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036B1 - Mri장치에서 영상을 획득하고 화면 상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Mri장치에서 영상을 획득하고 화면 상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036B1
KR101480036B1 KR20130017661A KR20130017661A KR101480036B1 KR 101480036 B1 KR101480036 B1 KR 101480036B1 KR 20130017661 A KR20130017661 A KR 20130017661A KR 20130017661 A KR20130017661 A KR 20130017661A KR 101480036 B1 KR101480036 B1 KR 101480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pulse sequence
protocol
detected
m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9916A (ko
Inventor
오금용
이준기
김세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920,523 priority Critical patent/US9671482B2/en
Priority to EP13174675.2A priority patent/EP2721997B1/en
Priority to PCT/KR2013/005845 priority patent/WO2014061896A1/en
Priority to BR112015008790A priority patent/BR112015008790A2/pt
Priority to JP2013155358A priority patent/JP5774645B2/ja
Priority to CN201310355776.0A priority patent/CN103767706B/zh
Publication of KR20140049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036B1/ko
Priority to JP2015132454A priority patent/JP2015198958A/ja
Priority to US15/592,379 priority patent/US2017024208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36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including treatment, e.g., using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ablating, vent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7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363Use of fiducial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76/00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MRI 영상을 촬영하는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프로토콜의 진행을 제어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MRI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MRI장치에서 영상을 획득하고 화면 상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OBTAINING IMAGES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A SCREEN FROM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TO}
본 발명은,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장치가 영상을 획득하고, 화면 상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MRI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피검사자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MRI 장치가 프로토콜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된다.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은 원자핵을 자장에 노출시킨 후 공명을 통해 얻어지는 정보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원자핵의 공명이란 외부 자장에 의해 자화된 상태의 원자핵에 특정한 고주파를 입사시키면 낮은 에너지 상태의 원자핵이 고주파 에너지를 흡수하여 높은 에너지 상태로 여기되는 현상을 말한다. 원자핵은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공명주파수를 가지며 공명은 외부 자장의 강도에 영향을 받는다. 인체 내부에는 무수히 많은 원자핵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소 원자핵을 자기 공명 영상 촬영에 이용한다.
자기 공명 영상 장치는 비침습적이고(noninvasive), CT에 비하여 조직의 대조도(contrast)가 우수하며, 골조직에 의한 아티팩트(artifact)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기 공명 영상 장치는 대상체의 위치 변환 없이도 원하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단면을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여, 다른 화상 진단 장치와 함께 널리 이용된다.
한편, MRI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은, 결과적으로 MRI 영상에 모션 아티팩트(motion artifact)를 형성하게 된다. 모션 아티팩트는, 영상 상에서 밝은 노이즈로 나타나거나, 반복되는 농도의 불필요한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모션 아티팩트는 움직임이 많이 예상되는 환자 또는 어린 아이를 촬영하는 경우 빈번하게 나타난다.
종래의 MRI 장치의 방사선사는, 자기 공명 영상을 촬영하는 도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션 아티팩트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다. 즉, MRI 장치의 사용자는, 피검사자의 소정의 부위에 인가되는 펄스 시퀀스를 통해 MRI 영상이 획득되면, 영상을 확인하여 모션 아티팩트를 확인하고, 펄스 시퀀스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MRI 영상에 나타나는 모션 아티팩트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촬영 중에 감지되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따라 프로토콜 및/또는 펄스 시퀀스의 진행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고자 한다.
나아가,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됨으로써, MRI 장치의 사용자가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는 펄스 시퀀스 및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MRI 정보 제공 방법은, 피검사자의 소정의 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프로토콜(protocol)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움직임의 정도가 기결정된 임계값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움직임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출력하는 단계는, 그래픽, 텍스트,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출력하는 단계는,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마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표시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pulse sequence)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 및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되는 MRI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마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방법은, 프로토콜이 종료되면,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pulse sequence)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펄스 시퀀스의 목록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추출하는 단계는, 감지된 움직임이 임계값 이상인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추출하는 단계는,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마커가 표시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표시하는 단계는, 감지된 움직임이 임계값 이상인 펄스 시퀀스와 임계값 미만인 펄스 시퀀스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방법은, 종료된 프로토콜에 이어서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감지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된 MRI 영상들을 비교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영상들을 비교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기준 MRI 영상과 현재 획득된 MRI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영상들을 비교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현재 획득된 MRI 영상을 이전의 MRI 영상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영상들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MRI 영상에 나타나는 소정의 부위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영상들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MRI 영상들의 영상 특성 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감지하는 단계는, 자기 공명 영상 장치의 보어(bore), RF 코일, 및 피검사자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검사자를 관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감지하는 단계는, 압력 센서, 광 센서,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자기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방법은,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진행 중인 프로토콜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방법은,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이하로 변경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중단된 프로토콜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재개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처음부터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재개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촬영에 따라 MRI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된 지점으로부터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재개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촬영에 따라 MRI 영상의 생성이 완료된 지점으로부터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재개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움직임이 감지되어 중단된 지점으로부터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재개하는 단계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다음 차례의 펄스 시퀀스를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방법은,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된 MRI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출력하는 단계는, MRI 영상이 보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마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표시하는 단계는,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 및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되는 MRI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제2 마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MRI 장치는, 피검사자의 소정의 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프로토콜(protocol)의 진행하는 프로토콜 관리부;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움직임의 정도가 기결정된 임계값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움직임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MRI 정보 제공 방법은, 피검사자의 소정의 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프로토콜(protocol)을 진행하는 단계;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움직임의 정도가 기결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움직임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자기 공명 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MRI 장치의 구성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MRI 영상 획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MRI 영상 획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MRI 영상 획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MRI 영상 획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MRI 영상 획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MRI 장치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MRI 장치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감지된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마커를 표시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중단된 펄스 시퀀스를 재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중단된 펄스 시퀀스를 재개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은,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중단된 펄스 시퀀스의 목록을 출력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중단된 펄스 시퀀스와 MRI 영상이 자동 보정된 펄스 시퀀스의 목록을 구분하여 출력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복수 개의 MRI 영상 중에서,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된 MRI 영상에 마커를 표시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화면 상에 표시되는 마커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에 따라, 프로토콜의 진행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 부”, “…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자기 공명 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한 MRI 장치는(100), 프로토콜 관리부(110), 센서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MRI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다른 범용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RI 장치(100)는, 마그네트 시스템(magnet system) 내에 위치한 피검사자로부터 자기 공명 신호를 획득하여, MRI 영상을 생성한다. 피검사자는 크레들(cradle)에 위치하여 마그네트 시스템 내부로 이동하게 되며, 마그네트 시스템은, 보어(bore), 주자장 코일(shim coil), 경사 자계 코일(gradient coil), 및 RF 코일(RF coil)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마그네트 시스템은 외부 RF 신호가 차폐된 실드 룸(shield room) 내부에 위치하고, MRI 장치(100)의 사용자인 방사선사는 별도의 오퍼레이팅 룸(operating room)에서 마그네트 시스템을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MRI 장치(100)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MRI 영상을 통해 피검사자를 진단할 수 있다.
나아가, 획득된 MRI 영상은 의료 영상 정보 시스템(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통해 병원 내부의 서버 또는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MRI 장치(100)는 MRI 영상을 디컴(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물론, MRI 장치(100)는 내부에 포함되는 저장부(미도시)에 MRI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토콜 관리부(110)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프로토콜(protocol) 및 프로토콜이 포함하는 펄스 시퀀스(pulse sequence)를 설명한다. 펄스 시퀀스를 먼저 설명하면, 피검사자로부터 자기 공명 신호를 얻기 위해 마그네트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되는 소정의 RF 신호를 의미한다. 즉, 피검사자의 소정의 부위를 촬영하기 위해서 자기장이 인가되고, RF 신호가 피검사자에게 송출되는데, 펄스 시퀀스는, 촬영하고자 하는 부위 및 방향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 시간, 및 패턴을 갖는 RF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토콜은,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를 포함하며, 피검사자의 부위에 따라 구별되는 개념이다. 머리 프로토콜, 목 프로토콜, 허리 프로토콜 등을 예로 들면, 각각의 부위에 대한 프로토콜은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 프로토콜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머리 프로토콜은, 스카우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펄스 시퀀스, 피검사자의 가로축 방향 단면인 액시얼 뷰(axial view)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펄스 시퀀스, 및 해부학적 관찰을 위한 T1 강조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펄스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 프로토콜이 앞서 설명한 펄스 시퀀스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펄스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다.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피검사자를 촬영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진행을 관리한다. 즉,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피검사자의 소정 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시작하거나, 진행 중인 프로토콜을 중단(suspend)하거나, 중단된 프로토콜을 재개(resume)할 수 있다. 한편,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MRI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촬영 부위를 선택하는 외부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부위에 대한 프로토콜을 결정하고, 프로토콜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펄스 시퀀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은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를 포함하므로,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촬영하고자 하는 부위의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펄스 시퀀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펄스 시퀀스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의 진행을 제어하여, 어느 하나의 펄스 시퀀스를 시작하거나, 중단하거나, 재개할 수 있다.
