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018B1 - 어류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어류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018B1
KR101480018B1 KR1020140125013A KR20140125013A KR101480018B1 KR 101480018 B1 KR101480018 B1 KR 101480018B1 KR 1020140125013 A KR1020140125013 A KR 1020140125013A KR 20140125013 A KR20140125013 A KR 20140125013A KR 101480018 B1 KR101480018 B1 KR 101480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apturing unit
water
uni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은
Original Assignee
김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은 filed Critical 김형은
Priority to KR1020140125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획한 어류(3)가 폐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다양한 종류의 어류(3)를 포획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어류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장치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포획유닛(10)일측에 트랩(11a)이 구비된 입구(11)가 형성되어, 밀물 때 포획유닛(10)이 물에 잠기게 되면 포획유닛(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며,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물이 빠지더라도, 상기 저수조(12)에는 항상 일정한 수위의 물이 저장되어, 포획유닛(10)의 내부에 갇힌 물고기가 폐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어류 포획장치{Apparatus for capturing fishes}
본 발명은 포획한 어류가 폐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다양한 종류의 어류를 포획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어류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를 포획하는데 사용되는 통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또는 양측에 어류(3)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된 입구(2)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입구(2)에는 통발의 내측으로 연장된 트랩(2a)이 구비된다.
상기 트랩(2a)은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단관형태로 구성되어, 트랩(2a)을 통과하여 통발의 내부로 들어간 어류(3)가 입구(2)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통발의 내부에 어류(3)를 유인할 수 있는 미끼를 넣은 후 강이나 바다의 바닥면에 설치하면, 어류(3)가 상기 입구(2)를 통해 통발의 내부로 들어가 갇히게 된다.
이러한 통발의 구조는 등록특허 10-0805678호나 등록특허 10--861552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통발을 해안선에 가까우면서 수심이 낮은 연근해에 설치할 경우, 바닷물의 수위가 낮아지는 썰물 때 통발이 수면위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통발에 포획된 어류(3)가 폐사하여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썰물때 바닥면이 수면위로 노출되는 얕은 바닷가에서는 통발을 이용한 조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서해안의 경우, 조수간만의 차가 매우 커서, 통발을 이용하여 조업을 하기 위해서는 배를 이용하여 매우 먼바다까지 나가야 하며, 이에 따라 통발을 이용한 조업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이러한 통발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됨으로, 바다의 바닥층에 서식하는 어류(3)만을 포획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어류(3)는 종류에 따라, 바다의 상층에 서식하는 종류와 바다의 바닥층에 서식하는 종류로 크게 나뉘게 되는데, 종래의 통발은 바다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바닥층에 서식하는 어류(3)만을 포획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제10-0805678호 등록특허 제10--86155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획한 어류가 폐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다양한 종류의 어류를 포획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어류 포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포획유닛(10)을 포함하며, 상기 포획유닛(10)의 상면 또는 상측 둘레부에는 어류(3)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된 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11)에는 입구(11)를 통해 포획유닛(10)의 내부로 들어온 어류(3)가 입구(1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트랩(11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획유닛(10)은 상면에 개구부(12a)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12)와, 상기 개구부(12a)를 막도록 상기 저수조(1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부에는 상기 입구(11)가 형성된 상부덮개(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획유닛(10)에 연결 또는 고정되어 포획유닛(10)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20)와, 일단은 상기 포획유닛(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다의 바닥면(1)에 고정된 고정와이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획유닛(10)의 내부에는 패류(4)를 양식할 수 있는 양식층(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획유닛(10)의 내부에는 포획유닛(10)의 내부에 포획된 어류(3)가 피난할 수 있는 공간부(15a)를 형성하는 피난구조물(1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장치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포획유닛(10) 일측에 트랩(11a)이 구비된 입구(11)가 형성되어, 밀물 때 포획유닛(10)이 물에 잠기게 되면 포획유닛(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며,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빠지더라도, 저수조(12)에는 항상 일정한 수위의 물이 저장되어, 포획유닛(10)의 내부에 갇힌 물고기가 폐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통발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장치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장치의 저수조와 상부커버를 도시한 측단면 분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어류 포획장치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둘레부에는 어류(3)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된 입구(11)가 형성된 포획유닛(10)과, 상기 포획유닛(10)에 연결된 부력체(20)와, 일단은 상기 포획유닛(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다의 바닥면(1)에 고정된 고정와이어(30)로 구성된다.
