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121B1 - 다기능 마스크 - Google Patents

다기능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121B1
KR102633121B1 KR1020210096502A KR20210096502A KR102633121B1 KR 102633121 B1 KR102633121 B1 KR 102633121B1 KR 1020210096502 A KR1020210096502 A KR 1020210096502A KR 20210096502 A KR20210096502 A KR 20210096502A KR 102633121 B1 KR102633121 B1 KR 102633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abric
user
multifunctional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5121A (ko
Inventor
손대업
최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릿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릿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릿
Priority to KR1020210096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12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5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6UV light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신축성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부에 완전히 밀착되고 안면부 전체를 덮어 볼 부위의 노출을 방지하는 마스크, 운동 또는 작업시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서 이마 부분으로 흐르는 땀이 눈 부분으로 흐르지 않도록 사용되는 헤어 밴드, 인체의 수분과 결합해 흡열 반응을 일으켜 열감을 제거함과 동시에 수분을 빠른 시간 안에 건조시켜 사용자에게 차가움을 줄 수 있는 흡열용 타월, 보온용 목도리, 사용자의 코, 입, 얼굴 및 목 부위를 가려줄 수 있는 머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원단, 상기 원단의 상부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마련된 한 쌍의 귀걸이부,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의 주위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마스크, 헤어 밴드, 쿨 타월, 목도리, 머프 등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마스크{MULTI-FUNCTIONAL MASK}
본 발명은 다기능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축성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부에 완전히 밀착되고 안면부 전체를 덮어 볼 부위의 노출을 방지하는 마스크, 운동 또는 작업시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서 이마 부분으로 흐르는 땀이 눈 부분으로 흐르지 않도록 사용되는 헤어 밴드, 인체의 수분과 결합해 흡열 반응을 일으켜 열감을 제거함과 동시에 수분을 빠른 시간 안에 건조시켜 사용자에게 차가움을 줄 수 있는 흡열용 타월, 보온용 목도리, 사용자의 코, 입, 얼굴 및 목 부위를 가려줄 수 있는 머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 등산, 오토바이 등의 레저 활동은 물론이고 외부 작업시에는 그 용도에 맞게 제작된 의복을 입고 활동을 하게 되므로 신체의 대부분은 햇빛과 유해물질로부터 보호되며, 방한 기능 등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의복으로부터 보호되지 않는 부분 특히 목이나 안면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햇빛과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하지 않으며, 무엇보다 추운 겨울에는 방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노출되는 안면 등을 보호하기 위해 마스크 몸체에 귀걸이나 뒤통수, 목 등에 고정하는 끈이나 고무줄이 달려 있는 것을 사용하고, 사용자가 사용할 때는 사용자 얼굴 크기에 따라 귀걸이 끈을 조정해서 안면에 착용하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가 개발되어 있다.
