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962B1 - Sorting device for pipe type parts - Google Patents

Sorting device for pipe type par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962B1
KR101481962B1 KR20140048334A KR20140048334A KR101481962B1 KR 101481962 B1 KR101481962 B1 KR 101481962B1 KR 20140048334 A KR20140048334 A KR 20140048334A KR 20140048334 A KR20140048334 A KR 20140048334A KR 101481962 B1 KR101481962 B1 KR 101481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rting
space
upr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83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수욱
김지연
Original Assignee
(주)에스와이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와이나노텍 filed Critical (주)에스와이나노텍
Priority to KR20140048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9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9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12Sorting according to size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o particula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orting pipe-shaped parts, capable of automatically sorting good products and defective products by vibration. The device includes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parts of which outer diameter is larger than a height; a vibr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vibration in the receiving space; a guide passag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in an inclined spiral shape and guiding the parts by vibration; an upstanding part for standing the parts erect on one side of the guide passage; and a sorting part for sorting the parts by height on one side of the guide passage.

Description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Sorting device for pipe type part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rting device for pipe type parts,

본 발명은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적재된 다수의 파이프형 부품을 진동에 의해 이송하고, 파이프형 부품의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다수의 선별부를 구비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자동으로 연속 선별하는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rting device for a pipe-type pa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rting device for a pipe-type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pipe- To a sorting apparatus for a pipe-type part which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selects the same.

본 발명은 불량으로 분류된 파이프형 부품을 불량유형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type part sorting apparatus capable of sorting pipe-type parts classified as defective by type of defects.

자동차, 기계장치 등은 다수의 부품이 조립되어 대량생산되며, 소형 부품을 다수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소형 부품은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185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진동피더를 이용하여 공급하기도 한다.
상기 진동피더는 서로 섞여있는 이종(異種)의 너트를 진동을 이용하여 이송하되 너트 이송 선별부와, 너트 직립 이송부와, 너트 높이 선별부와, 정상 너트 선별부 및 정상 너트 이송부를 순차적으로 경유시켜 동일 너트끼리 구분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진동피더를 통해 공급되는 이종의 너트 각각은 상이한 너트가 섞이지 않도록 구분하여 공급하는 기능만 가질 뿐,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은 갖고 있지 않다.
Automobiles, mechanical devices, etc. are assembled and mass-produced in many parts, and many small parts are included.
These small parts may also be supplied using a vibration feeder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721855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The vibrating feeder feeds a different type of nut mixed with each other using vibration,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a nut conveying selector, a nut upright conveying unit, a nut height selecting unit, a normal nut selecting unit, and a steady nut conveying unit So that the same nuts can be separately supplied.
However,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nuts supplied through the vibration feeder has a function of separately supplying the different nuts so as not to be mixed, and does not have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nuts are defective or not.

따라서 이러한 소형 부품은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후 정상인지 불량인지 여부를 선별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며, 선별된 양품만 조립에 사용된다.Therefore, these small parts are produced in the production line, and then subjected to a process of selecting whether they are normal or defective, and only selected good products are used for assembly.

그리고, 소형 부품의 경우 불량품과 양품을 선별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생산성이 좌우된다.In the case of small parts, the productivity depends on the time required for selecting defective and good products.

즉, 생산라인에서 소형 부품들을 빠른 시간 내에 많이 생산한다고 하더라도 생산된 부품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신속하게 선별 수납하지 못한다면 생산성은 저하되여 제조 원가 상승을 야기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That is, even if a small number of parts are produced in a short time in the production line, if the parts are not properly sor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productivity is lower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

일반적으로 소형 부품들은 품질 관리 담당자가 계측기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정상 여부를 판별하게 되는데 선별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the small parts have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select the small parts because the quality control person uses the instrument to manually determine whether the small parts are normal.

또한, 선별 작업을 단순 반복하게 되면 집중력이 저하되어 선별 수납시 오류를 범하게 되므로 불량품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if the sorting operation is repeated simply, the concentration is reduced and errors are caused in the sorting and storage, so that defective products may be introduced.

