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199B1 -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 - Google Patents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199B1
KR101480199B1 KR20090106802A KR20090106802A KR101480199B1 KR 101480199 B1 KR101480199 B1 KR 101480199B1 KR 20090106802 A KR20090106802 A KR 20090106802A KR 20090106802 A KR20090106802 A KR 20090106802A KR 101480199 B1 KR101480199 B1 KR 101480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turret
boring bar
accommodating portion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0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998A (ko
Inventor
여재민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9010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1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2Boring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는, 툴 포스트 바디(30)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측에 오목한 형상의 제1 수용부(202)가 형성된 제1 치공구 바디(200), 툴 포스트 바디(30)에서 선회되는 터릿(40)의 공구 설치위치에 설치되고 외측에 오목한 형상의 제2 수용부(212)가 형성된 제2 치공구 바디(210), 제1 치공구 바디(200)의 외측에 설치되고 제1 수용부(202)와 대응하도록 반원형의 제3 수용부(222)가 형성된 제1 치공구 커버(220) 및 제2 치공구 바디(210)의 외측에 설치되고 제2 수용부(212)와 대응하도록 반원형의 제4 수용부(232)가 형성된 제2 치공구 커버(230)를 포함한다.
보링 바, 치공구, 터릿, 수치제어 복합가공기, 공작기계

