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204B1 - 걸고리식 이중벽관 - Google Patents

걸고리식 이중벽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204B1
KR101482204B1 KR1020140117703A KR20140117703A KR101482204B1 KR 101482204 B1 KR101482204 B1 KR 101482204B1 KR 1020140117703 A KR1020140117703 A KR 1020140117703A KR 20140117703 A KR20140117703 A KR 20140117703A KR 101482204 B1 KR101482204 B1 KR 101482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wall
steel plate
resin
corrugated 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호철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호철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호철관
Priority to KR1020140117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 외벽을 이루는 피복철판의 내면수지를 굴곡파형 내측에 형성된 버팀용 내벽으로 견실히 지탱하여 주도록 구성하여서 취급 또는 시공과정에서 손상된 피복철판의 외면수지를 통해 유입되어 걸고리부를 경유하여 침투하는 침투수에 의하여 내면수지가 들떠서 발생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걸고리식 이중벽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걸고리식 이중벽관은 철판(B1)의 내,외면에 내,외면수지(B2)(B3)를 피복하여서 되며 폭방향으로 형성된 굴곡파형(l1a)들을 가지는 피복철판(11)을 나선형으로 권회하면서 걸고리부(12)로 연이어지게 하여 원통체로 형성된 파형 외벽(10)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파형 외벽(10)을 이루는 피복철판(11)의 굴곡파형(l1a)들 내측의 골부에 합성수지를 채워서 힘살 형태로 형성되는 버팀용 내벽(20)을 더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걸고리식 이중벽관 {Hoktype double walled pipe}
본 발명은 굴곡파형들을 가지는 피복철판을 나선권회시켜서 걸고리부로 연이어지게 한 것으로, 특히 피복철판의 내면수지가 침투수에 의하여 들떠서 발생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여 줄 수 있게 한 걸고리식 이중벽관에 관한 것 이다.
지중에 매설되어 상,하수 및 우수를 통수시키고자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통수관이 개발되어 있다.
위의 통수관과 관련하여 안출된 것 중 하나는, 국내 특허출원 제1993-9414호로 출원되어 특허 제102764호(1996년 04월 09일 공고)로 등록된 "걸고리식 나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이 있다.
이 걸고리식 나선관은 나선권회되는 코팅금속판의 양측 끝부분들이 받침고리부와 걸림고리부 사이에 용융 합성수지가 채워지는 채움 걸고리로 연결 이음되도록 구성하여서, 우발적인 집중하중에 대한 저항내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기밀성이 유지되어서 누수방지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위의 통수관과 관련하여 안출된 것 중 다른 하나는, 국내 특허출원 제2005-2648호로 출원되어 특허 제675214호(2007년 01월 29일 공고)로 등록된 "걸고리식 파형관 및 그의 제조장치"가 있다.
이 걸고리식 파형관은 나선권회되는 피복철판이 클립형 패킹을 사이에 두고 일측고리와 타측고리를 압착시켜서 우수한 결속력과 차수능력을 발휘하는 걸고리부로 연결 이음되도록 구성하여서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토압에 의한 집중하중을 받게 되더라도 걸고리부가 파손됨 을 방지하여서 사용수명이 대폭적으로 연장시켜줄 뿐만 아니라, 걸고리부에 틈새가 발생됨을 방지하여서 수밀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종래의 걸고리식 나선관이나 걸고리식 파형관은 코팅금속판 또는 피복철판을 걸고리부로 밀실히 연결 이음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코팅금속판 또는 피복철판의 내변수지가 들떠서 발생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여 줄 수 없었다.