또한,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프로토콜의 진행(즉, 펄스 시퀀스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 프로토콜을 중단할 수 있고,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프로토콜을 중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이하로 변경되거나, 외부 입력 신호에 의해서 중단된 프로토콜을 재개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몇몇의 펄스 시퀀스를 선택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즉,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펄스 시퀀스를 임의의 기준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추출하고,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진행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촬영을 위한 펄스 시퀀스의 순서 및 목록을 결정하고, 결정된 펄스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센서부(120)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즉, 센서부(120)는, MRI 영상의 촬영 중에(즉,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크레들(cradle) 상에 위치한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20)는 보어(bore) 내부에 마련된 적외선(infrared) 센서와 같은 광 센서, 크레들에서 피검사자의 위치 또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tilt) 센서 또는 압력 센서, 수신되는 RF 신호의 주파수 데이터를 이용하는 주파수 센서, 및 생성되는 MRI 영상을 분석하는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설명한 여러 가지 종류의 센서 이외에도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자이로(gyro) 센서, 및 자기장 센서 등 여러 가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0)는 센서뿐만 아니라 MRI 영상에 기초하여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센서부(120)는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된 복수 개의 MRI 영상들을 비교함으로써 영상 특성 값의 차이를 획득할 수 있고, 차이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를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중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MRI 영상에 모션 아티팩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센서부(120)는 생성된 MRI 영상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획득된 MRI 영상을 다른 영상들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20)는 현재 획득된 MRI 영상을 진행 중인 펄스 시퀀스의 기준 MRI 영상과 비교하거나, 진행 중인 펄스 시퀀스에서 이전에 획득된 MRI 영상과 비교할 수 있다. 기준 MRI 영상은,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된 복수 개의 MRI 영상들의 평균(average) 영상이거나,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된 복수 개의 MRI 영상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영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120)는 현재 생성된 MRI 영상에 대하여, 영상에 표시되는 객체의 경계 부근이 흐려지는 번짐(blurring)의 발생이나, MRI 영상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0)는 MRI 영상 상에 나타나는 피검사자의 촬영 부위를 비교하거나, 촬영 부위의 벡터 방향의 변화를 비교할 수도 있다.
즉, 센서부(120)는 MRI 영상의 밝기, 채도, 선명도, 경계선의 위치 등을 포함하는 영상 특성 값을 이전 촬영된 MRI 영상들과 비교함으로써 그 차이 값을 계산할 수 있고, 차이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모션 아티팩트라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고,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즉,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20)는 영상 특성 값의 차이가 임계값 미만이라면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센서부(120)는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피검사자를 직접 관찰하여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센서부(120)는 적외선 카메라, 초고속 카메라, 광시야각 카메라 등 다양한 종류의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대상체를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20)가 포함하는 촬영 장치는 MRI 장치(100)가 위치하는 실드 룸, 또는 MRI 장치(100)의 보어(bore) 내부에 마련되거나, RF 코일 및 피검사자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센서부(120)는, 촬영 장치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가 움직이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촬영 장치에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센서부(120)는, 움직임의 정도에 대한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센서부(120)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를 비교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20)는 MRI 장치(100)의 성능, 프로토콜의 종류, 및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펄스 시퀀스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센서부(120)는 프로토콜 마다 다른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고,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펄스 시퀀스 각각에 대하여 임계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센서부(120)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즉, 센서부(120)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진행 중인 프로토콜을 중단할 필요가 있을지를 결정하기 위해,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와 임계값을 비교하여, 감지된 움직임이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2,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다.
또한 센서부(120)가 MRI 영상들을 비교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센서부(120)는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와는 다른 기준을 갖는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임계값은 센서부(120)가 어떠한 방식으로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에게 피검사자의 촬영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MRI 장치(100)를 제어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생성된 MRI 영상을 MRI 장치(100)의 화면 상에 출력하거나, 출력되는 MRI 영상 상에 마커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그래픽/텍스트로 출력하는 등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종류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화면 상에 진행 중인 프로토콜 및 펄스 시퀀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촬영 중인 부위에 대한 진행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마우스(mouse), 키보드(keyboard), 키패드(keypad),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의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MRI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프로토콜 및 펄스 시퀀스를 중단하거나 재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상적으로 MRI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프로토콜 관리부(110), 센서부(1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피검사자의 움직임에 따라, 프로토콜 관리부(110)가 진행 중인 프로토콜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프로토콜 관리부(110)에서 중단된 프로토콜 및 펄스 시퀀스에 대한 정보가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MRI 장치(100)의 구성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MRI 장치(100)는, 도 1에서 설명한 프로토콜 관리부(110), 센서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및 제어부(140) 이외에도, 영상 획득부(150) 및 영상 재구성부(160)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관련된 MRI 장치(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시퀀스 관리 모듈(112) 및 시퀀스 추출 모듈(114)을 포함할 수 있다. 시퀀스 관리 모듈(112)은, 앞서 도 1에서 프로토콜 관리부(110)에 대해 설명한 내용과 같이, 프로토콜 및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펄스 시퀀스의 진행을 제어한다. 즉, 시퀀스 관리 모듈(112)은, 피검사자를 촬영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펄스 시퀀스 각각을 제어하여, RF 신호의 송출을 시작하거나, 중단하거나, 재개할 수 있다.
한편, 시퀀스 관리 모듈(112)이 진행하는 펄스 시퀀스의 순서 및 목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 관리부(11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피검사자의 촬영 부위에 대한 프로토콜 및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펄스 시퀀스를 결정하고, 시퀀스 관리 모듈(112)은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펄스 시퀀스 각각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시퀀스 관리 모듈(112)이 진행하는 펄스 시퀀스의 순서 및 목록은, 프로토콜 관리부(110)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력에 의해서도 결정될 수 있다.
시퀀스 추출 모듈(114)은,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펄스 시퀀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를 추출한다. 즉, 시퀀스 추출 모듈(114)은 소정의 기준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복수 개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하나 이상의 펄스 시퀀스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시퀀스 추출 모듈(114)이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는 목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펄스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펄스 시퀀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시퀀스 추출 모듈(114)이 추출하는 펄스 시퀀스 및 추출되는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펄스 시퀀스의 개수는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시퀀스 추출 모듈(114)은 외부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할 수도 있다.
시퀀스 추출 모듈(114)은 여러 가지 종류의 기준에 의해 펄스 시퀀스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펄스 시퀀스를 포함하는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시퀀스 추출 모듈(114)은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시퀀스 추출 모듈(114)은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도,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이상인 펄스 시퀀스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시퀀스 추출 모듈(114)은 화면 상에 표시된 마커를 기준으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할 수도 있다. 즉,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검출된 펄스 시퀀스에 마커가 표시되면, 시퀀스 추출 모듈(114)은 마커가 표시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여 별도의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시퀀스 추출 모듈(114)은 진행이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마커가 표시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할 뿐만 아니라, MRI 영상이 자동 보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마커가 표시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할 수도 있다.
