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751B1 -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1751B1 KR101481751B1 KR20130080756A KR20130080756A KR101481751B1 KR 101481751 B1 KR101481751 B1 KR 101481751B1 KR 20130080756 A KR20130080756 A KR 20130080756A KR 20130080756 A KR20130080756 A KR 20130080756A KR 101481751 B1 KR101481751 B1 KR 1014817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sheet material
- receiving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16B12/125—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using mortise and tenon joi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47B47/042—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77—Interlocking assemblies with dovetail mortise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의 판재를 서로 수직으로 조립할 때, 메일 판재가 피메일 판재에 견고하게 조립되어 조립된 후 메일 판재가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가로 돌출면(12) 및 세로 돌출면(14)을 구비한 메일(Male) 판재(10)와; 상기 메일 판재(10)의 가로 돌출면 (12) 및 세로 돌출면(14)이 삽입되는 수용부(22)를 구비한 피메일(Female) 판재(20);가 서로 수직으로 결합되는 조립식 목재 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일 판재(10)의 세로 돌출면(14) 양쪽에는 수평돌기(15)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판재(20) 수용부(22)의 가로 수용면(24) 양쪽에는 복수의 수직돌기(27)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가로 돌출면(12) 및 세로 돌출면(14)을 구비한 메일(Male) 판재(10)와; 상기 메일 판재(10)의 가로 돌출면 (12) 및 세로 돌출면(14)이 삽입되는 수용부(22)를 구비한 피메일(Female) 판재(20);가 서로 수직으로 결합되는 조립식 목재 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일 판재(10)의 세로 돌출면(14) 양쪽에는 수평돌기(15)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판재(20) 수용부(22)의 가로 수용면(24) 양쪽에는 복수의 수직돌기(27)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의 장식가구나 받침대를 제작하기 위해 사각의 판재를 서로 수직으로 조립하는 경우, 메일 판재의 세로 돌출면에 수평돌기를 형성하고 메일 판재와 조립되는 피메일 판재의 가로 수용면에 다수의 수직돌기를 형성한 후 메일 판재를 피메일 판재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평돌기와 수직돌기가 뭉개지면서 메일 판재와 피메일 판재가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소형의 장식용 가구나 받침대 등을 제작할 때, 2개의 판재를 서로 직각으로 결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하나의 판재에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다른 판재에는 일정 깊이의 수용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를 수용부에 끼워 조립한다.
상기한 조립방법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외관이 미려하게 마무리된다는 장점이 있어, 큰 힘을 받지 않는 소형의 장식용 가구나 받침대 등을 제작할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하, 상기한 종래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를 구비한 판재(이하 '메일 판재'라 칭하기로 한다)와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수용부가 형성된 판재(이하 '피메일 판재'라 칭하기로 한다)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일(Male) 판재(10)는, 가로 돌출면(12)과 세로 돌출면(14)을 구비하고, 상기 피메일(Female) 판재(20)는, 상기 메일 판재(10)와 대응되는 가로 수용면(24) 및 세로 수용면(26)을 구비한다.
상기 피메일 판재(20)의 수용부(22)는 통상 원통형 절삭공구(30, 도 8 참조)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메일 판재(20)의 수용부(22) 네 모서리에는 상기 절삭공구(30)에 의해 반원형 홈(2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메일 판재(20)의 수용부(22)는 관통되지 않고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22)가 형성된 피메일 판재(20)의 반대면에 상기 메일 판재(10)의 돌출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에서는, 피메일 판재(20)의 수용부(22)를 메일 판재(10)의 돌출부의 폭 및 길이에 맞게 정확히 가공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과 같은 조립구조에서는,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메일 판재(10)의 돌출부와 피메일 판재(20)의 수용부간의 밀착력에 의해서만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일 판재(10)의 돌출부와 피메일 판재(20)의 수용부를 매우 정밀하게 가공하여야 하는데, 금속이 아닌 목재에서 피메일 판재(20)의 수용홈(22)을 정밀하게 가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피메일 판재(20)의 수용홈(22)의 크기가 메일 판재(10)의 돌출부의 폭 및 길이보다 작으면, 기본적으로 상기 메일 판재(10)를 피메일 판재(20)에 끼울 수없으므로, 피메일 판재(20)의 수용홈(22)의 크기는 메일 판재(10) 돌출부보다 어느 정도 크게 형성할 수 밖에 없다.