이를 위의 걸고리식 파형관을 실예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걸고리식 파형관은 도 1에서와 같이 철판의 내,외면에 내,외면수지가 피복되며 굴곡파형들과 일측 및 타측고리를 가지는 피복철판을 나선권회하되, 그 피복철판이 서로 걸어 물리는 일측고리와 타측고리 사이에 기밀패킹을 삽입 배치시킨 걸고리부로 연이어지게 한 구성으로, 시공현장으로 운반하기 위한 취급과정이나 해당 시공위치에 매설하는 시공과정에서 피복철판의 외면수지가 쉽게 손상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볼 때, 피복철판의 외면수지가 손상된 상태로 해당 위치에 지중에 매설되어 지층수에 의한 수압을 작용받게 되면, 손상된 피복철판의 외면수지를 통해 지층수가 침투하여 철판으로부터 외면수지를 박리시키면서 걸고리부로 유입되고, 이때 걸고리부에 유입된 침투수는 다시 철판과 내면수지사이로 유입되어 그 내면수지를 박리시켜서 들뜨게 하면서 물풍선과 같이 부풀어 오르게 하여 배부름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이 침투수에 의해 피복철판의 내면수지가 들떠서 배부름이 발생된 걸고리식 파형관은, 내부의 물흐름 상태가 불량해져서 원래의 통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보수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케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764호(1996년 04월 09일 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675214호(2007년 01월 29일 공고)
본 발명은 파형 외벽을 이루는 피복철판의 내면수지를 굴곡파형 내측에 형성된 버팀용 내벽으로 견실히 지탱하여 주도록 구성하여서, 취급 또는 시공과정에서 손상된 피복철판의 외면수지를 통해 유입되어 걸고리부를 경유하여 침투하는 침투수에 의하여 내면수지가 들떠서 발생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걸고리식 이중벽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도 철판(B1) 의 내,외면에 내,외면 수지(B2)(B3)를 피복하여서 되며 폭방향으로 형성된 굴곡파형(lla)들을 가지는 피복철판(ll)을 나선형으로 권회하면서 걸고리부(12)로 연이어지게 하여 원통체로 형성된 파형외벽(10)을 갖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한다.
단, 본 발명의 걸고리식 이중벽관은 상기 파형 외벽(10)을 이루는 피복철판(11)의 굴곡파형(11a)들 내측의 골부에 합성수지를 채워서 힘살 형태로 형성되는 버팀용 내벽(20)을 더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파형 외벽(10)의 내측에 피복철판(11)의 굴곡파형(11a)들 내측의 골부에 합성수지를 채워서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굽힘모멘트에 효율적으로 저항하도록 힘살 형태로 형성된 버팀용 내벽(20)을 갖추어서,취급 또는 시공 과정에서 손상된 피복철판(11)의 외면수지(B3)를 통해 유입되어 걸고리부(12)에 침투한 침투수에 의해 피복철판(11)의 내면수지(B2)가 들뜨지 못하도록 지탱하여서 배부름 현상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걸고리식 이중벽관은 피복철판(11)의 내면수지(B2)가 침투수에 의해 들떠서 발생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내부의 물흐름 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시켜서 원래의 통수 기능을 충실히 발휘할 수 있게 하여 주며, 보수 또는 교체에 따른 작업부담과 비용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게 하여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걸고리식 파형관을 부분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2은 종래의 걸고리식 파형관을 부분발훼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3는 본 발명의 걸고리식 이중벽관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4는 본 발명의 걸고리식 이중벽관의 걸고리의 부분확대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5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걸고리식 이중벽관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걸고리식 이중벽관의 평활띠형 수지원통의 부분확대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걸고리식 이중벽관의 평활띠형 수지원통의 부분확대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고리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고리부의 충진물이 충진되는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고리부의 패드가 삽입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형 외벽(10)은 외부로부터 작용받게 되는 하중이나 토압을 감당할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파형 외벽(10)은 도 3 내지 도4에서와 같이 철판(B1)의 내,외면에 내,외면수지(B2)(B3)를 피복하여서 되며 폭방향으로 형성된 굴곡파형(11a)들을 가지는 피복철판(11)을 나선형으로 권회하면서 걸고리부(12)로 