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497B1 -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 - Google Patents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497B1
KR101481497B1 KR1020140058209A KR20140058209A KR101481497B1 KR 101481497 B1 KR101481497 B1 KR 101481497B1 KR 1020140058209 A KR1020140058209 A KR 1020140058209A KR 20140058209 A KR20140058209 A KR 20140058209A KR 101481497 B1 KR101481497 B1 KR 101481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repellent
wildlife
weight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권
송인배
박병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텍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텍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텍바이오
Priority to KR1020140058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에 관한 것으로서, 경화제, 제라늄 정유, 티트리 정유, 라벤더 정유, 시더우드 정유, 시트로넬라 정유, 스피어민트 정유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열악한 자연환경에서 쉽게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심한 환경변화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피해지역이 광범위하고 야생동물의 먹이가 풍부한 조건에서 야생동물의 퇴치효과를 발휘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Solid-type wild animal repellent containing herbal materials}
본 발명은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온도 및 집중호우와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 야생동물 퇴치제의 물성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멧돼지, 고라니, 노루 등의 야생동물퇴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식물추출 정유를 이용하여 여러 농작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에 관한 것이다.
생태계의 파괴 및 환경 변화로 인하여 멧돼지 및 고라니 등 야생동물에 의한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유해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 작물을 살펴보면, 사과, 배, 포도, 채소, 특용작물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들 작물의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현황은 다음 표 1과 같다.
연도 사과 포도 호도 채소 기타
2005년 3,297 2,700 373 317 4,204 2,700 7,546 21,137
2006년 2,298 2,212 367 466 4,517 2,212 6,477 18,549
2007년 1,850 1,926 392 464 2,882 2,546 6,544 16,604
2008년 1,255 1,593 349 207 2,446 2,259 5,698 13,807
2009년 951 1,236 304 238 2,433 2,836 4,718 12,716
9,651 9,667 1,785 1,692 16,482 12,553 30,983 82,813
[유해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실태(환경부, 2010년), 단위:백만원]
표 1을 보면,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각 작물의 피해규모는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감소추이는 농가에서 야생동물의 피해에 적극적인 물리적 방제방법들을 사용함으로써 다소 감소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들이 방제의 효능 측면에서 우수하지 못하며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농가에 많은 부담 및 손실을 야기한다.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 및 시설물을 보호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야생 동물퇴치방법으로, 태양광 또는 반사경 등을 이용한 시각적 제품; 스피커 또는 폭음기 등을 이용한 청각적 제품; 전기목책기 등을 이용한 접촉성 제품; 트랩 등을 이용한 물리적 제품; 및 크레졸, 방향제 등을 이용한 후각적 제품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의 방법들은 농작물 및 시설 등에 피해를 주는 야생동물을 방제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야생동물퇴치 효과 지속시간이 짧거나 고비용 등의 단점을 지니고 있다.
야생동물 퇴치 방법으로 사용하는 시각적 자극법, 촉각적 자극법, 청각적 자극법 및 물리적 방법에 의한 야생동물 퇴치 방법은 비용, 안전성, 설치의 편리성, 설비 유지 및 보수 등의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이러한 방법들에 의한 퇴치 방법들은 그 효과를 신뢰할 수 없거나 일시적인 방법에 불과하다.
상기와 같은 야생동물 퇴치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7069호(2012.07.27.)에 화학적 자극법을 이용한 "천연물질로 이루어진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천연물질로 이루어진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은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 기피제의 제형이 폴리부텐이 첨가된 겔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여름철의 집중호우와 높은 온도의 열악한 환경에서 조성물이 쉽게 손실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에 기피제 내의 기피성분의 후각적 효능이 저하됨으로써 지역이 광범위하고 야생동물의 먹이가 많은 곳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야생동물 퇴치효능이 충분치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집중호우 및 높은 온도와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 쉽게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새로운 식물추출 정유물질들을 사용함으로써 야생동물의 퇴치효능을 극대화해 농경지의 농작물 및 시설물 등에 유용한 야생동물의 퇴치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개발하였다.
KR 10-1167069 B1 2012.07.27.
