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489B1 -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489B1
KR100947489B1 KR1020090123182A KR20090123182A KR100947489B1 KR 100947489 B1 KR100947489 B1 KR 100947489B1 KR 1020090123182 A KR1020090123182 A KR 1020090123182A KR 20090123182 A KR20090123182 A KR 20090123182A KR 100947489 B1 KR100947489 B1 KR 100947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auxiliary
pipe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은수
Original Assignee
유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은수 filed Critical 유은수
Priority to KR1020090123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35Collapsible supports; Means for erecting a rigid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으로 다수개의 제1고정홈과 제2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측면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구부러진 접힘부가 형성된 받침대, 일측으로 상기 받침대의 고정돌기의 제2고정홈과 대응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장공형태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로 형성되되 상기 받침대와 지지다리가 다수개로 구성되는 다리부와, 클램프, 고정대와, 길이조절파이프, 보조클램프와, 지지대, 보조지지부, 파이프고정부와, 안테나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삼각대 형태의 고정장치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여 통신불능지역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장치에 안테나를 장착하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재난현장과 같이 통신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삼각대, 안테나, 고정장치, 브라켓, 길이조절

Description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A fixing device of movable antenna}
본 발명은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난현장 등에서 통신난청에 의한 구조시간의 지연 및 현장상황의 파악시간 등을 단축하며,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는 지역에 안테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휴대용 안테나를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설치하고 공간이 협소하여 안테나를 설치하기 힘든 장소에도 편리하게 휴대용 설치하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통신불능지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신안테나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안테나 고정장치는 차량에 안테나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차량에 거치대를 설치하거나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425131호와 같이 지면에 다수개의 줄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줄에 의해 파이프형태의 안테나지지대를 설치하여 통신난청지역을 최소화하거나, 건물의 옥상에 철탑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여 통신불능상황을 줄이도록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량이나 건물의 옥상에 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면 그 구조물, 차량을 이동하여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모되었으며, 줄을 이용하여 안테나를 고정시키게 되면, 줄의 고정력에 한계가 발생하고 상기 안테나를 이동시 키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본특허공개번호 제10-2004-233214호, 특허등록번호 제10-923334호와 같이 삼각대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위성항법장치) 등을 설치하여 안테나 등을 설치하도록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삼각대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용이하게 설치하더라도 삼각대를 지면에서 받치는 받침대가 지면의 상측으로만 위치되어 삼각대의 지지력의 한계가 발생하며, 지면의 상태가 좋지 않을 때는 삼각대가 지면에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여 안테나가 쓰러지거나 길이가 긴 파이프를 결합하면 파이프를 제대로 고정하지 못해 파이프의 무게중심의 변화에 의해 삼각대가 쓰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삼각대의 끝부분을 지면에 삽입하더라도 지면과의 마찰면적이 작아 삼각대가 지면에서 쉽게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삼각대의 내측으로 파이프를 결합시킬 때, 파이프간의 결합상태가 견고하지 않아, 파이프가 쉽게 흔들리거나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내측으로 다수개의 제1고정홈과 제2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측면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구부러진 접힘부가 형성된 받침대, 일측으로 상기 받침대의 고정돌기의 제2고정홈과 대응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장공형태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로 형성되되 상기 받침대와 지지다리가 다수개로 구성되는 다리부와, 클램프, 고정대와, 길이조절파이프, 보조클램프와, 지지대, 보조지지부, 파이프고정부와, 안테나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는 삼각대 형태의 고정장치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여 통신불능지역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장치에 안테나를 장착하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재난현장과 