난이 발생하거나 대규모 행사 및 휴가철 등으로 인해 사람이 긴급하게 밀집되는 경우 통신사용량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통화두절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에 통신용 안테나를 설치하고 하단에 통신용 장비를 설치하여 설정된 지역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세워둘 수 있는 조립식 이동 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기지국은 상단에 무선통신 안테나가 설치되어 일정한 영역에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세워지는 통신용 중계기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통신 기지국은 상하로 세워지며 하단이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무선통신 기지국은 인구가 밀집된 도심이나 주택가의 골목 등에 세워질 수 있으며, 상단에 통신케이블을 지지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클램프나 단자함이나 무선통신 안테나 등의 통신관련 시설물들을 설치하고, 통신 케이블을 인접한 무선통신 기지국으로 연결하거나 수용가쪽으로 연결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지국은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노후 및 천재지변으로 불가피하게 철거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비용과 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발생하였으며, 통신사용량이 적은 지역에 대규모 행사 등이 발생하여 통신량이 폭주하는 경우 신속하게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천재지변으로 기지국이 파손되어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면 복구 및 재설치 시간이 상당하여 해당지역의 주민들이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통신중계기 등을 교체하거나 통신 케이블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기존에 설치된 기지국과 인접한 위치에 쉽게 설치한 후 상단에 통신용 안테나를 설치하여 통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고, 통신이 폭주하는 경우 임시로 통신용 기지국을 설치하여 원활한 통신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여 설치시 소요되는 비용 및 인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조립식 이동 폴의 개발이 필용한 실정이다.
1. 실용신안공보 제20-1981-0001894호 'TV용 옥외 안테나의 조립식 지주' (공고일 1981.10.27) 2.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2062호 '통신전주' (공개일 1999.06.25) 3.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3864호 '환경친화적 조립식 전주' (공개일 2005.11.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용 안테나의 수신 범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일체형이 아닌 조립식으로 제작되어 운반이 용이함은 물론 설치가 간단하여 조립시간 및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조립식 이동 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의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산간지역 등에 무선 통신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임시로 조립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이동 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은 지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파이프 플랜지(110)가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100); 일측이 상기 파이프 플랜지(11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연결파이프(200); 상기 바닥플레이트(10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바닥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전도방지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파이프(200)는 상기 연결파이프(200)의 타측으로부터 지속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연결파이프(200)를 연결하도록 상기 연결파이프(20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면과 하면에 상기 연결파이프(200)가 탈부착 되는 연결플레이트(400); 상기 복수개의 연결파이프(200) 중 상기 바닥플레이트(100)와 반대방향의 끝에 위치하는 연결파이프(200)의 타측과 탈부착되는 제2 파이프 관통홀(510)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측과 타측이 상기 바닥플레이트(10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500)에 체결되는 장력와이어(600)가 형성되되, 상기 장력와이어(600)는 상기 연결파이프(200)와 상기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부플레이트(500)를 밀착시키도록 당기는 인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력와이어(600)에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00)에 상기 연결파이프(200)가 체결되고, 상기 연결파이프(200)에 상기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부플레이트(500)가 체결된 후 상기 장력와이어(600)에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작용하는 인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6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도방지부(300)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0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10);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지지대(320); 상기 바닥지지대(32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바닥지지대(320)의 일측단에 체결되는 보강대(330); 상기 고정브라켓(310)에 상기 바닥지지대(320)의 타측이 체결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310)과 상기 바닥지지대(320)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닥플레이트(100)에는 일측이 상기 바닥플레이트(100)와 체결되는 연결와이어(710)의 타측과 연결되는 고정핀(700)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핀(700)은 상호 결합된 상기 바닥플레이트(100), 상기 연결파이프(200), 상기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500)를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우는 경우 상기 바닥플레이트(100)가 지면과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면에 삽입 되어 상기 바닥플레이트(10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400)의 가장자리에는 연결고리(401)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100), 상기 연결파이프(200), 상기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500)가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경우 외력에 의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상기 연결고리(401)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와이어(8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단에 설치되는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높이를 사용자의 선택 및 무선 통신의 수신거리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함과 동시에 설치시간 및 설치인력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단에 피뢰설비를 설치하여 낙뢰 등에 대해 무선통신용 안테나 및 통신 중계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바닥 지지대와 지지와이어를 통해 전도를 예방할 수 있고, 장력와이어 및 장력조절부를 통해 조립된 각각의 구성품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의 바닥플레이트와 연결파이프 및 