이런 결과로 불량품이 조립되면 제품 전체에 문제를 야기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As a result, assembling a defective product causes problems in the entire product, which is not desirable.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적재된 다수의 파이프형 부품을 진동에 의해 이송하고, 파이프형 부품의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다수의 선별부를 구비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자동으로 연속 선별 가능하도록 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unting a plurality of pipe- And to provide a sorting device for a pipe-type part in which a good product and a defective product can be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selec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량으로 분류된 파이프형 부품을 불량 유형별로 분류하여 선별함으로써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rting device for a pipe-type part, which can increase the recycling rate by sorting and sorting pipe-type parts classified as defective according to failure type.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는, 높이 치수보다 외경 치수가 큰 파이프형 부품을 다수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기와,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에 경사를 갖는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져 진동에 의해 파이프형 부품이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안내경로와, 상기 안내경로 일측에서 파이프형 부품을 직립시키는 직립부와, 상기 안내경로 일측에서 파이프형 부품을 높이별로 선별하는 선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 selecting device for a pipe-typ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pipe-shaped parts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a height dimension; a vibr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vibration in the housing space;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pipe-shaped part to be conveyed by vibration; an upright part for uprighting the pipe-shaped part at one side of the guide path; and a sorting part for sorting the pipe- And a control unit.

상기 직립부는, 상기 파이프형 부품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지지하는 직립용로드와, 상기 직립용로드에 의해 직립된 파이프형 부품이 이동하는 공간인 직립이송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upright part includes an upright rod which lifts up the pipe-shaped part upward and an upright transporting space which is a space through which the upright pipe-shaped part moves.

상기 직립이송공간은, 상기 파이프형 부품의 외경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upright transporting space has a height small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pipe-shaped part.

상기 직립이송공간의 일단부에는 수용공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직립이송공간에 수용되지 못한 파이프형 부품을 수용공간으로 낙하시키는 낙하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upright transporting space has a dropp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upright transporting space and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to drop the pipe-shaped part that is not received in the upright transporting space into the receiving space.

상기 선별부는, 상기 안내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다수의 파이프형 부품에 대하여 높이별로 수용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별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선별공간은 순차적으로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r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orting spaces for receiving and sorting the plurality of pipe-shaped parts to be conveyed along the guide path according to their heights, and the plurality of sorting spaces are sequentially increased in height .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에서는 내부에 적재된 다수의 파이프형 부품을 진동에 의해 이송하고, 파이프형 부품의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다수의 선별부를 구비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자동으로 연속 선별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In the pipe-type part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ipe-shaped parts mounted inside are transported by vibration, and a plurality of sorting parts selectively accommodating the pipe-shaped parts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pipe- So that continuous selection is possible.

따라서, 파이프형 부품의 검사 시간과 노동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pection time and labor of the pipe-like parts can be remarkably reduced.

또한, 양품과 불량품을 보다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good product and a defective product can be more accurately select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불량으로 분류된 파이프형 부품을 불량유형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type parts classified as defective can be sorted by defect type.

따라서, 재가공 등을 실시하여 양품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으며, 불량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since re-use can be performed and used as a good product, the recycling rate can be increased and the defect rate can be remarkably reduced.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에서 일 구성인 직립부의 작용을 보인 부분 확대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에서 일 구성인 낙하부의 작용을 보인 부분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에서 일 구성인 제1선별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에서 일 구성인 제2선별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a sorting apparatus for a pipe-typ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sorting apparatus for a pipe-typ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 action of an upright portion as one component in the sorting apparatus for pipe-type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opping part as one component in the sorting device for a pipe-typ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sorting part which is a constitution of a sorting device for a pipe-typ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sorting part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sorting device for pipe-type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택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construction of a sorting apparatus for a pipe-type part in whic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ttached hereto.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sorting apparatus for pipe-type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sorting apparatus for pipe-type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이하 '선별장치(100)'이라 칭함)는 중앙부가 천공된 파이프형 부품(P)을 내부에 수용하며, 진동에 의해 1열로 세운 상태로 나선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높이별로 선별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s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pe-shaped part P having a perforated center portion therein, It is a device that can select good products and defective products by sorting by height while transporting.

