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154B1 - Mri 진단 장치에서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Mri 진단 장치에서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154B1
KR101989154B1 KR1020120080257A KR20120080257A KR101989154B1 KR 101989154 B1 KR101989154 B1 KR 101989154B1 KR 1020120080257 A KR1020120080257 A KR 1020120080257A KR 20120080257 A KR20120080257 A KR 20120080257A KR 101989154 B1 KR101989154 B1 KR 101989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ocalizer
recommended
mri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410A (ko
Inventor
조상영
김준수
성열민
황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15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Abstract

미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이용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하고, 추천 영상 영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대상체를 스캔하기 위한 영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영역 설정 방법 및 미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이용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하고, 추천 영상 영역이 로컬라이저 영상에 모두 표시되지 않는 경우 추천 영상 영역이 모두 표시될 수 있도록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zoom-out)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영역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술한 방법이 수행되는 MRI 진단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MRI 진단 장치에서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SETTING FIELD OF VIEW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DIAGNOSIS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TO}
본 발명은,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시스템에서 영상 영역(Field Of View, FOV)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은 원자핵을 자장에 노출시킨 후 공명을 통해 얻어지는 정보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원자핵의 공명이란 외부 자장에 의해 자화된 상태의 원자핵에 특정한 고주파를 입사시키면 낮은 에너지 상태의 원자핵이 고주파 에너지를 흡수하여 높은 에너지 상태로 여기되는 현상을 말한다. 원자핵은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공명주파수를 가지며 공명은 외부 자장의 강도에 영향을 받는다. 인체 내부에는 무수히 많은 원자핵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소 원자핵을 자기 공명 영상 촬영에 이용한다.
MRI 진단 장치는 비침습적이고(noninvasive), CT에 비하여 조직의 대조도(contrast)가 우수하며, 골조직에 의한 아티팩트(artifact)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MRI 진단 장치는 대상체의 위치 변환 없이도 원하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단면을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여, 다른 화상 진단 장치와 함께 널리 이용된다.
1.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08/0108895 A1호
MRI 진단 장치에서 미리 획득된 로컬라이저(localizer) 영상(또는, 스카우트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영역(Field Of View, FOV)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상 영역 설정 방법은, 미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이용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추천 영상 영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대상체를 스캔하기 위한 영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영상 영역 설정 방법은, 대상체를 스캔하기 위한 영상 영역이 설정됨에 따라 대상체를 스캔하는 과정에서 변경되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파라미터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스캔 시간, 획득되는 MRI 영상의 해상도, 및 획득되는 MRI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영상 영역 설정 방법은, 미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이용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추천 영상 영역이 로컬라이저 영상에 모두 표시되지 않는 경우, 추천 영상 영역이 모두 표시될 수 있도록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zoom-out)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줌-아웃하는 단계는, 추천 영상 영역의 크기와 로컬라이저 영상의 크기가 소정 비율이 되도록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영상 영역 설정 방법은, 기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로컬라이저 영상에 대해 설정된 현재 영상 영역과 추천 영상 영역이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영상 영역 설정 방법은, 추천 영상 영역의 크기가 기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로컬라이저 영상에 대해 설정된 현재 영상 영역의 크기 보다 작은 경우,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인(zoom-i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MRI 진단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미리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로컬라이저 영상을 이용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하는 영상 영역 결정부, 및 추천 영상 영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영상 영역 결정부는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대상체를 스캔하기 위한 영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MRI 진단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미리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로컬라이저 영상을 이용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하는 영상 영역 결정부, 및 추천 영상 영역이 로컬라이저 영상에 모두 표시되지 않는 경우, 추천 영상 영역이 모두 표시될 수 있도록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zoom-out)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상 영역 설정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MRI 진단 장치에서 영상 영역을 설정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숙련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영상 영역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미리 설정된 영상 영역이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체를 모두 스캔 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크기인 경우, 영상 영역을 새롭게 설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조절할 필요성이 줄어들게 된다.