본 발명의 목적은 집중호우 및 고온의 환경변화에서 쉽게 손실되는 것을 방지해 자연환경의 심한 기후에서 사용이 용이하며, 새로운 식물추출 정유물질들을 적용함으로써 3가지의 화학적 감각(chemesthesis, 후각, 미각)에 작용하여 야생동물의 기피효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농경지 등의 먹이가 풍부한 환경에서도 야생동물 퇴치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경화제, 제라늄(Geranium) 정유, 티트리(Tea tree) 정유, 라벤더 정유, 시더우드(Cedarwood) 정유, 시트로넬라(Citronella) 정유, 스피어민트(Spearmint) 정유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제공한다.
상기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는, 경화제 50~95중량%, 제라늄 정유 0.05~20중량%, 티트리 정유 0.05~20중량%, 라벤더 정유 0.05~20중량%, 시더우드 정유 0.05~20중량%, 시트로넬라 정유 0.05~20중량%, 스피어민트 정유 0.05~20중량% 및 유화제 2~30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화제는 비누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화제는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는 집중호우 및 높은 온도와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조건에서 야생동물 퇴치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3가지 화학적 감각(chemesthesis, 후각, 미각)을 모두 자극하는 새로운 식물추출 정유물질간의 상승작용에 의해 야생동물의 퇴치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들 식물추출 정유물질들은 모두 천연물질로만 이루어져 있어 먹이가 풍부한 농작물에 설치할 때 다른 화학적 기피제(크레졸, 목초액 등)와는 달리 매우 안전하게 설치하여 야생동물을 퇴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라늄 정유를 포함한 퇴치제를 사료통에 설치한 후 육성돈의 사료 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티트리 정유를 포함한 퇴치제를 사료통에 설치한 후 육성돈의 사료 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라벤더 정유를 포함한 퇴치제를 사료통에 설치한 후 육성돈의 사료 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시더우드 정유를 포함한 퇴치제를 사료통에 설치한 후 육성돈의 사료 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시트로넬라 정유를 포함한 퇴치제를 사료통에 설치한 후 육성돈의 사료 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스피어민트 정유를 포함한 퇴치제를 사료통에 설치한 후 육성돈의 사료 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사료통에 설치한 후 육성돈의 사료 섭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청경채 재배농가에 야생동물 퇴치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A) 및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설치한 경우(B)에 대한 청경채밭의 누적 피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청경채 재배농가의 야생동물 퇴치 방법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C),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겔 형태의 천연물질로 이루어진 야생동물 기피제를 설치한 경우(D) 및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 설치한 경우(E)에 대한 청경채밭의 누적 피해율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농경지의 농작물이나 시설물 등에 피해를 주는 멧돼지, 고라니, 노루 등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유해 야생동물 퇴치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천연물질로 이루어진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한국등록특허, 제10-1167069호)을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천연물질로 이루어진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은 구성 물질이 야생동물에 대한 불확실한 퇴치효과 및 제형의 취약성 때문에 먹이가 풍부한 농작물의 광범위한 지역 및 열악한 환경 조건에서 사용할 경우, 야생동물퇴치 효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식물추출 정유물질만을 사용하여, 장마철의 폭우와 같이 열악한 환경뿐만 아니라 농작물과 같이 피해지역이 광범위하며 먹이가 풍부한 곳에서 농가가 안전하게 설치하고 야생동물의 퇴치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는,
경화제, 제라늄(Geranium) 정유, 티트리(Tea tree) 정유, 라벤더 정유, 시더우드(Cedarwood) 정유, 시트로넬라(Citronella) 정유, 스피어민트(Spearmint) 정유 및 유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는,