이를 위해 상기 선별장치(100)의 내부 중앙에는 아래로 함몰된 수용공간(110)이 구비된다. 상기 수용공간(110)은 다수의 파이프형 부품(P)을 수용할 수 있도록 깊게 형성되며, 하측에는 진동발생기(120)가 설치된다.To this end, a downwardly recessed receiving space 110 is provid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screening apparatus 100. The accommodation space 110 is deeply form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pipe-shaped parts P, and the vibration generator 12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상기 진동발생기(120)는 전원 인가시에 진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진동을 야기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or 120 is configured to generate vibration when power is applied thereto. The vibration generator 120 is disposed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various devices can be applied as long as the vibration can be generated. .

상기 수용공간(110)의 외측으로 나선모양의 안내경로(130)가 형성된다. 안내경로(130)는 수용공간(110)의 바닥면 테두리부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나선모양을 그리도록 설계됨으로써 파이프형 부품(P)이 나선을 그리며 상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A spiral guide path 130 is formed out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0. [ The guide path 130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0 and is designed to have a spiral shape so that the pipe-like part P is guided so as to be upwardly conveyed in the form of a spiral do.

상기 안내경로(130)는 진동발생기(120)에서 발생한 진동에 의해 움직이는 파이프형 부품(P)을 연속적으로 안내하게 된다.The guide path 130 continuously guides the pipe-shaped part P moving by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vibration generator 120.

상기 안내경로(130) 상에는 안내경로(130)를 따라 다양한 자세로 이송하는 파이프형 부품(P)을 일률적으로 정렬하기 위한 직립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직립부(140)는 눕혀진 상태로 이송하는 파이프형 부품(P)을 직립시킨 후 일정 구간만큼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On the guide path 130, there is provided an upright part 140 for uniformly aligning the pipe-like parts P to be conveyed in various postures along the guide path 130. The upright part 140 is configured so that the pipe-like part P to be fed in a lying-down state can be uprighted and then transport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안내경로(130) 상에는 직립부(140)를 경유한 파이프형 부품(P)을 높이별로 선별하기 위한 제1선별부(150)와 제2선별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선별부(150)와 제2선별부(160)는 나선 모양의 안내경로(130)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다.A first sorting part 150 and a second sorting part 160 are provided on the guide path 130 for sorting the pipe-like parts P via the upright part 140 by height. The first sorting unit 150 and the second sorting unit 160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spiral guide path 13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선별부(150)는 미리 설정된 높이 범위(직립된 상태의 파이프형 부품(P)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파이프형 부품(P)을 선별하기 위한 구성이며, 제2선별부(160)는 미리 설정된 높이 범위에 속하는 파이프형 부품(P)을 선별하기 위한 구성이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orting unit 150 is configured to sort the pipe-like parts P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height range (the height of the pipe-like part P in the upright state) The second sorting unit 160 is a structure for sorting the pipe-like parts P belonging to the preset height range.

상기 제2선별부(160)에서 선별되지 못하고 통과한 파이프형 부품(P)은 재활부(170)를 통해 선별장치(100) 외측으로 낙하하게 된다.The pipe-shaped parts P that have not been sorted by the second sorting unit 160 are dropped to the outside of the sorter 100 through the rehabilitation unit 170.

상기 제2선별부(160)에서 선별되지 못한 파이프형 부품(P)은 미리 설정된 높이 범위를 초과하는 불량품이므로 상기 재활부(170)를 통해 안내경로(130) 외부로 이탈시키게 되며, 차후에 재가공 등의 공정을 실시하여 양품으로 재활될 수 있다.The pipe type parts P that can not be sorted by the second sorting unit 160 are defective products exceeding a preset height range and are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ath 130 through the rehabilitation unit 170, And can be reused as a good product.

상기 제1선별부(150)와 제2선별부(160) 및 재활부(170)의 하측에는 별도의 분류박스(도 2의 도면부호 B 참조)가 구비되어 선별작업에 의해 낙하한 서로 상이한 치수 높이를 갖는 파이프형 부품(P)들을 저장하게 된다.A separate sorting box (refer to B in FIG. 2) is provided below the first sorting unit 150, the second sorting unit 160 and the rehabilitation unit 170 so that different sizes And the pipe-like parts P having the height are stored.

