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741B1 -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741B1
KR101480741B1 KR20130067551A KR20130067551A KR101480741B1 KR 101480741 B1 KR101480741 B1 KR 101480741B1 KR 20130067551 A KR20130067551 A KR 20130067551A KR 20130067551 A KR20130067551 A KR 20130067551A KR 101480741 B1 KR101480741 B1 KR 10148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unk
actuator
latch assembl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307A (ko
Inventor
김대준
Original Assignee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7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74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42Trunk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트렁크 래치 작동 후 트렁크 폐쇄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스트라이커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요입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리모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액츄에이터; 일단이 커넥터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액츄에이터에 개별적으로 단일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 1 단자, 및 일단이 커넥터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액츄에이터에 제 1 단자와 다른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단자가 구비되는 터미널부; 및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설치되는 저항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TRUNK LID LATCH ASSEMBLY}
본 발명은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트렁크 래치 작동 후 트렁크 폐쇄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렁크 룸을 구비한 승용자동차에는 트렁크 리드의 개폐 상태를 구속하는 잠금장치인 래치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래치 장치는 트렁크 리드에 장착되는 래치 조립체와, 트렁크 룸을 형성하는 차체쪽으로 장착되는 스트라이커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의 소음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의 릴리즈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트렁크가 폐쇄시 기록된 소음 측정치이며, 이에 따르면, 통상 트렁크가 폐쇄시 평균적으로 69.85dB의 소음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의 릴리즈 파형은 도 2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트렁크가 폐쇄시 기록된 릴리즈 파형이며, 이에 따르면, 통상 트렁크가 폐쇄시 파형의 진동이 많이 발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는 키 및 스위치를 이용하여 해제한 후, 리턴 스프링에 의해 액츄에이터 내 연동 기어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면서 트렁크가 닫히며, 이때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츄에이터 내 연동 기어의 리턴 속도를 줄임으로써, 트렁크 폐쇄시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요입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리모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액츄에이터; 일단이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액츄에이터에 개별적으로 단일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 1 단자, 및 일단이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액츄에이터에 상기 제 1 단자와 다른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단자가 구비되는 터미널부; 및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설치되는 저항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저항 발생 수단은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터미널부는 일단이 커넥터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룸램프에 개별적으로 단일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 3 단자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에 따르면, 액츄에이터에 다이오드를 부가함으로써, 연동 기어의 리턴 속도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트렁크 폐쇄시 소음 저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의 소음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의 릴리즈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터미널부를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터미널부에 다이오드를 추가한 경우 소음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릴리즈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을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래치의 터미널부를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100)는 스트라이커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요입부(110a)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는 포크 레버(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 진출입시에 포크 레버(120)와 록킹 또는 언록킹 결합 되는 파울 레버(130)가 구비된다.
포크 레버(120)와 파울 레버(13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서 원할하게 작동 되도록 지지핀(122, 132)이 설치된다.
포크 레버(120)와 파울 레버(130) 사이에 양단이 연결 설치되어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40)과,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리모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액츄에이터(150)가 구비된다.
액츄에이터(150)는 액츄에이터 모터에 구비된 웜기어와, 웜기어와 치형 결합되어 파울 레버(130)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연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커넥터(160)의 내측에 위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액츄에이터(150)에 개별적으로 단일 극성의 전류가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1 단자(172)와, 일단이 커넥터(160)의 내측에 위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액츄에이터(150)와 룸램프(미도시)에 전류를 공급하되 제 1 및 제 3 단자(172, 176)와 다른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단자(174)와, 및 일단이 커넥터(160)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룸램프에 개별적으로 단일 극성의 전류가 공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3 단자(176)가 구비된 터미널부(170)가 구비된다.
커넥터(160)에 위치한 터미널부(170)의 제 1 및 제 3 단자(172, 176)에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인가된“+”전류가 연결되고, 제 2 단자(174)에는“-”전류가 연결된다.
또한, 액츄에이터(150)와 연결되는 제 1 단자(172)와 제 2 단자(174) 사이에는 트렁크 폐쇄시 소음 저감을 위한 저항 발생 수단(180)이 구비될 수 있다. 저항 발생 수단(180)은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저항 발생 수단(180)은 전류를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수단이라면, 공지된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트렁크 오픈 및 폐쇄시 작동을 살펴보면, 액츄에이터 모터에 전류가 인가되면 연동 기어가 작동되어 트렁크가 오픈된다. 한편, 트렁크 폐쇄시에는 모터로의 전류 공급이 차단된다. 이때, 제 1, 2 단자(172, 174)나 모터 내 회로에 잔류된 잔존 전류는 일시적으로 역류(逆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는 저항 발생 수단(180), 즉, 다이오드를 통해 역류되는 잔존 전류를 다시 모터 내로 흐르게 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잔존 전류의 역류에 의한 모터의 역방향 구동이 억제되어, 리턴 스프링의 복원력만으로 연동 기어가 복귀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연동 기어의 리턴 속도를 줄이고, 트렁크 폐쇄시의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부연하면, 회로 내의 잔존 전류가 역류(逆流)되는 경우, 모터가 일시적으로 역방향 구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역방향 구동이 리턴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에 더해져 연동 기어의 리턴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다이오드와 같은 저항 발생 수단(180)을 통해, 이러한 잔존 전류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연동 기어가 리턴 스프링만에 의해 복귀될 수 있으며, 연동 기어의 리턴 속도 또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터미널부에 다이오드를 추가한 경우 소음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을 나타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래치의 릴리즈 파형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트렁크 폐쇄시 기록된 소음 측정치이며, 이에 따르면, 액츄에이터(150)의 제 1 단자(172)와 제 2 단자(174) 사이에 저항 발생 수단(180)을 구비함으로써, 트렁크가 폐쇄시 평균적으로 55.5dB의 소음이 발생되며, 종래 기술에 비해 트렁크를 닫을 때 발생하는 소음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100)의 릴리즈 파형으로, 제 1 단자(172)와 제 2 단자(174) 사이에 저항 발생 수단(180)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트렁크 폐쇄시 발생하는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100)의 릴리즈 파형의 진동이 발생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100)에 따르면, 액츄에이터(150)와 연결되는 제 1 단자(172)와 제 2 단자(174) 사이에 저항 발생 수단(180)을 추가함으로써, 연동기어의 리턴 속도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트렁크 폐쇄시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중심으로 본 발명의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00 :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10a : 요입부 120 : 포크 레버
130 : 파울 레버 122, 132 : 지지핀
140 : 스프링 150 : 액츄에이터
160 : 커넥터 170 : 터미널부
172 : 제 1 단자 174 : 제 2 단자
176 : 제 3 단자 180 : 다이오드