같이 통신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고정장치를 지면에 고정시킬 때, 다리부의 받침대에 형성된 접힘부를 흙과 같은 부드러운 지중에 삽입하게 되면, 지면과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다리부의 고정력이 증가됨은 물론, 지면이 단단한 상태일 경우 제1고정홈에 앵커볼트나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하여 고정장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테나를 고정시키는 파이프를 낚싯대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며, 다수개의 보조파이프를 고정하는 주파이프의 하측으로 걸림볼트를 형성하여, 주파이프의 내측에 위치되는 보조파이프가 주파이프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주파이프와 보조파이프에 이격홈, 보조이격홈을 형성하여 주파이프와 보조파이프를 결합할 때, 상기 이격홈, 보조이격홈의 이격거리에 의해 주파이프와 보조파이프를 원활하게 결합, 분해할 수 있으며, 주파이프와 보조파이프를 일측이 개방된 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도록 하여, 주파이프와 보조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클램프에 형성된 보조결합홈을 통해 주파이프나 보조파이프의 직경이 클램프와 차이가 나더라도 보조결합홈에 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볼트 를 통해 주파이프나 보조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주파이프와 보조파이프가 일정길이 이상 늘어나게 되어 다리부 및 클램프의 지지력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으나, 다리부에 지지대 및 보조지지부를 결합하여 주파이프와 보조파이프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지지대 및 보조지지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주파이프 및 보조파이프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파이프고정부에 형성된 제1, 2링볼트에 의해 안테나브라켓에 결합되는 안테나의 가이드 선을 삽입하여 가이드 선이 꼬이거나 쉽게 움직이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길이조절파이프의 최상측에 위치된 보조파이프에 결합되는 안테나를 안테나브라켓을 이용하여 보조파이프에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안테나를 간편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안테나를 차량이나 일정한 지역에 고정시켜 사용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고정장치를 휴대하여 임의의 지역에 설치할 수 있으며, 재난현장과 같이 급박하게 통신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곳에서 간편하면서도 빠르게 안테나 및 고정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도 통신시스템을 운영하면서 간편하게 사용자가 안테나 및 고정장치를 휴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10), 클램프(20), 고정대(30), 길이조절파이프(40), 보조클램프(50), 지지대(60), 보조지지부(70), 파이프고정부(80), 안테나브라켓(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리부(10)는 내측으로 다수개의 제1고정홈(11)과 제2고정홈(12)이 형성되는 고정돌기(1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측면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구부러진 접힘부(14)가 형성된 받침대(15), 일측으로 상기 받침대(15)의 고정돌기(13)의 제2고정홈(12)과 대응되는 제1삽입홈(16)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제2삽입홈(17)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장공형태의 슬라이드홈(18)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19)로 형성되되 상기 받침대(15)와 지지다리(19)가 다수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19) 사이에는 다수개의 지지부(k)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20)는 일측이 개방되고 외측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되 결합홈(21)이 형성된 주밀착부(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주밀착부(22)의 사이로 보조결합홈(23)이 형성된 보조밀착부(24)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대(30)는 상기 클램프(20)의 주밀착부(22)에 결합되되 결합홈(21)과 대응되는 제1홈(31)과 상기 다리부(10)의 지지다리(19)의 제2삽입홈(17)과 대응되는 제2홈(32)이 형성되며 'T'자 형태의 제1고정대(33)와, 일측이 개방된 상기 클램프(20)의 주밀착부(22)에 밀착되되 결합홈(21)과 대응되는 제3홈(34)과 상기 다리부(10)의 지지다리(19)의 제2삽입홈(17)과 대응되는 제4홈(35)이 형성되고 'ㄱ' 자 형태가 한 쌍으로 구성된 제2고정대(3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파이프(40)는 상측으로 다수개의 이격홈(41)을 형성한 주파이프(42)와 상기 주파이프(42)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낚싯대형식과 같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측으로 보조이격홈(43)이 형성되는 다단형태의 보조파이프(44)가 상기 클램프(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파이프(42)의 하측으로는 걸림볼트(45)가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클램프(50)는 상기 길이조절파이프(40)의 주파이프(42)가 결합되되 일측이 개방되고 외측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되 제1지지홈(51)이 형성된 다수개의 제1밀착부(52)와 다수개의 밀착부(52)의 사이로 위치되되 제2지지홈(53)이 형성된 제2밀착부(5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60)는 상기 보조클램프(50)의 제1밀착부(52)에 밀착되며 제1지지홈(51)과 대응되는 제1보조홈(61)과 제1수평홈(62)이 형성된 'T'자 형태의 제1지지대(63)가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클램프(50)의 일측이 개방된 위치에 형성된 제1밀착부(52)에 밀착되며 제1지지홈(51)과 대응되는 제2보조홈(64)과 제2수평홈(65)이 형성된 'ㄱ'자 형태가 한 쌍으로 형성되는 제2지지대(66)로 구성된다.