상기 직립부(140)의 단부에는 낙하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낙하부(180)는 직립부(140)를 경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직립하지 않고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파이프형 부품(P)을 수용공간(110)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직립부(140)와 제1선별부(150) 사이에 안내경로(130)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A dropping part 180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upright part 140. The dropping part 180 has a structure for dropping the pipe-shaped part P which is kept upright without being upright in the receiving space 110 even though the upright part 140 is provided. And the first sorting part 150. The guide part 130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guide path 130.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직립부(14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pright part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직립부(140)의 작용을 보인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upright part 14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screening apparatus 100 for a pipe-typ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직립부(140)는 파이프형 부품(P)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세운 후 좌측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봉 형태를 갖고 좌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진 직립용로드(142)와, 상기 직립용로드(142)의 후방에서 좌측 방향으로 공간을 형성하여 세워진 파이프형 부품(P)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직립이송공간(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pright part 140 has an upright rod 142 having a rod shape with a small diameter and inclined to the left side in an upward direction and lifting up the pipe- And an upright transporting space 144 for guidi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raised pipe-shaped part P by forming a space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upright rod 142.

상기 직립용로드(142)는 우측 단부가 안내경로(130)의 상면에 단차지지 않게 고정되고, 좌측부는 좌측으로 갈수록 상향 기울기를 가짐과 동시에 후방으로 꺽이도록 구성된다.The upright rod 142 is fixed so that its right end is not stepp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ath 130, and the left side portion has an upward slope toward the left and is bent backward.

따라서, 상기 안내경로(130)를 따라 좌측으로 이송하는 파이프형 부품(P) 중에서 눕혀진 것들은 도 5와 같이 직립용로드(142)에 의해 선단부가 들어올려져 세워지며, 세워진 파이프형 부품(P)들은 후방으로 밀려 직립이송공간(144) 내부로 수용된다.5,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ipe-like part P is lifted up by the upright rod 142, and the raised pipe-like part P is lifted up, Are pushed rearward and received into the upright transfer space (144).

상기 직립이송공간(144)은 파이프형 부품(P)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불량품과 양품을 구분하지 않고 세워진 것이라면 모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The upright transporting space 144 is configured to have a height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pipe-like part P, and is configured so as to accommodate all of the raised and defective products,

만일 상기 직립용로드(142)를 경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파이프형 부품(P)은 도 3과 같이 직립이송공간(144) 내부에 수용되지 못하고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후 상기 낙하부(180)를 통해 수용공간(110)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3, the pipe-like part P that is held in a lying state despite the passage of the upright rod 142 is not accommodated in the upright transporting space 144 but remains in a forwardly projected state , And then falls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 through the dropper (180).

이를 위해 상기 직립수용공간(110)의 높이는 파이프형 부품(P)의 외경 치수보다는 작은 높이를 가지며, 제조되어지는 다양한 높이의 파이프형 부품(P)에 대하여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height of the upright receiving space 110 is set to be less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like part P and has a height sufficient to accommodate all of the pipe-shaped parts P having various heights to be manufactured desirabl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낙하부(180)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ropping unit 18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낙하부(180)의 작용을 보인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opping unit 180, which is one component in the pipe-type part s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과 같이 상기 직립이송공간(144)을 따라 이송하는 파이프형 부품(P)은 직립이송공간(144)을 좌측 방향으로 빠져나온 이후 안내경로(130)를 따라 계속 이송되며, 상기 직립이송공간(144) 내부에 수용되지 못하고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좌측으로 이송하는 파이프형 부품(P)(눕혀진 것)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낙하부(180)를 통해 수용공간(110)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ipe-shaped part P for conveying along the upright transfer space 144 is continuously conveyed along the guide path 130 after leaving the upright conveyance space 144 to the left, The pipe-shaped part P (which is laid down) that is not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0 but is forwardly projected is dropp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0 through the dropping part 180 formed to be forwardly inclined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선별부(150) 및 제2선별부(16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본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sorting unit 150 and the second sorting unit 1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attached hereto.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제1선별부(150)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제2선별부(160)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sorting unit 15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sorting apparatus 100 for a pipe-typ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rting apparatus for a pipe- There is show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sorting unit 160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first sorting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선별부는 안내경로(130)를 따라 이송하는 다수의 파이프형 부품(P)에 대하여 높이별로 수용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다수로 구성되며 서로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The sorting unit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pipe-shaped parts P to be conveyed along the guide path 130 according to their heights, and has a plurality of similar structures.

