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175B1 -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 - Google Patents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175B1
KR101482175B1 KR20130131090A KR20130131090A KR101482175B1 KR 101482175 B1 KR101482175 B1 KR 101482175B1 KR 20130131090 A KR20130131090 A KR 20130131090A KR 20130131090 A KR20130131090 A KR 20130131090A KR 101482175 B1 KR101482175 B1 KR 10148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center
unit
gravity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에이스골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골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골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3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5/00Apparatu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balls
    • A63B45/02Marking o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이용자들이 기존에 소지하고 있거나 새로 구입한 골프공에 무게중심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회전체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순환회전되는 회전이송부;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로 투입된 골프공이 배출되는 대상물 투입부; 상기 회전이송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대상물 투입부에서 배출된 골프공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회전이송부회전이송부 상기 안착부가 통과하도록 설치되되 그 내부에는 물보다 비중이 큰 액체가 채워지고, 상기 안착부의 통과시 골프공이 안착부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일측이 상기 액체의 위로 노출되는 부력부; 상기 부력부를 통과하여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골프공의 상측중앙부에 무게중심을 마킹하도록 설치되는 마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AUTOMATIC MARKING SYSTEM FOR CENTER OF GRAVITY OF GOLF BALL}
본 발명은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 이용자들이 기존에 소지하고 있거나 새로 구입한 골프공에 무게중심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경기에서 드라이버 샷이나, 아이언 샷을 할 때, 골프공의 비거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플레이어의 자세와 골프공의 타격점이 중요하다. 특히, 골프공의 중심부에 대하여 소정 간격만큼 하방을 향하여 타격을 하여야만 상기 골프공이 역회전하면서 진행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상승력이 작용하여 멀리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특히 골프경기에 적용함에 있어, 골프공을 원하는 방향으로 멀리 날아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골프공의 무게중심을 정확히 파악하여 타격하는 것이 플레이어들에게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여기서, 골프공은 단일 또는 2중, 3중 또는 그 이상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골프공의 내부물질은 주로 탄성 처리된 실을 감은 것이나, 최근에는 탄성중합체등의 고형코어를 사용하며, 이를 둘러싼 외부물질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을 사출 성형하여 커버를 형성한 후, 상기 커버에 추가적으로 공기역학을 감안한 딤플을 각인하여 마감 표면 처리제를 코팅함으로써 완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골프공은 대량생산되는 과정에서 각각 마다 서로 다른 무게 중심을 가지고 있고, 또 내부 질량의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골프공의 무게중심을 찾고 그 무게중심의 상부점을 회전중심축으로 설정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안으로 실용신안등록 제199671호(등록일자:2000.8.3., 고안의 명칭: 골프공 회전중심 표시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그 상면에 골프공을 올려놓고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력 제공수단은 몸체의 외주면에 설치된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개폐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하며 상기 회전판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축이 구비된 모터를 포함하는 골프공 회전중심 표시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골프공 회전중심 표시장치는 골프공의 회전중심을 하나씩 표시하여야하는 문제로 인해 그 실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골프공이 상기 회전판에 올려진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판과 골프공의 접촉에 따른 마찰로 올바른 회전중심을 얻을 수 없는 심각한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 이용자들이 기존에 소지하고 있거나 새로 구입한 골프공에 무게중심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프공의 타격시 더욱 효과적인 타격으로 인해 비거리의 향상 및 골프공의 직진회전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회전체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순환회전되는 회전이송부;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로 유입공을 통해 투입된 골프공이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대상물 투입부; 상기 회전이송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대상물 투입부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골프공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회전이송부의 순환회전시 상기 안착부가 통과하도록 설치되되 그 내부에는 물보다 비중이 큰 액체가 채워지고, 상기 안착부의 통과시 골프공이 안착부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일측이 상기 액체의 위로 노출되는 부력부; 상기 부력부를 통과하여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골프공의 상측중앙부에 무게중심을 마킹하도록 설치되는 마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마킹부를 통과한 골프공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토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력부와 마킹부 사이에는 골프공의 외표면에 묻은 액체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가 설치되고, 상기 부력부와 건조부 사이에는 골프공의 외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대상물 투입부에 투입되는 골프공을 세척하기 위한 초기세척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공을 소지하고 있거나 새로 구입한 골프 이용자들이 자신의 골프공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무게중심을 