연이어서 원통체로 형성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파형 외벽(10)은 피복철판(11)을 소재로 한 원통체로서 원주방향으로 굴곡파형(11a)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작용받게 되는 하중이나 토압에 의하여 변형되는 일없이 통수 단면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형 외벽(10)의 걸고리부(12)는 그 양측단에 서로 대칭이 되는 일측 및 타측고리(11b)(11c)를 가지는 피복철판(11)을 구비하되, 이 피복 철판(11)을 나선형으로 권회시킬 때에 먼저 나선권회된 피복철판(11)의 일측고리(11b)와 나중에 나선권회되는 피복철판(11)의 타측고리(11c)가 걸어 물린 상태로 압착하여서, 상기 파형 외벽(10)이 견실히 연이어져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걸고리부(12)는 일측고리(11b)와 타측고리(11c) 사이의 틈새를 채움수지(12a)로 채워서, 상기 파형 외벽(10)이 긴밀히 연이어질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버팀용 내벽(20)은 상기 파형 외벽(10)을 이루는 피복철판 (11)의 내면수지(B2)가 침투수에 의하여 들뜨지 못하도록 지탱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버팀용 내벽(20)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파형외벽(10)을 이루는 피복철판(11)의 굴곡파형 (11a)들 내측의 골부 전체에 합성수지를 서로 연어지게 채워서 채움굴곡형 수지원통(21)으로 형성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버팀용 내벽(20)은 상기 파형 외벽(10)의 내측 전체에 외부의 굽힘모멘트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채움굴곡형 수지원통(21)으로 형성함으로써, 취급 또는 시공과정에서 손상된 피복철판(11)의 외면수지(B3)를 통해 유입되어 걸고리부(12)에 침투한 침투수에 의하여 피복철판(11)의 내면수지(B2)가 들뜨지 못하도록 확실히 지탱하여서 배부름 현상이 발생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버팀용 내벽(20)의 채움굴독형 수지원통 (21)내면을 평활하게 형성하여서, 상기 버팀용 내벽(20)을 따라 통수되는 상,하수 및 오수 등의 물흐름이 원활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버팀용 내벽(20)은 상기 파형 외벽(10)의 걸고리부(12)를 중심으로 좌우에 위치한 피복철판(11)의 굴곡파형(11a)들 내측의 골부에는 합성수지를 서로 연이어지게 채워서 채움굴곡형 수지원통(21)들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파형 외벽(10)의 걸고리부(12)에서 떨어져 위치한 피복철판(11)의 굴곡파형(11a)들 내측의 산부에는 상기 채움굴곡형 수지원통(21)들과 수평하게 연결되도록 평활띠형 수지원통(22)들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파형 외벽(10)의 내측에서 걸고리부(12)에 가깝게 좌우에 위치한 굴곡파형(11a)들 내측의 골부에는 채움굴곡형 수지원통(21)을 형성하여서, 피복철판(11)의 내면수지(82)가 침투수에 의해 들떠서 발생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파형 외벽(10)의 내측에 걸고리부(12)에서 떨어져서 위치한 굴곡파형(11a)들 내측의 상부에는 상기 채움굴곡형 수지원통(21)과 수평하게 연결되는 평활띠형 수지원통(22)으로 형성되게 하여서, 원재료의 사용량을 절감한 만큼 무게 중량과 제작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평활띠형 수지원통(22)은 물결 형태의 파형이 적어도 한번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결 형태는 평활띠형 수지원통(22)의 중앙부분에서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며, 이러한 물결 형태는 이중벽관이 전후로 충격을 받을시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
본 발명의 일실시예도 철판(B1)의 내,외면에 내,외면수지(B2)(B3)를 피복하여서 되며 폭방향으로 형성된 굴곡파형(11a)들을 가지는 피복철판(11)을 나선형으로 권회하면서 걸고리부(12)로 연이어지게 하여 원통체로 형성된 파형 외벽(10)을 갖으며, 상기 파형 외벽(10)을 이루는 피복철판(11)의 굴곡파형(11a)들 내측의 골부에 합성수지를 채워서 힘살 형태로 형성되는 버팀용 내벽(20)을 더 포함하여서 된 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기술개념을 같이한다.
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파형 외벽(10)을 이루는 피복철판(11)의 철판(B1)에는 굴곡파형(11a)들 내측의 골부를 따라 돌출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정착용 돌기(11d)들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형 외벽(10)을 이루는 피복철판(11)의 철판(B1)에 굴곡파형(11a)들 내측의 골부를 따라 돌출된 정착용 돌기(11d)로서 그 골부에 합성수지를 채워서 형성되는 버팀용 내벽(20)을 견고히 정착 고정시켜서, 상기 버팀용 내벽(20)이 파형 외벽(10)을 이루는 피복철판(11)의 내면수지(B2)를 더욱 확실하게 지탱하여서 침투수에 의해 들떠서 배부름 현상이 발생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주게 된다.