전도방지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연결파이프와 연결플레이트 및 상부플레이트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고정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의 설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에 지지와이어 및 무선통신 안테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의 바닥플레이트와 연결파이프 및 전도방지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연결파이프와 연결플레이트 및 상부플레이트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고정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의 설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에 지지와이어 및 통신중계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 와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은 다수개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구성품들을 상호 결합 및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에는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안테나(S)와 통신용 중계기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은 먼저 바닥플레이트(100)를 갖는다. 바닥플레이트(10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닥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을 갖는 파이프 플랜지(110)가 형성된다. 파이프 플랜지(110)는 바닥플레이트(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일측이 파이프 플랜지(110)에 삽입되는 연결파이프(200)가 구비된다. 연결파이프(200)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되, 상하측이 개방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파이프(200)는 파이프 플랜지(1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별도의 체결핀(210)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바닥플레이트(100)에는 전도방지부(300)가 형성된다. 전도방지부(300)는 바닥플레이트(10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즉, 바닥플레이트(100)의 파이프 플랜지(110)에 연결파이프(200)가 삽입되어 세워지면 외력에 의해 바닥플레이트(100)가 움직이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도방지부(300)는 바닥플레이트(100)가 지지할 수 있는 가상의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바닥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바닥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닥플레이트(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분할되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연결파이프(200)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연결파이프(200)의 타측에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연결파이프(20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이프 플랜지(110)가 바닥플레이트(100)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파이프(200) 또한 파이프 플랜지(110)의 개수만큼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 2 또는 도 3 을 참조하면 각각의 연결파이프(200)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연결파이프(200)를 결속시켜주는 연결플레이트(400)가 구비된다. 연결플레이트(400)의 상면에는 파이프 관통홀(4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파이프 관통홀(410)은 파이프 플랜지(1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파이프(200)의 상단에는 연결파이프(200)의 직경보다 작은 파이프삽입돌기(210)가 돌출 형성된다. 즉 파이프삽입돌기(210)가 제1 파이프 관통홀(410)에 삽입되면 연결플레이트(400)가 연결파이프(200)의 상단에 걸리게 되어 연결파이프(200)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파이프(200)는 상단에 형성된 파이프삽입돌기(210)가 이웃한 연결파이프(200)의 하단에 삽입되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파이프(200)가 상방향으로 연결될 때 마다 그 사이에는 연결플레이트(400)가 위치하게되고 이로 인해 연결파이프(200)가 굴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연장된 연결파이프(200) 중 바닥플레이트(100)와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연결파이프(200)의 타측에는 상부플레이트(500)가 구비된다. 상부플레이트(500)에는 연결파이프(200)의 파이프삽입돌기(210)가 삽입되는 제2 파이프 관통홀(510)이 형성되며, 제2 파이프 관통홀(510) 또한 제1 파이프 관통홀(410)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파이프(200)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이 완료되면 상부플레이트(500)의 제2 파이프관통홀(510)이 연결파이프(200)의 파이프삽입돌기(210)에 삽입되어 최상단에 위치한 연결파이프(200)의 상측을 고정시킨 후 연결파이프(200)의 연장을 종료한다.
또한 도 2 를 참조하면 상부플레이트(500)의 상면에는 천둥번개와 벼락으로 인해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의 상단에 설치된 통신용 안테나(S) 및 통신용 중계기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피뢰설비(900)가 구비될 수 있다. 피뢰설비(900)는 상부플레이트(50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플랜지(52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1 및 도 3 의 (A)부분을 참조하면 바닥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하부연결고리(120)가 형성되고, 상부플레이트(500)의 하면에는 상부연결고리(530)가 형성된다. 이때 일측이 하부연결고리(120)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부연결고리(530)에 체결되는 장력와이어(600)가 구비된다. 장력와이어(600)는 바닥플레이트(100)에 연결파이프(200)와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부플레이트(500)가 체결되면 각각의 구성품들이 상호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당기는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때 연결플레이트(400)에는 장력와이어(600)가 관통되는 와이어 관통홀(402)이 형성된다. 장력와이어(6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정도 구비되어 각각의 구성품들을 밀착 시킬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장력와이어(600)에는 장력와이어(60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610)가 형성된다. 장력조절부(610)는 전선이나 와이어의 긴장 작업에서 장력을 제공하는 턴버클(turnbuckel)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닥플레이트(100)에 연결파이프(200)가 체결되고, 연결파이프(200)에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부플레이트(500)를 체결하고, 장력와이어(600)를 상부연결고리(530) 및 하부연결고리(120)에 체결한 후 장력조절부(610)를 작동시켜 장력와이어(600)에 인장력을 제공하면 상기 각각의 구성품들은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장력조절부(610)로 인해 장력와이어(600)의 설치 및 작동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발생한다.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면 전도방지부(300)는 고정브라켓(310), 바닥지지대(320), 보강대(330) 및 연결브라켓(340)을 포함한다. 먼저 고정브라켓(310)은 바닥플레이트(100)에 고정되며 바닥플레이트(100)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만큼 이격되어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닥지지대(320)는 지면과 수평을 이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 또는 각관 또는 'L' 형상의 강관일 수 있다. 