이때, 상기 피메일 판재(20)의 수용부(22)의 크기가 일정 범위 이상으로 커지면, 조립 후 상기 메일 판재(10)가 흔들리거나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판 등의 판재는 일반적으로 0.5mm 정도의 두께 편차가 있어 판재(10)와 피메일 판재(20)를 견고하게 조립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두께가 18mm인 판재는 17.5 ~ 18.5mm 사이의 두께로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이 두께편차로 인하여 판재를 견고하게 조립하기가 어렵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일 판재가 피메일 판재에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후 메일 판재가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재 자체에 존재하는 두께편차를 극복하고 메일 판재와 피메일 판재가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메일 판재의 수용부 가공시 다소의 가공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극복하고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메일 판재와 피메일 판재가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절삭공구로 메일 판재의 수평돌기와 피메일 판재의 수직돌기를 모두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로 돌출면 및 세로 돌출면을 구비한 메일 판재와; 상기 메일 판재의 가로 돌출면 및 세로 돌출면이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한 피메일 판재;가 서로 수직으로 결합되는 조립식 목재 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일 판재의 세로 돌출면 양쪽에는 수평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판재 수용부의 가로 수용면 양쪽에는 복수의 수직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메일 판재 수용부의 양쪽 가로 수용면 간의 폭(d2)은, 상기 메일 판재 두께(D)의 최대편차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판재 수용부의 가로 수용면에서 각각 돌출된 양쪽 수직돌기 간의 폭(d1)은, 상기 메일 판재 두께(D)의 최소편차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일 판재의 양쪽 세로 돌출면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피메일 판재의 양쪽 세로 수용면 간의 거리(ℓ) 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메일 판재의 세로 돌출면에서 각각 돌출된 양쪽 수평돌기 간의 거리(L2)는, 상기 피메일 판재의 세로 수용면 간의 거리(ℓ)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일 판재의 수평돌기와 상기 피메일 판재의 수직돌기는 원통형 절삭공구에 의해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메일 판재에 형성되는 수용부의 깊이는, 피메일 판재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메일 판재에 형성되는 수용부는 십자형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일 판재의 수평돌기와 피메일 판재의 수직돌기가 뭉개지면서 조립되므로, 메일 판재가 피메일 판재에 견고하게 조립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조립 후 메일 판재가 흔들리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판재 자체에 존재하는 두께편차를 극복하고 메일 판재와 피메일 판재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메일 판재의 수용부 가공시 다소의 가공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극복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일 판재와 피메일 판재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절삭공구로 메일 판재의 수평돌기와 피메일 판재의 수직돌기를 모두 가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직각 판재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메일 판재와 피메일 판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메일 판재의 수평돌기 가공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피메일 판재 수직돌기 가공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직각 판재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직각 판재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메일 판재와 피메일 판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메일 판재의 수평돌기 가공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피메일 판재 수직돌기 가공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직각 판재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는, 소형의 장식가구나 받침대를 제작할 때 2개의 판재를 서로 수직으로 조립하기 위한 직각 판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Male) 판재(10)와 상기 메일 판재(10)가 끼워지는 피메일 판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일(Male) 판재(10)는 가로 돌출면(12)과 세로 돌출면(14)을 구비하며, 상기 세로 돌출면(14) 양쪽에는 수평돌기(15)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메일(Female) 판재(20)는, 상기 메일 판재(10)의 가로 돌출면(12)과 세로 돌출면(14)이 삽입되는 수용부(22)를 구비한다.
상기 피메일 판재(20)의 수용부(22)는, 가로 수용면(24)과 세로 수용면(26)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메일 판재(10)의 가로 돌출면(12)과 세로 돌출면(14)을 각각 수용한다.