센서부(120)는, 움직임 검출 모듈(122) 및 움직임 분석 모듈(124)을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 모듈(122)은 앞서 도 1에서 센서부(120)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즉, 움직임 검출 모듈(122)은 다양한 종류의 방법, 촬영 장치 및 센서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 검출 모듈(122)은, 도 1에서 센서부(120)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센서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두개 이상의 센서나 촬영 장치를 통해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움직임 검출 모듈(122)은 둘 이상의 MRI 영상들을 비교하여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움직임 분석 모듈(124)은, 피검사자의 움직임에 따라 프로토콜의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임계값을 결정한다. 또한, 움직임 분석 모듈(124)은, 움직임 검출 모듈(122)에 의해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를 임계값과 비교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MRI 영상의 촬영 중에 피검사자가 완벽하게 정지하는 것은 어렵다. 즉, 피검사자는 촬영 중에 무의식적으로 미세하게 움직일 뿐만 아니라, 피검사자의 신체적 특징, 질병 상태, 및 연령(특히, 아이들의 경우) 등에 따라 촬영 진행이 방해될만큼 움직일 수도 있다. 촬영 중에 감지된 움직임이 미세한 정도에 불과하여 MRI 영상에 미치는 영향이 무시 가능한 정도인 경우에는 문제되지 않는다. 즉, 미세한 움직임이 MRI 영상에 미치는 영향은, 획득된 자기 공명 신호를 통해 MRI 영상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영상을 보정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반면에, MRI 영상을 통해 피검사자를 진단할 수 없을 정도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즉, 모션 아티팩트가 발생한 경우), 모션 아티팩트가 제거된 새로운 이미지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움직임 분석 모듈(124)은, 피검사자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프로토콜의 진행을 제어하기 위하여, 소정의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움직임 분석 모듈(124)은, 움직임을 무시하고 영상 보정으로 처리할지(즉, 프로토콜을 계속하여 진행할지), 아니면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종료되면 촬영을 계속할지를(즉, 프로토콜을 중단할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움직임 분석 모듈(124)은 앞서 도 1에서 센서부(120)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MRI 장치(100)의 성능, 프로토콜의 종류, 및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펄스 시퀀스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움직임 분석 모듈(124)은 MRI 장치(100)의 영상 재구성 성능에 따라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고, 움직임 분석 모듈(124)은 프로토콜 및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각각의 펄스 시퀀스의 모션 아티팩트 발생 가능성에 따라서 임계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움직임 분석 모듈(124)은 감지된 피검사자의 움직임의 정도를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움직임의 정도는 움직임 검출 모듈(122)이 어떠한 방식으로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검출 모듈(122)이 크레들에 마련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는 경우, 임계값은 기울기 센서에서 검출되는 각도가 될 수 있다. 즉, 움직임 분석 모듈(124)은 감지된 각도와 임계값 각도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 감지된 각도가 임계값 각도보다 큰 경우,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프로토콜의 진행을 중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움직임 분석 모듈(124)은 임계값 각도를 1도로 결정하고,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1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감지된 각도가 임계값 각도보다 작다면, 프로토콜 관리부(110)는 프로토콜을 계속하여 진행하고, 영상 재구성 단계에서 MRI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기울기 센서의 각도에 대한 내용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임계값의 기준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에서는 기울기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움직임 검출 모듈(122)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음은, 앞서 도 1에서 센서부(120)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특성 값을 이용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움직임 분석 모듈(124)은 MRI 영상들 간의 영상 특성 값의 차이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으며, 비교 결과에 따라 움직임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입력부(132) 및 출력부(134)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32) 및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2)는, MRI 장치를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132)는, 앞서 도 1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마우스(mouse), 키보드(keyboard), 키패드(keypad),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을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32)가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은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부(134)는, 프로토콜의 진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및 프로토콜에 따라 획득된 MRI 영상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출력부(134)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134)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34)는, MRI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영상 출력부(134)는 MRI 신호를 처리하여 생성된 MRI 영상, 진행 중인 프로토콜 및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펄스 시퀀스에 대한 정보, 추출된 펄스 시퀀스의 목록, 및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마커 등, 피검사자의 촬영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출력부(134)가 화면에 표시하는 정보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영상 출력부(134)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프로토콜의 진행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영상 출력부(134)는 텍스트 데이터 및 그래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34)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영상 출력부(134)는 출력 수단 이외에도 입력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영상 출력부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또는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단인 동시에,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출력부(13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RI 장치(100)는, 그 구현 형태에 따라 영상 출력부(134)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34)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오디오 데이터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34)는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 및 프로토콜의 진행이나 종료를 나타내는 메시지 등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134)는 경고음이나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영상 획득부(150)는, 피검사자를 촬영하여 자기 공명 신호를 획득한다. 즉, 영상 획득부(150)는, 피검사자가 위치하는 보어(bore) 및 자기장과 RF 신호를 인가하는 코일(coil)을 포함하는 마그네트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50)는, 피검사자에 자기장을 인가하고, 소정의 펄스 시퀀스에 따라 RF 신호를 송출하여 생성되는 자기 공명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재구성부(160)는, MRI 영상을 생성한다. 즉, 영상 재구성부(160)는 영상 획득부(150)에서 획득한 자기 공명 신호를 처리하여 MRI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재구성부(160)는, MRI 영상을 생성하면서 소정의 기준 이하의 모션 아티팩트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센서부(120)가 기결정된 임계값 미만의 정도를 갖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검출한 경우, 영상 재구성부(160)는 모션 아티팩트가 제거된 MRI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영상 재구성부(160)가 MRI 영상을 보정한 결과는, MRI 장치(100)의 자기장의 세기와 MRI 장치(100)의 성능, 및 펄스 시퀀스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MRI 장치(100)가 포함하는 구성을 이용하여, MRI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및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8에서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MRI 장치(100), 프로토콜 관리부(110), 센서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제어부(140), 영상 획득부(150), 및 영상 재구성부(16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MRI 영상 획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MRI 장치(100)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즉,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한편, MRI 장치(100)는, 앞서 도 1에서 예로 든 여러 가지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MRI 장치(100)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를 판단한다. 즉, MRI 장치(100)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를 기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임계값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진행 중인 프로토콜 및 펄스 시퀀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MRI 장치(100)는 진행 중인 프로토콜을 선택적으로 중단한다. 즉, MRI 장치(100)는 단계 S22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진행 중인 프로토콜 및 펄스 시퀀스를 중단할 수 있다. MRI 장치(100)가 프로토콜을 선택적으로 중단한다는 것은, 단계 S220의 결과에 기초하여, 프로토콜을 계속하여 진행하거나 프로토콜의 진행을 중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MRI 장치(100)가 프로토콜을 선택적으로 중단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설명한다.
상술한 단계 S210 내지 단계 S230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피검사자의 촬영 중에 감지된 움직임에 따라 프로토콜을 선택적으로 중단함으로써, MRI 영상을 획득하여 확인한 뒤 재촬영 하는 데에 소모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즉, 임계값 이상의 정도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을 중단하여 모션 아티팩트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MRI 영상 획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단계 S210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225에서, MRI 장치(100)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가 기결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즉, MRI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단계 S220을 수행한다. 움직임 정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단계 S232로 진행하고, 움직임 정도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단계 S23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32에서, MRI 장치(100)는 진행 중인 프로토콜을 중단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중단한다. 즉, 단계 S232에서, MRI 장치(100)는 RF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추가적인 입력이나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단계 S232에서 두 번째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진행 중인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다음 차례 펄스 시퀀스의 시작을 중단할 수도 있다. 즉, 진행 중인 펄스 시퀀스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MRI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처럼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중단하지 않고 마무리 한다. 이어서, MRI 장치(100)는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다음 차례 펄스 시퀀스를 시작하지 않고, 추가적인 입력이나 조건의 만족을 대기할 수 있다.
단계 S232에 있어서, MRI 장치(100)가 프로토콜을 중단하는 두 가지 실시 예는,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가 RF 신호를 송출하는 방식 및 데이터 수집 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RF 신호가 피검사자의 소정의 부위에 대해 일정한 방향으로(예를 들어, 피검사자 머리의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송출되는 경우, MRI 장치(100)는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라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중단할 수 있다. 반면에, RF 신호가 피검사자의 소정의 부위에 대해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송출되는 경우(예를 들어, 소정의 부위에 대해 듬성듬성 송출되고, 사이 간격에 대해 이어서 송출되는 경우), MRI 장치(100)는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라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다음 펄스 시퀀스의 시작을 중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진행 중인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와 펄스 시퀀스에 대한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S232에서 진행 중인 프로토콜이 중단되면, MRI 장치(100)는 화면 상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소정의 제1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MRI 장치(100)의 사용자는 단계 S234에서 프로토콜이 재개되더라도 어떠한 펄스 시퀀스가 중단된 적이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마커를 표시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9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S234에서, MRI 장치(100)는 단계 S232에서 중단된 프로토콜을 재개한다. 즉, MRI 장치(100)는 RF 신호를 다시 송출하고 자기 공명 신호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이어서 수행한다. MRI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신호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면, 중단된 프로토콜을 재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도 5에서 설명한다.