즉, 의복으로부터 보호되지 않는 부분 특히 목이나 안면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햇빛과 유해 물질로부터 안전하지 않으며, 무엇보다 추운 겨울에는 방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노출되는 안면 등을 보호하기 위해 통상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하게 되는데,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신종 인플루엔자(신종플루) 및 코로나 바이러스(SARS, MERS, COVID-19 등)가 전 세계에 창궐하면서 많은 사람이 근무하거나 생활하는 공간의 대기중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입자에 대한 방역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하여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이 강조되고, 대중이 모이는 공공장소, 지하철, 버스 등의 승차, 사무실, 운동, 산행, 작업장 등의 옥외 활동에서 마스크의 착용이 필수로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도의 마스크는 얼굴과 마스크 사이의 틈새로 바이러스 또는 미세 먼지들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면 밀착성이 강화된다. 마스크의 안면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콧대 부위에 안면 굴곡에 따라서 변형되는 얇은 금속 편을 부착하고, 탄성이 강한 밴드를 사용하여 머리에 잡아당겨 고정하는 방식들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여름철 휴가지, 야외 스포츠 관람, 야외 작업장 등에서 태양광 노출에 따른 냉열감을 제공하기 위해 타월 또는 수건을 물에 적셔 사용자의 목 주위에 착용함으로써 차가움을 제공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측 외주연의 양측 단부가 양 귓불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중심면부가 넓고 양측면부가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코와 입을 덮도록 형성된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면부 단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뒷목을 감쌀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2개의 고정 지지대 및 상기 2개의 고정 지지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각각의 고정 지지대 단부 측에 형성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목 고정형 다기능 마스크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외부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한 마스크면, 상기 마스크면 양측에 결합되어 얼굴에 고정되는 끈, 상기 끈이 결합된 마스크면 부분을 열경화시켜서 단단한 면으로 형성한 끈 결합 열경화부, 상기 끈 결합 열경화부에서 끈의 길이를 감아 조절하는 끈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끈 조절부는 반원으로 절개형성되고, 상기 끈 조절부 중앙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끈 조절 돌기부와 상기 끈 조절 돌기부를 사이에 두고 돌출 형성되는 어긋끼움 돌기부, 상기 끈 조절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끈이 끼어 고정되게 일직선으로 절개 형성된 끈 끼움 고정부로 구성된 끈조절 다기능성 마스크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인체의 수분과 결합해 흡열 반응을 일으켜 열감을 제거하는 타월로서, 고흡수성과 신축성을 갖는 단일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흡열 기능을 구비한 타월체 및 상기 타월체에 마련되어 흡열 기능을 촉진하는 다수의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관통구는 상기 타월체의 직조 시 또는 직조 후 상기 타월체의 폭 방향을 따라 장변이 배치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타월체의 폭 방향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많이 마련되어 상기 타월체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흡열용 타월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7095호(2014.10.2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6160호(2020.12.22 등록) 대한민국 특허특허공보 제10-1778294호(2017.09.07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는 안면 등을 보호하기 위해 마스크 본체와 별도로 구비하는 끈 등의 고정수단을 제거하고 목에 고정할 수 있는 다기능 마스크의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장기간 야외에서 사용시 볼 부위 및 귀 부위 등이 햇빛(자외선) 등에 노출되어 피부 보호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마스크는 헤어 밴드 또는 쿨 타월과 같은 흡열용 타월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 특허문헌 2에서는 끈 조절부에 의해 얼굴 크기에 맞게 끈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마스크 면을 가운데 정렬할 수 있는 끈 조절 다기능 마스크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이, 볼 부위 및 귀 부위 등이 햇빛(자외선) 등에 노출되어 피부 보호를 할 수 없으며, 헤어 밴드 또는 쿨 타월과 같은 흡열용 타월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은 본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된 것으로서, 흡열용 타월로서만 사용 가능하며, 마스크로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실내 및 야외에서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되고 있으며, 날씨가 더워지면서 야외 활동에서 통풍이 잘 안 되는 KF80, KF94, KF99 등급의 마스크의 착용으로 호흡 곤란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보건용 KF 인증 마스크에 비해 숨쉬기도 편하고 시원한 덴탈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안면 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마스크의 착용 후 얼굴 밀착을 위해 당겨진 마스크 착용 줄(귀걸리용 연결고리)로 인해서 얼굴에 자국이 남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마스크의 경우, 마스크 본체와 연결고리 사이가 공간 부분으로 되어 장기간 야외에서 사용시 햇빛(자외선) 등에 노출되어 피부 보호를 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머프 등을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귀 부위에 무리한 압박을 가해 불편해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마스크, 헤어 밴드, 쿨 타월, 목도리, 머프 등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과정을 단순화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기능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크의 착용에 따른 호흡 곤란이 없도록 통풍이 원활하며 