상기 피메일 판재(20) 수용부(22)의 가로 수용면(24) 양쪽에는, 복수의 수직돌기(27)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에서 메일 판재(10)를 피메일 판재(20)에 가압하여 끼우면, 상기 메일 판재(10)의 수평돌기(15)와 피메일 판재(20)의 수직돌기(27)가 뭉개지면서 서로 견고하게 밀착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메일 판재(10)와 피메일 판재(20)를 단단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피메일 판재(20)의 수용부(22)의 깊이는, 상기 피메일 판재(20)를 관통하지 않고 피메일 판재(20)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일 판재(10)가 끼워지는 피메일 판재(20)의 반대면에 조립 흔적이 남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피메일 판재(20) 수용부(22)의 양쪽 가로 수용면(24) 간의 폭(d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일 판재(10) 두께(D)의 최대편차보다 넓게 형성된다.
예컨대 두께 18mm 판재의 경우에는 대략 0.5mm의 두께편차를 지니고 있어, 17.5mm(이를 '최소편차'라 칭하기로 한다)에서 18.5mm(이를 '최대편차'라 칭하기로 한다) 사이의 두께로 생산된다.
이 경우, 피메일 판재(20) 수용부(22)의 양쪽 가로 수용면(24) 간의 폭(d2)은, 18.5mm보다 0.2 ~ 0.4mm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판재의 특성 및 강도에 따라 상기 범위는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메일 판재(20) 수용부(22)의 가로 수용면(24)에서 각각 돌출된 양쪽 수직돌기(27) 간의 폭(d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일 판재(10) 두께(D)의 최소편차보다 좁게 형성된다.
예컨대 두께 18mm 판재의 경우 17.5mm보다 1.0 ~ 1.6 mm 좁게 형성하는 것이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판재의 특성 및 강도에 따라 상기 범위는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일 판재(10)의 양쪽 세로 돌출면(14) 사이의 거리(L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메일 판재(20)의 양쪽 세로 수용면(26) 간의 거리(ℓ)보다 짧게 형성된다. 예컨대 0.2 ~ 0.4 mm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일 판재(10)의 세로 돌출면(14)에서 각각 돌출된 양쪽 수평돌기(15) 간의 거리(L2)는, 상기 피메일 판재(20)의 세로 수용면(26) 간의 거리(ℓ) 보다 길게 형성된다. 예컨대 1.0 ~ 1.6 mm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메일 판재(10)를 피메일 판재(20)에 비교적 용이하게 조립할 수가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시 메일 판재(10)의 수평돌기(15) 및 피메일 판재(20)의 수직 돌기(27)가 뭉개지면서 서로 밀착되므로, 조립 후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메일 판재(10)의 수평돌기(15)와 상기 피메일 판재(20)의 수직돌기(27)는, 원통형 절삭공구(30)에 의해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CNC 루터(Router)에서 엔드밀을 사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메일 판재(10)의 수평돌기(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판재(10)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절삭공구(30)를 사용하여 가공한다.
이때 상기 메일 판재(10)가 장착된 목공기계의 테이블(도시 생략)을 이동시키면서 수평돌기(15)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세로 돌출면(14) 상에서 절삭되지 않는 부분을 남겨둠으로써 수평돌기(15)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돌기는 산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에는 상기 수평돌기(15)가 2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수평돌기(15)의 개수는 세로 돌출면(14)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상기 메일 판재(10)의 세로 돌출면(14)에는 피메일 판재(20)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하여 모따기부(1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메일 판재(20)의 수직돌기(2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2)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메일 판재(20)의 수직돌기(27)는, 메일 판재(10)의 수평돌기(15)와 마찬가지로, 피메일 판재(20)가 장착된 테이블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절삭되지 않는 부분을 남김으로써 형성한다.
상기 수직돌기(27)의 개수 역시 가로 수용면(24)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제 2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 예는 피메일 부재(20)에 수용부(22)를 십자형으로 교차되게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소형 장식가구나 받침대 등의 조립시 그 형상을 변경하여 조립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 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일 판재(10)의 세로 돌출면(14)에 수평돌기(15)를 형성하고, 피메일 판재(20)의 가로 수용면(24)에 수직돌기(27)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직각 판재를 서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가 있다.