단계 S236에서,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을 계속 진행한다. 즉, 움직임이 기결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 모션 아티팩트가 MRI 영상에 미치는 영향이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다. 따라서,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하여 진행한다. 즉, MRI 장치(100)는 피검사자가 무의식적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는 경우, 프로토콜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하여 촬영을 진행한다.
단계 S238에서, MRI 장치(100)는 획득된 MRI 영상을 보정한다. 즉, MRI 장치(100)는, 단계 S210에서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가 MRI 영상을 재촬영할 필요가 있을 정도가 아닌 경우이므로, MRI 영상을 획득하고 후처리(post-processing) 과정을 통해 보정할 수 있다. 한편, MRI 장치(100)는 소정의 움직임 보정 알고리즘(Motion Correction Algorithm)을 이용하여 MRI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RI 장치(100)는 자기 공명 신호를 획득하고, MRI 영상을 재구성(reconstruction) 하는 과정에서 MRI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MRI 장치의 화면 상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움직임은 감지되었으나 자동 보정으로 진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마커는, 단계 S232에서 설명한 제1 마커와 구별될 수 있다. 즉, MRI 장치(100)의 사용자는 제1 마커와 제2 마커를 통해서, 어떠한 펄스 시퀀스가 중단되었는지, 어떠한 펄스 시퀀스의 영상이 자동 보정되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도 4의 내용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프로토콜을 중단할지 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MRI 장치(100)는 재촬영이 불필요한 MRI 영상에 대해서는 프로토콜을 중단하지 않으므로, 모션 아티팩트가 발생하여 재촬영의 대상이 되는 MRI 영상을 결정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MRI 영상 획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4에서 설명한 단계 S234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232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단계 S240에서,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의 설정을 확인한다. 즉, 단계 S232에서 프로토콜이 중단되면,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을 재개하기에 앞서 소정의 설정 값을 확인한다. 즉,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의 재개에 대한 설정이 “자동”인지, “수동인지” 확인할 수 있다. 프로토콜이 “자동”으로 재개되는 경우, 단계 S242로 진행하고, 프로토콜이 “수동”으로 재개되는 경우, 단계 S248로 진행한다.
단계 S242에서, MRI 장치(100)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를 판단한다. 즉, MRI 장치(100)는 도 4의 단계 S210에서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를 계속하여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MRI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으로 감지된 움직임이 계속하여 존재하는지, 움직임의 정도가 증가하였는지, 감소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44에서,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로 감소된 경우, 단계 S246으로 진행하고, 움직임의 정도가 변화하지 않거나 증가한 경우, 단계 S242로 돌아간다. 단계 S244에서 설명한 임계값은, 도 4의 단계 S225에서 언급한 임계값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즉, 단계 S244에서, MRI 장치(100)는 움직임의 정도가 단계 S225에서 설명한 임계값 보다 작게 감소되면, 단계 S246으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MRI 장치(100)는 단계 S225의 임계값 보다 더 작은 정도의 움직임을 의미하는 제2 임계값을 기준으로 판단하여, 단계를 진행할 수도 있다.
단계 S246에서, MRI 장치(100)는 중단된 프로토콜을 재개한다. 즉, MRI 장치(100)는 단계 S244의 기준이 만족되면 중단된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재개한다. 다시 말해서, 단계 S242 내지 단계 S246에서, MRI 장치(100)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의 정도를 기준으로, 중단된 프로토콜을 자동으로 재개할 수 있다.
단계 S248에서, MRI 장치(100)는 감지된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즉, MRI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프로토콜이 중단되었다는 정보를, 화면 상에 그래픽 및 텍스트로 출력할 수 있고, 비프(beep) 음과 같은 경고 음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MRI 장치(100)의 사용자는, 프로토콜이 피검사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중단되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출력되면, 피검사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RI 장치(100)의 사용자는 마그네트 시스템의 스피커를 통해 움직이지 말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MRI 장치(100)는 중단된 프로토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즉, MRI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해소되어 프로토콜을 재개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MRI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 키보드 및 마우스를 통한 입력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입력을 통해 프로토콜을 재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52에서, MRI 장치(100)는 중단된 프로토콜을 재개한다. 즉, MRI 장치(100)는 단계 S250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중단된 프로토콜을 계속하여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248내지 단계 S252에서, MRI 장치(100)는 중단된 프로토콜을 수동적으로 재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46 및 단계 S252에서, MRI 장치(100)는 중단된 프로토콜을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지점에서 재개할 수 있다. 즉,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복수 개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어 중단된 펄스 시퀀스를 처음부터 재개할 수도 있고, 이미지 데이터가 마지막으로 획득되거나 MRI 영상이 마지막으로 생성된 지점부터 이어서 재개할 수도 있다. 또한, MRI 장치(100)는 중단된 펄스 시퀀스를 건너 뛰고 다음 차례의 펄스 시퀀스를 재개할 수도 있다. MRI 장치(100)가 프로토콜을 재개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12 및 도 13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MRI 장치(100)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프로토콜을 선택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 나아가, MRI 장치(100)는 중단된 프로토콜을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재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MRI 장치(100)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에 따라 프로토콜의 진행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으로 MRI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MRI 영상 획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310에서, MRI 장치(100)는 피검사자를 촬영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진행한다. 즉, MRI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를 포함하는 프로토콜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을 진행 하는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피검사자의 움직임에 따라 프로토콜의 진행을 제어하는 내용은,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마찬가지이다.
단계 S320에서, MRI 장치(100)는 움직임이 검출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한다. 즉, MRI 장치(100)는 단계 S310에서 진행된 프로토콜이 종료되면,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한다. 움직임이 검출된 펄스 시퀀스는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고, 복수 개가 될 수도 있다.
단계 S320에서, MRI 장치(100)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이상인 펄스 시퀀스를 추출할 수 있다. 즉, MRI 장치(100)는 움직임의 정도와 임계값과의 비교 판단 결과에 따라 진행이 중단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MRI 장치(100)는 화면 상에 표시된 마커를 기준으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할 수도 있다. 즉, MRI 장치(100)는 펄스 시퀀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 상의 영역에 표시된 제1 마커 또는 제2 마커를 기준으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할 수도 있다.
단계 S330에서, MRI 장치(100)는 추출된 펄스 시퀀스 목록을 화면 상에 표시한다. 즉,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목록으로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종료된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펄스 시퀀스의 목록과 추출된 펄스 시퀀스의 목록을 화면 상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움직임이 감지되어 추출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이상이고 진행이 중단된 펄스 시퀀스와,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미만이고 중단 없이 진행된 펄스 시퀀스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1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서 설명한 내용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진행된 프로토콜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별도로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어떠한 펄스 시퀀스를 다시 진행할 필요가 있는지 쉽게 확인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MRI 영상 획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6의 단계 S330 에서 화면 상에 펄스 시퀀스 목록을 표시한 이후의 단계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S340에서,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의 설정 값을 확인한다. 단계 S340에서 확인하는 프로토콜의 설정 값은, 도 5의 단계 S240의 설정 값과는 다른 설정 값이다. 즉, MRI 장치(100)는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재실행하기 위한 설정 값이 “자동”인지, “수동”인지 확인한다. 설정이 “자동”인 경우, 단계 S342로 진행하고, “수동”인 경우, 단계 S344로 진행한다.
단계 S342에서, MRI 장치(100)는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진행한다. 즉, MRI 장치(100)는 도 6의 단계 S310에서 종료된 프로토콜에 이어서,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자동적으로 진행하여 MRI 영상을 재촬영한다. 즉, MRI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정도를 갖는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목록을 다시 진행하여, 모션 아티팩트가 발생하지 않는 MRI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344에서, MRI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즉, MRI 장치(100)는 단계 S330에서 화면 상에 표시된 펄스 시퀀스 목록에 따라,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재촬영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프로토콜의 설정 값이 “수동”이므로, MRI 장치(100)는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진행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화면 상에 표시된 펄스 시퀀스 목록 중에서 몇몇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즉, MRI 장치(100)는 추출된 펄스 시퀀스 전부가 아니라 몇몇의 펄스 시퀀스 만을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46에서, MRI 장치(100)는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진행한다. 즉, 단계 S34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RI 장치(100)는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진행하여 MRI 영상을 다시 획득한다. 한편, 일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단계 S344에서 몇몇의 펄스 시퀀스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된 경우, 선택된 펄스 시퀀스만을 진행할 수도 있다.