나아가, 영상 영역을 잘못 설정함에 따라 자기 공명 영상에서 에일리어싱(aliasing)이 발생할 확률을 줄일 수 있고, 정확한 자기 공명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MRI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MRI 진단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영상 영역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영상 영역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변경되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로컬라이저 영상으로부터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추천 영상 영역에 따라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추천 영상 영역에 따라 변경되는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MRI 시스템(10)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MRI 시스템(10)은 MRI 촬영 장치(11) 및 MRI 진단 장치(100)를 구비한다. MRI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 장치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통합된 형태일 수 있다.
MRI 촬영 장치(11)는, MRI 진단 장치(100)로부터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e)을 촬영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 받아 작동한다. 또한, MRI 촬영 장치(11)는 마그네트 시스템(13) 내에 위치한 대상체(12)로부터 자기 공명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기 공명 신호를 획득하여, MRI 진단 장치(100)로 출력한다. 대상체(12)는 크레이들(14, cradle)에 의해 마그네트 시스템(13)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RI 촬영 장치(11)는 MRI 진단 장치(100)가 위치하는 오퍼레이팅 룸(operating room)으로부터 분리되어, 외부 RF 신호가 차폐된 실드 룸(shield room) 내에 위치할 수 있다.
MRI 진단 장치(100)는 MRI 촬영 장치(11)로부터 수신된 자기 공명 신호를 처리하여, 대상체의 자기 공명 영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한다. MRI 진단 장치(100)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자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MRI 진단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MRI 진단 장치(100)는, 영상 획득부(110), 영상 영역 결정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50), 및 송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MRI 진단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여러 가지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RI 진단 장치(100)는 MRI 촬영 장치(11)로부터 자기 공명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사용자로부터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자기 공명 신호를 재구성하여 자기 공명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 프로세서, 및 생성된 자기 공명 영상과 여러 가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0)는, 자기 공명 신호를 재구성하여 생성된 자기 공명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 획득부(110)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자기 공명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0)가 획득하는 자기 공명 영상은, 앞서 설명한 영상 처리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어 생성된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부(110)가 획득하는 자기 공명 영상은, 전체 스캔 과정 중 획득되는 순서에 따라, 로컬라이저(localizer) 영상(또는, 스카우트 영상) 및 메인 영상으로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부(110)는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단면들을 이용하여 대상체를 분할하여, 다단면 영상(multi-slice image)을 획득할 수도 있다.
영상 획득부(110)가 획득하는 로컬라이저 영상은, MRI 진단 장치(100)가 메인 스캔을 수행하기에 앞서서 메인 영상의 해상도,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 및 스캔 시간 등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MRI 진단 장치(100)는, 로컬라이저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영역의 위치, 크기, 해상도, 및 여러 가지 파라미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컬라이저 영상은 공간적으로 직교하는 세 평면인 코로날(coronal), 사지탈(sagittal), 및 액시얼(axial) 단면에 대해 각각 획득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0)는, MRI 촬영 장치(11)에서 자기 공명 영상이 촬영된 설정 값인 파라미터 정보를 자기 공명 영상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자기 공명 영상의 파라미터로는, 신호 대 잡음비, 해상도, 위상 부호화의 정도, 및 영상이 획득되는 스캔 시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영상 영역 결정부(120)는, 자기 공명 영상에 대한 영상 영역(Field Of View, FOV)을 결정한다. 영상 영역이 결정되는 자기 공명 영상은, 앞서 설명한 로컬라이저 영상이 될 수 있다. 즉, 영상 영역 결정부(120)는, 로컬라이저 영상에 대하여 영상 영역을 결정하여, 메인 스캔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영역 결정부(120)는 자기 공명 영상에 대해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추천 영상 영역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영상 영역에 대해 좀더 설명하면, 영상 영역은 대상체에서 스캔하고자 하는 부위 및 위치를 구체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설정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상체를 스캔하고자 하는 부위를 결정하는 영상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로컬라이저 영상이 먼저 촬영된다. 이어서, MRI 촬영 장치(11)는 로컬라이저 영상에서 설정된 영상 영역에 대해 메인 스캔을 수행하여, 원하는 자기 공명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스캔을 통해 신체의 뇌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머리 전체에 대한 로컬라이저 영상을 획득한 뒤, 뇌 부분에 대한 영상 영역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메인 스캔을 진행할 수 있다.