형성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됨은 물론 골프공의 무게중심을 더욱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타격시 더욱 효과적인 타격이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에 회전이송부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가 회전이송부에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은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은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예로써 실내골프연습장이나 골프장의 클럽하우스, 스크린골프연습장, 골프용품판매점 등에 자유롭게 설치되어 골프공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들이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골프공 외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마킹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마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프공의 타격시 더욱 정확한 타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에 회전이송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가 회전이송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의 전체 흐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회전체(21)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회전이송부(20)와 대상물 투입부(30), 안착부(40), 부력부(50), 마킹부(8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은 상기 대상물 투입부(30)를 통해 투입된 골프공이 상기 회전이송부(20)에 설치된 안착부(40)에 안착된 후, 상기 회전이송부(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부력부(50)와 마킹부(8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이송부(20)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회전체(21)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순환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이송부(20)는 체인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1)는 제1회전톱니(22)와 제2회전톱니(23)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회전톱니(22,23)는 상호 마주본 상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제1,2회전톱니(22,23)에 상기 회전이송부(20)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그 회전이송부 사이에 후술되는 상기 안착부(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대상물 투입부(30)는 상기 회전이송부(20)의 일측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로 일측에서 유입된 골프공(1)이 타측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일측에서 골프공을 투입하면 그 골프공은 상기 대상물 투입부(30)의 내측을 통과하여 타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투입되는 골프공의 수가 많은 경우 상기 대상물 투입부(30)의 내측에 골프공이 수용된 상태에서 하나씩 타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40)는 상기 회전이송부(20)에 연결축(48)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 투입부(30)의 타측을 통해 배출된 골프공이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이송부(2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되 골프공이 안착되는 부분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여 회전된다.
즉, 상기 안착부(40)는 상기 연결축(48)에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설치되는 연결구(41)와 상기 연결구(41)의 상측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골프공이 안착되는 안착구(42)와 상기 연결구(41)의 하측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안착구(42)가 상부를 향하도록 하는 무게추(4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안착부(40)가 상기 회전이송부(20)에 연결축(48)을 매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이송부(20)의 순환회전시 상기 무게추(46)로 인해 상기 안착구(42)가 상부를 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착구(42)는 상기 연결구(41)의 상측에 수직되게 연장형성되는 결합체(43)와 상기 결합체(43)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외향 경사지도록 결합되는 확장체(44)와 상기 확장체(44)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수직되게 연장형성되는 연장체(45)로 구성된다.
여기서, 골프공의 안착을 위한 구성은 상기 결합체(43)와 연장체(45)인 것으로, 상기 안착구(42)는 일명 삼발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부력부(50)는 상기 회전이송부(20)의 순환회전시 그 회전이송부가 내부를 통과하고, 그에 따라 상기 안착부(40)도 그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통체의 구성으로, 내부에는 상기 안착부(40)에 안착된 골프공이 그 안착부(40)의 내부에 위치하여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일측 상부가 상기 액체의 위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부력부(50)의 내측에는 물보다 비중이 큰 액체가 채워져 있어 상기 안착부(40)의 통과시 상기 안착부(40)에 안착된 골프공이 부위하게 되고, 가벼운 부분이 상방에 노출되도록 위치되고 무거운 부분이 하방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안내풀리(25)를 설치하여 상기 회전이송부(20)가 상기 부력부(50)의 내측방향으로 용이하게 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이송부(20)가 통체의 부력부(50) 내측방향으로 용이하게 향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40)가 상기 부력부(50)를 통과하면 그 안착부에 안착된 골프공은 가벼운 부분이 상방에 위치하고, 무거운 부분이 하방에 위치한 상태로 안착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상기 회전이송부(20)의 순환회전시 골프공이 안착된 상기 안착부(40)가 상기 마킹부(80)로 이동된다.
상기 마킹부(80)는 상기 부력부(50)를 통과하여 상기 안착부(40)에 안착된 골프공 즉 가벼운 부분이 상방에 위치하고, 무거운 부분이 하방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안착부(40)에 안착된 골프공의 상측중앙부에 무게중심을 마킹한다.
이때, 상기 마킹부(80)는 상기 골프공의 상측중앙부에 무게중심점의 형성위치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레이져 마킹기를 이용하여 골프공의 표면에 무게중심점을 표현하거나 스프레이 방식 및 전사인쇄 방식에 의해 골프공의 표면에 무게중심점을 표현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부력부(50)와 마킹부(80)사이에는 세척부(60)와 건조부(70)가 설치되는데, 상기 세척부(60)는 상기 안착부(40)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부력부(50)를 통과한 골프공의 외표면을 세척한다.