덧붙여, 상기 보조지지부(70)는 일측으로 다리부(10)의 지지다리(19)의 슬라이드홈(18)에 대응되는 제1고정공(71)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제2고정공(72)이 형성되는 보조다리(73)와 상기 보조다리(73)와 상기 지지대(60)의 제1지지대(63)와 제2 지지대(66)의 양측으로 결합되되 일측으로 보조다리(73)의 제2고정공(72)과 대응되는 보조고정공(74)과 타측으로 제1, 2지지대(63, 66)의 제1, 2수평홈(62, 65)에 대응되는 보조홈(75)이 형성된 결합부(7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리부(10)의 제2삽입홈(17), 슬라이드홈(18)과 고정대(30)의 제2홈(32), 제4홈(35) 및 보조지지부(70)의 제1고정공(71)에는 손잡이볼트(h)가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다리부(10)와 보조지지부(70)를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고정부(80)는 상기 길이조절파이프(40)의 주파이프(42)와 보조파이프(44)들의 이격홈(41)과 보조이격홈(43)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결합되되 일측이 개방되며 보조홈(81)이 형성된 한 쌍의 보조돌기(82)가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으로 제1링볼트(83)가 결합되는 제1링홈(84)이 형성된 돌기부(85)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다수개의 제2링볼트(86)가 결합되도록 다수개가 배열된 제2링홈(87)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테나브라켓(90)은 내측으로 상기 길이조절파이프(40)의 최상측에 위치되는 보조파이프(44)에 결합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파이프(91)와 안테나가 삽입되는 안테나홈(92)과 상기 안테나홈(92)에 연결되는 안테나고정홈(93)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개방부(94)가 형성되되 한 쌍의 볼트홈(95)이 형성되는 한 쌍의 볼트부(96)가 양측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다리부(10)의 받침대(15)에 형성된 고정돌기(13)에 지지다리(19)를 결합하도록 하는데, 상기 고정돌기(13)의 제2고정홈(12)과 지지다리(19)의 일측에 형성된 제1삽입홈(16)에 볼트(도면에 미도시)와 같은 결합부재(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다리(19)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어, 고정돌기(13)의 양측에서 지지다리(19)가 밀착되는 형상으로 결합되게 되며, 한 쌍의 지지다리(19) 사이에는 지지부(k)가 형성되어 있어, 한 쌍의 지지다리(19)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개의 받침대(15)와 지지다리(19)를 결합하도록 한다.
본원발명에서는 3개의 다리부(10)를 사용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클램프(20)의 주밀착부(22)에 제1고정대(33)를 밀착시키면서 클램프(20)의 주밀착부(22)에 형성된 결합홈(21)과 제1고정대(33)의 제1홈(31)에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삽입하여 주밀착부(22)에 제1고정대(33)를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20)는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일측이 개방된 부분에 주밀착부(22)가 형성되며,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주밀착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20)에서 일측이 개방된 주밀착부(22)에는 제2고정대(36)를 결합하도록 하고, 그 외에 주밀착부(22)에는 제1고정대(33)를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일측이 개방된 주밀착부(22)에는 한 쌍의 제2고정대(36) 중에서 하나의 'ㄱ'자 형태의 제2고정대(36)를 주밀착부(22)의 일측(22a)에 밀착시키고 다른 하나의 제2고정대(36)를 타측(22b)의 주밀착부(22)에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주밀착부(22)의 결합홈(21)에 제2고정대(36)의 제3홈(34)을 대응시켜 상기 결합홈(21)과 제3홈(34)에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삽입하여 주밀착부(22)에 제2고정대(36)를 결합하도록 한다.
그런 후, 일측이 개방된 주밀착부(22)의 타측에 다른 하나의 제2고정대(36)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시키고, 다른 주밀착부(22)에는 'T'자 형태의 제1고정대(33)를 결합하도록 하는데, 상기 제1고정대(33)에 형성된 제1홈(31)에 주밀착부(22)의 결합홈(21)을 대응시켜 볼트를 이용하여 주밀착부(22)에 제1고정대(33)를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클램프(20)에 제1, 2고정대(33, 36)를 다리부(10)의 갯수만큼 결합하도록 한다.