경화제 50~95중량%, 제라늄 정유 0.05~20중량%, 티트리 정유 0.05~20중량%, 라벤더 정유 0.05~20중량%, 시더우드 정유 0.05~20중량%, 시트로넬라 정유 0.05~20중량%, 스피어민트 정유 0.05~20중량% 및 유화제 2~30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는 주성분 및 부성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주성분은 제라늄 장유, 티트리 정유, 라벤더 정유, 시더우드 정유, 시트로넬라 정유 및 스피어민트 정유를 포함하며, 상기 부성분은 경화제 및 유화제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의 주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성분 중 하나인 상기 제라늄 정유는 주요 활성성분으로 camphor, cineole을 함유하며, 자극성 있는 휘발성 성분의 chemesthetic, 후각 및 미각의 자극효과에 의해 퇴치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접촉이나 섭취 등에 의한 기피효과가 아닌 초기자극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항균, 항진균 및 해충에 대한 기피효과도 뛰어나서 야생동물 퇴치제의 설치 이후 외부오염이나 퇴지제의 부패 등을 방지하여, 야생동물 퇴치제의 효력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라늄 정유는 전체 퇴치제 총 중량의 0.05~20중량%, 바람직하게는 0.2~10중량%로 사용된다. 이때, 제라늄 정유가 전체 퇴치제 총 충량의 0.0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감소하여, 퇴치제의 세균 및 진균에 의한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2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경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성분 중 하나인 상기 티트리 정유는 주요 활성성분으로 4-terponeol, α-terpineol, γ-terpinene을 함유하며, 강한 자극성 있는 휘발성 성분의 chemesthetic, 후각 및 미각의 자극효과에 의해 퇴치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접촉이나 섭취 등에 의한 기피효과가 아닌 초기자극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탈취, 항균, 항진균 및 해충에 대한 기피효과도 뛰어나서 야생동물 퇴치제의 설치 이후 외부오염이나 야생동물 퇴치제의 부패 등을 방지하여, 야생동물 퇴치제의 효력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티트리 정유는 전체 조성물 총 중량의 0.05~20중량%, 바람직하게는 0.3~12중량%로 사용된다. 이때, 티트리 정유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의 0.0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감소하여, 야생동물 퇴치제의 세균 및 진균에 의한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20중량% 초과하여 사용되면 경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성분 중 하나인 상기 라벤더 정유는 주요 활성성분으로 β-linalool, linalool acetate을 함유하며, 강한 자극성 있는 휘발성 성분의 chemesthetic, 후각 및 미각의 자극효과에 의해 퇴치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접촉이나 섭취 등에 의한 기피효과가 아닌 초기자극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살균 및 방충 효과가 뛰어나서 야생동물 퇴치제의 설치 이후 외부오염이나 퇴치제의 부패 등을 방지하여, 야생동물 퇴치제의 효력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라벤더 정유는 전체 퇴치제 총 중량의 0.05~20중량%, 바람직하게는 0.3~10중량%로 사용된다. 이때, 라벤더 정유가 전체 퇴치제 총 충량의 0.0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감소하여, 퇴치제의 세균 및 진균에 의한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2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경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성분 중 하나인 상기 시더우드 정유는 주요 활성성분으로 α-cedrene, thujopsene, cedrol 등을 함유하며, 자극성 있는 휘발성의 성분의 chemesthetic, 후각 및 미각의 자극효과를 느끼게 하여 퇴치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접촉이나 섭취 등에 의한 기피효과가 아닌 초기자극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살균, 탈취효과가 있어 야생동물 퇴치제의 설치 이후 외부오염이나 탈취제의 부패 등을 방지하여, 야생동물 퇴치제의 효력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시더우드 정유는 전체 조성물 총 중량의 0.05~20중량%, 바람직하게는 0.2~12중량%로 사용된다. 이때, 시더우드 정유가 전체 퇴치제 총 충량의 0.0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살균의 효과가 떨어지며, 2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경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성분 중 하나인 상기 시트로넬라 정유는 주요 활성성분으로 citronellal 등을 함유하며, 자극성 있는 휘발성 성분의 chemesthetic, 후각 및 미각의 자극효과를 느끼게 하여 퇴치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접촉이나 섭취 등에 의한 기피효과가 아닌 초기자극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시트로넬라 정유는 전체 퇴치제 총 중량의 0.05~20중량%, 바람직하게는 0.3~12중량%로 사용된다. 이때, 시트로넬라 정유가 전체 퇴치제 총 충량의 0.0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살균의 효과가 떨어지며, 2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경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성분 중 하나인 상기 스피어민트 정유는 주요 활성성분으로 1-carvone 등을 함유하며, 자극성 있는 휘발성의 성분의 chemesthetic, 후각 및 미각의 자극효과를 느끼게 하여 퇴치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스피어민트 정유는 전체 퇴치제 총 중량의 0.05~20중량%, 바람직하게는 0.3~8중량%로 사용된다. 이때, 스피어민트 정유가 전체 퇴치제 총 충량의 0.0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살균의 효과가 떨어지며, 2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경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의 부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의 부성분은 경화제와 유화제를 포함한다.
