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437B1 - 주조롤 폭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주조롤 폭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437B1
KR101482437B1 KR20130106221A KR20130106221A KR101482437B1 KR 101482437 B1 KR101482437 B1 KR 101482437B1 KR 20130106221 A KR20130106221 A KR 20130106221A KR 20130106221 A KR20130106221 A KR 20130106221A KR 101482437 B1 KR101482437 B1 KR 101482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roll
width
casting
apparatus body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제
강무선
황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106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5/04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wid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11Arrangements for eliminating or compensation of measuring errors due to temperature or weight
    • G01B5/0014Arrangements for eliminating or compensation of measuring errors due to temperature or weight due to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롤 폭 측정장치는 주조롤의 폭 방향 외면에 수평하게 제공되는 장치바디부, 상기 주조롤을 가압하게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고정볼트부 및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간격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조롤 폭 측정장치{Width measuring device for twin roll}
본 발명은 주조롤 폭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조롤에 고정시켜 주조롤의 폭을 오차 없이 측정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쌍롤식 박판 주조 공정은 용강이 침지노즐을 통해 한 쌍의 주조롤 사이로 공급하면, 한 쌍의 상기 주조롤과 상기 주조롤의 양단부에 제공되는 에지댐에 의해 용강풀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용강풀 내의 용강이 한 쌍의 상기 주조롤 사이를 빠져나가면서, 상기 주조롤과 접촉하여 열량을 빼앗기면서 상기 주조롤 표면에 응고셀을 형성하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주편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상기 주조롤에 의해 박판을 형성하며 빠져나오게 된다.
즉, 용강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냉각된 한 쌍의 주조롤 사이에 침지노즐을 통하여 주입되고, 상기 용강은 주조롤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응고되어 응고쉘이 형성하고, 한 쌍의 주조롤 사이에서 압하되면서, 얇은 두께의 주편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주조롤은 주조 중에 고온의 상기 용강이 접촉하기 때문에 주조하고 있지 않을 때와의 온도차이에 의해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상기 주조롤 사이로 용강을 응고시키면서 압하하여 박판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상기 주조롤들의 폭이 약 50㎛ 이내의 오차로 같아야 한다.
만약 상기 주조롤들의 폭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에지댐과 상기 주조롤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어, 용강이 그 사이로 흘러 내려 주조를 중단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300 ~ 1500mm의 대형마이크로미터(1')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두 개의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하여 상기 주조롤(2')들이 폭이 서로 다른지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대형 대형마이크로미터(1')는 크고 무거워서 작업자가 혼자 작업할 수 없으며, 최소 3인 이상의 작업자에 의해서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대형마이크로미터(1')를 상기 주조롤(2')과 수평하게 고정시켜 폭을 측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주조롤(2')의 폭 측정시에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더욱이, 상기 주조롤(2') 또는 상기 대형마이크로미터(1')는 주위의 온도에 따라서 열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주조롤(2')의 폭 측정시에 오차를 발생시키는 문제도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처럼 상기 대형마이크로미터(1')에 의해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하여 오차가 발생하면, 설치된 상기 주조롤(2')의 해체 및 분해 후 폭을 가공하여 조립 및 설치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주조롤 폭 측정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조롤의 폭 측정시에 측정장치의 불완전 설치 또는 열변형에 의해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주조롤 폭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롤 폭 측정장치는 주조롤의 폭 방향 외면에 수평하게 제공되는 장치바디부, 상기 주조롤을 가압하게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고정볼트부 및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간격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롤 