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074B1 - 다중의 흘러내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머리착용재 - Google Patents

다중의 흘러내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머리착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074B1
KR101483074B1 KR1020130152169A KR20130152169A KR101483074B1 KR 101483074 B1 KR101483074 B1 KR 101483074B1 KR 1020130152169 A KR1020130152169 A KR 1020130152169A KR 20130152169 A KR20130152169 A KR 20130152169A KR 101483074 B1 KR101483074 B1 KR 101483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head
fall
cover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웅
Original Assignee
신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웅 filed Critical 신재웅
Priority to KR1020130152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41Peakless soft head coverings, e.g. turbans or ber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과 머리를 커버하기 위한 머리착용재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턱끝과, 후두부 2지점 사이에 걸쳐 인장력을 발휘함으로써 후두부 뒤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머리착용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의 흘러내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머리착용재{Hempen hood}
본 발명은 머리에 착용하여 방한, 방풍, 흘러내림 방지가 되는 머리착용재에 관한 기술 분야에 속한다.
통상적으로 주로 동절기에 방한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두건이나 마스크는 내부면은 부드럽고 보온 기능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안면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착용자의 두부 전체를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동절기에 사용되는 마스크는 방풍, 방한 기능이 매우 우수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머리와 얼굴, 귀, 목 등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감싸는 구조의 마스크가 소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겨울 스키용 마스크를 사용하면, 머리 전체를 덮을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전체적으로 얼굴을 타이트하게 죄는 힘이 가해져서 장시간 사용시 매우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제품의 경우, 착용시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마스크를 벗는 방법 밖에는 없는데, 본 발명에서는 얼굴전체를 감싸는 탄성력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최근에는 동절기 뿐만 아니라 다른 계절에도 자외선 차단, 먼지 등 각종 오염물질 흡입 방지 등의 목적으로 폭넓게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지만, 하절기와 동절기에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은 없는 상황이다.
본 발명을 통해 각종 스포츠, 레저 활동시 머리에 손쉽게 착용하여 효과적으로 방한, 방풍 및 자외선과 오염물질 차단을 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스포츠를 즐기는 도중 머리 후두부 측이 잘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턱과 머리 후두부 2개 지점을 상호 연결하여, 역학적 안정성을 이루기 때문에 후두부에서 흘러내림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의 머리착용재를 제시하고자 한다.
없음.
본 발명을 통해 각종 스포츠, 레저 활동시 머리에 손쉽게 착용하여 효과적으로 방한, 방풍 및 자외선과 오염물질 차단을 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시하고자 하며 특히, 턱과 머리 후두부 2개 지점을 상호 연결하여, 역학적 안정성을 이루기 때문에 후두부에서 흘러내림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의 머리착용재를 제시하고자 한다.
머리 상방으로부터 착용하도록 상하부가 뚫려 있으며, 얼굴을 가리는 얼굴가림부재(500), 상기 얼굴가림부재의 양측 상부에 연장 형성되되, 사용자의 귀 등 얼굴측면을 가리는 측면가림부재(400), 상기 두개의 측면가림부재를 상호 연결하되, 사용자의 후두부 상측을 덮는 제1낙하방지부재(300), 상기 제1낙하방지부재와 측면가림부재가 만나는 착용자의 귀상부 부위(E)에서 양 단부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낙하방지부재(200), 측면가림부재와 제1낙하방지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목과 후두부 하단을 감싸는 목가림부재(100)를 포함하고,
상기 목가림부재(100), 제1낙하부재(300) 사이에는 제1개구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낙하부재(300,200) 사이에는 제2개구부(21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턱 끝의 지점(A)을 중심으로 하여 착용자의 정수리부(B), 후두부 중상부(C) 및 후두부 하측부(D) 지점으로 3개의 힘작용선(F1,F2,F3)이 구축되도록 형성되며,
정수리부(B)를 가로지르는 제2낙하방지부재(200)는 제1,2낙하방지부재의 접점(E)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로테이션(R1,R2 방향)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의 흘러내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머리착용재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머리 전체를 효과적으로 감싸면서,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얼굴이나 목 부분을 감싸거나 혹은 외기에 노출시키는 것을 필요에 따라 매우 용이하게 선택하여 착용할 수 있으며, 특히 후두부측의 다중낙하방지 부재인, 제1,2 낙하방지부재 (200,300)에 의하여 힘점을 후두부 상중하의 3방향으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다수지점에서 머리착용재를 잡아주는 등 후두부측의 흘러내림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머리착용재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머리착용재의 실착용 장면