Description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 {Jig of Boring bar for turret}
본 발명은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에서 보링 바를 터릿에 장착하는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닝머신, 머시닝센터 등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에는 주축에 소재가 장착되고 터릿(turret)에 여러 가지 형태의 공구가 장착되며 회전하는 소재와 공구의 상대운동에 의해 소재가 절삭가공된다.
또한, 상술한 여러 가지 형태의 공구 중에는 절삭가공에는 소재의 내경을 가공하도록 하는 보링 바(Boring bar)가 있고, 가공의 깊이가 깊어질 때에는 롱(long) 타입의 보링 바가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롱 타입의 보링 바를 터릿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보링 바의 치공구가 이용될 수 있고 이를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치제어 복합가공기는 바디 프레임(10)의 상측에 복수 개의 횡방 가이드(12)가 형성되고, 그 횡방 가이드(12)에는 슬라이더(20)가 횡방으로 활주되도록 배치되며, 상술한 슬라이더(20)의 상측에는 종방 가이드(22)가 형성된다.
상술한 종방 가이드(22)에는 툴 포스트 바디(30)가 종방으로 활주되도록 배치되고, 그 툴 포스트 바디(30)에는 터릿(40)이 설치된다.
또한, 상술한 터릿(40)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공구가 장착될 수 있고, 내경가공을 위하여 단부에 절삭인서트(310) 또는 바이트가 배치되는 보링 바(300)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보링 바(300)의 길이가 긴 형식의 롱 타입의 보링 바(300)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치공구를 이용하게 된다.
상술한 치공구는 툴 포스트 바디(30)와 터릿(40)에 고정되는 치공구 바디(100)와 상술한 치공구 바디(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치공구 커버(110)로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치공구 바디(100)와 상술한 치공구 커버(110)의 사이에는 상술한 보링 바(300)가 수납되도록 반원 형상이 형성된다.
특히, 상술한 치공구 바디(100)는 일측이 툴 포스트 바디(30)에 고정되고 전방의 일부인 고정부(102)가 상술한 터릿(40)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터릿(40)에는 각각의 공구에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보링 바(300)의 한쪽에는 절삭유 라인(312)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술한 절삭유 라인(312)은 터릿(40)의 한쪽에 연결되어 절삭유를 공 급받아 절삭가공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절삭가공 영역에 절삭유가 분사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보링 바의 치공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릿(40)에서 절삭가공을 위해 선택된 공구는 특정한 위상에 위치하게 되고, 그 위상은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툴 포스트 바디(30)는 슬라이더(20)의 상측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활주되는 것이고, 상술한 위상은 터릿(40)의 선회 축선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보링 바(300)를 취급하기 위해서는 보링 바(300)를 아래에서 위쪽의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동작으로 취급하게 되고 이러한 작업은 쉽지 않으며 특히 작업자의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릿(40)에는 소정의 목적으로 갖고서 여러 가지 공구가 장착하는 것으로 보링 바(300)이외에 다른 공구를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터릿(40)에서 소망하는 공구가 가공위치의 위상 쪽으로 이동되도록 터릿(40)이 회전되어야 하지만, 치공구 바디(100)는 툴 포스트 바디(30)와 터릿(4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터릿(40)이 회전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치공구 커버(110)를 치공구 바디(100)에서 제거하면 보링 바(300)는 분리해 낼 수 있지만, 여전히 상술한 치공구 바디(100)는 툴 포스트 바디(30)와 터릿(40)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이다.
즉, 터릿(40)이 회전되기 위해서는 치공구 바디(100)까지 제거하여야 하는 노동력이 요구된다.
또한, 모든 공구는 위치가 정밀하게 정렬되어 있어야 하므로 보링 바(300)를 새로 장착할 때마다 정밀하게 정렬되는 위치를 점검하여야 하고 이로써 정렬시간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보링 바(300)의 치공구는 터릿(40)의 회전이 자유롭지 못하고, 보링 바(300)를 설치할 때마다 공구의 정렬을 실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보링 바(300)를 터릿(40)에 장착할 때에 아래서 위쪽방향으로 설치하므로 보링 바(300)의 무게를 견디면서 정렬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링 바를 터릿에 분리한 후에 터릿이 정상적으로 선회 작동되도록 하고, 보링 바를 터릿에 재장착할 때에 공구정렬을 하지 않더라도 정렬상태가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링 바의 재장착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는, 툴 포스트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측에 오목한 형상의 제1 수용부가 형성된 제1 치공구 바디; 상기 툴 포스트 바디에서 선회되는 터릿의 공구 설치위치에 설치되고 외측에 오목한 형상의 제2 수용부가 형성된 제2 치공구 바디; 상기 제1 치공구 바디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하도록 반원형의 제3 수용부가 형성된 제1 치공구 커버; 및 상기 제2 치공구 바디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수용부와 대응하도록 반원형의 제4 수용부가 형성된 제2 치공구 커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는 보링 바를 터릿에서 제거한 직후에 치공구를 제거하지 않고도 터릿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으므로 치공구의 취급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이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링 바의 치공구는 보링 바를 터릿에서 제거한 후에 재장착할 때에 치공구의 제1, 제2 치공구 바디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보링 바를 취한 직후에 제1, 제2 공구 커버를 씌우는 작업에 의해 보링 바의 장착이 완료되고, 제1, 제2 치공구 바디가 정렬이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보링 바는 별도의 정렬작업을 실시하지 않더라도 정렬되는 것인바, 보링 바를 재장착할 때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에서 치공구를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는 툴 포스트 바디(30)에 제1 치공구 바디(200)가 설치되고, 터릿(40)에 제2 치공구 바디(210)가 설치되며, 제1, 제2 치공구 바디(200)(210)의 외측에는 각각 제1, 제2 치공구 커버(220)(230)가 설치된다.
상술한 제1 치공구 바디(200)는 상하측에 플랜지(flange)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에 체결 홀이 형성되며, 체결홀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요소가 삽입되고 그 체결요소는 툴 포스트 바디(30)의 한쪽에 체결된다.
또한, 상술한 제1 치공구 바디(200)의 외측에는 오목한 형상의 제1 수용부(202)가 형성된다.
상술한 제2 치공구 바디(210)는 외측에 오목한 형상의 제2 수용부(21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고정부(214)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제2 치공구 바디(210)의 고정부(214)는 터릿(40)에서 일반적인 공구가 설치되는 위치에 볼트와 같은 체결요소로 체결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제1, 제2 치공구 커버(220)(230)는 각각 상술한 제1 수용부(202) 또는 제2 수용부(212)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오목한 형상의 제3, 제4 수용 부(222)(232)가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1 치공구 커버(220)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상술한 제1 치공구 커버(220)는 제2 치공구 커버(230)와 동일한 규격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한 종류의 치공구 커버를 여러 곳에 적용시킬 수 있어 구성품의 구비에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제2, 제3, 제4 수용부(202)(212)(222)(232)는 보링 바(300)의 외경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례로 보링 바(300)의 외형이 원기둥형태일 경우 상술한 제1, 제2, 제3, 제4 수용부(202)(212)(222)(232)의 단면형상은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치공구 바디(200)(210) 및 제1, 제2 치공구 커버(220)(230)가 결합되어 맞닿는 부분에는 각각 칼럼 부재(240)(242)(244)가 배치될 수 있고, 칼럼 부재(240)(242)(244)는 볼트 등에 의해 조임력이 가해질 때에 조임력의 일부를 흡수하여 구성요소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각 구성요소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보링 바(300)를 최초에 설치할 때에는 제1 치공구 바디(200)를 툴 포스트 바디(30)의 한쪽에 고정시키고, 제2 치공구 바디(210)는 터릿(40)의 공구장착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후, 터릿(40)은 제2 치공구 바디(210)가 가공을 위한 특정위치로 툴 포스 트 바디(30)에서 선회되어 제1 수용부(202)와 제2 수용부(212)가 일렬로 정렬되게 한다.
이후, 보링 바(300)를 상술한 제1, 제2 수용부(202)(212)에 배치하고, 보링 바(300)의 외측에서 제1, 제2 치공구 커버(220)(230)를 각각 제1, 제2 치공구 바디(200)(210)에 조립함과 아울러 공구원점 정렬을 실시한다.
다른 한편으로, 보링 바(300)의 절삭유 라인(312)은 터릿(40)에 연결되지 않고 툴 포스트 바디(30)에서 연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링 바(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보링 가공을 실시할 수 있고, 이후 보링 가공 이외에 다른 형태의 절삭가공을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보링 바(300)를 제거하게 된다.
보링 바(300)를 제거할 때에는 제1, 제2 치공구 바디(200)(210)에서 각각 제1, 제2 치공구 커버(220)(230)를 분해하여 보링 바(3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치공구 바디(200) 또는 제2 치공구 바디(210)를 제거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제2 치공구 바디(200)(210)가 제거되지 않더라도 제1 치공구 바디(200)와 제2 치공구 바디(210)가 떨어져 있으므로 터릿(40)은 선회가 가능하고, 이로써 소망하는 공구를 특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치공구 바디(200) 또는 제2 치공구 바디(210)가 툴 포스트 바디(30) 또는 터릿(40)에 고정된 상태에서 보링 바(300)를 재장착하고자 할 때에는 제2 치공구 바디(210)를 특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터릿(40)을 선회시킨 다음에 보링 바(300)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제1 치공구 바디(200) 또는 제2 치공구 바디(210)는 공구정렬이 이미 완료된 상태일 수 있으므로 보링 바(300)를 장착한 후에 별도로 공구정렬을 실시하지 않을 수 있고, 이로써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는 터릿과 툴 포스트 바디에 보링 바를 장착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에서 치공구를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디 프레임 12: 횡방 가이드
20: 슬라이더 22: 종방 가이드
30: 툴 포스트 바디 40: 터릿
100: 치공구 바디 102: 고정부
110: 치공구 커버
200: 제1 치공구 바디 202: 제1 수용부
210: 제2 치공구 바디 212: 제2 수용부
214: 고정부 220: 제1 치공구 커버
222: 제3 수용부 230: 제2 치공구 커버
232: 제4 수용부 240, 242, 244: 칼럼 부재
300: 보링 바(Boring bar) 310: 절삭유 라인