로컬라이저 영상에 대해 영상 영역을 결정함에 있어서, 영상 영역은 복수 개의 로컬라이저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코로날, 사지탈, 및 액시얼 단면 각각에 대한 로컬라이저 영상이 획득된 경우, 영상 영역 결정부(120)는 복수 개의 로컬라이저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시얼 단면에 해당하는 제1 로컬라이저 영상 및 사지탈 단면에 해당하는 제2 로컬라이저 영상을 모두 이용하여 영상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도 6에서 본 실시 예를 자세히 살펴본다.
영상 영역 결정부(120)는, 다양한 종류의 알고리즘 및 방법을 이용하여 영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영역 결정부(120)는 로컬라이저 영상에 포함된 임계값 이상의 밝기를 갖는 부분을 모두 포함하도록 영상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영상 영역 결정부(120)는 로컬라이저 영상에 포함된 대상체의 테두리를 검출하여, 테두리를 모두 포함하도록 영상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영상 영역 결정부(120)는 로컬라이저 영상에 포함된 대상체의 가로 방향 길이 및 세로 방향 길이에 기초하여, 길이가 가장 긴 축들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을 영상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영상 영역 결정부(120)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기결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영상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는 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영역은, 대상체의 스캔되는 영역에 따라, MRI 진단 장치(100)를 제어하는 방사선사(radiologist)에 의해 직접 결정될 수도 있다. 영상 영역이 결정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나이키스트 이론(Nyquist Theorem)에 따르면, 영상 영역은 위상 부호화(phase encoding) 방향에 대하여 스캔하고자 하는 대상체 보다 크게 결정되어야 한다. 영상 영역이 대상체보다 작게 결정된 채로 스캔을 수행하게 되면, 영상 영역에 포함되지 않은 대상체의 부분은 에일리어싱 아티팩트(aliasing artifact)로 자기 공명 영상에 나타날 수 있다(또는, 랩 어라운드(wrap-around) 아티팩트).
따라서, 영상 영역은, 대상체에서 스캔하고자 하는 부분을 모두 포함하도록 결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동일한 해상도와 신호 대 잡음비를 유지한 채로 영상 영역이 넓게 결정될수록 스캔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 따라서, 영상 영역은 스캔하고자 하는 부분과 스캔 시간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결정될 필요가 있다. 한편, 영상 영역은 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화면을 통해서 자기 공명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30)는 대상체로부터 획득된 로컬라이저 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자기 공명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자기 공명 영상 이외에도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영역 결정부(120)에 의해 영상 영역이 결정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30)는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않아서 에일리어싱 아티팩트가 발생할 수 있다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영상 영역을 변경함에 따라 스캔 과정에서 변경되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자세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에서 다시 살펴본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30)는 자기 공명 영상을 줌-인(zoom-in) 또는 줌-아웃(zoom-out)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7에서 다시 설명하겠으나,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영역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추천 영상 영역이 자기 공명 영상에 모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경우, 자기 공명 영상(또는,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추천 영상 영역의 크기와 로컬라이저 영상의 크기가 소정 비율이 되도록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로컬라이저 영상 내에서 추천 영상 영역이 80% 정도의 크기로 표시되도록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적인 효과를 이용하여 자기 공명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자기 공명 영상에 설정된 영상 영역의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과, 추천 영상 영역을 서로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RI 진단 장치(100)는, 그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와 레이어(layer) 구조를 형성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는 출력 장치와 입력 장치로 모두 이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또는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가 레이어 구조를 형성하며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입력 위치, 면적, 및 터치 압력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은 실제 터치(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또한 검출할 수 있다.