여기에서, 정착용 돌기(11d)는 반구의 단면 또는 일자형의 단면 등을 가지질 수 있으나, 끝단이 좌우로 펴지도록 형성되어 버팀용 내벽(2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내,외면수지(B2)(B3), 채움굴곡형 수지원통(21) 및 평활띠형 수지원통(22)은 합성수지 재질, 발포수지 재질, 80~90 중량%의 합성수지 재질 또는 발포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과 10~20 중량%의 폐펄프 또는 폐석분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외면수지(B2)(B3), 채움굴곡형 수지원통(21) 및 평활띠형 수지원통(22)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고,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또는 폴리에틸렌을 발포시킨 발포수지로 이루어지거나, 합성수지 또는 발포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조합되는 수지 80~90 중량%과 폐펄프 또는 폐석분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첨가물 10~20 중량%로 이루어진다.
이때, 내,외면수지(B2)(B3), 채움굴곡형 수지원통(21) 및 평활띠형 수지원통(22)의 재질이 합성수지 또는 발포수지 단독으로 이루어질 경우 강도는 증대되나 무게가 무겁고 원자재 값의 증가로 인한 제작비용이 증대되기 때문에 합성수지 또는 발포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와 폐펄프 또는 폐석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내,외면수지(B2)(B3), 채움굴곡형 수지원통(21) 및 평활띠형 수지원통(22)의 재질을 합성수지 또는 발포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와 폐펄프 또는 폐석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경우 변형에 강하며, 쉽게 파손되지 않고, 특히 열에 의해 합성수지 또는 발포수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 또는 발포수지의 접착력을 강화하여 침투수에 의해 들떠서 배부름 현상이 발생됨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주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파형외벽(10)의 체결에 있어서, 걸고리부(12)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 9 내지 도면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면 부호를 새로 지정하였으며, 동일한 명칭으로 명명된 것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응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파형외벽(10)은,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파형외벽(10)과, 충진물패킹(200)과, 충진물(300)을 포함할 수 있다.
파형외벽(10)은 굴곡파형(110)과, 일측고리(120)와, 타측고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굴곡파형(110)은 나선형의 파형이 적어도 한번 돌출되는 단면을 가진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굴곡파형(110)은 합성수지, 금속, 수지코팅금속 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의 소재를 여러층으로 구성하여 형성될 수 있고, 굴곡파형(110)을 적어도 세개의 소재를 여러층으로 구성할 경우 굴곡파형(110)의 외면 및 내면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는게 바람직하다.
일측고리(120)는 굴곡파형(110)의 일측이 굴곡파형(110)의 내면방향으로 만곡되어 접혀 형성될 수 있다.
타측고리는 굴곡파형(110)의 일측이 굴곡파형(110)의 외면방향으로 만곡되어 접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측고리(120) 및 타측고리(130)는 같은 길이와 각도를 가지도록 만곡하고, 만곡하는 길이 및 각도는 충진물패킹(200)이 원활히 삽입되도록 하는게 바람직하다.
충진물패킹(200)은 제1패킹(210)과, 제2패킹(230)과, 제3패킹(250)과, 일측연결관(220)과, 타측연결관(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충진물패킹(200)은 알루미늄, 납 구리 등의 연질의 금속이나, 비닐, 실란트 등의 연질의 합성수지나, 발포고무를 재질로 할 수 있다.
제1패킹(210)은 속이 비어있는 타원의 단면을 가진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패킹(230)은 속이 비어있는 타원의 단면을 가진 원통형태로 제1패킹(2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3패킹(250)은 속이 비어있는 타원의 단면을 가진 원통형태로 제2패킹(23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패킹(210)과 제2패킹(230) 사이의 거리 및 제2패킹(230)과 제3패킹(250) 사이의 거리는 하기에서 기술하는 일측연결관(220) 및 타측연결관(24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측연결관(220)은 일측고리(120)의 내면에 대응하여 속이 비어있는 만곡된 판의 형태로 일측은 상기 제1패킹(210)의 길쭉한 일측에 관통되어 연장되듯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2패킹(230)의 길쭉한 일측에 관통되어 연장되듯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측연결관(220)은 일측고리(120)의 내면에 대응한 각도로 만곡되어 틈새가 없도록 하여 적어도 두개의 파형외벽(10)을 연결시에 틈새가 없도록 하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제1패킹(210) 및 제2패킹(230)은 일측연결관(220)과 관통되어 연결함으로서, 제1패킹(210)에 충진물(300)이 충진될 시에 원활하게 일측연결관(220)을 통하여 제2패킹(230)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게 바람직하다.