도 3은 머리 착용재의 측면을 도시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로써 파악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머리착용재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머리착용재의 실착용 장면, 도 3은 머리 착용재의 측면을 도시한 사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은 도 2의 착용상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머리 착용재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머리 상방으로부터 착용하도록 상하부가 뚫려 있으며, 얼굴을 가리는 얼굴가림부재(500), 상기 얼굴가림부재의 양측 상부에 연장 형성되되, 사용자의 귀 등 얼굴측면을 가리는 측면가림부재(400), 상기 두개의 측면가림부재를 상호 연결하되, 사용자의 후두부 상측을 덮는 제1낙하방지부재(300), 상기 제1낙하방지부재와 측면가림부재가 만나는 부위(E)에 양 단부가 결합되며, 밴드 형상의 제2낙하방지부재(200), 측면가림부재와 제1낙하방지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목과 후두부 하단을 감싸는 목가림부재(100)를 포함한다.
낙하방지부재라는 명칭은 사용자가 머리에 본 발명 머리착용재를 쓸 경우, 후두부에 접하는 섬유부분이 K 방향(도 2참조)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라는 것을 의미하기 위하여 명명되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머리착용재의 측면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은 도 2와 거의 비슷한 각도에서 촬영한 것이다.다만, 도 2에서는 후두부와 얼굴 측면 촬영을 하기 위한 각도 이므로, 도 3의 얼굴가림부재(500) 부분이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머리착용재의 구성요소들은, 마치 퍼즐형태로 상호 편직되어 있지만, 얼굴가림부재(500)와 측면가림부재(400)는 섬유 인장력이 직접 발휘되도록 한 몸체로 형성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한편, 측면가림부재(400)의 양쪽 끝단과, 제1낙하방지부재(300)의 양쪽끝단이 연이어 연결되도록 편직됨으로써, 턱끝으로부터 후두부를 연결하는 힘작용선(F2)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작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촬영사진으로 볼 때, 얼굴가림부재(500), 측면가림부재(400) 및 제1낙하방지부재(300)는
Figure 112013112365938-pat00001
형태로 편직되는 것이 턱끝을 중심으로 후두부 위치로 팽팽하게 머리착용을 하기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을 역학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턱 끝의 지점(A)을 중심으로 하여 정수리부(B), 후두부 중상부(C) 및 후두부 하측부(D) 지점으로 3개의 힘작용선이 구축된다는 점이다. 이를 도 1에서 각각 F1,F2,F3 로 도시하였다.
시중에서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얼굴을 가리는 마스크는 신체활동을 하는 도중에 후두부 측을 덮고 있는 부위가 흘러내리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후두부 측이 흘러 내릴 경우 이를 다시 끌어올려 착용하는 일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는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여러 개의 힘 작용선이 구축되도록 섬유구성요소를 상호 편직하도록 하였다.
도 1의 F1, F2, F3의 힘들이 발휘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목가림부재(100), 제1낙하부재(300) 사이에는 제1개구부(310)가 형성되며, 제1,2 낙하부재(300,200) 사이에는 제2개구부(210)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F1,F2,F3 의 힘들이 각기 별도로 작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정수리부(B)를 가로지르는 제2낙하방지부재(200)는 도 3과 같이 E지점(제1,2낙하방지부재의 접점)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R1,R2 방향으로 로테이션 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머리에 본 발명 머리착용재를 쓸 경우, 제2낙하방지부재(200)는 자연스럽게 R1 방향으로 회전되어, 사용자의 정수리 부분에 걸쳐지게 된다. 또한 제1개구부(310) 역시 착용전보다 크게 벌어져서 도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도 2와 같은 착용을 할 경우, 도 1과 같이 턱 부위(A)를 중심으로 세갈래의 힘이 각각 독립적으로 발휘되어 후두부 착용부분의 흘러내림이 방지되고 매우 안정된 상태로 사용자는 신체 활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낙하방지부재 등은 특정 소재에 국한되지 않고 탄성이 발휘되는 여하한의 재료 즉, 섬유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기타 여하한의 재료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여 머리 전체를 효과적으로 감싸면서,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얼굴이나 목 부분을 감싸거나 혹은 외기에 노출시키는 것을 필요에 따라 매우 용이하게 선택하여 착용할 수 있으며, 특히 후두부측의 다중낙하방지 부재인, 제1,2 낙하방지부재 (200,300)에 의하여 힘점을 후두부 상중하의 3방향으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다수지점에서 머리착용재를 잡아주는 등 후두부측의 흘러내림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100:목가림부재
200:제2낙하방지부재
210:제2개구부
300:제1낙하방지부재
310:제1개구부
400:측면가림부재
500:얼굴가림부재