송신부(140)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MRI 진단 장치(100)로부터 MRI 촬영 장치(11)에 전송한다. 즉, 송신부(140)는 MRI 촬영 장치(11)로 영상 영역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영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40)는 영상 영역 결정부(120)에 의해 새롭게 결정된 영상 영역에 따라 변경되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영상 획득부(110), 영상 영역 결정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여 로컬라이저 영상에 대한 영상 영역을 설정한다. 즉, MRI 진단 장치(100)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들 간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영상 영역 및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송신부(140)에 전달하여, 송신부(140)가 MRI 촬영 장치(11)로 이러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영상 영역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MRI 진단 장치(100)에 포함된 영상 획득부(110), 영상 영역 결정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송신부(140), 및 제어부(15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단계 310에서, MRI 진단 장치(100)는 로컬라이저 영상을 획득한다. 로컬라이저 영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MRI 촬영 장치(11)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로컬라이저 영상은 코로날 단면, 사지탈 단면, 및 액시얼 단면 각각에 대해 획득될 수 있다.
단계 310에서 획득된 로컬라이저 영상에는, 기결정된 설정 값인 파라미터에 따라 영상 영역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시얼 단면의 로컬라이저 영상에는, MRI 진단 장치(100)에서 현재 설정된 파라미터 값에 따라, 대상체의 테두리를 모두 포함하는 소정의 크기의 영상 영역이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 320에서, MRI 진단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이용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한다. 즉, MRI 진단 장치(100)는 로컬라이저 영상에 대해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과는 별개로,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한다. 앞서 설명한 액시얼 단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MRI 진단 장치(100)는 액시얼 단면에 포함된 대상체뿐만 아니라, 사지탈 단면 또는 코로날 단면에 포함된 대상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계 320에서, MRI 진단 장치(100)는 로컬라이저 영상에 대해, 에일리어싱 아티팩트가 발생하지 않기 위한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단계 310에서 획득된 로컬라이저 영상이 하나 이상 이용될 수 있다.
단계 331에서, 추천 영상 영역이 현재 영상 영역과 동일한지 여부가 결정된다. 동일한 경우, 단계 33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341로 진행한다.
단계 332에서, 추천 영상 영역이 현재 영상 영역과 동일한 경우, MRI 진단 장치(100)는 현재 영상 영역(즉, 추천 영상 영역)을 메인 스캔을 위한 영상 영역으로 설정한다. 즉,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에 따라 스캔하더라도 에일리어싱 아티팩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이므로,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을 그대로 이용하여 메인 스캔을 수행해도 무방할 것이다.
단계 341에서, 추천 영상 영역이 현재 영상 영역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추천 영상 영역이 로컬라이저 영상 상에 모두 디스플레이 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추천 영상 영역이 모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경우, 단계 342로 진행하고, 모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단계 343으로 바로 진행한다.