신축성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부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는 다기능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크의 착용시 안면부 전체를 덮어 볼 부위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크로의 착용 시 착용감이 우수하며, 마스크의 착용 흔적도 남지 않는 다기능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의 착용 시 귀 부위의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는 다기능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크로의 착용에 따른 안경의 김 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는 원단, 상기 원단의 상부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마련된 한 쌍의 귀걸이부,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의 주위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서,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보호부 내에 마련된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원단의 일정 길이 부분만 째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서,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원단의 상부에서 상부와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원단의 전면 또는 전면과 이면에 코팅, 프린팅 또는 접착에 의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서, 상기 원단은 직사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서, 상기 원단은 고흡수성과 신축성을 갖는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단의 테두리 부분에는 봉제를 통한 심(Seam) 부재가 마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서,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원단의 상부에서 0.5~2㎝의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서, 상기 관통부의 일정 길이는 적어도 4㎝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서, 상기 다기능 마스크는 신축성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부에 완전히 밀착되고 안면부 전체를 덮어 볼 부위의 노출을 방지하는 마스크, 운동 또는 작업시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서 이마 부분으로 흐르는 땀이 눈 부분으로 흐르지 않도록 사용되는 헤어 밴드, 인체의 수분과 결합해 흡열 반응을 일으켜 열감을 제거함과 동시에 수분을 빠른 시간 안에 건조시켜 사용자에게 차가움을 줄 수 있는 흡열용 타월, 보온용 목도리 또는 자전거, 스포츠, 등산, 산책을 할 때 사용자의 코, 입, 얼굴 및 목 부위를 가려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머프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서, 상기 원단에는 다수의 홈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서, 상기 원단의 전면부의 일측과 이면부의 일측에는 체결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서, 상기 원단의 양측에는 묶음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서, 상기 원단은 냉감 소재, 보온 소재, 보냉 소재 중의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 의하면, 직사각형 형상의 원단과 상기 원단의 상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양쪽 귀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마련된 한 쌍의 귀걸이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마스크, 헤어 밴드, 쿨 타월, 목도리, 머프 등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 의하면, 원단의 테두리 부분에는 봉제를 통한 심(Seam) 부재가 마련되지 않는 구조이고, 귀걸이부는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마스크의 제조 과정을 단순화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 의하면, 마스크로의 착용시 안면부에 완전히 밀착되며 안면부 전체를 덮어 볼 부위의 노출을 방지하여 햇빛(자외선)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 의하면, 귀걸이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장기간 사용시에 귀 부위의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 의하면, 원단에 다수의 홈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마스크로의 착용시 호흡 곤란을 방지하며, 안경 착용시 김 서림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에 의하면, 원단의 테두리 부분에는 봉제를 통한 심(Seam) 부재가 마련되지 않는 구조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마스크로의 착용 시 착용감이 우수하며, 마스크의 착용 흔적도 남지 않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의 일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기능 마스크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다기능 마스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다기능"은 신축성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부에 완전히 밀착되고 안면부 전체를 덮어 볼 부위의 노출을 방지하는 마스크의 기능, 운동 또는 작업시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서 이마 부분으로 흐르는 땀이 눈 부분으로 흐르지 않도록 사용되는 헤어 밴드의 기능, 인체의 수분과 결합해 흡열 반응을 일으켜 열감을 제거함과 동시에 수분을 빠른 시간 안에 건조시켜 사용자에게 차가움을 줄 수 있는 흡열용 타월의 기능, 보온용 목도리의 기능 또는 자전거, 스포츠, 등산, 산책 등을 할 때 사용자의 코, 입, 얼굴 및 목 부위를 가려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머프의 기능 등을 구비한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원단"은 다기능 마스크를 이루는 재료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 제1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다기능 마스크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로서, 도 2의 (a)는 전면부(110)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이면부(120)를 나타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기능 마스크의 단면도 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려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비말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원단, 상기 원단의 상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양쪽 