종래의 천연물질로 이루어진 야생동물 기피제는 높은 온도 및 집중호우와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 겔 형태의 제형으로 된 조성물이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심한 자연환경의 변화에 대해서도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제작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경화제로는 비누 베이스를 사용하며, 비누 베이스는 야생동물 퇴치제의 경화를 촉진 및 경도를 높임으로써, 눈이나 비 등의 수분이 많은 기후지역에서 야생동물 퇴치제 안으로 수분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야생동물 퇴치제의 주성분에 대한 손실이나 변성을 방지함으로써 야생동물 퇴치제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야생동물 퇴치효과를 지속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경화제는 전체 퇴치제 총 중량의 50~95중량%, 바람직하게는 70~90중량% 사용된다. 이때, 상기 경화제가 전체 퇴치제 총 중량의 50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경화되는 성질이 불안정하여 퇴치제의 손실이 나타날 수 있으며, 95중량% 초과하여 사용되면 야생동물 퇴치를 위한 주요성분이 줄어들어 야생동물 퇴치효과가 감소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비누 베이스(soap base)는 통상적인 비누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누 베이스는 예를 들어 우지, 야자, 팜, 팜핵유 등의 동물성 또는 식물성 유지로부터 선택된 유지(또는 그 지방산)를 가성소다(NaOH)나 가성칼륨(KOH) 등으로 직접 검화 또는 중화시킨 알칼리성의 지방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공업용으로 안료, 인쇄잉크, 페인트, 섬유조제, 윤활유 등의 유화 및 분산제로 다양하게 이용되는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되며, 상기 유화제는 야생동물 퇴치제의 주성분인 천연식물 정유 등이 전체 퇴치제 내에서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는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솔비탄 모노베헤네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솔비탄 모노올레이트를 사용한다. 상기 유화제는 전체 퇴치제 총 중량의 2~30중량%, 바람직하게는 6~17중량%로 사용된다. 이때, 유화제가 전체 퇴치제 총 중량의 2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퇴치제 내의 식물추출 정유의 유화정도를 감소시켜 본 퇴치제에 골고루 섞이지 않을 수 있으며, 30중량% 초과하여 사용되면 퇴치제의 경도가 감소하여 야생동물 퇴치효과 및 본 퇴치제의 손실 억제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을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제라늄 정유 10중량% 및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5중량% 첨가하여 진탕한 후 녹인 비누 베이스 85중량%를 혼합 및 교반한 후에 상온에서 식혀서 제라늄 정유 포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누 베이스는 중일유화(주)에서 제조한 TEA(트리에탄올아민)-Free 투명비누베이스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라늄 정유 포함 조성물을 가로×세로×높이가 30×30×40㎜가 되도록 성형하여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만들었다.
[제조예 2]
제조예 1에서 제라늄 정유 대신에 티트리 정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제조예 1에서 제라늄 정유 대신에 라벤더 정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제조예 1에서 제라늄 정유 대신에 시더우드 정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제조예 1에서 제라늄 정유 대신에 시트로넬라 정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제조예 1에서 제라늄 정유 대신에 스피어민트 정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육성돈에서 야생동물의 퇴치효과를 나타내는 활성물질에 대한 효능평가
1. 실험방법
1) 공시동물
시험에 사용된 동물은 랜드레이스×요크셔 교잡종의 육성돈(수컷)을 이용하여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에 대한 퇴치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의 육성돈은 사용하기에 용이하며 성격이 활달하여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 퇴치효과 및 적응 여부를 판단하기에 적합하여 시험동물로 공시하였다.
2) 사육환경
수컷 육성돈(n=63)에 대한 실험은 금산 인근의 HACCP 인증 돼지 농장에서 실시하였으며, 사용된 돼지는 건강한 개체를 무작위로 선발하여 시험에 공시하였으며, 시험 동물에 사료와 음수는 자유 급여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육성돈에 대한 개체수 및 평균 체중은 아래 표 2와 같다.