단계 342에서, MRI 진단 장치(100)는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 한다. 즉, MRI 진단 장치(100)는,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의 크기 보다 큰 크기의 추천 영상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로컬라이저 영상은,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에 적합한 크기로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MRI 진단 장치(100)는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 보다 큰 크기의 추천 영상 영역을 로컬라이저 영상 상에 모두 표시하기 위해 로컬라이저 영상을 축소하여(즉, 줌-아웃 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방사선사가 영상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번거롭게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로컬라이저 영상이 자동적으로 줌-아웃됨으로써, MRI 진단 장치(100)는 방사선사 또는 사용자에게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의 크기 보다 큰 크기의 추천 영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에일리어싱 아티팩트가 발생하지 않는 추천 영상 영역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에 따라 메인 스캔을 진행할 경우 에일리어싱 아티팩트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RI 진단 장치(100)는 추천 영상 영역의 크기와 로컬라이저 영상의 크기가 소정 비율이 되도록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RI 진단 장치(100)는 화면에 표시되는 로컬라이저 영상을 100%로 했을때, 추천 영상 영역의 크기가 80%가 되도록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할 수 있다. 이러한 비율은, 사용자에게 추천 영상 영역을 효율적으로 제안하기 위해서 결정될 수 있으며, 로컬라이저 영상 상에 추천 영상 영역이 모두 표시될 수 있는 범위 이내에서는 얼마든지 다른 수치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343에서, MRI 진단 장치(100)는 영상 영역을 설정한다. 도 4에서 다시 살펴보겠으나, MRI 진단 장치(100)는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메인 스캔을 위한 영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MRI 진단 장치(100)는 추천 영상 영역을 취소하고,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을 그대로 메인 스캔을 위한 영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MRI 진단 장치(100)는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인 할 수도 있다. 즉, 단계 341에서 추천 영상 영역이 모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있어서, 추천 영상 영역의 크기가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의 크기 보다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추천 영상 영역의 크기가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 보다 크면서, 로컬라이저 영상 상에 모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MRI 진단 장치(100)는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할 필요 없이 추천 영상 영역을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메인 스캔을 위한 영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추천 영상 영역의 크기가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 보다 작아서 로컬라이저 영상 상에 모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MRI 진단 장치(100)는 추천 영상 영역을 충분한 크기로 표시하기 위하여,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인하여(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어서,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메인 스캔을 위한 영상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영상 영역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410에서, MRI 진단 장치(100)는 로컬라이저 영상을 획득하고, 단계 420에서 MRI 진단 장치(100)는 로컬라이저 영상에 대한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한다. 단계 410 및 단계 420에 대해서는, 앞서 도 3의 단계 310 및 단계 320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단계 430에서, MRI 진단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 즉, MRI 진단 장치(100)는 새로운 영상 영역인 추천 영상 영역이 결정되었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과 새로운 추천 영상 영역을 비교할 수 있게끔 한다. 알림 메시지는, 경고음과 같은 소리의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고, MRI 진단 장치(100)의 화면에 그래픽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다.
단계 440에서, MRI 진단 장치(100)는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즉, MRI 진단 장치(100)는, 사용자가 추천 영상 영역을 확인한 뒤,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으로 진행할 것인지, 또는 추천 영상 영역으로 메인 스캔을 진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450에서, MRI 진단 장치(100)는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상 영역을 메인 스캔을 위한 영상 영역으로 설정한다. 즉, MRI 진단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영상 영역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영상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변경되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단계 410, 단계 420, 단계 430, 단계 440 및 단계 450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단계 445에서, MRI 진단 장치(100)는 외부 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된 추천 영상 영역에 따라 변경되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즉, 단계 440에서 추천 영상 영역이 선택되는 외부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MRI 진단 장치(100)는 현재 영상 영역 보다 크기가 큰 추천 영상 영역에 따라 메인 스캔을 수행할 시에 변경되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경되는 파라미터는, 자기 공명 영상의 해상도, 스캔 시간, 신호 대 잡음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더 큰 영상 영역으로 메인 스캔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더 낮은 해상도의 자기 공명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더 낮은 신호 대 잡음비의 자기 공명 영상이 획득된다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 보다 큰 크기의 영상 영역을 이용하여 메인 스캔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트레이드 오프(trade off)에 대해 인지할 수 있다.
도 6은 로컬라이저 영상으로부터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도면은, MRI 진단 장치(10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MRI 진단 장치(100)는, 화면의 왼쪽부터, 제1 영역(610)에 코로날 단면을, 제2 영역(620)에 사지탈 단면을, 제3 영역(630)에는 액시얼 단면을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코로날 단면은 대상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이고, 사지탈 단면은 대상체를 좌측 또는 우측에서 바라본 단면, 액시얼 단면은 대상체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에 해당된다. 도 6에 도시된 각각의 단면들이 MRI 진단 장치(100)가 미리 획득한 로컬라이저 영상에 해당된다.