Claims (3)

  1. 머리 상방으로부터 착용하도록 상하부가 뚫려 있으며, 얼굴을 가리는 얼굴가림부재(500),
    상기 얼굴가림부재의 양측 상부에 연장 형성되되, 사용자의 얼굴측면을 가리는 측면가림부재(400),
    상기 두개의 측면가림부재를 상호 연결하되, 사용자의 후두부 상측을 덮는 제1낙하방지부재(300),
    상기 제1낙하방지부재와 측면가림부재가 만나는 착용자의 귀상부 부위(E)에서 양 단부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낙하방지부재(200),
    측면가림부재와 제1낙하방지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목과 후두부 하단을 감싸는 목가림부재(100)를 포함하고,
    상기 목가림부재(100), 제1낙하부재(300) 사이에는 제1개구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2 낙하부재(300,200) 사이에는 제2개구부(21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턱 끝의 지점(A)을 중심으로 하여 착용자의 정수리부(B), 후두부 중상부(C) 및 후두부 하측부(D) 지점으로 3개의 힘작용선(F1,F2,F3)이 구축되도록 형성되며,

    정수리부(B)를 가로지르는 제2낙하방지부재(200)는 제1,2낙하방지부재의 접점(E)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로테이션(R1,R2 방향)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의 흘러내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머리착용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 제2낙하방지부재는 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서 머리착용재를 볼 때, 얼굴가림부재(500)와 측면가림부재(400) 및 제1낙하방지부재(300)는
    Figure 112013112365938-pat00002
    형태로 형성되어, 머리착용재 착용시 턱끝으로부터 후두부를 연결하는 힘작용선(F2)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작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의 흘러내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머리착용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얼굴가림부재(500)와 측면가림부재(400)는 한몸체로 형성되며, 그와 동시에 측면가림부재(400)의 양쪽 끝단과, 제1낙하방지부재(300)의 양쪽끝단이 연이어 연결되도록 편직됨으로써, 턱끝으로부터 후두부를 연결하는 힘작용선(F2)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비스듬히 작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의 흘러내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머리착용재.
KR1020130152169A 2013-12-09 2013-12-09 다중의 흘러내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머리착용재 KR101483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169A KR101483074B1 (ko) 2013-12-09 2013-12-09 다중의 흘러내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머리착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169A KR101483074B1 (ko) 2013-12-09 2013-12-09 다중의 흘러내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머리착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074B1 true KR101483074B1 (ko) 2015-01-16

Family

ID=5259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169A KR101483074B1 (ko) 2013-12-09 2013-12-09 다중의 흘러내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머리착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0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841U (ko) * 1990-04-18 1991-12-27
JP3130841B2 (ja) 1997-09-30 2001-01-31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自動配置配線方法
JP3137866B2 (ja) 1995-02-24 2001-02-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遊技装置
KR20060058863A (ko) * 2004-11-26 2006-06-01 이현석 원통스판마스크
KR20110000672U (ko) * 2009-07-14 2011-01-20 이성국 안면 보호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841U (ko) * 1990-04-18 1991-12-27
JP3137866B2 (ja) 1995-02-24 2001-02-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遊技装置
JP3130841B2 (ja) 1997-09-30 2001-01-31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自動配置配線方法
KR20060058863A (ko) * 2004-11-26 2006-06-01 이현석 원통스판마스크
KR20110000672U (ko) * 2009-07-14 2011-01-20 이성국 안면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511B1 (ko) 기능성 마스크
JP3207233U (ja) 密着調節型多機能性ヘアーウェア
US5107543A (en) Goggle engaging face mask device and method
US9839245B2 (en) Ear warming headwear having retention means for securing same in an ear-covering position
KR101011224B1 (ko) 스포츠웨어 및 아웃도어 의류
KR101418787B1 (ko)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JP2007277785A (ja) へアバンド付ネックウォーマー
KR101483074B1 (ko) 다중의 흘러내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머리착용재
KR200485146Y1 (ko) 챙을 갖는 안면마스크
KR200495244Y1 (ko) 귀걸이부가 형성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
KR20080000490U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1032501B1 (ko) 방한 마스크
KR101580134B1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1539947B1 (ko) 안면보호대
KR20130061949A (ko) 흘러내림 방지 스포츠 마스크
JP6562270B2 (ja) 密着調節型多機能頭巾
KR200308861Y1 (ko) 마스크를 갖는 안전모용 방한막이 건
KR102633121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1885965B1 (ko) 유해광 차단 마스크
KR20100007950U (ko) 마스크
KR200389797Y1 (ko) 얼굴 전면 방한대
KR102315084B1 (ko)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US20210015193A1 (en) Adjustable headwear providing a draping material
KR200496142Y1 (ko) 햇빛 차단용 마스크
KR200300084Y1 (ko) 안전모용 방한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