즉, 상기 부력부(50)에 채워진 액체가 골프공에 묻어 있기 때문에 이를 깨끗히 세척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력부(50) 다음에 세척부(60)를 설치하여 상기 안착부(40)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이송부(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골프공의 외표면을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부(60)에서는 상기 골프공(1)에 세척수가 분출되도록 하여 골프공의 외표면을 세척하게 되는데, 상기 안착부(40)에 안착된 상태의 골프공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면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70)는 상기 안착부(40)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부력부(50)를 통과한 골프공의 외표면에 묻은 세척수를 건조시킨다.
이때, 상기 건조부(70)에서 상기 골프공(1)의 외표면에 묻은 액체를 건조하기위한 온풍을 토출하는 경우, 상기 안착부(40)에 안착된 상태의 골프공이 흔들리지 않는 풍속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킹부(80)를 거쳐 무게중심을 표현하는 마킹이 형성된 상태의 골프공은 상기 안착부(40)에서 이탈되어 토출부(90)로 투입된다.
즉, 상기 토출부(90)는 상기 안착부(40)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마킹부(80)를 통과한 골프공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회전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안착부(40)를 회전시켜 안착된 골프공이 그 안착부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토출부(90)로부터 무게중심이 마킹된 상태로 토출된 골프공에 회전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회전라인을 형성하는 경우 골프공의 적도선과 수직되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말해, 골프공은 제조상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맞물려 공의 외부에 딤플이 있는 골프공을 사출해 내는데, 이때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떼어낼 때 생기는 한 줄의 라인인 상기 적도선이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라인을 형성시 상기 적도선과 수직되면서 상기 무게중심 마킹을 통과하는 퍼팅라인을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골프공에 본 발명에 따른 마킹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형성한 후, 상기 무게중심 마킹을 통과하는 퍼팅라인을 형성함으로써 골프 이용시 더욱 효과적인 타격을 할 수 있게 되어 비거리 향상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골프공의 직진회전성을 얻을 수 있어 퍼팅시에도 더욱 효과적인 퍼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상물 투입부(30)에 골프공을 투입하기에 앞서 골프공을 세척하기 위한 초기세척기(10)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초기세척기(10)는 사용자가 소지하여 사용하는 기존의 골프공에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마킹하는 경우, 기존의 골프공 외표면을 세척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초기세척기(10)를 통해 골프공이 1차 세척됨에 따라 상기 토출부(90)를 통해 토출된 골프공의 외표면이 더욱 깨끗한 상태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초기세척기(10)에서는 골프공의 외표면에 기스가 나지 않도록 하면서 닦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공구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별도의 세제에 의해 세척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기존의 골프공이나 새로구입한 골프공을 상기 초기세척기(10)에 투입한다.
상기 초기세척기(10)에 투입된 골프공은 1차 세척된 후, 상기 대상물 투입부(30)의 일측을 통해 투입되어 타측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안착부(40)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40)에 골프공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이송부(20)가 회전하게되면 상기 안착부(40)에 안착된 상태의 골프공(1)이 상기 부력부(50)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가벼운 부분이 상방에 위치하고, 무거운 부분이 하방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부력부(50)를 빠져나오게 된다.
이후, 상기 세척부(60)를 통해 골프공의 외표면에 묻은 이물질 및 액체를 세척하고, 세척이 완료되면 건조부(70)를 통해 골프공의 외표면에 묻은 액체를 건조하게 된다.
그 후, 상기 마킹부(80)를 통해 골프공의 상측 중앙부에 무게중심이 마킹된 상태로 상기 안착부(40)에서 이탈되어 토출부(90)로 투입되어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사용자는 무게중심이 마킹된 자신의 골프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은 회전이송부(20)의 회전시 상기 안착부(40)에 안착된 골프공이 상기 부력부, 세척부, 건조부, 마킹부를 순차적으로 지나고, 최종적으로 상기 토출부(90)를 통해 토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무게중심이 마킹된 골프공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골프공 10: 초기세척기
20: 회전이송부 30: 대상물 투입부
40: 안착부 50: 부력부
60: 세척부 70: 건조부
80: 마킹부 90: 토출부

Claims (5)

  1.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회전체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순환회전되는 회전이송부;
    상기 회전이송부의 일측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로 투입된 골프공이 배출되는 대상물 투입부;
    상기 회전이송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대상물 투입부에서 배출된 골프공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회전이송부의 순환회전시 상기 안착부가 통과하도록 설치되되 그 내부에는 물보다 비중이 큰 액체가 채워지고, 상기 안착부의 통과시 골프공이 안착부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일측이 상기 액체의 위로 노출되는 부력부; 및