귀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마련된 한 쌍의 귀걸이부(130),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의 주위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130)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은 고흡수성과 신축성을 갖는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원단의 전면부(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홈부(200)가 마련되며, 원단의 테두리 부분에는 봉제를 통한 심(Seam) 부재가 마련되지 않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원단의 폭과 길이는 성인용 또는 어린이용 등의 용도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므로, 특정 폭과 길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원단의 테두리 부분에 심 부재가 마련되지 않은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온용의 목도리 등으로 사용될 경우 심 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는 원단의 절단에 의해 마스크를 마련할 수 있으므로, 제조의 단순화를 실현하여 마스크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원단은 냉감 소재, 보온 소재, 보냉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은 원단 자체를 항균 처리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고 흡열 효과 및 청량감을 주는 자일리톨(Xylitol), 에리쓰리톨(Erythritol) 및 이들의 혼합물의 성분을 내장하는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에서는 마스크의 가장자리 부분에 심 부재가 없으므로, 마스크로의 착용 시 착용감이 우수하며, 마스크의 착용 흔적도 남지 않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에서는 마스크로의 착용시 사용자의 안면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코 부위 및 볼 부위의 굴곡에 대해서도 거의 완벽하게 밀착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다수의 홈부(200)는 다기능 마스크(100)의 길이 방향(전면부에서 측부를 향한 방향)으로 동일하게 마련되며, 이러한 홈부(200)는 다기능 마스크(100)의 직조 시 또는 직조 후, 예를 들어 레이저 가공에 의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홈부(200)를 길이 방향으로 마련하는 것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안면부와의 밀착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은 다수 홈부(20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통풍이 원활하여 폭염 또는 운동시에 사용자의 호흡 곤란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경의 김서림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다수의 홈부(200)가 다기능 마스크(100)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진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다수의 홈부(200)는 다기능 마스크(1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마련될 수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홈부(200)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다수의 홈부(200)가 균일하게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호흡의 원활한 통풍을 위해 착용시 사용자의 코 부분 및 입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홈부(200)가 전면부(110)에 마련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면부(120)에도 다수의 홈부(200)를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귀걸이부(130)는 종래의 마스크와 같이 마스크부와 귀걸이부가 별도로 마련되어 결합되는 구조가 아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마스크(100)의 상부에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귀걸이부(130)는 보호부(131) 내에 마련된 관통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131)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부(130)의 장시간 사용 또는 외부에 의한 손상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다기능 마스크(100)의 전면부(110)에 귀걸이부(130)의 둘레에 따라,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로 코팅되어 마련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단에 프린트하는 프린팅 기법 또는 미리 마련된 보호부를 관통부(132)의 부분에 접착하는 기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131)는 귀걸이부(130)의 가장자리 부분의 파손 방지를 증대하기 위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131)가 기능성 마스크(100)의 전면부(110)에 마련된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능성 마스크(100)의 전면부(110)와 이면부(120)에 동일하게 코팅, 프린팅 또는 접착에 의해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에서 상기 관통부(132)는 원단의 상부의 일부분을 커터 등의 도구에 의해 사용자의 양쪽 귀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일정 길이 부분만 째서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원단의 일부분만 커터로 째는 것에 의해 관통부(132)가 마련되어 귀걸이부(13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더욱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가 있다. 즉, 상기 관통부(132)는 상기 원단의 폭과 길이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지만, 상기 원단의 상부에서 0.5~2㎝의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부(132)가 0.5㎝ 이내인 경우, 상부와 너무 근접하여 관통부(132)가 찢겨질 염려가 있으며, 2㎝를 초과하는 경우, 착용시 귀의 상부 부분에서 과도하게 돌출하여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 상기 관통부(132)의 일정 길이는 적어도 4㎝ 이상으로 마련된다. 