즉, 상기 선별부는 양품에 요구되는 높이범위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불량품을 선별하기 위한 제1선별부(150)와, 양품을 선별하기 위한 제2선별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sorting unit includes a first sorting unit 150 for sorting defective products having a height less than a height range required for good products, and a second sorting unit 160 for sorting good products.

상기 제1선별부(150)는 불량품 중에서 높이 치수가 미달인 불량품을 선별하기 위한 구성으로, 양품의 치수범위 하한치보다 작은 치수의 높이를 갖는 제1선별공간(1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sorting unit 150 includes a first sorting space 152 having a height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of the dimensional range of the good product.

상기 제1선별공간(152)은 도 5와 같이 전반부가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선별공간(152)으로 수용된 파이프형 부품(P)은 제1선별공간(152)으로 수용된 후 안내경로(130)를 이탈하여 선별장치(100) 외부로 낙하하게 된다.The first sorting space 152 is open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The pipe type parts P accommodated in the first sorting space 152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sorting space 152 and then fall off the guide path 130 and fall outside the sorter 100.

상기 제1선별공간(152)으로 낙하한 파이프형 부품(P)은 분류박스(B) 내부로 수집된다.The pipe-shaped parts P falling into the first sorting space 152 are collected into the sorting box B.

반면 상기 제1선별공간(152)의 높이보다 큰 높이 치수를 갖는 파이프형 부품(P)은 도 5와 같이 상기 제1선별공간(152)으로 수용되지 못하고 안내경로(130)를 따라 이송하게 되며 상기 제2선별부(160)를 경유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ipe-shaped part P having a height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sorting space 152 is not accommodated in the first sorting space 152 as shown in FIG. 5 and is transported along the guide path 130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sorting unit 160.

그리고, 상기 제1선별공간(152)에 수용되지 못한 파이프형 부품(P) 중에는 우측에 형성된 제1회수부(154)로 낙하하여 수용공간(110)으로 회수될 수 있다.The pipe-like parts P which are not accommodated in the first sorting space 152 fall into the first collecting part 154 formed on the right side and can be collec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0.

즉, 상기 제1회수부(154)는 제2선별부(160)의 일 구성인 제2회수부(도 6의 도면부호 164 참조)와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회수부(164)는 수용공간(110)과 연통하여 제1회수부(154)를 통해 낙하한 파이프형 부품(P)을 수용공간(110)으로 안내하게 된다.That is, the first collecting unit 154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second collecting unit (reference numeral 164 in FIG. 6) which is a component of the second sorting unit 160, and the second collecting unit 164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collecting unit And the pipe-shaped part P falling through the first collecting part 154 is led to the receiving space 110 by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110.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2선별부(16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selector 1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제2선별부(160)는 양품의 높이 치수 범위의 상한치와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제2선별공간(1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sorting unit 160 includes a second sorting space 162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an upper limit of the height dimension range of the good product.

따라서, 상기 제2선별공간(162)의 높이는 제1선별공간(152)의 높이보다 조금 높게 형성되며, 제2선별공간(162)의 좌측부는 제1선별공간(152)과 같이 외부로 개구되어 화살표방향으로 양품의 낙하를 안내하게 된다.Therefore, the height of the second sorting space 162 is formed to be slight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sorting space 152, and the left side of the second sorting space 162 is opened to the outside as the first sorting space 152 And guides the fall of the good articl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상기 제1선별공간(152)과 제2선별공간(162)의 바닥면은 외측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1선별공간(152)과 제2선별공간(162)으로 파이프형 부품(P)의 수용이 가능하다.The first separating space 152 and the second separating space 162 may be inclined such that the bottoms of the first separating space 152 and the second separating space 162 are inclined outwardly.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the pipe-shaped part P.