단계 S348에서, MRI 장치(100)는 획득된 MRI 영상의 목록을 화면 상에 표시한다. 즉, MRI 장치(100)는 단계 S342 및 단계 S344에서 진행된 “추출된 펄스 시퀀스”에 따라 획득된 MRI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추출된 펄스 시퀀스에 의해 획득된 MRI 영상을, 단계 S310에서 종료된 프로토콜에서 획득된 MRI 영상과는 구별되는 별개의 목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내용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선택적으로 다시 진행하여, 모션 아티팩트가 없는 MRI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MRI 장치(100)는 전체 프로토콜을 전부 다시 진행할 필요 없이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만을 진행함으로써, 재촬영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함과 동시에 재촬영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MRI 장치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410에서,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단계 S410은, 도 3의 단계 S210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420에서, MRI 장치(100)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를 판단한다. 즉, MRI 장치(100)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를 기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임계값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진행 중인 프로토콜 및 펄스 시퀀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430에서, MRI 장치(100)는 제1 마커 또는 제2 마커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 즉, MRI 장치(100)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프로토콜이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MRI 장치(100)는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프로토콜이 중단되지 않고 MRI 영상이 보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마커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S430에서, MRI 장치(100)는 제1 마커 또는 제2 마커를 화면 상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가 표시되는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즉,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어떠한 펄스 시퀀스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MRI 장치(100)는 제1 마커 또는 제2 마커를 획득되는 MRI 영상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MRI 장치(100)는 중단된 프로토콜에 의한 MRI 영상 또는 보정된 MRI 영상 상에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도 8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 및 MRI 영상을 마커를 이용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펄스 시퀀스 및 MRI 영상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MRI 장치(100)의 사용자는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쉽게 확인하고, 재촬영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MRI 장치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510에서,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단계 S510은, 도 3의 단계 S210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획득된 MRI 영상에 발생하는 번짐(blurring)이나 노이즈에 기초하여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단계 S520에서, MRI 장치(100)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를 판단한다. 단계 S520에서 MRI 장치(100)는 도 8에서 설명한 단계 S420과 유사한 과정을 통해 판단하므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단계 S520에서의 임계값은 단계 S420의 임계값과는 다른 정도의 임계값이 될 수 있으며, 단계 S53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S530에서, MRI 장치(100)는 움직임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즉, MRI 장치(100)는 단계 S510에서 감지한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계 S520에서 움직임 정도를 임계값과 비교하여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RI 장치(100)는 피검사자의 움직임 정도가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단계 S530에서 움직임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피검사자의 움직임 정도가 임계값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MRI 장치(100)는 무시할 만한 정도의 움직임이라고 판단하여 아무런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움직임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기준이 되는 임계값은, 도 3 내지 도 8에서 상술한 임계값과는 다른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에 의하면, 임계값은 MRI 장치(100)가 프로토콜을 중단하거나 계속하여 진행하는 기준이 되는 움직임 정도를 의미하였다. 다만, 임계값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이나 시스템 내부적인 알고리즘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값이며, 일 실시 예에 의한 임계값은 감지된 움직임이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움직임인지를 결정하는, 즉 재촬영할 필요가 없는 정도의 움직임인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MRI 장치(100)는 단계 S520에서 움직임 정도가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프로토콜을 중단하는지 여부와는 관계 없이 단계 S530에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과는 달리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의 중단 없이 단순히 사용자에게 움직임 발생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물론, 일 실시 예에 의한 MRI 장치(100)는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에 대해 움직임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1 마커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해 펄스 시퀀스가 표시되는 영역이나 MRI 영상 상에 표시되는 마커는,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마커와는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제1 마커는 움직임이 감지되어 프로토콜이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마커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 마커는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마커일 수 있다. 즉, “제1 마커” 또는 “제2 마커”라는 용어는 단순히 마커들의 순서, 마커들이 의미하는 내용 등을 구별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움직임 정도가 임계값 미만이라고 판단한 경우, MRI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아무런 정보를 출력하지 않으며, 도 4의 단계 S236 및 단계 S238과 같이 MRI 영상을 보정 할 수도 있다. MRI 장치(100)가 MRI 영상을 보정한 경우에 제2 마커를 표시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단계 S530에서 움직임 발생 정보를 출력하고,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고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의 종료 이후에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자동적으로 진행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진행할 수 있다.
한편, MRI 장치(100)는 그래픽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술한 움직임 발생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RI 장치(100)는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팝업(pop-up) 창에 표시되는 텍스트 또는 그래픽 데이터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경고음이나 미리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0은,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MRI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거나, 촬영 장치를 이용하거나, MRI 영상들을 비교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0a에서, MRI 장치(100)는 보어(810) 내부로 이동하는 크레들(820)에 위치한 피검사자(830)를 촬영하는 프로토콜을 진행한다. 한편, 실드 룸(800) 내부에 위치한 촬영 장치(840)는,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830)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어서, MRI 장치(100)의 센서부(120)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피검사자가 촬영 중에 움직이는지 감지할 수 있다.
한편, MRI 장치(100)의 센서부(120)는 촬영 장치(840)로부터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피검사자(83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반면, MRI 장치(100)는 사용자가 피검사자(830)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0b에서, 보어(810) 내부에 위치한 촬영 장치(850)는 도 10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83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한편,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촬영 장치(840, 850)는 적외선 센서 등의 광센서로 대체될 수 있으며, 도 1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센서가 활용될 수 있다.
도 10c에서, 촬영 장치(860)는 피검사자(830)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도 10c에서는 촬영 장치(860)가 피검사자(830)를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보어(810) 내부를 관찰한다. 보어(810) 내부 영상을 구별할 수 있는 표식 등이 존재하는 경우, MRI 장치(100)는 촬영 장치(860)가 획득한 보어(810) 내부의 영상을 분석하여 피검사자가 움직이는지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피검사자(830)에 부착된 촬영 장치(860)는 피검사자(83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는 보어(810) 내부 영상에 흔들림이나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c에 도시된 실시 예에 더하여, 촬영 장치(860)는 RF 코일에 부착되어 보어(810) 내부를 촬영할 수도 있다.
도 11은,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감지된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마커를 표시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MRI 장치(100)가 화면 상에 표시하는 프로토콜 및 펄스 시퀀스에 대한 정보를 도시한다. 도 11a에서, MRI 장치(100)는 뇌 프로토콜(brain protocol)에 포함되는 8개의 펄스 시퀀스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 도 11a에 도시된 8개의 펄스 시퀀스는, 피검사자의 구체적인 부위, 촬영 방향, 및 촬영 방식을 나타내는 각각의 파라미터(parameter)를 통해 화면 상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MRI 장치(100)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펄스 시퀀스를 특정하는 파라미터인 “Preview Scan” 및 “t2_haste_tra_8mm free br” 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1a에서 MRI 장치(100)는 두 번째 펄스 시퀀스의 진행 중에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마커(910)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 즉, 두 번째 펄스 시퀀스의 파라미터 왼쪽에 표시된 마커(910)는, 펄스 시퀀스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펄스 시퀀스가 중단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마커(910)는 프로토콜 및 펄스 시퀀스가 중단되었다는 의미 이외에, 임계값 이상의 정도인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도 11a에서, MRI 장치(100)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펄스 시퀀스의 진행을 종료하고 세 번째 펄스 시퀀스의 진행 중에 움직임이 감지되어 프로토콜이 중단된 상황을 도시한다. 즉, 첫 번째, 두 번째 펄스 시퀀스와는 달리, 세 번째 펄스 시퀀스가 표시된 영역은 어둡게 표시되는 영역과 밝게 표시되는 영역이 구분되어 있다. 즉, MRI 장치(100)는 세 번째 펄스 시퀀스가 진행됨에 따라 도 11a에 도시된 화면의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어둡게 표시되는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고, 도 11a는 세 번째 펄스 시퀀스의 진행이 약 80% 완료된 지점에서 피검사자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를 도시한다. 밝게 표시된 네 번째 내지 여덟 번째 펄스 시퀀스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한편, MRI 장치(100)가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MRI 장치(100)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b에서, MRI 장치(100)는, 감지된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화면 상에 이미지와 텍스트를 이용하여 출력한다. 즉, 도 11b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이 중단된 경우에 대한 설정 값이 “자동”인 경우,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MRI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시퀀스를 재개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중단된 프로토콜을 재개할 수 있다. 한편, MRI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시퀀스를 재개하는 입력뿐만 아니라, 시퀀스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거나, 중단된 프로토콜을 건너뛰고(skip), 다음 시퀀스부터 시작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1c에서, MRI 장치(100)는 감지된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한다. 즉, MRI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경고 음 등의 알림 메시지를 음향 신호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RI 장치(100)는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중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다음 차례 펄스 시퀀스를 중단할 수도 있다. 즉, 도 11a에 도시된 세 번째 펄스 시퀀스의 진행 중에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MRI 장치(100)는 세 번째 펄스 시퀀스를 계속하여 진행한 뒤 네 번째 펄스 시퀀스의 시작을 대기할 수도 있다.