특히, 상기 일정 길이는 사용자의 귀의 둘레 부분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4~7㎝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관통부(132)의 길이도 상기 원단의 폭 및 길이와 같이, 성인용 또는 어린이용 등의 용도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에서는 원단의 상부에서 상부와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상의 귀걸이부(13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마스크의 착용시 안면부 전체를 덮어 볼 부위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 야외에서 다기능 마스크(100)의 착용시 안면부를 햇빛(자외선)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귀걸이부(130)를 원단의 상부와 수평 방향으로 마련하는 것에 의해 다기능 마스크(100)의 착용시, 볼 부위와의 밀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의 착용 상태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다기능 마스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다기능 마스크(10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10)를 앞으로 사용하고, 귀걸이부(130)의 관통부(132)를 사용자의 귀 부분에 삽입하고, 다기능 마스크(100)의 양단을 사용자의 머리 뒤 부분에서 묶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마스크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착용 줄에 의해 사용자의 귀에 인가되는 텐션에 의해 귀가 아프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부(130)가 귀에 걸쳐지는 유지 기능만 하고, 텐션을 유지하면서 머리 뒤 부분에서 묶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귀에 인가되는 고통을 방지하면서 안면부에 완전히 밀착되고, 안면부 전체를 덮어 볼 부위의 노출을 방지하는 마스크로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에서는 원단의 테두리 부분에 봉제를 통한 심(Seam) 부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우수하며, 마스크의 착용 흔적도 남지 않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또는 작업시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서 이마 부분으로 흐르는 땀이 눈 부분으로 흐르지 않도록 사용되는 헤어 밴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기능 마스크(100)를 접어서 헤어 밴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물에 적셔 사용하는 경우, 인체의 수분과 결합해 흡열 반응을 일으켜 열감을 제거함과 동시에 수분을 빠른 시간 안에 건조시켜 사용자에게 차가움을 줄 수 있는 흡열용 타월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두르는 보온용 목도리 또는 상술한 흡열용 타월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는 자전거, 스포츠, 등산, 산책 등을 할 때 사용자의 코, 입, 얼굴 및 목 부위를 가려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머프 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머프로 사용하는 경우, 귀걸이부(13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장기간의 착용 시 귀 부위의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의 마스크(400)를 겹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용 마스크(400)의 착용 줄을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의 양단을 통해 삽입하고, 상용 마스크(400)의 내측을 전면부(110) 내에 위치시켜 도 7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 마스크(400)를 본 발명에 다른 다기능 마스크(100)에 겹쳐 사용하는 것에 의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에 대한 방역을 도모하면서, 안면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귀에 인가되는 고통을 방지할 수도 있다.
[ 제2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의 다기능 마스크(100)에 대해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려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비말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원단, 상기 원단의 상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양쪽 귀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마련된 한 쌍의 귀걸이부(130),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의 주위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130)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은 고흡수성과 신축성을 갖는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원단의 전면부(11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와 달리 다수의 홈부(114)가 마련되지 않은 원단을 적용하며, 원단의 테두리 부분에는 봉제를 통한 심(Seam) 부재가 마련되지 않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제2 실시 예에서의 원단은 고흡수성과 신축성을 갖는 원단을 적용하지만, 제1 실시 예에 비해 다수의 홈부(114)가 마련되지 않으므로, 제조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 예의 원단에서도 제1 실시 예의 원단과 동일하게, 냉감 소재, 보온 소재, 보냉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원단 자체를 항균 처리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고 흡열 효과 및 청량감을 주는 자일리톨(Xylitol), 에리쓰리톨(Erythritol) 및 이들의 혼합물의 성분을 내장하는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도 제1 실시 예와 같이, 운동 또는 작업시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서 이마 부분으로 흐르는 땀이 눈 부분으로 흐르지 않도록 사용되는 헤어 밴드, 인체의 수분과 결합해 흡열 반응을 일으켜 열감을 제거함과 동시에 수분을 빠른 시간 안에 건조시켜 사용자에게 차가움을 줄 수 있는 흡열용 타월, 보온용 목도리, 자전거, 스포츠, 등산, 산책 등을 할 때 사용자의 코, 입, 얼굴 및 목 부위를 가려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머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제3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의 다기능 마스크에 대해 도 10에 따라 설명하며, 제1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10)의 일측과 이면부(120)의 일측에 체결 부재로서 벨크로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부착부(141, 142)가 마련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부착부(141, 14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1 실시 예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의 착용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제1 및 제2 부착부(141, 142)를 원형의 구조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 형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 제1 및 제2 부착부(141, 142)의 크기 또는 길이도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길게 마련될 수도 있다.