폭 측정장치의 상기 장치바디부는 상기 주조롤의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주조롤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단부에 제공되는 단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롤 폭 측정장치의 상기 장치바디부는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주조롤 사이에 위치하게 상기 연결프레임에 제공되는 마찰저감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롤 폭 측정장치의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주조롤의 폭 방향으로 길이눈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롤 폭 측정장치의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주조롤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롤 폭 측정장치의 상기 장치바디부는 상기 주조롤의 폭 방향으로 길이눈금이 제공되고, 상기 주조롤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며, 일측의 상기 단부프레임과 상기 간격측정부 사이에 밀착하여 제공되는 보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단부프레임을 상기 주조롤보다 밀도가 작은 금속으로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조롤 폭 측정장치는 주조롤에 수평하게 고정되어, 불완전 설치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주조롤 폭 측정장치 또는 상기 주조롤의 열변형에 의해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주조롤의 폭 측정값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어, 상기 주조롤의 폭 보정 작업을 단시간에 완료할 수 있어, 연속주조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경량화에 의해서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상기 주조롤의 폭을 측정할 수 있는 이점도 예상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조롤 폭을 측정하는 대형마이크로미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조롤 폭 측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조롤 폭 측정장치에서 연결프레임에 길이눈금이 제공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조롤 폭 측정장치가 보정부재를 포함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조롤 폭 측정장치(1)는 주조롤(2)에 고정시켜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오차 없이 측정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주조롤 폭 측정장치(1)는 상기 주조롤(2)에 수평하게 고정되어, 불완전 설치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주조롤 폭 측정장치(1) 또는 상기 주조롤(2)의 열변형에 의해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주조롤(2)의 폭 측정값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어, 상기 주조롤(2)의 폭 보정 작업을 단시간에 완료함으로써, 연속주조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조롤 폭 측정장치(1)를 도시한 정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롤 폭 측정장치(1)는 주조롤(2)의 폭 방향 외면에 수평하게 제공되는 장치바디부(10), 상기 주조롤(2)을 가압하게 상기 장치바디부(10)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고정볼트부(20) 및 상기 장치바디부(10)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간격측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롤 폭 측정장치(1)의 상기 장치바디부(10)는 상기 주조롤(2)의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연결프레임(11) 및 상기 주조롤(2)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1)의 양단부에 제공되는 단부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롤 폭 측정장치(1)의 상기 장치바디부(10)는 상기 연결프레임(11)과 상기 주조롤(2) 사이에 위치하게 상기 연결프레임(11)에 제공되는 마찰저감패드(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주조롤 폭 측정장치(1)를 수평하게 상기 주조롤(2)에 고정한 후에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장치바디부(10), 고정볼트부(20), 간격측정부(30)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우선, 쌍롤식 박판 주조공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주조롤(2)은 한 쌍이 제공되어, 쌍롤식 박판 주조 공정에서 래들에 저장된 용강이 턴디쉬에 공급되고, 상기 턴디쉬에 부착된 후술할 침지노즐을 통해 한 쌍의 상기 주조롤(2) 사이로 용강이 공급되면, 상기 용강을 냉각시키며 주편을 제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후술할 에지댐과 함께 용강풀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주조롤(2)과 접촉한 용강은 열량을 빼앗기면서 상기 주조롤(2) 표면에 응고셀을 형성하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응고쉘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상기 주조롤(2)에 의해 박판을 형성하며 빠져나오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 쌍의 상기 주조롤(2)이 폭이 같게 제공되어야 양단부에 제공되는 상기 에지댐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하는 본 발명의 주조롤 폭 측정장치(1)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상기 주조롤(2)에 의해서 생산된 주편을 