타측연결관(240)은 타측고리(130)의 내면에 대응하여 속이 비어있는 만곡된 판의 형태로 일측은 상기 제2패킹(230)의 상기 일측연결관이 형성된 반대편에 관통되어 연장되듯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3패킹(230)의 길쭉한 일측에 관통되어 연장되듯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타측연결관(240)은 타측고리(130)의 내면에 대응한 각도로 만곡되어 틈새가 없도록 하여 파형외벽(10)이 또 다른 파형외벽(10)과의 연결시에 틈새가 없도록 하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제2패킹(230) 및 제3패킹(250)은 타측연결관(240)과 관통되어 연결함으로서, 제1패킹(210)에 충진물(300)이 주입될 시에 원활하게 일측연결관(220), 제2패킹(230) 및 타측연결관(240) 통하여 제3패킹(250)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일측연결관(220)의 만곡된 내면과, 타측연결관(240)의 만곡된 내면의 일부는 충진물패킹의 다른 부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충진물패킹의 압창을 통해 충진물이 충진될 시에 원하는 방향으로 충진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게 바람직하다.
충진물(300)은 알루미늄, 납 구리 등의 연질의 금속이나, 비닐, 실란트 등의 연질의 합성수지나, 발포고무 등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충진물(300)의 재질은 충진물패킹(200)의 재질보다 녹는점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여, 충진물(300)을 주입할 때, 충진물패킹(200)이 녹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게 바람직하다.
따라서, 충진물(300)은 충진물패킹(200)보다 녹는 온도가 낮은 재료를 사용하여, 충진물패킹(200)이 고체상태로 충진물(300)은 액체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파형외벽(10)은 적어도 두개의 파형외벽(10)이 연결될 시에 각각의 일측고리(120) 및 타측고리(130)가 걸어 물리도록 구비되고, 일측고리(120)와 타측고리(130) 사이에 충진물패킹(200)이 일측고리(120)의 내면과 타측고리(130)의 내면에 일측연결관(220)의 외면과 타측연결관(240)의 외면이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충진물(300)은 충진물패킹(200)의 일측연결관(220) 및 타측연결관(240)을 통해 제1패킹, 제2패킹(230) 및 제3패킹(250)에 주입되어 준비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연결되어 있는 파형외벽(10)의 일측고리(120), 타측고리(130) 및 충핀물패킹(200)을 포함한 연결부위를 압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파형외벽(10)의 연결부위를 압착할 시에, 충진물패킹(200) 또한 같이 압착됨으로써, 충진물패킹(200) 일측연결관(220)의 만곡된 내면과, 타측연결관(240)의 만곡된 내면을 통해 충진물(300)이 연결부위의 틈새로 충진물(300)이 주입될 수 있다.
이렇게 충진물(300)이 주입됨으로써, 파형외벽(10)의 연결이 더욱 견고해지고, 내밀성 및 수밀성이 더욱 향상되며,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5를 참조하면, 파형외벽(10)은 패드(40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400)는 알루미늄, 납 구리 등의 연질의 금속이나, 비닐, 실란트 등의 연질의 합성수지나, 발포고무를 재질로 하여 초승달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패드(400)의 일측이 상기 충진물패킹(200)을 감싸도록 상기 파형외벽(10)의 연결부위에 끼워져 구비되될 수 있다.