그런 후, 받침대(15)가 결합된 지지다리(19)의 타측에 형성된 제2삽입홈(17)과 제1, 2지지대(33, 36)의 제2홈(32)과 제4홈(35)을 대응시켜 상기 제2삽입홈(17), 제2, 4홈(32, 35)에 손잡이볼트(h)를 결합하여, 다리부(10)와 클램프(20), 고정대(30)가 견고히 고정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삽입홈(17), 제2, 4홈(32, 35)에 손잡이볼트(h)를 결합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다리부(10)와 고정대(30)를 간편하게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 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리부(10), 클램프(20), 고정대(30)가 결합되게 되면, 길이조절파이프(40)를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주파이프(42)의 내측으로 직경이 각각 다른 보조파이프(44)들이 낚싯대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주파이프(42)와 보조파이프(44)를 사용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보조파이프(44)를 주파이프(42)의 내측에서 분리시킨다.
여기서, 상기 보조파이프(44)는 낚싯대의 결합상태와 같이 형성되는 것으로, 직경이 각각 다른 다수개의 보조파이프(44)가 결합되는 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런 후, 다수개의 보조파이프(44) 중에서 직경이 가장 큰 보조파이프(44)를 주파이프(42)의 이격홈(41)이 형성된 상측으로 보조파이프(44)의 하측(보조이격홈이 형성된 위치의 타측방향)을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파이프(44)의 하측부분을 주파이프(42)에 삽입시킬 때, 상기 보조파이프(44)가 주파이프(42)의 이격홈(41)이 형성된 위치의 하측까지 삽입시켜 주파이프(42)와 보조파이프(44)를 결합시킬 때, 주파이프(42), 보조파이프(44)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좋다.
그런 후, 상기 주파이프(42)에 보조파이프(44)가 결합되게 되면, 주파이프(42)의 외측으로 파이프고정부(80)를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파이프고정부(80)의 내측으로 주파이프(42)와 보조파이프(44)를 삽입하여 파이프고정부(80)가 주파이프(42)와 보조파이프(44)가 결합된 위치(주파이프의 이격홈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파이프고정부(80)의 보조돌기(82)에 형성된 보조홈(81)에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볼트를 조정하여 주파이프(42)와 보조파이프(44)가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면, 주파이프(42)의 이격홈(41)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서 주파이프(42)가 보조파이프(44)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고정부(80)의 내부가 주파이프(42)의 크기보다 많이 크게 되어 상기 보조돌기(82)의 보조홈(81)에 결합된 볼트를 조정하더라도 파이프고정부(80)가 주파이프(42)를 고정시키지 못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파이프고정부(80)의 제1, 2링홈(84, 87)에 제1, 2링볼트(83, 86)를 삽입하여 상기 제1, 2링볼트(83, 86)가 주파이프(42)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고정부(80)는 보조파이프(44)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이 하나의 파이프고정부(80)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나의 파이프고정부(80)를 사용할 경우에는 파이프고정부(80)가 다른 보조파이프(44)의 크기에 비해 큰 파이프고정부(80)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제1, 2링볼트(83, 86)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보조파이프(44)들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주파이프(42)와 보조파이프(44)가 결합되면, 상기 보조파이 프(44)의 상측으로 다수개의 보조파이프(44)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보조파이프의 결합 수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음)만큼 보조파이프(44)를 결합하고 상기 파이프고정부(80)를 이용하여 주파이프(42)와 보조파이프(44)를 결합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다수개의 보조파이프(44)들을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주파이프(42)와 보조파이프(44)를 결합한 후, 최상측에 위치된 보조파이프(44)에 보조이격홈(43)이 형성된 상측으로 안테나브라켓(90)을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최상측에 위치된 보조파이프(44)의 외측으로 파이프고정부(80)를 삽입하고, 상기 보조파이프(44)의 내측으로 안테나브라켓(90)의 결합파이프(91)를 삽입하고, 상기 일측의 볼트부(96)에 형성된 볼트홈(95)에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파이프(91)가 안테나브라켓(90)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보조파이프(44)의 외측에 결합된 파이프고정부(80)의 보조돌기(82)의 보조홈(81)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볼트를 이용하여 파이프고정부(80)가 보조파이프(44)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안테나브라켓(90)에 형성된 안테나홈(92)에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안테나(a)를 결합하고 타측에 형성된 볼트부(96)의 볼트홈(95)에 볼트를 삽입하여 안테나(a)가 안테나브라켓(90)에 견고하게 고정결합되도록 