상기 제2선별공간(162)의 전방에는 제2회수부(164)가 천공 형성된다. 상기 제2회수부(164)는 우측에 위치한 제1회수부(154)와 연통하는 관 형상의 공간을 일컫는 것으로, 제1회수부(154)를 통해 낙하한 파이프형 부품(P)을 우측에서 받아 전방(수용공간(110))으로 안내하게 된다.A second collecting portion 164 is formed in front of the second sorting space 162. The second recovering unit 164 refers to a tubular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recovering unit 154 located on the right side. The second recovering unit 164 separates the pipe-shaped part P dropped through the first recovering unit 154 from the right side And is guided to the front (accommodation space 110).

따라서, 상기 제2선별공간(162)의 전방에는 회수홀(166)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회수홀(166)은 제2회수부(164)를 거쳐 제1회수부(154)까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Therefore, a recovery hole 166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second sorting space 162 and the recovery hole 166 is communicated with the first recovery part 154 via the second recovery part 164 do.

상기 회수홀(166)을 통해 수용공간(110)으로 낙하한 파이프형 부품(P)은 다시 안내경로(130)를 따라 이송되어 재차 선별 가능하다.The pipe-shaped parts P fall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 through the collection hole 166 are again transported along the guide path 130 and are selectable again.

한편, 상기 제1선별부(150)와 제2선별부(160)에 선별되지 못한 파이프형 부품(P)은 안내경로(130)를 따라 이송한 다음 전술한 재활부(170)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낙하하게 되며, 차후에 별도의 가공(높이를 낮추는 가공)을 통해 양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pipe type parts P which can not be sorted by the first sorting part 150 and the second sorting part 160 are transported along the guide path 130 and then transported through the rehabilitation part 170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can be used as a good product through separate processing (height lowering processing) in the futur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형 부품으로서 파이프형 부품(P)을 예로 들었으나, 높이보다 외경의 크기가 큰 범위 내라면 중실형 부품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pipe-like part P is taken as an example of a small-sized part,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solid-type part can be applied as long as the outer diameter is larger than the height.

100.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 110. 수용공간
120. 진동발생기 130. 안내경로
140. 직립부 142. 직립용로드
144. 직립이송공간 150. 제1선별부
152. 제1선별공간 154. 제1회수부
160. 제2선별부 162. 제2선별공간
164. 제2회수부 166. 회수홀
170. 재활부 180. 낙하부
B . 분류박스 P . 파이프형 부품
100. Selection device for pipe-type parts 110. Capacity space
120. Vibration generator 130. Guide path
140. Upright part 142. Upright rod
144. Upright transfer space 150. First sorting part
152. First Sorting Space 154. First Reclaiming Section
160. The second sorting unit 162. The second sorting space
164. Second Recovery Section 166. Recovery Hall
170. Rehabilitation part 180. Dropping part
B. Classification box P. Pipe type parts

Claims (5)

높이 치수보다 외경 치수가 큰 파이프형 부품을 다수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기와,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에 경사를 갖는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져 진동에 의해 파이프형 부품이 이송하도록 안내하는 안내경로와, 상기 안내경로 일측에서 파이프형 부품을 직립시키는 직립부와, 상기 안내경로 일측에서 직립부를 경유하여 직립된 파이프형 부품을 높이별로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되지 않은 파이프형 부품을 안내경로 외부로 낙하시키는 재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별부는,
양품의 높이범위에 미달하는 파이프형 부품을 내부로 수용한 후 안내경로 외부로 낙하시키는 제1선별부와,
상기 제1선별부를 경유한 파이프형 부품 중 양품의 높이범위에 해당하는 파이프형 부품을 내부로 수용한 후 안내경로 외부로 낙하시키는 제2선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
A vibr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vibration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spiral shape having an inclination outside the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pipe-like part is formed by vibrating the pipe-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guide part to guide the guide part,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guide part to guide the guide part,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guide part to guide the guide part, And a rehabilitation section for dropping the non-selected pipe-shaped parts out of the guide path,
The sorting unit,
A first sorting unit for receiving a pipe-shaped part which is less than the height range of the good product,
And a second sorting unit for receiving the pipe-shaped parts corresponding to the height range of the good products among the pipe-shaped parts passed through the first sorting unit, and dropping the pipe-shaped parts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ath.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부는,
상기 파이프형 부품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지지하는 직립용로드와,
상기 직립용로드에 의해 직립된 파이프형 부품이 이동하는 공간인 직립이송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An upright rod for lifting the pipe-shaped part upwardly,
And an upright transporting space which is a space through which the upright pipe-shaped part moves by the upright ro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이송공간은,
상기 파이프형 부품의 외경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pipe-shaped part has a height small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pipe-like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이송공간의 일단부에는 수용공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직립이송공간에 수용되지 못한 파이프형 부품을 수용공간으로 낙하시키는 낙하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부품용 선별장치.
[5] The apparatus as set forth in claim 3, wherein the one end of the upright transporting space is provided with a dropping portion formed to be downwardly sloped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to drop the pipe- Device.
삭제delete
KR20140048334A 2014-04-22 2014-04-22 Sorting device for pipe type parts KR1014819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8334A KR101481962B1 (en) 2014-04-22 2014-04-22 Sorting device for pipe type par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8334A KR101481962B1 (en) 2014-04-22 2014-04-22 Sorting device for pipe type par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962B1 true KR101481962B1 (en) 2015-01-13