Claims (3)

  1. 스트라이커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요입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리모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액츄에이터;
    일단이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액츄에이터에 개별적으로 단일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 1 단자, 및 일단이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액츄에이터에 상기 제 1 단자와 다른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단자가 구비되는 터미널부; 및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설치되는 저항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생 수단은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일단이 커넥터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룸램프에 개별적으로 단일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제 3 단자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
KR20130067551A 2013-06-13 2013-06-13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 KR10148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551A KR101480741B1 (ko) 2013-06-13 2013-06-13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551A KR101480741B1 (ko) 2013-06-13 2013-06-13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307A KR20140145307A (ko) 2014-12-23
KR101480741B1 true KR101480741B1 (ko) 2015-01-09

Family

ID=5258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551A KR101480741B1 (ko) 2013-06-13 2013-06-13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0108A1 (fr) * 2022-10-06 2024-04-10 Akwel Vigo Spain SL Procédé de gestion du bruit d'un agencement de serrure pour un ouvrant d'un véhicule automob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6776A (ja) * 1998-02-20 1999-08-31 Asmo Co Ltd 扉体の施解錠装置
KR200350510Y1 (ko) 2004-02-11 2004-05-17 주식회사 모아텍 전자식 도어 닫힘 방지 장치
KR100887844B1 (ko) 2008-03-31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드용 팝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6776A (ja) * 1998-02-20 1999-08-31 Asmo Co Ltd 扉体の施解錠装置
KR200350510Y1 (ko) 2004-02-11 2004-05-17 주식회사 모아텍 전자식 도어 닫힘 방지 장치
KR100887844B1 (ko) 2008-03-31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드용 팝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0108A1 (fr) * 2022-10-06 2024-04-10 Akwel Vigo Spain SL Procédé de gestion du bruit d'un agencement de serrure pour un ouvrant d'un véhicule automobile
FR3140642A1 (fr) * 2022-10-06 2024-04-12 Akwel Vigo Spain Sl Procédé de gestion du bruit d’un agencement de serrure pour un ouvrant d’un vé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307A (ko) 201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2636A (en) Locking device for trunk lids
US11035157B2 (en) Closure latch for vehicle door having bidirectional power release function
JP6613506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WO2013127382A3 (de) Kraftfahrzeugtürverschluss
JP4592066B2 (ja) 車両のトランクリッドラッチアセンブリ
CN107407110A (zh) 机动车用门闩装置
CN110219525A (zh) 用于车门的闭合闩锁组件及用于致动该闩锁组件的方法
JP2013136874A (ja) 開閉体の駆動装置
WO2006053553A3 (de)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11542730B2 (en) Closure latch assembly with a power release mechanism and motor control system
CN107250475A (zh) 机动车用门闩装置
JP2017212162A (ja) 車外給電装置
KR101480741B1 (ko) 트렁크 래치 어셈블리
WO2011121739A1 (ja) 電力共有装置及びモータ駆動システム
US8918249B2 (en) Dual function electronic control unit
CN113710864A (zh) 具有电力复位电路机构的闭合闩锁组件和用于复位的方法
KR100694448B1 (ko) 도어 래치의 디텐트 스위치 내장 구조
DE502005007277D1 (de) Kraftfahrzeug mit einer zentralverriegelung
JP3447528B2 (ja) 車両におけるスライドドアのロック装置
GB2278876A (en) Locking device for trunk lids
KR20070055161A (ko) 2단 잠김구조를 갖는 테일게이트 래치의 룸램프 스위치구조
JPWO2017130362A1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ATE449894T1 (de) Kraftfahrzeugtürverschluss
CN207847389U (zh) 一种车门控制机构和汽车
KR20070119860A (ko) 전자석 타입 수동해제장치를 갖춘 차량용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