조립한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브라켓(90)에는 안테나홈(92) 외에 안테나고정홈(93)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어 있어, 안테나(a)의 크기에 따라 안테나고정홈(93)에 의해 볼트부(96)가 벌어지거나 좁혀지면서 그에 따라 개방부(94)도 동시에 벌어지거나 좁 혀지게 되면서 안테나(a)가 안테나홈(92)에 견고히 고정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테나(a)에는 안테나 가이드 선(도면에 미도시)과 같이 선 등이 부착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 선을 파이프고정부(80)의 제1, 2링볼트(83, 86)에 삽입하여 가이드 선이 꼬이거나 임의대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리부(10), 클램프(20), 고정대(30)가 결합되고 하나의 주파이프(42)에 다수개의 보조파이프(44)가 결합되고, 상기 보조파이프(44)에 안테나브라켓(90)이 결합되게 되면, 상기 길이조절파이프(40)를 다리부(10), 클램프(20), 고정대(30)가 결합된 상기 클램프(20)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다리부(10), 클램프(20), 고정대(30)가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20)에 길이조절파이프(40)를 결합시킬 때, 길이조절파이프(40)에 결합된 파이프고정부(80)에 의해 주파이프(42)나 보조파이프(44)가 클램프(20)에 결합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클램프(20)를 통과해야 하는 주파이프(42)나 보조파이프(44)를 클램프(20)에 삽입하기 전에 주파이프(42)와 보조파이프(44)를 결합시키지 않고, 주파이프(42)나 보조파이프(44)를 먼저 클램프(20)에 삽입한 후, 주파이프(42)나 보조파이프(44)를 결합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길이조절파이프(40)에서 주파이프(42)와 보조파이프(44)를 다수개 연결하여 상기 주파이프(42)와 보조파이프(44)의 결합길이에 의해 주파이프(42)나 보조파이프(44)가 흔들릴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다리부(10)에 지지대(60)와 보조지지부(70)를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리부(10)의 한 쌍의 지지다리(19) 사이로 보조지지 부(70)의 보조다리(73)를 삽입하는데, 상기 보조다리(73(에 형성된 제1고정공(71)이 다리부(10)의 지지다리(19)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8)과 대응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지지다리(19)의 슬라이드홈(18)과 보조다리(73)의 제1고정공(71)에 손잡이볼트(h)를 삽입하여, 지지다리(19)에 보조다리(73)의 일측이 고정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보조다리(73)의 타측 양측으로 한 쌍의 결합부(76)를 결합하도록 하는데, 상기 결합부(76)에 형성된 보조고정공(74)이 보조다리(73)의 타측에 형성된 제2고정공(72)과 대응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고정공(74)과 제2고정공(72)에 볼트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그런 후, 보조지지부(70)를 보조클램프(50)와 지지대(60)에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리부(10), 클램프(20), 고정대(30), 길이조절파이프(40), 파이프고정부(80), 안테나브라켓(90)이 결합된 길이조절파이프(40)의 주파이프(42)를 보조클램프(50)의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클램프(20)와 고정대(30)를 결합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보조클램프(50)의 제1밀착부(52)에 제1지지대(63)를 밀착시키도록 하는데, 제1밀착부(52)의 제1지지홈(51)과 제1지지대(63)의 제1보조홈(61)이 대응되도록 하여 제1지지홈(51), 제1보조홈(61)에 볼트를 삽입하여 제1밀착부(52)에 제1지지대(63)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보조클램프(50)의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되어 있는 위치 에 제1밀착부(52)가 형성되어 있는데, 개방된 위치에 형성된 제1밀착부(52)에는 제2지지대(66)를 결합하도록 한다.
이는, 클램프(20)의 주밀착부(22)와 고정대(30)의 제2고정대(36)를 결합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그런 후, 상기와 같이 보조클램프(50) 및 지지대(60)가 결합되게 되면, 지지다리(19)에 결합된 보조지지부(70)의 결합부(76)의 타측에 형성된 보조홈(75)이 제1, 2지지대(63, 66)에 형성된 제1, 2수평홈(62, 65)과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보조홈(75), 제1, 2수평홈(62, 65)에 볼트를 삽입하여 지지대(60)와 보조지지부(70)가 결합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보조클램프(50)와 지지대(60)는 클램프(20)와 고정대(30)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20)와 고정대(30)의 결합순서 및 결합관계가 동일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100)를 결합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설치를 하는데,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를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 지면에 고정시키거나 지면에 딱딱할 경우에는 다리부(10)의 받침대(15)에 형성된 제1고정홈(11)에 볼트를 삽입하여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지면이 흙과 같이 부드러운 지면일 때는 받침대(15)를 지중으로 삽입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홈(11)을 다양한 크기로 형성하여, 상기 제1고정홈(11)에 다양한 크기의 볼트를 삽입할 수도 있다.