여기에서, 패드(40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너비는 상기한 충진물(300) 삽입이 완료된 파형외벽(10)의 연결고리를 압착한 후의 너비보다 적도록 형성하고, 연성을 가진 패드(400)의 너비가 늘어나도록 삽입하여 압착된 파형외벽(10)의 내밀성 및 수밀성을 더욱 증가시키며, 특히 충진물(300)이 압착한 뒤에 압력에 의해 새어나오더라도, 패드(400)에 의해 막혀 파형외벽(10) 내부에 흐르게 되는 상, 하수 등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할 수 있어, 납 등의 인체에 해로운 물질로 충진물(300)이 형성될 경우에 상, 하수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형외벽(10)의 충진물패킹(200)이 맞닿는 곳에 연성을 가진 돌기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파형외벽(10)의 상기 패드(400)가 맞닿는 곳에 연성을 가진 돌기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연성을 가진 돌기는 일반적으로 물건 등이 미끄러지지 않고록 형성되는 돌기를 말하며, 충진물패킹(200) 및 패드(400)가 구비될때 압착됨으로써, 파형외벽(10) 제조과정이나, 설치과정에서 충진물패킹(200) 및 패드(400)가 움직이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파형외벽(10)의 실시예에서는 충진물패킹(200)에 3개의 패킹이 구비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제1패킹(210)만 구비되거나, 제1패킹(210) 내지 제2패킹만(230) 구비되도록 형성하여 각 파형외벽(10)의 연결시에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100: 파형 외벽 11: 피복철판
B1: 철판 B2, B3 : 내, 외면수지
11a, 110: 굴곡파형 11b, 120: 일측고리
11c, 130: 타측고리 11d: 정착용 돌기
12: 걸고리부 12a: 채움수지
20: 버팀용 내벽 21: 채움굴곡형 수지원통
22: 평활띠형 수지원통
200 : 충진물패킹
210 : 제1패킹 220 : 일측연결관
230 : 제2패킹 240 : 타측연결관
250 : 제3패킹
300 : 충진물
400 : 패드

Claims (5)

  1. 철판(B1)의 내,외면에 내,외면수지(B2)(B3)를 피복하여서 되며 폭방향으로 형성된 굴곡파형(11a)들을 가지는 피복철판(11)을 나선형으로 권회하면서 걸고리부(12)로 연이어지게 하여 원통체로 형성된 파형 외벽(10)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파형 외벽(10)을 이루는 피복철판(11)의 굴곡파형(11a)들 내측의 골부에 힘살 형태로 형성되는 버팀용 내벽(20)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버팀용 내벽(20)은 상기 파형 외벽(10)을 이루는 피복철판(11)의 굴곡파형(11a)들 내측의 골부에 채워지는 채움굴곡형 수지원통(21)을 서로 연이어지게 연속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고리식 이중벽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용 내벽(20)은 상기 파형 외벽(10)의 걸고리부(12)를 중심으로 좌우에 위치한 피복철판(11)의 굴곡파형(11a)들 내측 골부에 상기 채움굴곡형 수지원통(21)들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파형 외벽(10)의 걸고리부(12)에서 떨어져 위치한 피복철판(11)의 굴곡파형(11a)들 내측의 상부에는 상기 채움굴곡형 수지원통(21)들과 수평하게 연결되도록 평활띠형 수지원통(22)들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걸고리식 이중벽관.
  3. 제2항에 있어서,
    내,외면수지(B2)(B3), 채움굴곡형 수지원통(21) 및 평활띠형 수지원통(22)은
    합성수지 재질 또는 발포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80~90 중량%의 합성수지 또는 발포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과 10~20 중량%의 폐펄프 또는 폐석분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평활띠형 수지원통(22)에서 적어도 한번 물결 형태의 파형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고리식 이중벽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외벽(10)을 이루는 피복철판(11)의 철판(B1)에는 굴곡파형(11a)들 내측의 골부를 따라 돌출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정착용 돌기(11d)들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고리식 이중벽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부(12)는
    속이 비어있는 타원의 단면을 가진 원통형태의 제1패킹(210); 속이 비어있는 타원의 단면을 가진 원통형태로 상기 제1패킹(2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패킹(230); 속이 비어있는 타원의 단면을 가진 원통형태로 상기 제2패킹(23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3패킹(250); 파형외벽(10) 일측고리(120)의 내면에 대응하여 속이 비어있는 만곡된 판의 형태로 일측은 상기 제1패킹(210)의 길쭉한 일측에 관통되어 연장되듯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2패킹(230)의 길쭉한 일측에 관통되어 연장되듯이 형성된 일측연결관(220); 파형외벽(10) 타측고리(130)의 내면에 대응하여 속이 비어있는 만곡된 판의 형태로 일측은 상기 제2패킹(230)의 상기 일측연결관이 형성된 반대편 타측에 관통되어 연장되듯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3패킹(250)의 길쭉한 일측에 관통되어 연장되듯이 형성된 타측연결관(240)이 구비되는 충진물패킹(200)과,
    상기 충진물패킹(200)의 제1패킹(210), 제2패킹(230), 제3패킹(250)의 내부에 알루미늄, 납 구리 등의 연질의 금속이나, 비닐, 실란트 등의 연질의 합성수지나, 발포고무로 형성되는 충진물(300)이 충진되어 적어도 두개의 파형외벽(10)이 연결될 때, 상기 충진물(300)이 삽입된 충진물패킹(200)을 파형외벽(10)의 연결부위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고리식 이중벽관.