대조군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개체수(n) 9 9 9 9 9 9 9
평균체중
(㎏)
18.26
±1.26
18.12±1.35 19.90±1.60 18.64±1.24 19.47±1.35 19.53±1.46 18.97±1.12
3) 야생동물퇴치를 나타내는 활성성분에 대한 효능 평가
각각의 활성성분에 대한 퇴치제의 기피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각각의 야생동물 퇴치제(30×30×40㎜)를 사료통 상단에 5개씩 부착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육성돈은 1주일간의 순화기간 이후, 육성돈이 퇴치제에 대한 행동이상 반응 및 사료섭취량을 일주일 동안 관찰하였다.
2. 실험결과
1) 식물 추출정유를 포함하는 제조예 1~제조예 6의 퇴치제에 대한 기피효과
식물 추출정유를 포함하는 퇴치제를 설치하기 전에 순화기간 동안 대부분의 육성돈은 정상적인 활동 및 음수와 사료를 섭취하였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통에 각각의 활성성분을 포함한 퇴치제(제조예 1 ~ 제조예 6)를 설치한 실험군은 관찰기간(1일, 3일, 7일) 동안 대조군에 비교해 일일 사료섭취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라늄 정유 및 티트리 정유가 첨가된 퇴치제를 사료통에 설치한 경우, 시험 관찰기간(1일, 3일, 7일) 동안 대조군에 비해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였으며, 마지막 7일째는 대조군의 사료 섭취량과 비교하여 약 40%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벤더 정유, 시더우드 정유 및 시트로넬라 정유가 첨가된 퇴치제를 사료통에 설치한 경우, 시험 관찰기간(1일, 3일, 7일) 동안 대조군에 비해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였으며, 마지막 7일째는 대조군의 사료 섭취량과 비교하여 약 34%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퍼이민ㅌ 정유가 첨가된 퇴치제를 사료통에 설치한 경우, 시험 관찰기간(1일, 3일, 7일) 동안 대조군에 비해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였으며, 마지막 7일째는 대조군의 사료 섭취량과 비교하여 약 26%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각각의 활성성분을 가지고 제조된 퇴치제에 접촉한 개체에서는 사료통에 접근하였다가 다시 뒤로 물러서는 동작, 바닥에 코를 비벼대는 행위, 퇴치제를 입으로 무는 등의 이상행동을 나타내었다. 상기 6가지 활성성분을 이용한 퇴치효과에 대한 결과를 보면, 모든 활성성분에서 퇴치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라늄 정유, 티트리 정유, 라벤더 정유, 시더우드 정유, 시트로넬라 정유, 스피어민트 정유 및 유화제를 혼합기에 넣어 골고루 혼합한 뒤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유화제는 솔비탄 모노올레이트를 사용하였다. 그 다음에는 열을 가해 녹인 비누 베이스에 상기 혼합물을 혼합 및 교반한 후에 20℃의 온도로 식혀 고상의 야생동물퇴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누 베이스는 중일유화(주)에서 제조한 TEA(트리에탄올아민)-Free 투명비누베이스를 사용하였다. 상기 고상의 야생동물퇴치 조성물을 가로×세로×높이가 30×30×40㎜가 되도록 성형하여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만들었다.
이때, 각 성분의 함량은 각각 제라늄 정유 1중량%, 티트리 정유 2중량%, 라벤더 정유 1중량%, 시더우드 정유 2중량%, 시트로넬라 정유 3중량%, 스피어민트 정유 1중량%,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15중량% 및 비누 베이스 75중량%를 사용하였다.
제라늄 정유 1중량%, 티트리 정유 2중량%, 라벤더 정유 2중량%, 시더우드 정유 1중량%, 시트로넬라 정유 3중량%, 스피어민트 정유 1중량%,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10중량% 및 비누 베이스 80중량%를 사용하여, 상기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제조하였다.