바닥지지대(320)의 연장되는 길이가 증가되면 바닥플레이트(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보강대(330)는 바닥지지대(32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바닥지지대(320)의 일측단에 체결된다. 보강대(330)가 바닥지지대(320)와 교차되도록 체결됨으로써 바닥플레이트(100)와 지면과의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브라켓(340)은 바닥지지대(320)의 타측이 고정브라켓(3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바닥지지대(320)와 고정브라켓(310)을 상호 연결한다. 이때 별도의 결합핀이 연결브라켓(340)과 바닥지지대(320) 및 고정브라켓(310)을 관통한 후 결합핀의 끝단에 볼트나 너트 등을 체결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연결파이프(200) 중 바닥플레이트(100)에 최초로 고정되는 연결파이프(200)에는 가새브라켓(350)이 설치된다. 가새브라켓(350)에는 일측단이 가새브라켓(350)과 연결되고, 타측이 바닥지지대(320)와 체결되는 가새(360)가 구비된다. 가새(360)는 사선을 유지하며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연결파이프(200)의 전도를 방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 을 참조하면 보강대(330)에는 삽입지주핀(370)이 삽입된다. 즉 전도방지부(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삽입지주핀(370)이 보강대(330)를 관통하여 지면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바닥플레이트(100)가 지면과 더욱 견고하게 밀착 및 고정될 수 있으므로 연결파이프(200)의 연장되는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바닥플레이트(100), 연결파이프(200),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부플레이트(500)를 결합할 때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하기 위해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연결파이프(200)의 길이를 연장한다. 이후 바닥플레이트(100)의 하면이 지면에 밀착되어 연결파이프(200)가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을 세워야 한다. 즉 연결파이프(200)를 상방향으로 견인하여 세우게 되는데, 이때 바닥플레이트(100)가 지면에서 슬라이딩되며 이동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에서 바닥플레이트(100)가 이동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바닥플레이트(100)의 이동을 저지하는 고정핀(700)이 구비된다. 고정핀(700)은 일측이 바닥플레이트(100)와 체결되는 연결와이어(710)의 타측에 연결되고, 지면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바닥플레이트(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연결플레이트(400)의 가장자리에는 연결고리(401)가 형성된다. 연결고리(401)는 연결플레이트(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며 다수개 형성된다. 연결고리(401)에는 지지와이어(800)가 체결될 수 있는데, 지지와이어(800)는 바닥플레이트(100), 연결파이프(200),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부플레이트(500)가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지는 경우 외력에 의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이 연결고리(401)와 연결되고 타측이 지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조립식 이동 폴은 통신용 안테나의 높이를 사용자의 선택 및 무선 통신의 수신거리에 따라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피뢰설비(900) 및 전도방지부(300) 등을 통해 설치 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며, 장력와이어(600) 및 장력조절부를 통해 조립된 각각의 구성품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 바닥플레이트 110 : 파이프 플랜지
120 : 하부 연결고리 200 : 연결파이프
210 : 파이프 삽입돌기 300 : 전도방지부
310 : 고정프라켓 320 : 바닥지지대
330 : 보강대 340 : 연결브라켓 350 : 가새브라켓 360 : 가새 370 : 삽입지주핀 400 : 연결플레이트 401 : 연결고리 402 : 와이어 관통홀
410 : 제1 파이프 관통홀 500 : 상부플레이트
510 : 제2 파이프 관통홀 520 : 삽입플랜지
530 : 상부 연결고리 600 : 장력와이어 610 : 장력조절부 700 : 고정핀
710 : 연결와이어 800 : 지지와이어
900 : 피뢰설비

Claims (6)

  1. 지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파이프 플랜지(110)가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100);
    일측이 상기 파이프 플랜지(11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연결파이프(200);
    상기 바닥플레이트(10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바닥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전도방지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파이프(200)는 상기 연결파이프(200)의 타측으로부터 지속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연결파이프(200)를 연결하도록 상기 연결파이프(20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면과 하면에 상기 연결파이프(200)가 탈부착 되는 연결플레이트(400);
    상기 복수개의 연결파이프(200) 중 상기 바닥플레이트(100)와 반대방향의 끝에 위치하는 연결파이프(200)의 타측과 탈부착되는 제2 파이프 관통홀(510)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500);를 포함하되,
    상기 전도방지부(300)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0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10);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지지대(320);
    상기 바닥지지대(32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바닥지지대(320)의 일측단에 체결되는 보강대(330);
    상기 고정브라켓(310)에 상기 바닥지지대(320)의 타측이 체결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310)과 상기 바닥지지대(320)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3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동 폴.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과 타측이 상기 바닥플레이트(100)와 상기 상부플레이트(500)에 체결되는 장력와이어(600)가 형성되되, 상기 장력와이어(600)는 상기 연결파이프(200)와 상기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부플레이트(500)를 밀착시키도록 당기는 인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동 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와이어(600)에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00)에 상기 연결파이프(200)가 체결되고, 상기 연결파이프(200)에 상기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부플레이트(500)가 체결된 후 상기 장력와이어(600)에 인장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작용하는 인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6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동 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플레이트(100)에는 일측이 상기 바닥플레이트(100)와 체결되는 연결와이어(710)의 타측과 연결되는 고정핀(700)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핀(700)은 상호 결합된 상기 바닥플레이트(100), 상기 연결파이프(200), 상기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500)를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우는 경우 상기 바닥플레이트(100)가 지면과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면에 삽입 되어 상기 바닥플레이트(10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동 폴.