가이드하거나, 압연 등을 실시할 수 있는 핀치롤 또는 압연롤 등도 제공될 수 있으며, 공정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탕면 감시카메라, 루프 카메라, 사행 제어카메라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주조롤(2)과 일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위어가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위어는 상기 용강이 상기 침지노즐에서 공급되는 경우에 용강이 유동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용강의 탕면 상에 형성되는 이물질이 상기 주조롤(2)에 인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에지댐은 상기 주조롤(2)과 용강풀을 형성하도록, 한 쌍의 상기 주조롤(2)의 양측부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상기 주조롤(2) 양단부에서 상기 용강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에지댐이 상기 주조롤(2)이 제공되는 양단부 이외의 양측부에 제공되어 용강풀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에지댐은 내화물로서 알루미나, 뮬라이트, 스피넬, 지르코니아, 탄화규소 등과 같은 소재로 제조되며, 외부에는 내열강으로 제작된 틀이 상기 내화물을 구속하며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에지댐은 상기 주조롤(2)과 밀착되어 마찰이 발생하는 경우에 마모 등에 의해서, 틈이 발생하여 상기 용강이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에지댐과 상기 주조롤(2) 사이에는 밀봉판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밖에, 턴디쉬로부터 용강을 공급받아 한 쌍의 주조롤(2) 사이로 용강을 고르게 제공하는 침지노즐, 상기 주조롤(2)의 상측에서 용강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강과 대기와의 접촉을 차단해주는 메니스커스쉴드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하는 본 발명의 주조롤 폭 측정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장치바디부(10)는 상기 주조롤(2)에 수평하게 제공되어, 후술할 고정볼트부(20)에 의해 상기 주조롤(2)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장치바디부(10)에 길이눈금(M: marking)이 제공될 수도 있고, 후술할 간격측정부(30)에 의한 간격측정에 의해서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바디부(10)에 길이눈금(M)이 제공되는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며, 상기 간격측정부(30)에 의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상기 장치바디부(10)는 상기 주조롤(2)에 수평하게 제공되며, 상기 주조롤(2)에 밀착되어 제공될 수도 있고, 마찰저감패드(13)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주조롤(2)에 수평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바디부(10)가 상기 주조롤(2)에 수평하게 제공되면,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하는 경우에, 상기 장치바디부(10)가 삐뚤어져 설치되어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찰저감패드(13)에 의해 지지되며 수평하게 제공되면, 상기 주조롤(2)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마찰저감패드(13)는 상기 장치바디부(10)에서 상기 주조롤(2)과 접하는 면에 복수 개가 제공되어, 상기 장치바디부(10)를 지지하게 되며, 상기 주조롤(2)과는 상기 마찰저감패드(13)가 접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찰저감패드(13)는 플라스틱 소재, 금속 소재 등 저마찰 소재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치바디부(10)는 주조롤(2)에 수평하게 제공되기 위해서, 연결프레임(11)과 단부프레임(12)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1)은 상기 주조롤(2)의 폭 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장치바디부(10)가 수평하게 상기 주조롤(2)에 접촉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마찰저감패드(13)가 결합되어 상기 주조롤(2)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11)에는 길이눈금(M)이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단부프레임(12)은 상기 주조롤(2)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1)의 양단부에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장치바디부(10)를 상기 주조롤(2)에 밀착시켜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일측의 단부프레임(12b)에는 후술할 고정볼트부(20)가 제공되고, 일측의 단부프레임(12a)은 상기 주조롤(2)의 일측면과 접하게 제공되므로, 상기 고정볼트부(20)가 상기 주조롤(2)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볼트부(20)가 상기 주조롤(2)의 측면으로 돌출된 부분에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단부프레임(12)이 상기 주조롤(2)의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주조롤(2)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볼트부(20)가 제공되는 일측의 상기 단부프레임(12b)은 상기 주조롤(2)과 접하지 않으며, 타측의 상기 단부프레임(12a)은 상기 주조롤(2)에 밀착하여 제공됨으로써, 상기 고정볼트부(20)에 의해서 상기 주조롤(2)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볼트부(20)는 상기 장치바디부(10)의 일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장치바디부(10)를 상기 주조롤(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치바디부(10)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단부프레임(12b)에 