상기 다리부(10)의 받침대(15)에는 접힘부(14)가 형성되어 있어, 받침대(15) 를 지중에 설치하게 되면, 받침대(15) 및 접힘부(14)가 지면과의 마찰면적이 넓어지게 되면서, 다리부(10)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리부(10) 및 그와 결합되는 고정대(30) 등은 사용자의 목적에 알맞게 다수개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이는, 다리부(10) 및 고정대(30)를 더 설치하기 위해서는 클램프(20)에 형성된 주밀착부(22)의 사이로 보조결합홈(23)이 형성된 보조밀착부(24)를 더 포함하여 설치한 후, 상기 보조결합홈(23)과 보조밀착부(24)에 고정대(30) 등을 결합하고, 상기 고정대(30)에 다리부(10) 등을 결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길이조절파이프(40)에서 주파이프(42)의 내측으로 다수개의 보조파이프(44)가 결합되는데, 상기 주파이프(42)의 하측으로 걸림볼트(45)가 형성되어 있어, 주파이프(42)의 내측에 위치되는 보조파이프(44)가 주파이프(42)의 하측으로 빠지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다수개의 보조파이프(44)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파이프(40)의 길이 등에 따라 다수개의 다리부(10)의 간격을 조절하여 길이조절파이프(40)가 지면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다리부(10)를 넓히거나 줄이게 되면, 상기 다리부(10)의 지지다리(19)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8)에 의해 보조지지부(70)의 보조다리(73)가 슬라이드홈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하게 되면서, 보조지지부에 결합된 보조클램프가 길이조절파이프(18)의 주파이프(42)의 상, 하로 이동하면서 길이조절파이프(4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처럼, 상기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를(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지역에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분해할 수 있어, 재난현장과 같이 어떠한 장소(산속 등)에서 신속하게 설치하여 인명구조시 인명구조요원과 지휘본부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여 보다 빠른 인명구조활동을 할 수 있게 되고, 통신난청지역에도 간편하게 안테나를 설치하여 통신난청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간편하게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다리부, 클램프, 고정대를 결합한 결합상태도 및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리부, 클램프, 고정대, 보조클램프, 지지대, 보조지지부를 결합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길이조절파이프, 파이프고정부, 안테나브라켓을 결합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리부 11 : 제1고정홈
12 : 제2고정홈 13 : 고정돌기
14 : 접힘부 15 : 받침대
16 : 제1삽입홈 17 : 제2삽입홈
18 : 슬라이드홈 19 : 지지다리
20 : 클램프 21 : 결합홈
22 : 주밀착부 23 : 보조결합홈
24 : 보조밀착부 30 : 고정대
31 : 제1홈 32 : 제2홈
33 : 제1고정대 34 : 제3홈
35 : 제4홈 36 : 제2고정대
40 : 길이조절파이프 41 : 이격홈
42 : 주파이프 43 : 보조이격홈
44 : 보조파이프 50 : 보조클램프
51 : 제1지지홈 52 : 제1밀착부
53 : 제2지지홈 54 : 제2밀착부
60 : 지지대 61 : 제1보조홈
62 : 제1수평홈 63 : 제1지지대
64 : 제2보조홈 65 : 제2수평홈
66 : 제2지지대 70 : 보조지지부
71 : 제1고정공 72 : 제2고정공
73 : 보조다리 74 : 보조고정공
75 : 보조홈 76 : 결합부
80 : 파이프고정부 81 : 보조홈
82 : 보조돌기 83 : 제1링볼트
84 : 제1링홈 85 : 돌기
86 : 제2링볼트 87 : 제2링홈
90 : 안테나브라켓 91 : 결합파이프
92 : 안테나홈 93 : 안테나고정홈
94 : 개방부 95 : 볼트홈
96 : 볼트부
100 :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

Claims (5)

  1. 내측으로 다수개의 제1고정홈(11)과 제2고정홈(12)이 형성되는 고정돌기(1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측면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구부러진 접힘부(14)가 형성된 받침대(15), 일측으로 상기 받침대(15)의 고정돌기(13)의 제2고정홈(12)과 대응되는 제1삽입홈(16)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제2삽입홈(17)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장공형태의 슬라이드홈(18)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19)로 형성되되 상기 받침대(15)와 지지다리(19)가 다수개로 구성되는 다리부(10);