KR1020140117703A 2014-09-04 2014-09-04 걸고리식 이중벽관 KR101482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703A KR101482204B1 (ko) 2014-09-04 2014-09-04 걸고리식 이중벽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703A KR101482204B1 (ko) 2014-09-04 2014-09-04 걸고리식 이중벽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204B1 true KR101482204B1 (ko) 2015-01-14

Family

ID=5258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703A KR101482204B1 (ko) 2014-09-04 2014-09-04 걸고리식 이중벽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2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7580A (ja) * 1992-06-12 1993-07-27 Yuuc Sangyo Kk 耐圧合成樹脂管
JPH06174154A (ja) * 1992-12-09 1994-06-24 Shiro Kanao 耐圧合成樹脂管
KR19990080637A (ko) * 1998-04-20 1999-11-15 송재순 걸고리식 이중벽체나선관
WO2012153397A1 (ja) * 2011-05-10 2012-11-15 カナフ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継手付き螺旋波付き合成樹脂管および螺旋波付き合成樹脂管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7580A (ja) * 1992-06-12 1993-07-27 Yuuc Sangyo Kk 耐圧合成樹脂管
JPH06174154A (ja) * 1992-12-09 1994-06-24 Shiro Kanao 耐圧合成樹脂管
KR19990080637A (ko) * 1998-04-20 1999-11-15 송재순 걸고리식 이중벽체나선관
WO2012153397A1 (ja) * 2011-05-10 2012-11-15 カナフ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継手付き螺旋波付き合成樹脂管および螺旋波付き合成樹脂管の接続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2977C (fi) Band, som har tillaempats att bilda ett roer genom att vrida bandet spiralfomigt.
US3453006A (en) Conduit coupling
JPH01500502A (ja) 補強したリブ付構造体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手段
KR100246962B1 (ko) 나선권취 복합튜우브 및 이에 사용되는 관상 보강구조물
JPS61502697A (ja) 埋設用大断面導管
KR101482204B1 (ko) 걸고리식 이중벽관
US3028040A (en) Flexible diaphragm for storage tank and its attaching means
KR101451380B1 (ko) 내부가 보강된 이중벽체 나선관
KR101897064B1 (ko) 돌망태
AU774878B2 (en) Device for arresting the propagation of a buckle in a double-walled pipe
JP2006064173A (ja) コルゲート複合管
KR101095470B1 (ko) 파이프분리방지수단을 갖는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JP6559920B1 (ja) 管路更生方法および更生管
WO2012042666A1 (ja) 継手付き合成樹脂管およびその接続構造
KR101756818B1 (ko) 파이프 제조에 사용되는 중공 프로파일
KR101466364B1 (ko) 충진물 보강 걸고리식 파형관
JP4885991B2 (ja) トンネルの覆工方法
JP6506105B2 (ja) グラウトシールカバ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グラウトの注入方法
KR200409892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JP2005262573A (ja) 管更生部材
JP4532939B2 (ja) トンネルの覆工方法
KR100967520B1 (ko) 이중벽체 나선관
KR101208203B1 (ko)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2156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JP7271290B2 (ja) 更生帯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