즉, 상기 메일 판재(10)를 피메일 판재(20)에 가압하여 조립할 때, 메일 판재(10)의 수평돌기(15)와 피메일 판재(20)의 수직돌기(27)가 뭉개지면서 밀착되므로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큰 힘을 받지 않는 소형 장식용 가구나 받침대 등에서 2개의 판재를 조리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합판 등의 판재 자체에 존재하고 있는 두께편차를 용이하게 극복하면서 견고히 조립할 수가 있다.
또한, 하나의 절삭공구로 피메일 판재(20)의 수용부(22), 메일 판재(10)의 수평돌기(15), 및 피메일 판재(20)의 수직돌기(27)를 모두 가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절삭되지 않는 부분을 남기는 것에 의해 상기 수평돌기(15)와 수직돌기(27)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수평돌기(15) 및 수직돌기(27)의 가공이 매우 간편해진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메일(Male) 판재 12: 가로 돌출면
14: 세로 돌출면 15: 수평돌기
16: 모따기부 20: 피메일(Female) 판재
22: 수용부 24: 가로 수용면
26: 세로 수용면 27: 수직돌기
28: 반원형 홈 30: 절삭공구
14: 세로 돌출면 15: 수평돌기
16: 모따기부 20: 피메일(Female) 판재
22: 수용부 24: 가로 수용면
26: 세로 수용면 27: 수직돌기
28: 반원형 홈 30: 절삭공구
Claims (6)
- 가로 돌출면(12) 및 세로 돌출면(14)을 구비한 메일(Male) 판재(10)와;
상기 메일 판재(10)의 가로 돌출면 (12) 및 세로 돌출면(14)이 삽입되는 수용부(22)를 구비한 피메일(Female) 판재(20);가 서로 수직으로 결합되는 조립식 목재 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일 판재(10)의 세로 돌출면(14) 양쪽에는 수평돌기(15)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판재(20) 수용부(22)의 가로 수용면(24) 양쪽에는 복수의 수직돌기(27)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피메일 판재(20)에 형성되는 수용부(22)는 십자형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판재(20) 수용부(22)의 양쪽 가로 수용면(24) 간의 폭(d2)은, 상기 메일 판재(10) 두께(D)의 최대편차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판재(20) 수용부(22)의 가로 수용면(24)에서 각각 돌출된 양쪽 수직돌기(27) 간의 폭(d1)은, 상기 메일 판재(10) 두께(D)의 최소편차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판재(10)의 양쪽 세로 돌출면(14)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피메일 판재(20)의 양쪽 세로 수용면(26) 간의 거리(ℓ) 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메일 판재(10)의 세로 돌출면(14)에서 각각 돌출된 양쪽 수평돌기(15) 간의 거리(L2)는, 상기 피메일 판재(20)의 세로 수용면(26) 간의 거리(ℓ)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판재(10)의 수평돌기(15)와 상기 피메일 판재(20)의 수직돌기(27)는 원통형 절삭공구(30)에 의해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판재(20)에 형성되는 수용부(22)의 깊이는, 피메일 판재(20)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80756A KR101481751B1 (ko) | 2013-07-10 | 2013-07-10 |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80756A KR101481751B1 (ko) | 2013-07-10 | 2013-07-10 |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1751B1 true KR101481751B1 (ko) | 2015-01-12 |
Family
ID=5258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80756A KR101481751B1 (ko) | 2013-07-10 | 2013-07-10 |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1751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7120A (ko) | 2015-08-24 | 2016-10-10 | 길재수 | 가구 조립용 브래킷 |
KR101759208B1 (ko) | 2016-09-23 | 2017-07-18 | 이재희 | 합판을 가공하여 가구를 제조하는 장치 또는 공정 |
KR102015949B1 (ko) | 2019-02-08 | 2019-08-28 | 주식회사 가구앤하우스 | 프레임 유닛 및 탁자 |