    일측이 개방되고 외측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되 결합홈(21)이 형성된 주밀착부(22)가 형성된 클램프(20);
    상기 클램프(20)의 주밀착부(22)에 결합되되 결합홈(21)과 대응되는 제1홈(31)과 상기 다리부(10)의 지지다리(19)의 제2삽입홈(17)과 대응되는 제2홈(32)이 형성되며 'T'자 형태의 제1고정대(33)와, 일측이 개방된 상기 클램프(20)의 주밀착부(22)에 밀착되되 결합홈(21)과 대응되는 제3홈(34)과 상기 다리부(10)의 지지다리(19)의 제2삽입홈(17)과 대응되는 제4홈(35)이 형성되고 'ㄱ'자 형태가 한 쌍으로 구성된 제2고정대(36)로 구성된 고정대(30);
    상측으로 다수개의 이격홈(41)을 형성한 주파이프(42)와 상기 주파이프(42)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낚싯대형식과 같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측으로 보조이격홈(43)이 형성되는 다단형태의 보조파이프(44)가 상기 클램프(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길이조절파이프(40);
    상기 길이조절파이프(40)의 주파이프(42)가 결합되되 일측이 개방되고 외측으로 일정간격 배열되되 제1지지홈(51)이 형성된 다수개의 제1밀착부(52)와 다수개의 밀착부(52)의 사이로 위치되되 제2지지홈(53)이 형성된 제2밀착부(54)로 구성된 보조클램프(50);
    상기 보조클램프(50)의 제1밀착부(52)에 밀착되며 제1지지홈(51)과 대응되는 제1보조홈(61)과 제1수평홈(62)이 형성된 'T'자 형태의 제1지지대(63)가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클램프(50)의 일측이 개방된 위치에 형성된 제1밀착부(52)에 밀착되며 제1지지홈(51)과 대응되는 제2보조홈(64)과 제2수평홈(65)이 형성된 'ㄱ'자 형태가 한 쌍으로 형성되는 제2지지대(66)로 구성된 지지대(60);
    일측으로 다리부(10)의 지지다리(19)의 슬라이드홈(18)에 대응되는 제1고정공(71)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제2고정공(72)이 형성되는 보조다리(73)와 상기 보조다리(73)와 상기 지지대(60)의 제1지지대(63)와 제2지지대(66)의 양측으로 결합되되 일측으로 보조다리(73)의 제2고정공(72)과 대응되는 보조고정공(74)과 타측으로 제1, 2지지대(63, 66)의 제1, 2수평홈(62, 65)에 대응되는 보조홈(75)이 형성된 결합부(76)로 구성된 보조지지부(70);
    상기 길이조절파이프(40)의 주파이프(42)와 보조파이프(44)들의 이격홈(41)과 보조이격홈(43)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결합되되 일측이 개방되며 보조홈(81)이 형성된 한 쌍의 보조돌기(82)가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측으로 제1링볼트(83)가 결합되는 제1링홈(84)이 형성된 돌기부(85)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다수개의 제2링볼트(86)가 결합되도록 다수개가 배열된 제2링홈(87)으로 구성된 파이프고정부(80);
    내측으로 상기 길이조절파이프(40)의 최상측에 위치되는 보조파이프(44)에 결합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파이프(91)와 안테나가 삽입되는 안테나홈(92)과 상기 안테나홈(92)에 연결되는 안테나고정홈(93)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개방부(94)가 형성되되 한 쌍의 볼트홈(95)이 형성되는 한 쌍의 볼트부(96)가 양측으로 구성된 안테나브라켓(9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10)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다리(19) 사이에는 다수개의 지지부(k)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에는 다수개의 주밀착부(22)의 사이로 보조결합홈(23)이 형성된 보조밀착부(24)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파이프(40)의 주파이프(42)에는 걸림볼트(45)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10)의 제2삽입홈(17), 슬라이드홈(18)과 고정대(30)의 제2홈(32), 제4홈(35) 및 보조지지부(70)의 제1고정공(71)에는 손잡이볼트(h)가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
KR1020090123182A 2009-12-11 2009-12-11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 KR100947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182A KR100947489B1 (ko) 2009-12-11 2009-12-11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182A KR100947489B1 (ko) 2009-12-11 2009-12-11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489B1 true KR100947489B1 (ko) 2010-03-17