제3 영역(630)에 도시된 액시얼 단면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자세히 설명하면, 대상체인 인체의 뇌를 위에서 바라본 영상이다. 한편, 액시얼 단면의 로컬라이저 영상에는 현재 영상 영역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631). 즉, 사각형으로 표시된 현재 영상 영역은 뇌의 테두리를 모두 포함한다.
한편, 사지탈 단면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살펴보면, 액시얼 단면에 설정된 영상 영역과 대응되는 영상 영역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사지탈 단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L1 길이로 나타나는 영상 영역은 대상체인 뇌의 길이 보다 짧다. 따라서,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을 통해 메인 스캔을 수행하면, 에일리어싱 아티팩트가 발생하게 된다.
액시얼 단면의 로컬라이저 영상에서는, 현재 영상 영역 내부에 대상체가 모두 포함되어 에일리어싱 아티팩트가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표시된다. 그러나, 코로날 단면 또는 사지탈 단면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참조하면, 현재 영상 영역은 메인 스캔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크기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MRI 진단 장치(100)는 사지탈 단면 또는 코로날 단면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이용하여, 충분한 크기의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한다. 추천 영상 영역은, 각각의 로컬라이저 영상에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632). 사지탈 단면을 예로 들면, 추천 영상 영역은 L2 길이로 나타나며, 대상체인 뇌의 길이 보다 길다.
즉, 액시얼 단면에서는 추천 영상 영역의 테두리와 대상체의 테두리 간의 간격이 존재함에 따라, 스캔 시간이 불필요하게 길게 설정되는 것처럼 표시될 수 있으나, 코로날 단면 또는 사지탈 단면을 살펴보면 추천 영상 영역은 에일리어싱 아티팩트가 발생하지 않는 최소한의 크기를 갖는 영상 영역임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MRI 진단 장치(100)가 자동적으로 하나 이상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이용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함으로써, 자기 공명 영상의 오차 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방사선사 또는 MRI 진단 장치(100)의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른 에일리어싱 아티팩트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MRI 촬영을 불필요하게 반복할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MRI 진단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영상 영역과 추천 영상 영역을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은 추천 영상 영역에 따라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설명한 실시 예 중에서 제3 영역(630)에 디스플레이 된 액시얼 단면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다시 살펴본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라이저 영상에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711)이 점선으로 표시되며, 제3 영역(630)에 꽉차서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MRI 진단 장치(100)는 코로날 단면 또는 사지탈 단면을 이용하여, 실선으로 표시되는 새로운 추천 영상 영역(712)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 보다 큰 크기를 갖는 추천 영상 영역이 제3 영역(630)에 모두 표시되지 않는 경우, MRI 진단 장치(100)는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 할 수 있다.
MRI 진단 장치(100)가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한 결과가 도 7b에 도시된다. 즉, MRI 진단 장치(100)는 추천 영상 영역이 모두 표시될 수 있도록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 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에 따라, MRI 진단 장치(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제3 영역(630)에는, 추천 영상 영역(714) 및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713)이 모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두 가지의 영상 영역을 손쉽게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새롭게 결정된 추천 영상 영역이 어느 정도 크기 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화면에 표시되는 줌-인/줌-아웃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MRI 진단 장치(100)는 두 가지의 영상 영역을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MRI 진단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의 형태를 구별하여 디스플레이 하거나, 두 영상 영역의 색상, 채도, 휘도, 명도 등을 구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MRI 진단 장치(100)가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 하면서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는, MRI 진단 장치(100)는 줌-아웃 이전에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즉, 현재 영상 영역 보다 큰 크기를 갖는 추천 영상 영역이 결정되면, MRI 진단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MRI 진단 장치(100)는 현재 영상 영역은 에일리어싱 아티팩트를 유발할 수 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경고음과 같은 소리의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고, MRI 진단 장치(100)의 화면에 그래픽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다.