Family

ID=5258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8334A KR101481962B1 (en) 2014-04-22 2014-04-22 Sorting device for pipe type par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9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176A (en) * 2016-06-07 2017-12-15 석몽필 Tape supplying device typed of 2 step for automatic tape pack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080Y1 (en) * 1992-10-06 1998-04-23 윤중용 Device for separating screw
JP2004142940A (en) 2002-10-01 2004-05-20 Dengensha Mfg Co Ltd Vibrating parts feeder
KR100721855B1 (en) 2006-05-09 2007-05-28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The vibrating feeder with double track for feeding insert nut a different kind
KR20130034706A (en) * 2011-09-29 2013-04-08 세계정밀 주식회사 Vibration fee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080Y1 (en) * 1992-10-06 1998-04-23 윤중용 Device for separating screw
JP2004142940A (en) 2002-10-01 2004-05-20 Dengensha Mfg Co Ltd Vibrating parts feeder
KR100721855B1 (en) 2006-05-09 2007-05-28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The vibrating feeder with double track for feeding insert nut a different kind
KR20130034706A (en) * 2011-09-29 2013-04-08 세계정밀 주식회사 Vibration fee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176A (en) * 2016-06-07 2017-12-15 석몽필 Tape supplying device typed of 2 step for automatic tape packing device
KR101910006B1 (en) * 2016-06-07 2018-10-19 석몽필 Tape supplying device typed of 2 step for automatic tape pack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6348B2 (en) Optical sorter
KR101998910B1 (en) Optical type granule sorting machine
CN104555352B (en) Automatic feed system
JP2008142692A (en) Material sorter and its method
KR20150119398A (en) Optical granular substance sorter
CN107755292B (en) Device and method for rapidly detecting appearance of ball
JP2006111444A (en) Chute for sorting/inspection apparatus
KR101481962B1 (en) Sorting device for pipe type parts
CN211726596U (en) Automatic American ginseng grading equipment
CN113351509B (en) Tubular part detection device
KR101384094B1 (en) Cylinder products supplying device for cylinder products inspection apparatus
KR101663934B1 (en) Automatic sorting and feeding device
JP5278295B2 (en) Color sorter
KR100893762B1 (en) Taper Roller Bearing Retainer Sorting System
JP5099103B2 (en) Color sorter and method for discharging good products in the color sorter
CN207013990U (en) Rivet welding all-in-one
KR101750533B1 (en) Apparatus For Classifying Agricultural Product
CN206720215U (en) Stay bolt automatic charging device
CN217075880U (en) Automatic direction selecting device for pointed-end materials
CN108580336A (en) A kind of stepped-slope formula pipe self-test measurement equipment
CN204018248U (en) The one germplasm look two compounding machines that select
KR200411461Y1 (en) Separator device for standard good
CN216911105U (en) Double-deck combined type bottle sorting device and bottle letter sorting packing recovery line
CN207271651U (en) A kind of fragile material color selector
KR101833887B1 (en) Apparatus for classifying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