    상기 부력부를 통과하여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골프공의 상측중앙부에 무게중심을 마킹하도록 설치되는 마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마킹부를 통과한 골프공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토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와 마킹부 사이에는 골프공의 외표면에 묻은 액체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와 건조부 사이에는 골프공의 외표면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투입부에 투입되는 골프공을 세척하기 위한 초기세척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
KR20130131090A 2013-10-31 2013-10-31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 KR10148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1090A KR101482175B1 (ko) 2013-10-31 2013-10-31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1090A KR101482175B1 (ko) 2013-10-31 2013-10-31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175B1 true KR101482175B1 (ko) 2015-01-14

Family

ID=5258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1090A KR101482175B1 (ko) 2013-10-31 2013-10-31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1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849A (ko) * 2015-03-09 2016-09-21 김옥화 골프공 무게중심 표시수단
KR101751435B1 (ko) * 2015-08-17 2017-06-28 엑스페론골프 주식회사 골프공의 타격포인트 형성을 위한 제조장치
KR101836092B1 (ko) * 2017-12-29 2018-03-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및 표시장치
WO2020191191A1 (en) * 2019-03-20 2020-09-24 Dick's Sporting Good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ing a ball center of gravity position
KR20230000243U (ko) 2021-07-23 2023-01-31 민병용 부력을 이용한 골프공 무게중심 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9602A (ja) 2009-05-01 2010-11-18 Yes:Kk ゴルフボール洗浄装置
KR101067455B1 (ko) 2011-02-21 2011-09-27 홍성준 골프공 세척기
KR101261579B1 (ko) 2012-07-17 2013-05-08 (주)스피닉스골프 골프공 제조장치
KR101271775B1 (ko) 2012-10-17 2013-06-07 조덕훈 골프공 무게중심 찾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골프공 무게중심 찾기용 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9602A (ja) 2009-05-01 2010-11-18 Yes:Kk ゴルフボール洗浄装置
KR101067455B1 (ko) 2011-02-21 2011-09-27 홍성준 골프공 세척기
KR101261579B1 (ko) 2012-07-17 2013-05-08 (주)스피닉스골프 골프공 제조장치
KR101271775B1 (ko) 2012-10-17 2013-06-07 조덕훈 골프공 무게중심 찾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골프공 무게중심 찾기용 키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849A (ko) * 2015-03-09 2016-09-21 김옥화 골프공 무게중심 표시수단
KR101660395B1 (ko) 2015-03-09 2016-09-27 김옥화 골프공 무게중심 표시수단
KR101751435B1 (ko) * 2015-08-17 2017-06-28 엑스페론골프 주식회사 골프공의 타격포인트 형성을 위한 제조장치
KR101836092B1 (ko) * 2017-12-29 2018-03-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및 표시장치
WO2020191191A1 (en) * 2019-03-20 2020-09-24 Dick's Sporting Good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ing a ball center of gravity position
US11389702B2 (en) 2019-03-20 2022-07-19 Dick's Sporting Good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ing a ball center of gravity position
KR20230000243U (ko) 2021-07-23 2023-01-31 민병용 부력을 이용한 골프공 무게중심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175B1 (ko) 골프공 무게중심 자동화 마킹 시스템
KR101464210B1 (ko) 골프공 밸런스 회전라인 표시장치
US86789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and spinning a spherical object
US8574102B1 (en) Swing-pitch system
US20150086717A1 (en) Mass-production method of real spin golf ball
KR102048158B1 (ko)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공 무게중심 확인 방법
KR20100009436A (ko) 실내 골프 연습장치
KR101649879B1 (ko) 휴대용 골프공 회전라인 표시장치
CN203609837U (zh) 足球定位球传准标志圈
KR101546315B1 (ko) 골프공 밸런스 회전라인 자동화 형성장치
US20140094328A1 (en) Training Baseball for Hitting Practice
CN206867646U (zh) 可连续多角度发球的羽毛球发球机器人
CN106799330A (zh) 一种鱼竿浸漆自动化设备
KR200199671Y1 (ko) 골프공 회전중심 표시장치
CN207874397U (zh) 一种精度高的羽毛球插毛预打孔装置
CN107115637A (zh) 一种基于视觉的高尔夫捡球机器人
KR101622908B1 (ko) 골프공 회전안내라인 자동화 형성 시스템
CN204411692U (zh) 一种新型陀螺
CN207575722U (zh) 一种防卡球的自动发球装置
CN100518868C (zh) 机器人乒乓球发球机
KR101751435B1 (ko) 골프공의 타격포인트 형성을 위한 제조장치
CN202078722U (zh) 高尔夫出球器
KR101713077B1 (ko) 골프공 회전안내라인 표시장치
US20070293358A1 (en) Method of Using Modified Ball and Bat
CN110787437A (zh) 足球发球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