  6. 제 1 항 또는 제 5 항 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400)의 가장자리에는 연결고리(401)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100), 상기 연결파이프(200), 상기 연결플레이트(400)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500)가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경우 외력에 의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측이 상기 연결고리(401)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와이어(8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동 폴.
KR20140143440A 2014-10-22 2014-10-22 조립식 이동 폴 KR101483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3440A KR101483177B1 (ko) 2014-10-22 2014-10-22 조립식 이동 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3440A KR101483177B1 (ko) 2014-10-22 2014-10-22 조립식 이동 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177B1 true KR101483177B1 (ko) 2015-01-21

Family

ID=5259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3440A KR101483177B1 (ko) 2014-10-22 2014-10-22 조립식 이동 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1953A (zh) * 2017-11-29 2019-06-04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济南特种结构研究所 一种封闭安装空间下天线罩的制孔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576A (ko) * 1998-11-23 2000-06-26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 베이스 스테이션을 타워 내부의플렛폼에 장착하는 장치
KR100775636B1 (ko) 2006-07-15 2007-11-09 (주) 반도체 통신 환경친화적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설치구조물
JP2009287229A (ja) 2008-05-28 2009-12-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支柱の支持構造
JP2013060772A (ja) 2011-09-14 2013-04-04 Taisei Corp 塔状構造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576A (ko) * 1998-11-23 2000-06-26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다수의 통신 네트워크 베이스 스테이션을 타워 내부의플렛폼에 장착하는 장치
KR100775636B1 (ko) 2006-07-15 2007-11-09 (주) 반도체 통신 환경친화적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설치구조물
JP2009287229A (ja) 2008-05-28 2009-12-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支柱の支持構造
JP2013060772A (ja) 2011-09-14 2013-04-04 Taisei Corp 塔状構造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1953A (zh) * 2017-11-29 2019-06-04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济南特种结构研究所 一种封闭安装空间下天线罩的制孔结构
CN109841953B (zh) * 2017-11-29 2021-09-14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济南特种结构研究所 一种封闭安装空间下天线罩的制孔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8566A (en) Omni-directional platform
CN104265046B (zh) 基站通讯信号发射塔
KR101431243B1 (ko) 안테나 기지국용 옥상 위장막 휀스
KR101483177B1 (ko) 조립식 이동 폴
KR100947489B1 (ko)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
KR20200024091A (ko) 안테나 설치 구조물
CN104265045B (zh) 基站通讯信号发射塔
CN204112825U (zh) 新型基站通讯信号发射塔
CN204326672U (zh) 新型快装式多棱型基站塔
CN204326671U (zh) 新型快装式圆管型基站塔
US20200123790A1 (en) High capacity platforms and cage mount assemblies
CN104631896A (zh) 具有扩容功能的快装型单管通信发射塔
CN204112826U (zh) 新型基站通讯信号发射塔
US11495872B2 (en) Single point heavy duty monopole platform
CN104499760B (zh) 快装式多棱型基站塔
CN204475959U (zh) 具有扩容功能的快装型通信发射角钢塔
CN204571436U (zh) 具有扩容功能的快装型多管通信发射塔
CN216794583U (zh) 一种防雷击的移动通信基站
KR101564057B1 (ko) 유지보수가 편리한 통신 안테나 트러스 구조물
JP6408456B2 (ja) クロージャ取付け装置、共同溝ボックスへのクロージャ支持部材取付け方法
CN204590744U (zh) 一种三角平台及单管塔
KR102255161B1 (ko) 이동통신용 안테나 고정장치
CN205087768U (zh) 一种电梯层门护脚板装置
CN204983608U (zh) 一种安装用吊篮
CN211500017U (zh) 一种安全防护通信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