[ 제4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 예의 다기능 마스크에 대해 도 11에 따라 설명하며, 제1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10)의 일측과 이면부(120)의 일측에 체결 부재로서 자석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자석부(151, 152)가 마련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자석부(151, 15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1 실시 예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의 착용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제1 및 제2 자석부(151, 152)를 사각형의 구조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 제1 및 제2 자석부(151, 152)의 크기 또는 길이도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길게 마련될 수도 있다.
[ 제5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 예의 다기능 마스크에 대해 도 12에 따라 설명하며, 제1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마스크(100)의 양측에 제1 묶음 부재(160)가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묶음 부재(1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마스크(100)의 양측은 경사지게 마련되고, 그 중앙 부분에는 띠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제1 묶음 부재(16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1 실시 예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의 착용시 사용자의 머리 뒤 부분에서 용이하게 묶어 사용할 수 있다.
[ 제6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 예의 다기능 마스크에 대해 도 13에 따라 설명하며, 제1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마스크(100)의 양측에 제2 묶음 부재(170)가 마련된다. 즉, 상기 제2 묶음 부재(17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마스크(100)의 양측의 중앙 부분에 띠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제2 묶음 부재(17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1 실시 예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의 착용시 사용자의 머리 뒤 부분에서 더욱 용이하게 묶어 사용할 수 있다.
[ 제7 실시 예 ]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 예의 다기능 마스크에 대해 도 14에 따라 설명하며, 제1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마스크(100)의 양측이 타원 형상부(180)로 마련된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원단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의 양측을 타원 형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원단의 양측에 타원 형상부(18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1 실시 예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100)의 착용시 사용자의 머리 뒤 부분에서 더욱 용이하게 묶어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마스크, 헤어 밴드, 쿨 타월, 목도리, 머프 등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110 : 전면부
120 : 이면부
130 : 귀걸이부
131 : 보호부
132 : 관통부

Claims (13)

  1. 원단,
    상기 원단의 상부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마련된 한 쌍의 귀걸이부,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의 주위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귀걸이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의 절단에 의해 직사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스크가 마련되고,
    상기 원단의 전체 테두리 부분에는 봉제를 통한 심(Seam) 부재가 마련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스크.
  2. 제1항에서,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보호부 내에 마련된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원단의 일정 길이 부분만 째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스크.
  3. 제2항에서,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원단의 상부에서 상부와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스크.
  4. 제3항에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원단의 전면 또는 전면과 이면에 코팅, 프린팅 또는 접착에 의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스크.
  5. 삭제
  6. 제4항에서,
    상기 원단은 고흡수성과 신축성을 갖는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스크.
  7. 제4항에서,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원단의 상부에서 0.5~2㎝의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스크.
  8. 제4항에서,
    상기 관통부의 일정 길이는 적어도 4㎝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스크.
  9. 제4항에서,
    상기 다기능 마스크는 신축성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부에 완전히 밀착되고 안면부 전체를 덮어 볼 부위의 노출을 방지하는 마스크, 운동 또는 작업시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서 이마 부분으로 흐르는 땀이 눈 부분으로 흐르지 않도록 사용되는 헤어 밴드, 인체의 수분과 결합해 흡열 반응을 일으켜 열감을 제거함과 동시에 수분을 빠른 시간 안에 건조시켜 사용자에게 차가움을 줄 수 있는 흡열용 타월, 보온용 목도리 또는 자전거, 스포츠, 등산, 산책을 할 때 사용자의 코, 입, 얼굴 및 목 부위를 가려줌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머프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스크.