상기 고정볼트부(20)가 제공되고, 상기 장차비다부의 타단부에 제공되는 단부프레임(12a)은 상기 주조롤(2)의 타단부 측면에 밀착하여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볼트부(20)는 상기 주조롤(2)의 일단부 측면에 밀착하여 제공됨으로써, 상기 장치바디부(10)를 상기 주조롤(2)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볼트부(20)는 일측의 상기 단부프레임(12b)에 나사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부(20)의 일단부는 전진하여 상기 주조롤(2)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격측정부(30)는 상기 고정볼트부(20)가 제공되는 일측의 단부프레임(12b)에 제공되어, 상기 주조롤(2)과 상기 장치바디부(10)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측정부(30)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례로써, 마이크로미터로 제공되어 상기 단부프레임(12b)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주조롤(2)과 상기 장치바디부(10)의 단부프레임(12) 사이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간격측정부(30)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조롤 폭 측정장치(1)에서 연결프레임(11)에 길이눈금(M)이 제공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롤 폭 측정장치(1)의 상기 연결프레임(11)에는 상기 주조롤(2)의 폭 방향으로 길이눈금(M)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롤 폭 측정장치(1)의 상기 연결프레임(11)은 상기 주조롤(2)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치바디부(10) 자체로써,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할 수 있는 실시예로써, 상기 길이눈금(M)이 형성된 장치바디부(10)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주조롤(2)에 수평하게 제공되는 상기 장치바디부(10)에 길이눈금(M)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장치바디부(10)가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하는 자(ruler)로써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장치바디부(10)를 상기 주조롤(2)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하는 환경온도에 따라 열변형이 발생하여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하는 상기 장치바디부(10)의 부분도 동일한 비율로 동일한 길이가 열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주조롤(2)의 열변형 또는 상기 장치바디부(10)의 열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간격측정부(30)는 원래 알고 있는 상기 장치바디부(10)의 길이에서 상기 간격측정부(30)가 측정한 간격을 빼서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할 수도 있으나, 상기 주조롤(2) 또는 상기 장치바디부(10)의 열변형에 의한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간격측정부(30)도 상기 주조롤(2)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하면, 열변형에 의한 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조롤 폭 측정장치(1)가 보정부재(40)를 포함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롤 폭 측정장치(1)의 상기 장치바디부(10)는 상기 주조롤(2)의 폭 방향으로 길이눈금(M)이 제공되고, 상기 주조롤(2)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며, 일측의 상기 단부프레임(12)과 상기 간격측정부(30) 사이에 밀착하여 제공되는 보정부재(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11)과 상기 단부프레임(12)을 상기 주조롤(2)보다 밀도가 작은 금속으로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할 때, 상기 보정부재(40)를 더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프레임(11)과 상기 단부프레임(12)을 상기 주조롤(2)보다 밀도가 작은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장치바디부(10)를 경량화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량화에 의해서 한 명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정부재(40)는 상기 장치바디부(10)의 열변형에 의한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써, 상기 주조롤(2)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하는 환경온도에서 상기 주조롤(2)보다 작은 밀도의 소재로 형성된 상기 장치바디부(10)의 연결프레임(11)과 단부프레임(12)은 열변형률이 다르게 되는데, 이와 같은 열변형에 의한 오차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보정부재(40)를 상기 주조롤(2)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주조롤(2)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상기 보정부재(40)는 상기 주조롤(2)과 동일한 비율로 열변형하며, 상기 보정부재(40)에는 길이눈금(M)이 제공되어 길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열변형에 의한 오차를 줄여 상기 주조롤(2)의 폭을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길이눈금(M)이 제공되는 상기 보정부재(40)와 일측의 상기 단부프레임(12b)과의 간격을 상기 간격측정부(30)로 측정한 값(L1)에서 상기 주조롤(2)과 일측의 상기 단부프레임(12b)과의 간격을 상기 간격측정부(30)로 측정한 값(L2)을 뺀 값(L1 - L2 = L3)을 상기 보정부재(40)의 길이(L4)에 더해준 값(L4 + L3)이 상기 주조롤(2)의 폭 길이(L4 + L3 = L5)가 되는 것이다.