도 12는, 중단된 펄스 시퀀스를 재개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된 4개의 바(bar)는, 각각 펄스 시퀀스를 나타낸다. 또한, 도 12a의 화살표 900은 펄스 시퀀스의 진행 방향이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임을 의미한다.
먼저, 도 12a에서,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위치 901에서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프로토콜을 중단한다. MRI 장치(100)가 움직임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중단된 프로토콜을 재개하는 경우, MRI 장치(100)는 중단된 펄스 시퀀스를 처음부터 재촬영할 수 있다.
즉, 도 12a에서, 피검사자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는 펄스 시퀀스가 모두 종료되어야 획득된다. 이에 따라, MRI 장치(100)는 펄스 시퀀스가 진행되는 도중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펄스 시퀀스를 처음부터 재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b에서, MRI 장치(100)는 펄스 시퀀스의 진행 중에 위치 902에서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프로토콜을(즉, 펄스 시퀀스를) 중단한다. MRI 장치(100)는 중단된 펄스 시퀀스를 처음이 아닌 중간부터 재개할 수 있다.
즉, 도 12b에서는 4개의 블록(block)으로 구성되는 펄스 시퀀스를 도시하며, 피검사자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펄스 시퀀스의 진행에 따라 각각의 블록에서 총 4번 획득된다. MRI 장치(100)는 위치 902에서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MRI 영상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된 지점으로부터 중단된 펄스 시퀀스를 재개할 수 있다. 즉, MRI 장치(100)는 펄스 시퀀스가 중단되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영상 데이터가 획득된 지점부터 펄스 시퀀스를 재개할 수 있다.
도 12c에서, MRI 장치(100)는 도 12b와 마찬가지로 4번에 걸쳐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며, 영상 데이터를 한번 획득하는 도중에 2번의 MRI 영상을 생성한다. 즉, MRI 장치(100)는 도 12c의 펄스 시퀀스를 통해 총 8장의 MRI 영상을 생성한다.
위치 903에서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MRI 장치(100)는 중단된 펄스 시퀀스를 마지막으로 MRI 영상이 생성된 지점으로부터 재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2d에서, MRI 장치(100)는 펄스 시퀀스를 통해 복수 개의 MRI 영상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위치 904에서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MRI 장치(100)는 움직임이 감지된 MRI 영상은 생략하고, 다음 차례의 MRI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펄스 시퀀스를 재개할 수 있다.
즉, 도 12d에서 MRI 장치(100)는 펄스 시퀀스의 위치 904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위치 904에서 이어서 펄스 시퀀스를 재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904에 해당하는 MRI 영상은 모션 아티팩트가 발생하거나 불완전할 수 있으나, MRI 장치(100)는 복수 개의 MRI 영상으로부터 다른 완전한 MRI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하여, MRI 장치(100)는 펄스 시퀀스 및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 프로토콜을 재개하는 방법 및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즉, MRI 장치(100)는 진행 중인 프로토콜 및 펄스 시퀀스가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MRI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 순차적인(series) 방법인지 병렬적인(parallel) 방법인지를 미리 알 수 있고, 그에 맞추어 중단된 프로토콜 및 펄스 시퀀스를 재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와 같이 병렬적으로 피검사자를 촬영하여 한번에 영상 데이터가 획득되는 경우, MRI 장치(100)는 중단된 펄스 시퀀스를 처음부터 촬영할 수 있다.
한편, MRI 장치(100)는 도 12에서 설명한 방법 이외에도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을 통해 펄스 시퀀스를 중단하고 재개할 수 있다. 즉, MRI 장치(100)가 펄스 시퀀스를 진행하는 과정은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중단된 펄스 시퀀스를 재개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블록(905)은 프로토콜을 나타내며, 블록(905)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바(906)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를 각각 나타낸다.
도 13a에서, MRI 장치(100)는 세 번째 펄스 시퀀스의 진행 중에 위치 907에서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MRI 장치(100)는, 도 12a 내지 도 12d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세 번째 펄스 시퀀스를 다시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도 13b에서, MRI 장치(100)는 세 번째 펄스 시퀀스의 위치 908에서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도 13a와는 달리, MRI 장치(100)는 움직임이 감지된 세 번째 펄스 시퀀스를 생략하고, 네 번째 펄스 시퀀스를 시작할 수 있다. 한편, MRI 장치(100)는 움직임이 감지된 세 번째 펄스 시퀀스를, 프로토콜의 종료 후에 이어서(909) 진행할 수 있으며,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세 번째 펄스 시퀀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3b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 14 및 도 15에서 설명한다.
도 14은,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중단된 펄스 시퀀스의 목록을 출력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에서, MRI 장치(100)는 화면 상에 뇌 프로토콜에 포함된 여덟 개의 펄스 시퀀스를 모두 어둡게 표시하여, 여덟 개의 펄스 시퀀스가 모두 진행되었음을 표시한다. 한편, MRI 장치(100)가 두 번째, 네 번째, 및 여섯 번째 펄스 시퀀스에 표시하는 마커(910)는, 각각의 펄스 시퀀스의 진행 중에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펄스 시퀀스가 중단되었음을 나타낸다.
도 14b에서, MRI 장치(100)는 여덟 개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임계값 이상의 정도를 갖는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다. 즉,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여덟 개의 펄스 시퀀스로부터 두 번째, 네 번째, 및 여섯 번째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고, 추출된 펄스 시퀀스의 목록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b에서, MRI 장치(100)는 각각의 펄스 시퀀스 마다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를 기준으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할 수 있는 반면, 마커(910)가 표시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MRI 장치(100)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화면 상에 출력하고,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진행할 수 있다. 즉, MRI 장치(100)는 추출된 펄스 시퀀스에 대한 설정 값이 “자동”인 경우,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화면 상에 출력하고, 이어서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다시 진행하여 MRI 영상을 새롭게 획득할 수 있다. 반면에, 설정 값이 “수동”인 경우, MRI 장치(100)는 화면 상에 펄스 시퀀스를 출력하고 대기하면서,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진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MRI 장치(100)는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진행하거나, 무시하고 프로토콜을 종료하거나, 추출된 펄스 시퀀스 중 몇몇을 선택하여 진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15는,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중단된 펄스 시퀀스와 MRI 영상이 자동 보정된 펄스 시퀀스의 목록을 구분하여 출력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에서, MRI 장치(100)는 일곱 번째 펄스 시퀀스의 진행 중에 임계값 이하의 움직임을 감지되었음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 즉, 두 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 펄스 시퀀스에 표시된 검은 테두리의 마커(914)는, 펄스 시퀀스의 진행 중에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펄스 시퀀스가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마커인 반면, 일곱 번째 펄스 시퀀스에 표시된 흰 테두리의 마커(920)는, 임계값 미만의 정도인 움직임이 감지되어 펄스 시퀀스가 중단되지 않고 이미지가 자동 보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마커가 될 수 있다.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은 테두리의 마커(914)는 펄스 시퀀스의 중단을 의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흰 테두리의 마커(920)는 무시할 수 있을 만한 정도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15a에서, 제1 마커 및 제2 마커는 각각 색깔로 구분되어 표시되었으나, 두 가지의 마커는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즉, MRI 장치(100)는 마커의 색깔, 형태, 크기 및 투명도 등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이용하여, 두 가지 종류의 마커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도 9 내지 도 15에 도시된 마커는 감지된 움직임을 표시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MRI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표현 방식을 이용하여 마커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RI 장치(100)는 임의의 모양을 갖는 마커를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면 상에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가 표시되는 영역의 색깔을 다른 영역과 구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즉, MRI 장치(100)는 추가적인 마커를 표시하지 않더라도,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시각적으로 구별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5b에서 MRI 장치(100)는 화면 상에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목록을 추출하여 표시한다. 도 15b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하면, 도 14b와는 달리, MRI 장치(100)는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이상인 두 번째, 네 번째, 및 여섯 번째 펄스 시퀀스 이외에도,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미만인 일곱 번째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MRI 장치(100)는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이상인 펄스 시퀀스와 임계값 미만인 펄스 시퀀스를 구분하여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출된 프로토콜의 설정 값이 “수동”인 경우, MRI 장치(100)의 사용자는 임계값 미만의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 다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추출된 프로토콜에 대한 설정 값이 “자동”인 경우, MRI 장치(100)는 두 가지 종류의 펄스 시퀀스를 화면 상에 모두 출력하고, 진행 중에 중단된 펄스 시퀀스에 대해서만 진행할 수도 있고, 이미지가 보정된 펄스 시퀀스에 대해서도 함께 다시 진행할 수도 있다. 즉, MRI 장치(100)는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 모두를 다시 진행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복수 개의 MRI 영상 중에서,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된 MRI 영상에 마커를 표시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15개의 영상은 피검사자의 머리를 사지탈 뷰(sagittal view)에서 촬영한 MRI 영상이다. 한편, MRI 장치(100)는 펄스 시퀀스 마다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하나의 펄스 시퀀스에 대해 10개 이상 20개 이하의 MRI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검은 테두리의 마커(930)는, 펄스 시퀀스의 진행 중에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거나, 움직임으로 인하여 촬영이 중단 및 재개된 영상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흰 테두리의 마커(940)는 임계값 미만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자동 보정된 MRI 영상임을 나타낸다.