Family

ID=4218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182A KR100947489B1 (ko) 2009-12-11 2009-12-11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4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362B1 (ko) 2016-01-18 2017-09-18 (주)해양공간정보기술 음속측정기 보호대
CN109037893A (zh) * 2018-07-02 2018-12-18 陕西天翌天线股份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节的天线支撑机构
CN110896676A (zh) * 2018-04-16 2020-03-20 上海飞来信息科技有限公司 全向天线及无人机监听设备
CN112018491A (zh) * 2020-09-01 2020-12-01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增强稳定台区终端信号的装置
CN116216508A (zh) * 2023-05-09 2023-06-06 成都原创人造板科学技术有限公司 一种市政管道设备的吊装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739U (ko) * 1997-11-14 1999-06-05 윤치연 섹터통합형 단일폴 안테나 시스템
US7369097B1 (en) 2007-02-02 2008-05-06 Winegard Company Collapsible tripod mount for a dish antenna assembly
JP2009188716A (ja) * 2008-02-06 2009-08-20 Smk Corp 多段収納式ロッドアンテ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739U (ko) * 1997-11-14 1999-06-05 윤치연 섹터통합형 단일폴 안테나 시스템
US7369097B1 (en) 2007-02-02 2008-05-06 Winegard Company Collapsible tripod mount for a dish antenna assembly
JP2009188716A (ja) * 2008-02-06 2009-08-20 Smk Corp 多段収納式ロッドアンテナ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362B1 (ko) 2016-01-18 2017-09-18 (주)해양공간정보기술 음속측정기 보호대
CN110896676A (zh) * 2018-04-16 2020-03-20 上海飞来信息科技有限公司 全向天线及无人机监听设备
CN109037893A (zh) * 2018-07-02 2018-12-18 陕西天翌天线股份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节的天线支撑机构
CN112018491A (zh) * 2020-09-01 2020-12-01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增强稳定台区终端信号的装置
CN112018491B (zh) * 2020-09-01 2022-09-23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增强稳定台区终端信号的装置
CN116216508A (zh) * 2023-05-09 2023-06-06 成都原创人造板科学技术有限公司 一种市政管道设备的吊装结构
CN116216508B (zh) * 2023-05-09 2023-07-04 成都原创人造板科学技术有限公司 一种市政管道设备的吊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489B1 (ko) 이동식안테나의 고정장치
US20060138286A1 (en) Pipe hanger assembly
US9109745B2 (en) Hanger system for suspendible illuminated fixtures
WO2006023045A3 (en) Fixture and mounting assembly for a fence post
US8234823B2 (en) Telescoping mast
US8635821B1 (en) Safety line anchor securable to roof drain
KR20160071728A (ko) 통신 장비의 설치 브라켓 세트
KR20150020890A (ko) 배관 고정장치
KR200425131Y1 (ko) 이동식 중계 안테나 지지 장치
CN204326671U (zh) 新型快装式圆管型基站塔
US90520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vating and supporting an air flow measuring device
KR101483177B1 (ko) 조립식 이동 폴
CN213985061U (zh) 一种土建施工用水平测量仪
KR200232450Y1 (ko) 삼각 측량용 영구조표
CN211600162U (zh) 一种便于柱体安装施工的监控设备
CN204646899U (zh) 一种伸缩管结构
KR102255161B1 (ko) 이동통신용 안테나 고정장치
KR101779063B1 (ko) 거푸집용 클램프
KR102243159B1 (ko) 지주물용 암대 고정구
CN104499760A (zh) 新型快装式多棱型基站塔
CN204475952U (zh) 具有扩容功能的快装型单管通信发射塔
RU83683U1 (ru) Подвесной штатив
CN213177270U (zh) 一种新型抗震支架管束
CN202176668U (zh) 一种u型绳扣
CN210466688U (zh) 一种具有多种安装方式的可燃气体报警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