도 8은 추천 영상 영역에 따라 변경되는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및 제3 영역(630)의 도면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MRI 진단 장치(100)는,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631)과 추천 영상 영역(632)을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추천 영상 영역을 선택하는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등을 통해 사용자가 추천 영상 영역을 클릭하는 동작을 외부 입력 신호로 수신하는 실시 예가 도시된다.
한편, MRI 진단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동작이 외부 입력 신호로 수신될 수도 있다. 또한, MRI 진단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동작들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동작 또는 방법을 통해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MRI 진단 장치(100)는 추천 영상 영역을 선택함에 따라 메인 스캔을 수행할 때 변경되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8에는, MRI 진단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우(810)를 통해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실시 예가 도시된다. 한편, 변경되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는 도 8에 도시된 윈도우(810)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MRI 진단 장치(100)는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 보다 더 큰 크기의 영상 영역이 설정됨에 따라, 스캔 시간이 늘어난다는 정보, 신호 대 잡음비가 줄어든다는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MRI 진단 장치(100)는, 영상 영역이 설정됨에 따라 변경되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복수 개의 옵션을 통해서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파라미터의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따라, MRI 진단 장치(100)는 파라미터에 대한 선택 가능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810)에 표시된 “reduce scan time(same resolution)” 옵션의 경우,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 보다 더 큰 영상 영역인 추천 영상 영역에 따라 메인 스캔을 수행하면서 동일한 해상도를 얻고자 하는 경우, 스캔 시간을 줄이는 대신 신호 대 잡음비를 낮출 수 있다. 즉, 신호 대 잡음비를 희생하면,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 보다 큰 영상 영역에 대해 동일한 해상도의 자기 공명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reduce resolution(same scan time)” 옵션의 경우, 앞서 설명한 옵션과는 반대로, 영상 영역의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동일한 스캔 시간을 유지하는 옵션이다. 즉, 스캔 시간을 유지하는 대신 낮은 해상도를 갖는 자기 공명 영상을 선택하는 옵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여러 가지 파라미터 정보에 대한 실시 예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에 대한 예시로서 스캔 시간, 해상도, 신호 대 잡음비 만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자기 공명 영상에 대한 파라미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여기 회수인 NEX(Number of Excitations), 위상 부호화 단계의 수인 Ny(Number of Phase-encoding steps), 및 에코 시간인 TE(Times to Echo) 등이 자기 공명 영상에 대한 파라미터로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영역 설정 방법 및 MRI 진단 장치(100)에 의해, 자기 공명 영상의 에일리어싱 아티팩트 발생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복수 개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확인할 필요 없이 자동적으로 추천 영상 영역이 제공되어, 사용자의 숙련도와 관계 없이 정확한 자기 공명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 또는 줌-인 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제안된 추천 영상 영역을 현재 설정된 영상 영역과 쉽게 비교할 수 있게 되며, 대상체를 진단하는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 예 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진단 장치에서 영상 영역(Field Of View, FOV)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이용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 영상 영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영상 영역을 대상체를 스캔하기 위한 영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영역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영역 설정 방법은, 상기 대상체를 스캔하기 위한 영상 영역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대상체를 스캔하는 과정에서 변경되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영역 설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스캔 시간, 획득되는 MRI 영상의 해상도, 및 획득되는 MRI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영역 설정 방법.
  4.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진단 장치에서 영상 영역(Field Of View, FOV)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이용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영상 영역이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에 모두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추천 영상 영역이 모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zoom-out)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영역 설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줌-아웃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영상 영역의 크기와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의 크기가 소정 비율이 되도록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영역 설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영역 설정 방법은, 기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에 대해 설정된 현재 영상 영역과 상기 추천 영상 영역이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영역 설정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영역 설정 방법은, 상기 추천 영상 영역의 크기가 기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에 대해 설정된 현재 영상 영역의 크기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인(zoom-i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영역 설정 방법.