제라늄 정유 1중량%, 티트리 정유 3중량%, 라벤더 정유 1중량%, 시더우드 정유 2중량%, 시트로넬라 정유 2.5중량%, 스피어민트 정유 0.5중량%,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5중량% 및 비누 베이스 85중량%를 사용하여 상기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육성돈에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에 대한 퇴치효과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성격이 활달한 랜드레이스×요크셔 교잡종 육성돈을 대상으로 퇴치기능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사료통에 설치한 후에 행동이상 및 사료섭취량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사료통에 설치한 후에 육성돈은 식이하려는 빈도수가 적었으며, 사료를 먹더라도 접근 및 후퇴를 반복하면서 섭식함을 관찰하였다.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접촉한 개체에서는 사료통에 접근하였다가 다시 뒤로 물러서는 반복된 동작, 바닥에 코를 비벼대는 행위 및 사료통에 있는 조성물을 입으로 무는 등의 이상 행동을 나타내어, 돼지가 사료통에 설치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에 대해 기피하는 행동을 확인하였다.
특별히,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가 경도, 온도 및 수분에 의한 영향 등의 물리적 특성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어, 실제 야외의 농작물에 설치할 경우, 비나 바람 등의 자연 환경에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가 유실되는 정도가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의 육성돈에 대한 효능평가
1. 실험방법
1) 공시동물
시험에 사용된 동물은 랜드레이스×요크셔 교잡종의 육성돈(수컷)을 이용하여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에 대한 퇴치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의 돼지는 사용하기가 용이하며 성격이 활달하여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 퇴치효과 및 적응 여부를 판단하기에 적합하여 시험동물로 공시하였다.
2) 사육환경
수컷 육성돈(n=18)은 금산 인근의 HACCP 인증 돼지 농장에서 실시하였으며, 사용된 돼지는 건강한 개체를 무작위로 선발하여 시험에 공시하였으며, 시험 동물에 사료와 음수는 자유 급여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육성돈에 대한 개체수 및 평균 체중은 아래 표 3과 같다.
대조군 실시예 3
동물 개체수(n) 9 9
평균 체중(㎏) 19.22±1.12 19.45±1.38
3) 야생동물 퇴치제의 효능 평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30×30×40㎜)를 사료통에 5개씩 설치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육성돈은 1주일 간의 순화기간 이후, 육성돈이 조성물에 대한 행동이상 반응 및 사료섭취량을 일주일 동안 관찰하였다.
2. 실험결과
1)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의 효능 평가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설치하기 전에, 대부분의 육성돈은 사료통 및 음수 꼭지를 번갈아가며 식이하였으며, 정상적인 활동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설치한 이후,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접촉한 개체에서는 사료통에 접근하였다가 다시 뒤로 물러서는 반복된 동작, 바닥에 코를 비벼대는 행동 등을 보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 관찰기간(1일, 3일, 7일) 동안 대조군에 비해 일일 사료섭취량은 감소하였으며, 대조군의 사료 섭취량과 비교하여 1일째는 약 41%, 3일째는 약 42% 및 7일째는 약 45% 이상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는 육성돈에 대한 일일 사료섭취량에 대한 실험에서, 우수한 퇴치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청경채 재배농가에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물에 대한 야외 효능평가
1. 실험방법
청경재를 재배하는 부여지역의 농가에서 청경재에 피해를 주는 고라니에 대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야외실험을 위하여 면적이 약 1,320㎡ 규모의 청경채 밭에, 야생동물 퇴치제를 설치하지 않은 청경채밭(A 지역)과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설치한 청경채밭(B 지역)으로 나누어 야생동물에 대한 퇴치효과를 평가하였다. 야생동물 퇴치제를 설치하지 않은 청경채밭(A 지역)과 상기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설치한 청경채밭(B 지역)은 그 경계면이 낭떠러지로 분획되어 있어 두 구역이 상호간의 접근이 안되는 산밭 형태의 장소를 선택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퇴치제를 가지고 설치한 청경채밭(B 지역)의 면적은 약 495㎡이며, 이때 제조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는 청경채밭의 바깥쪽을 경계로 1.5~2m 간격마다 지주대를 설치한 후 상단(높이: 70~100㎝) 및 하단(높이: 20~50㎝)에 각각 1개씩을 나열하여 설치하였다.