Claims (1)

  1. 툴 포스트 바디(30)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측에 오목한 형상의 제1 수용부(202)가 형성된 제1 치공구 바디(200);
    상기 툴 포스트 바디(30)에서 선회되는 터릿(40)의 공구 설치위치에 설치되고 외측에 오목한 형상의 제2 수용부(212)가 형성된 제2 치공구 바디(210);
    상기 제1 치공구 바디(200)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부(202)와 대응하도록 반원형의 제3 수용부(222)가 형성된 제1 치공구 커버(220); 및
    상기 제2 치공구 바디(210)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수용부(212)와 대응하도록 반원형의 제4 수용부(232)가 형성된 제2 치공구 커버(230);
    를 포함하는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
KR20090106802A 2009-11-06 2009-11-06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 KR101480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6802A KR101480199B1 (ko) 2009-11-06 2009-11-06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6802A KR101480199B1 (ko) 2009-11-06 2009-11-06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998A KR20110049998A (ko) 2011-05-13
KR101480199B1 true KR101480199B1 (ko) 2015-01-08

Family

ID=4436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06802A KR101480199B1 (ko) 2009-11-06 2009-11-06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1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707A (ko) * 2003-06-24 2005-01-06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롱-보링용 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707A (ko) * 2003-06-24 2005-01-06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롱-보링용 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998A (ko) 201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1038B1 (en) Machine tool and cover device for the machine tool
KR101098211B1 (ko) 다공정 복합가공장치
EP2671674B1 (en) Machine tool
KR20110042354A (ko) 머시닝 센터용 유니버셜 툴 마운팅 시스템
US20120060354A1 (en) Work Holding Devices
KR20120112126A (ko) 공작 기계와 공구 홀더
KR101324529B1 (ko) 선반척을 이용한 드릴용 공작물 고정베드
KR101812694B1 (ko) 크랭크 샤프트의 단면을 가공하기 위한 기계 및 방법
JP5313533B2 (ja) 工具用スピンドルとチャック用スピンドルのいずれも取り付け可能な主軸ユニット
EP3769883B1 (en) Lathe
KR20130119422A (ko) 크랭크 샤프트 밀링 머신
KR101480199B1 (ko) 터릿용 보링 바의 치공구
KR101892089B1 (ko) 밀폐형 로봇 주행용 이동 대차
KR101968296B1 (ko) 드릴 지그 장치
KR101016580B1 (ko) 공구 매거진
CN205362710U (zh) 车削均匀变径细长轴跟刀架
TWI815878B (zh) 工作機械
KR102142619B1 (ko) 선반 공구대의 모터기어 결합구조
KR20200056585A (ko) 머시닝센터의 자동공구교환장치
KR20090057679A (ko) 커넥팅 로드 디버링 복합 가공 장치
CN213003863U (zh) 一种机床配件加工用夹持座
CN205271410U (zh) 一种飞机座椅衬套加工装置
KR101576297B1 (ko) 터닝 센터용 보링 바 홀더 장치
KR101440845B1 (ko) 매거진드럼 가공용 지그
KR200467132Y1 (ko) 터릿에 설치되는 공구 홀더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