KR20210023373A (ko) | 2019-08-23 | 2021-03-04 | 주식회사 가구앤하우스 | 프레임 유닛 및 탁자 |
US11434949B2 (en) * | 2018-07-20 | 2022-09-06 | Spaced In Limited | Joint assembl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8262A (ja) * | 2002-06-27 | 2004-01-29 | Iris Ohyama Inc | 部材先端部を取付孔に連結する連結構造 |
JP2004130106A (ja) * | 2002-10-10 | 2004-04-30 | Kbm Furniture Co Ltd | ボックス用組立具 |
KR101159274B1 (ko) * | 2011-11-03 | 2012-06-22 | 주식회사 다나 | 주먹장형 장부구멍 가공용 모르티서와, 주먹장형 장부구멍을 이용한 장부맞춤 방법 및 장부맞춤 조립체 |
-
2013
- 2013-07-10 KR KR20130080756A patent/KR1014817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8262A (ja) * | 2002-06-27 | 2004-01-29 | Iris Ohyama Inc | 部材先端部を取付孔に連結する連結構造 |
JP2004130106A (ja) * | 2002-10-10 | 2004-04-30 | Kbm Furniture Co Ltd | ボックス用組立具 |
KR101159274B1 (ko) * | 2011-11-03 | 2012-06-22 | 주식회사 다나 | 주먹장형 장부구멍 가공용 모르티서와, 주먹장형 장부구멍을 이용한 장부맞춤 방법 및 장부맞춤 조립체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7120A (ko) | 2015-08-24 | 2016-10-10 | 길재수 | 가구 조립용 브래킷 |
KR101759208B1 (ko) | 2016-09-23 | 2017-07-18 | 이재희 | 합판을 가공하여 가구를 제조하는 장치 또는 공정 |
US11434949B2 (en) * | 2018-07-20 | 2022-09-06 | Spaced In Limited | Joint assembly |
KR102015949B1 (ko) | 2019-02-08 | 2019-08-28 | 주식회사 가구앤하우스 | 프레임 유닛 및 탁자 |
KR20210023373A (ko) | 2019-08-23 | 2021-03-04 | 주식회사 가구앤하우스 | 프레임 유닛 및 탁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1751B1 (ko) | 조립식 목재가구의 직각 판재 조립구조 | |
KR102632500B1 (ko) | 기계식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패널들 및 패널들을 포함하는 조립된 제품 | |
CA2933681C (en) | A furniture panel | |
US9605705B2 (en) |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 |
RU2309230C1 (ru) | Покрытие для пола | |
JP2021535330A (ja) | 機械的係止装置を有するパネルのセット | |
US20170208938A1 (en) | Panels comprising a mechanical locking device and an assembled product comprising the panels | |
JP6352898B2 (ja) | 軽量ボード、接続構成、および接続構成の製作方法 | |
EA035948B1 (ru) | Набор панелей пола, содержащих механическое блок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 |
US20220127850A1 (en) | Building panel with locking system | |
US6283668B1 (en) | No-slip corner joint | |
EP4077951A1 (en) | Joining system for furniture | |
US20120299234A1 (en) | Fixing device | |
CN109854598B (zh) | 一种实木家具面板腿部以及望板的组合榫结构和制造方法 | |
KR200370194Y1 (ko) | 브이 커팅을 이용한 가구용 다리 | |
JP2020084656A (ja) | パネル | |
US11434949B2 (en) | Joint assembly | |
CN212899281U (zh) | 一种通用型可重复拆装的家具构件榫卯连接结构 | |
KR102044443B1 (ko) | 목재 결합 조인트 구조 | |
JPS6018504Y2 (ja) | 化粧単板 | |
JP2007237703A (ja) | 化粧板及び建具 | |
JP2023166677A (ja) | 接合構造 | |
JP2006068206A (ja) | 額縁 | |
JP2000320511A (ja) | 二つの部材の接合機構及びその接合機構により組み立てられた各種の組立物並びにこの部材に接合機構やレリーフを形成する方法とそれに用いる加工刃 | |
JP3195630U (ja) | 板材の連結体及び連結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