2. 실험결과
청경채 재배지역은 산밭에 위치하여 야산에 매우 밀접하게 위치한 지형으로서 고라니가 매우 용이하게 접근이 가능한 지역이다. 평상시에도 고라니에 의한 피해가 있던 곳으로 그물, 조명 등을 이용한 고라니의 피해를 억제하는 방법을 사용했음에도 계속적인 침입으로 피해를 보고 있었다.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설치 전에는 고라니 등의 유해 야생동물에 의한 청경채밭의 손실이 있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14년 3월 ~ 2014년 5월까지 약 60일 동안 야생동물 퇴치제를 설치하지 않은 청경채밭(A 지역 : 825㎡)은 고라니가 이전처럼 청경채밭에 침입하여 피해를 주었다. 이때 피해를 당한 지역을 분석해보면, 고라니에 의한 피해규모는 약 450㎡의 피해를 주어 피해율은 약 54.5%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설치한 청경채밭(B 지역 : 495㎡)은 설치 후 초기에 고라니에 의한 침입 흔적이 있었으나, 그 이후에는 근처에 잠시 머무르고 밭에는 침입하지 않았다.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설치한 청경채밭에서 고라니가 초기에 침입한 청경채밭의 청경채가 10~12개의 피해를 보였으며, 그 피해지역은 약 25㎡ 정도로 피해율은 약 5.1%로 아주 미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는 새로운 천연 식물유래 정유의 복합적인 비율로 우수한 퇴치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이들 활성성분들이 고온 및 비 등의 외부환경에 대한 제형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안정화된 제형의 특성으로 고라니의 퇴치효능을 입증하였다.
제라늄 정유 2중량%, 티트리 정유 3중량%, 라벤더 정유 2중량%, 시더우드 정유 3중량%, 시트로넬라 정유 3중량%, 스피어민트 정유 1중량%,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14중량% 및 비누 베이스 72중량%를 사용하여 상기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일불소인산나트륨, 초피나무 추출물, 캡사이신 추출물을 혼합기에 넣어 골고루 혼합한 후, 증점제(폴리부텐)와 UV흡수제(Ciba® TINUVIN® 99-2)를 첨가하여 다시 혼합하였다. 여기에 그리스와 소나무 정유, 계피 정유 및 박하 정유를 혼합하여 겔 형태의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성분의 함량은 각각 일분소인산나트륨 2중량%, 초피나무 추출물 7중량%, 캡사이신 추출물 1중량%, 증점제 70중량%, UV흡수제 1중량%, 그리스 15중량%, 소나무 정유 1중량%, 계피 정유 2중량%, 박하 정유 1중량%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5] 청경채재배 농가에서 겔 형태의 천연물질로 이루어진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과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에 대한 야외 효능평가
1. 실험방법
청경채를 재배하는 공주지역의 농가에서 청경채에 피해를 주는 고라니 등의 야생동물에 대한 초피나무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겔 형태의 천연물질로 이루어진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과 신규 식물정유 등을 포함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에 대한 효능을 비교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야외 비교실험을 위하여 약 2,745㎡ 규모의 산밭에서 약 30일 동안 피해 여부를 관찰하였다. 먼저 약 990㎡의 산밭(C 지역)을 야생동물에 대비하여 어떠한 퇴치방법도 설치하지 않은 곳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야생동물퇴치의 실험을 위해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겔 형태의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을 플라스틱 용기에 20g씩 담아 산밭(D 지역 : 660㎡)의 바깥쪽을 경계로 1.5m 간격마다 지주대를 설치한 후 상단(높이: 70~100㎝) 및 하단(높이: 20~50㎝)에 각각 1개씩을 나열하여 설치하였으며, 약 1,150㎡의 산밭(E 지역)에는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부직포 용기에 담아 D 지역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한 후,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를 확인 및 관찰하였다.
2. 실험결과
청경채 재배농가의 지역은 야산 아래에 위치한 지역으로 야생동물의 접근이 매우 용이한 곳이며, 평상시에도 고라니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는 장소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생동물에 대한 퇴치방법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대조지역(C 지역)과 겔 형태의 천연물질로 이루어진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을 설치한 산밭(D 지역)은 고라니가 산밭에 침입하여 많은 청경채밭에 피해를 입힌 것을 모두 관찰할 수 있었다. 이때 야생동물의 침입에 의한 청경채의 피해율은 각각 52.5%(C 지역) 및 44.7%(D 지역)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를 설치한 산밭(E 지역)은 설치 후, 설치한 경계지역 근처에 고라니의 발자국이 발견되었으며, 청경채의 피해율이 6.9%로 C 지역 및 D 지역에 비해 매우 적게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식물추출 정유들이 혼합된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는 초피나무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종래의 겔 형태의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에 비해 유해 야생동물퇴치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을 야외실험에서 확인하였다.