  8. 영상 영역(Field Of View, FOV)을 설정하는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진단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미리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을 이용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하는 영상 영역 결정부; 및
    상기 추천 영상 영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영역 결정부는, 외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영상 영역을 대상체를 스캔하기 위한 영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진단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대상체를 스캔하기 위한 영상 영역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대상체를 스캔하는 과정에서 변경되는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진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스캔 시간, 획득되는 MRI 영상의 해상도, 및 획득되는 MRI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진단 장치.
  11. 영상 영역(Field Of View, FOV)을 설정하는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진단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로컬라이저 영상을 미리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을 이용하여 추천 영상 영역을 결정하는 영상 영역 결정부; 및
    상기 추천 영상 영역이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에 모두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추천 영상 영역이 모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zoom-out)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MRI 진단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천 영상 영역의 크기와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의 크기가 소정 비율이 되도록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아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진단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기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에 대해 설정된 현재 영상 영역과 상기 추천 영상 영역이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진단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추천 영상 영역의 크기가 기결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에 대해 설정된 현재 영상 영역의 크기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로컬라이저 영상을 줌-인(zoom-i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I 진단 장치.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20080257A 2012-07-23 2012-07-23 Mri 진단 장치에서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989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257A KR101989154B1 (ko) 2012-07-23 2012-07-23 Mri 진단 장치에서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257A KR101989154B1 (ko) 2012-07-23 2012-07-23 Mri 진단 장치에서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410A KR20140013410A (ko) 2014-02-05
KR101989154B1 true KR101989154B1 (ko) 2019-06-13

Family

ID=5026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257A KR101989154B1 (ko) 2012-07-23 2012-07-23 Mri 진단 장치에서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1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266A (ja) 1999-01-22 2000-08-02 Yokogawa Electric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
JP2002010992A (ja) 2000-04-25 2002-01-15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方法
JP2002095645A (ja) 2000-09-22 2002-04-02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2010234068A (ja) 2010-06-15 2010-10-21 Toshiba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6616B4 (de) * 2004-06-01 2007-09-20 Siemens Ag Verfahren zum Messen eines Untersuchungsbereichs mit einem Magnetresonanzgerät
US20080108895A1 (en) 2006-11-06 2008-05-0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defining at least one acquisition and processing parameter in a tomosynthesis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0266A (ja) 1999-01-22 2000-08-02 Yokogawa Electric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
JP2002010992A (ja) 2000-04-25 2002-01-15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方法
JP2002095645A (ja) 2000-09-22 2002-04-02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2010234068A (ja) 2010-06-15 2010-10-21 Toshiba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410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5151B2 (en) Medical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KR101480036B1 (ko) Mri장치에서 영상을 획득하고 화면 상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10119831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9939508B2 (en)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ethod
US89235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ttenuation correction
US10922854B2 (en) CT imaging
KR20150016032A (ko) 영상 복원 모드 선택이 가능한 영상 복원 방법 및 그 장치
JP2010148865A (ja) 医用画像処理装置、超音波診断装置および医用画像処理方法
EP3049818B1 (en) Mr-based attenuation correction in pet/mr imaging with dixon pulse sequence
US7973530B2 (en) MRI display with contrast navigation window
CN112292606A (zh) 在磁共振成像中跟踪图像质量
US20130169782A1 (en)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1172912A (ja) 医用画像診断装置
US20210121092A1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and position display method
KR101989154B1 (ko) Mri 진단 장치에서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08073228A (ja) 画像診断システムおよびその操作装置
KR20170094964A (ko) 자기 공명 영상 촬영 장치 및 그에 따른 자기 공명 영상 촬영 방법
US10709351B2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US11896361B2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image gener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therein image generation program
KR101681313B1 (ko) 의료 영상 제공 장치 및 그에 따른 의료 영상 제공 방법
KR101989153B1 (ko) Mri 진단 장치에서 영상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5603615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及び画像処理パラメータ設定方法
US10921409B2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