1 : 주조롤 폭 측정장치 2 : 주조롤
10: 장치바디부 11: 연결프레임
12: 단부프레임 13: 마찰저감패드
20: 고정볼트부 30: 간격측정부
40: 보정부재

Claims (6)

  1. 삭제
  2. 주조롤의 폭 방향 외면에 수평하게 제공되는 장치바디부;
    상기 주조롤을 가압하게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고정볼트부; 및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간격측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바디부는,
    상기 주조롤의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주조롤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단부에 제공되는 단부프레임; 및
    상기 주조롤의 폭 방향으로 길이눈금이 제공되고, 상기 주조롤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며, 일측의 상기 단부프레임과 상기 간격측정부 사이에 밀착하여 제공되는 보정부재;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단부프레임을 상기 주조롤보다 밀도가 작은 금속으로 형성하여 제공하는 주조롤 폭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바디부는,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주조롤 사이에 위치하게 상기 연결프레임에 제공되는 마찰저감패드;
    를 더 포함하는 주조롤 폭 측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주조롤의 폭 방향으로 길이눈금이 제공되는 주조롤 폭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주조롤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주조롤 폭 측정장치.
  6. 삭제
KR20130106221A 2013-09-04 2013-09-04 주조롤 폭 측정장치 KR101482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221A KR101482437B1 (ko) 2013-09-04 2013-09-04 주조롤 폭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221A KR101482437B1 (ko) 2013-09-04 2013-09-04 주조롤 폭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437B1 true KR101482437B1 (ko) 2015-01-13

Family

ID=5258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6221A KR101482437B1 (ko) 2013-09-04 2013-09-04 주조롤 폭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4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04A (ja) * 1993-06-15 1995-01-10 Sekisui House Ltd 基礎測定用のスケールの保持装置
JP2003191003A (ja) 2001-12-25 2003-07-08 Nippon Steel Corp ロールプロフィール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06937A (ko) * 2008-07-10 2010-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부품의 두께 측정 장치
KR200451212Y1 (ko) * 2009-06-30 2010-12-02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신축이음관 변위량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904A (ja) * 1993-06-15 1995-01-10 Sekisui House Ltd 基礎測定用のスケールの保持装置
JP2003191003A (ja) 2001-12-25 2003-07-08 Nippon Steel Corp ロールプロフィール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06937A (ko) * 2008-07-10 2010-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부품의 두께 측정 장치
KR200451212Y1 (ko) * 2009-06-30 2010-12-02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신축이음관 변위량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7828A1 (en) Method for continuous-casting slab
JP6036659B2 (ja) 連続鋳造機におけるロール開度管理方法
KR101482437B1 (ko) 주조롤 폭 측정장치
JPS59225858A (ja) 連続鋳造用鋳型
CA2865500C (en) Electromagnetic stirrer and continuous casting method
KR20180014367A (ko) 연속주조 이상 예측 장치
KR101353881B1 (ko) 주형
JP2004034090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518564B1 (ko)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JPH01210160A (ja) 連続鋳造における縦割れ予知方法
JP2009214150A (ja) 連続鋳造鋳片の表面欠陥判定方法及び製造方法
JP2018196893A (ja) 連続鋳造鋳片のクレータエンド位置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CN208341673U (zh) 一种板坯连铸结晶器用浸入式水口对中测量工具
JP5862595B2 (ja) 鋳片の凝固完了位置判定方法、鋳片の凝固完了位置判定装置、及び鋳片の製造方法
AU2003283829B2 (en) Apparatus for confining the impurities of a molten metal contained into a continuous casting mould
JP6098577B2 (ja) 連続鋳造機のロール間隔調整方法および鋼片の連続鋳造方法
KR101051736B1 (ko) 스트립캐스팅 에지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302675Y1 (ko) 슬라브 벌징 방지장치
KR102388115B1 (ko) 주편의 제조 방법 및 제어 장치
JP6281325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087383B1 (ko) 주편 변형 감지 장치
JPH0324270Y2 (ko)
JPH0258024B2 (ko)
JPH11179496A (ja) 薄板連続鋳造用分流板および薄板連続鋳造方法
KR101510531B1 (ko) 보정결합유닛 및 이를 포함한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