  10. 제4항에서,
    상기 원단에는 다수의 홈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스크.
  11. 제4항에서,
    상기 원단의 전면부의 일측과 이면부의 일측에는 체결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스크.
  12. 제4항에서,
    상기 원단의 양측에는 묶음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스크.
  13. 제1항에서,
    상기 원단은 냉감 소재, 보온 소재, 보냉 소재 중의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마스크.
KR1020210096502A 2021-07-22 2021-07-22 다기능 마스크 KR102633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502A KR102633121B1 (ko) 2021-07-22 2021-07-22 다기능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502A KR102633121B1 (ko) 2021-07-22 2021-07-22 다기능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121A KR20230015121A (ko) 2023-01-31
KR102633121B1 true KR102633121B1 (ko) 2024-02-02

Family

ID=8510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502A KR102633121B1 (ko) 2021-07-22 2021-07-22 다기능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1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0690B2 (ja) * 1991-07-25 2001-09-17 松下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US20110197340A1 (en) * 2010-02-16 2011-08-18 Veronica Kummerfeldt Protective scarf
KR101930511B1 (ko) * 2018-02-09 2019-03-11 주식회사 에스앤테크 내외면 겸용 사용이 가능한 넥워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095B1 (ko) 2014-02-11 2014-11-04 박장호 목 고정형 다기능 마스크
KR101778294B1 (ko) 2014-09-02 2017-09-13 손대업 흡열용 타월
US10368601B2 (en) * 2016-11-29 2019-08-06 Performance Apparel Corporation Modular face mask
KR102213498B1 (ko) * 2019-04-04 2021-02-08 금강이앤에스 주식회사 개인 보호 용품
KR102196160B1 (ko) 2020-07-07 2020-12-29 이성희 끈 조절 다기능성 마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0690B2 (ja) * 1991-07-25 2001-09-17 松下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US20110197340A1 (en) * 2010-02-16 2011-08-18 Veronica Kummerfeldt Protective scarf
KR101930511B1 (ko) * 2018-02-09 2019-03-11 주식회사 에스앤테크 내외면 겸용 사용이 가능한 넥워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121A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7543A (en) Goggle engaging face mask device and method
US4884296A (en) Protective face shield
JP3207233U (ja) 密着調節型多機能性ヘアーウェア
KR100920511B1 (ko) 기능성 마스크
US7055179B2 (en) Headwear with integrated elasticized sweatband
KR100660605B1 (ko) 다기능 마스크
KR200448087Y1 (ko) 다기능성 밴드
KR20200023033A (ko) 스포츠용 마스크
KR20100008169U (ko) 안경에 김 서림을 방지하는 마스크
KR102633121B1 (ko) 다기능 마스크
KR200457145Y1 (ko) 야외용 자외선차단 마스크
KR200485146Y1 (ko) 챙을 갖는 안면마스크
KR20100008129A (ko) 통기성이 좋은 차광 마스크
CA2303651C (en) Nose warmer
KR20220059144A (ko) 골프 마스크
JP3178131U (ja) 日焼け防止フェイスマスク
JP2012030020A (ja) 顔・首用スポーツマスク
KR101885965B1 (ko) 유해광 차단 마스크
KR200430641Y1 (ko) 안전모
KR200389797Y1 (ko) 얼굴 전면 방한대
JP3234779U (ja) 保護マスク
CN214229961U (zh) 组合式多功能保护面罩
KR102620164B1 (ko) 기능성 스포츠 마스크
KR20220042832A (ko) 안면마스크
KR200419267Y1 (ko) 방탄모 턱끈에 결합 사용하는 안면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