즉, MRI 장치(100)는, 화면 상에 표시된 MRI 영상의 목록에,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MRI 영상을 마커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MRI 장치(100)는 여러 가지 종류의 마커를 이용하여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MRI 영상이 어떻게 처리되었는지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MRI 장치(100)의 사용자는 획득된 MRI 영상 중에서 어떠한 영상을 다시 촬영할 필요가 있는지, 또는 자동 보정 알고리즘에 따라 보정된 영상이 충분히 판독 가능한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도 16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획득된 MRI 영상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영상만을 별도의 목록으로 추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도 15에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한 것과 유사하게, MRI 장치(100)는 복수 개의 MRI 영상 중에서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된 MRI 영상, 및/또는 보정된 MRI 영상을 추출하고,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MRI 장치(100)의 사용자는 움직임이 감지된 MRI 영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6에 도시된 두 가지 종류의 마커는 단순한 실시 예에 불과하며, 여러 가지 다른 종류의 마커 및 표시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RI 장치(100)는 화면 상에 표시된 MRI 영상 중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영상을 깜빡이거나 영상의 테두리에 시각적인 효과 (예를 들어, 테두리를 굵게 표시하거나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7은, 화면 상에 표시되는 마커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도 16에서 설명한 마커에 대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4개의 사각형은 각각 MRI 영상을 나타낸다. 도 17에서는 MRI 영상에 대한 GUI 실시 예만을 도시하고 설명하나,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시퀀스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MRI 장치(100)는 이상에서 예로 들어 설명한 내용과 같이, 영상 1050의 일부 영역에 소정의 형태에 따른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MRI 장치(100)는 영상 1060의 색상이나 명암 등을 변경하여, 영상 1060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다른 MRI 영상과 구별되게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MRI 장치(100)는 영상 1060을 점멸(blink)시켜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표시할 수도 있다.
MRI 장치(100)는 영상 1070과 같이 MRI 영상의 테두리에 시각적인 효과를 부가할 수 있으며, 영상 1080과 같이 MRI 영상 상에 텍스트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7에서 설명한 내용은, MRI 장치(100)가 마커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 및 펄스 시퀀스의 진행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화면(1000) 상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8에서는 MRI 장치(100)가 팝업 창(1005)을 이용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정보를 출력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다.
한편, 도 18에서는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가 도 9에서 설명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를 설명한다. 즉, MRI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센서나 MRI 영상들의 영상 특성 값을 비교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임계값 이상임이 결정되면, 프로토콜의 진행과는 무관하게 움직임 발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토콜이 종료되고 사용자가 MRI 영상을 확인하고 재촬영을 선택하면, MRI 장치(100)는 움직임이 발생한 펄스 시퀀스를 다시 촬영할 수도 있고, MRI 장치(100)는 자동적으로 재촬영을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내용은, 움직임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의 일 예에 불과하며, MRI 장치(100)는 다양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움직임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MRI 장치(100)는 “움직임이 감지되어 재촬영합니다” 또는 “마커가 표시된 영상을 확인하고, 재촬영 여부를 선택해주세요” 와 같은 다양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MRI 장치(100)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시된 그래픽 또는 텍스트 메시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9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에 따라, 프로토콜의 진행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MRI 장치(100)는, 화면(1000) 상에 팝업 창(1010)을 표시함으로써, 알림 메시지를 출력한다. MRI 장치(100)는 팝업 창(1010)과 함께 경고음이나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음은 앞서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피검사자의 움직임의 정도가 임계값 미만으로 감지된 경우를 도시한다. 즉, MRI 장치(100)는 프로토콜을 중단하지 않고, 획득되는 MRI 영상을 보정하도록 프로토콜의 진행을 제어한다.
MRI 장치(100)는, 펄스 시퀀스가 표시되는 영역이나 MRI 영상 상에 마커를 표시하는 과정 이외에, 감지된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RI 장치(100)는 그래픽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프로토콜의 진행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팝업 창(1010)은 출력되는 알림 메시지를 도시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MRI 장치(100)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그래픽, 텍스트,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확인 입력(“확인” 버튼을 터치 또는 클릭하는 등)에 따라 중단된 프로토콜을 진행할 수 있다. 프로토콜이 중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MRI 장치(100)는 확인 입력에 따라 알림 메시지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에 의하면, MRI 장치(100)는 MRI 촬영 중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 프로토콜 및/또는 펄스 시퀀스의 진행을 제어함으로써, 획득되는 MRI 영상에 나타나는 모션 아티팩트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MRI 장치(100)는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 사용자가 움직임 발생에 대한 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피검사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 및 이미지에 마커를 표시함으로써, MRI 장치의 사용자가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는 펄스 시퀀스 및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만을 추출하여 진행함으로써, MRI 장치의 사용자는 모션 아티팩트가 발생한 펄스 시퀀스의 리스트를 쉽게 구성할 수 있게 되며, 재촬영에 소요되는 시간을 쉽게 예측할 수 있게 되어, 피검사자를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 예 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9)

  1. 자기 공명 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장치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소정의 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를 포함하는 프로토콜(protocol)의 진행 중에, 상기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의 정도가 기결정된 임계값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상기 움직임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 상기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그래픽, 텍스트,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의 정도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마커를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pulse sequence)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상기 제1 마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토콜이 종료되면,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pulse sequence)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펄스 시퀀스의 목록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움직임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마커가 표시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움직임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펄스 시퀀스와 상기 임계값 미만인 펄스 시퀀스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종료된 프로토콜에 이어서 상기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된 MRI 영상들을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RI 영상들을 비교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기준 MRI 영상과 현재 획득된 MRI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RI 영상들을 비교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현재 획득된 MRI 영상을 이전의 MRI 영상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RI 영상들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MRI 영상에 나타나는 상기 소정의 부위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RI 영상들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MRI 영상들의 영상 특성 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자기 공명 영상 장치의 보어(bore), RF 코일, 및 상기 피검사자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사자를 관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압력 센서, 광 센서,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자기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움직임의 정도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상기 진행 중인 프로토콜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가 상기 임계값 이하로 변경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중단된 프로토콜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처음부터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상기 촬영에 따라 MRI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된 지점으로부터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상기 촬영에 따라 MRI 영상의 생성이 완료된 지점으로부터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어 중단된 지점으로부터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다음 차례의 펄스 시퀀스를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움직임의 정도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된 MRI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MRI 영상이 보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마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상기 제2 마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28. 정보를 제공하는 자기 공명 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장치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소정의 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를 포함하는 프로토콜(protocol)의 진행하는 프로토콜 관리부;
    상기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상기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움직임의 정도가 기결정된 임계값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상기 움직임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 상기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MRI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그래픽, 텍스트,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움직임의 정도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마커를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pulse sequence)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상기 제1 마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프로토콜이 종료되면,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pulse sequence)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추출된 펄스 시퀀스의 목록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감지된 움직임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마커가 표시된 펄스 시퀀스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감지된 움직임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펄스 시퀀스와 상기 임계값 미만인 펄스 시퀀스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종료된 프로토콜에 이어서 상기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MRI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펄스 시퀀스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된 MRI 영상들을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기준 MRI 영상과 현재 획득된 MRI 영상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현재 획득된 MRI 영상을 이전의 MRI 영상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MRI 영상에 나타나는 상기 소정의 부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MRI 영상들의 영상 특성 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자기 공명 영상 장치의 보어(bore), RF 코일, 및 상기 피검사자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사자를 관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압력 센서, 광 센서,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자기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움직임의 정도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상기 진행 중인 프로토콜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MRI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감지된 움직임의 정도가 상기 임계값 이하로 변경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중단된 프로토콜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처음부터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상기 촬영에 따라 MRI 데이터의 획득이 완료된 지점으로부터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상기 촬영에 따라 MRI 영상의 생성이 완료된 지점으로부터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5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어 중단된 지점으로부터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51.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관리부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펄스 시퀀스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의 다음 차례의 펄스 시퀀스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5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MRI 장치는, 상기 움직임의 정도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에서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된 MRI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 재구성부를 더 포함하는 MRI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MRI 영상이 보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마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상기 제2 마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장치.