Claims (4)

  1. 삭제
  2. 제라늄 정유 1중량%, 티트리 정유 3중량%, 라벤더 정유 1중량%, 시더우드 정유 2중량%, 시트로넬라 정유 2.5중량%, 스피어민트 정유 0.5중량%,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5중량% 및 비누 베이스 85중량%를 포함하는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고라니 퇴치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58209A 2014-05-15 2014-05-15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 KR101481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209A KR101481497B1 (ko) 2014-05-15 2014-05-15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209A KR101481497B1 (ko) 2014-05-15 2014-05-15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497B1 true KR101481497B1 (ko) 2015-01-13

Family

ID=5258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209A KR101481497B1 (ko) 2014-05-15 2014-05-15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4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959Y1 (ko) * 2002-08-02 2002-11-14 이명규 멧돼지 축출용 모의 맹호상(模擬猛虎相)
JP2007099623A (ja) * 2005-09-30 2007-04-19 Masami Takegawa 動物忌避顆粒体
KR20130080094A (ko) * 2012-01-04 2013-07-12 박병권 고상의 조류퇴치 조성물
KR101374685B1 (ko) * 2012-03-22 2014-03-17 (주)바이오디펜스 유해동물 퇴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959Y1 (ko) * 2002-08-02 2002-11-14 이명규 멧돼지 축출용 모의 맹호상(模擬猛虎相)
JP2007099623A (ja) * 2005-09-30 2007-04-19 Masami Takegawa 動物忌避顆粒体
KR20130080094A (ko) * 2012-01-04 2013-07-12 박병권 고상의 조류퇴치 조성물
KR101374685B1 (ko) * 2012-03-22 2014-03-17 (주)바이오디펜스 유해동물 퇴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0724B2 (ja) ゲル状の害鳥忌避組成物
CN102812874B (zh) 一种柑桔病虫害绿色防控方法
KR101291594B1 (ko) 고상의 조류퇴치 조성물
KR20160079371A (ko) 동물 기피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2787A (ko) 해충 및 식물병 방제용 친환경 연무확산제
KR101181454B1 (ko) 액상형 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
KR100984217B1 (ko) 야생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KR101545431B1 (ko) 편백 추출물을 이용한 사과 재배방법
KR101167069B1 (ko) 천연물질로 이루어진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
Hara et al. Attractiveness of gel, granular, paste, and solid formulations of ant bait insecticides to the little fire ant, Wasmannia auropunctata (Roger)(Hymenoptera: Formicidae)
CN107668076A (zh) 一种用于防治瓜果蔬菜瓜蓟马虫的生物组合物
KR101481488B1 (ko) 고상의 야생동물퇴치 조성물
KR101400713B1 (ko) 살충성 정유 및(또는) 식물첨가물을 함유한 살충성 조성물
KR20130092348A (ko) 액상형 동물 및 조류 퇴치용 조성물
KR101481497B1 (ko) 허브물질을 함유하는 고상의 야생동물 퇴치제
US20090130053A1 (en) Natural method of killing bacteria and pathogens in animal scents
KR101782842B1 (ko) 병충해에 강한 허브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천연허브복합비료 및 그 이용방법
KR20140084596A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KR101167068B1 (ko) 설치류 기피제 조성물
US20060110472A1 (en) Use of allicin as insect repellent and insecticide in agricultural crops
KR101535215B1 (ko) 소독 및 해충 퇴치용 연막 조성물
Bosland et al. Preliminary field tests of capsaicinoids to reduce lettuce damage by rabbits
KR102225225B1 (ko) 비 치명적 화학물질을 이용한 가정용 조류 퇴치 조성물
Husamah et al. The Effectiveness of Attractants for Fruit Fly in Orange Garden
KR102555752B1 (ko) 유해조류 퇴치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