  55.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56. 의료용 장치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소정 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를 포함하는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상기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의 정도가 기결정된 임계값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상기 움직임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 상기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되는 MRI 영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57.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용 장치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소정의 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를 포함하는 프로토콜(protocol)의 진행하는 프로토콜 관리부;
    상기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상기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움직임의 정도가 기결정된 임계값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상기 움직임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 상기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되는 MRI 영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의료용 장치.
  58. 제56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59. 자기 공명 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장치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소정의 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를 포함하는 프로토콜(protocol)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프로토콜의 진행 중에, 상기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의 정도가 기결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 중 상기 임계값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된 펄스 시퀀스를 통해 획득되는 MRI 영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제공 방법.
KR20130017661A 2012-10-18 2013-02-19 Mri장치에서 영상을 획득하고 화면 상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480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20,523 US9671482B2 (en) 2012-10-18 2013-06-18 Method of obtaining image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screen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EP13174675.2A EP2721997B1 (en) 2012-10-18 2013-07-02 Method of obtaining image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screen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PCT/KR2013/005845 WO2014061896A1 (en) 2012-10-18 2013-07-02 Method of obtaining image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screen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BR112015008790A BR112015008790A2 (pt) 2012-10-18 2013-07-02 método de obtenção de imagem e fornecimento de informações em tela de aparelho de imageamento de ressonância magnética e aparelho da mesma
JP2013155358A JP5774645B2 (ja) 2012-10-18 2013-07-26 Mri装置で映像を獲得して画面上に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CN201310355776.0A CN103767706B (zh) 2012-10-18 2013-08-15 磁共振成像方法和磁共振成像设备
JP2015132454A JP2015198958A (ja) 2012-10-18 2015-07-01 Mri装置で映像を獲得して画面上に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US15/592,379 US20170242088A1 (en) 2012-10-18 2017-05-11 Method of obtaining image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screen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6072 2012-10-18
KR1020120116072 2012-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916A KR20140049916A (ko) 2014-04-28
KR101480036B1 true KR101480036B1 (ko) 2015-01-07

Family

ID=5065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7661A KR101480036B1 (ko) 2012-10-18 2013-02-19 Mri장치에서 영상을 획득하고 화면 상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5774645B2 (ko)
KR (1) KR101480036B1 (ko)
BR (1) BR112015008790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3336A1 (en) * 2015-02-17 2016-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mri apparatus
KR101759083B1 (ko) 2015-09-10 201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자기 공명 영상 획득 방법
US10952694B2 (en) 2018-02-28 2021-03-23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computed tomography im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646B1 (ko) 2014-07-18 201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공명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0897A (ko) * 2014-08-14 201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공명 영상 장치의 펄스 시퀀스 검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87369B1 (ko) * 2015-12-21 2017-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영상 장치,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81599B2 (en) 2017-03-08 2021-11-23 Washington University Real time monitoring and prediction of motion in MRI
EP3584596A1 (en) * 2018-06-19 2019-12-25 Koninklijke Philips N.V. Tracking of image quality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JP7283920B2 (ja) * 2019-02-26 2023-05-30 富士フイルムヘルスケア株式会社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2631650B1 (ko) * 2023-05-23 2024-02-01 대한실드엔지니어링(주) 동작감지 기능을 갖는 엠알아이 실드룸용 차폐 줌카메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1545A (ja) * 2005-09-02 2007-03-15 Hitachi Medical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20100199207A1 (en) 2009-02-02 2010-08-05 Andrea Hopf Method, device and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acquisition of measurement data in a medical imaging device
US20110230755A1 (en) * 2010-03-04 2011-09-22 Macfarlane Duncan Single camera motion measurement and monitoring for magnetic resonance applications
US20120243756A1 (en) 2011-03-25 2012-09-27 Samsonov Alexey A Method for Reconstructing Motion-Compensated Magnetic Resonance Images From Non-Cartesian K-Space Dat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6334A (ja) * 1991-01-31 1992-09-02 Shimadzu Corp 核磁気共鳴検査装置
JPH10295669A (ja) * 1997-04-30 1998-11-10 Shimadzu Corp Mrイメージング装置
JP2004208954A (ja) * 2002-12-27 2004-07-29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医療画像診断システム
JP5179835B2 (ja) * 2007-02-06 2013-04-10 株式会社東芝 Mri装置およびmri撮像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1545A (ja) * 2005-09-02 2007-03-15 Hitachi Medical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20100199207A1 (en) 2009-02-02 2010-08-05 Andrea Hopf Method, device and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acquisition of measurement data in a medical imaging device
US20110230755A1 (en) * 2010-03-04 2011-09-22 Macfarlane Duncan Single camera motion measurement and monitoring for magnetic resonance applications
US20120243756A1 (en) 2011-03-25 2012-09-27 Samsonov Alexey A Method for Reconstructing Motion-Compensated Magnetic Resonance Images From Non-Cartesian K-Space Dat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3336A1 (en) * 2015-02-17 2016-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mri apparatus
KR101759083B1 (ko) 2015-09-10 201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공명 영상 장치 및 자기 공명 영상 획득 방법
US10952694B2 (en) 2018-02-28 2021-03-23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computed tomography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08790A2 (pt) 2017-07-04
JP5774645B2 (ja) 2015-09-09
JP2015198958A (ja) 2015-11-12
JP2014083435A (ja) 2014-05-12
KR20140049916A (ko) 201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036B1 (ko) Mri장치에서 영상을 획득하고 화면 상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EP2721997B1 (en) Method of obtaining image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screen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101716421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을 위한 의료 진단 장치
JP5675280B2 (ja) 画像診断装置
JP602142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786163B (zh) 一种超声图像处理显示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1501515B1 (ko) 진단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18804B1 (ko)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US9269395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6280682A (ja) ノイズ検出機能を備えた画像診断支援方法
KR101683176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을 위한 자기 공명 영상 장치
JP6804967B2 (ja) 画像処理装置、誤嚥判定方法、及びx線透視撮影装置
KR101507810B1 (ko) 의료 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피검사자를 촬영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80518B2 (en) Medical image capturing control device, method, and program
JP2007330419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30240510A1 (en) Examination support device, examination support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examination support program
KR101989154B1 (ko) Mri 진단 장치에서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669621B1 (ko) 지능형 고해상도 내시경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하는 영상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80049648A1 (en) Workstation,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89153B1 (ko) Mri 진단 장치에서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15188692A (ja) 制御装置、制御方法、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