상기 포획유닛(10)은 상면에 개구부(12a)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12)와, 투수성의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저수조(12)의 개구부(12a)에 결합되며 측면에는 상기 입구(11)가 형성된 상부덮개(13)로 구성된다.
상기 저수조(12)는 목재나 콘크리트재질 또는 합성수지와 같이 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사각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12a)는 저수조(12)의 상면 전체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덮개(13)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의 프레임의 외측 둘레부에 그물망과 같이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된 시트재를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하측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단이 상기 개구부(12a)를 막도록 상기 저수조(12)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입구(11)는 상기 상부덮개(13)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입구(11)에는 통발의 내측으로 연장된 트랩(11a)이 구비된다.
상기 트랩(11a)은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단관형태로 구성되어, 트랩(11a)을 통과하여 통발의 내부로 들어간 어류(3)가 입구(11)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트랩(11a)의 기능은 종래의 통발에 구비된 트랩(11a)과 동일함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저수조(12) 또는 상부덮개(13)에는 도시 안된 별도의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덮개(13)를 저수조(12)에 결합고정하거나, 상부덮개(13)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부덮개(13)를 저수조(1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유닛(10)의 내부하측에는 패류(4)를 양식할 수 있는 양식층(14)이 형성되고, 상기 양식층(14)의 상부에는 상기 포획유닛(10)의 내부에 포획된 어류(3)가 피난할 수 있는 공간부(15a)를 형성하는 피난구조물(15)이 구비된다.
상기 양식층(14)은 상기 포획유닛(10)의 내부하측에 흙이나 모래와 적정량의 자갈을 혼합하여 투입하여 형성된 것으로, 조개 등을 매립하여 양식할 수 있다.
상기 피난구조물(15)은 크기가 작은 물고기나 치어가 들어가 숨을 수 있을 정도의 공간부(15a)가 다수개 형성되도록 인공적으로 제작된 합성수지 또는 콘크리트재질의 부재의 블록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양식층(14)의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11)를 통해 포획유닛(10)의 내부로 들어간 어류(3) 중에서 크기가 작은 종류의 어류(3)나 치어가 상기 피난구조물(15)의 공간부(15a)로 숨음으로써, 크기가 큰 어류(3)에 의해 작은 종류의 어류(3)나 치어가 공격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력체(20)는 내부가 빈 합성수지재질의 통이나, 스티로폼 등과 같이 비중이 매우 작은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플랙시블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연결와이어(21)에 의해 상기 포획유닛(10)의 저수조(12) 둘레부에 연결되어 상기 포획유닛(10)에 부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연결와이어(21)의 길이는 상기 포획유닛(10)이 설치될 수심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된다.
즉, 상기 부력체(20)는 자체의 부력에 의해 바닷물의 수면으로 부상됨으로, 상기 연결와이어(21)의 길이를 2m로 구성하면, 상기 포획유닛(10)은 바다의 수면으로부터 2m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와이어(21)의 길이를 3m로 구성하면, 상기 포획유닛(10)은 바다의 수면으로부터 3m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와이어(30)는 강도가 높으면서 플랙시블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포획유닛(10)의 하단 둘레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다의 바닥면(1)에 매입 고정된 고정용 파일(31)에 연결되어, 상기 포획유닛(10)이 바닷물의 물결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어류 포획장치를 이용하여 어류(3)를 포획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바다의 적절한 위치에서 바닥면(1)에 상기 고정용 파일(31)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와이어(30)를 이용하여 상기 포획유닛(10)을 바닥면(1)에 고정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썰물이 되어 바닷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부력체(20)에 의해 포획유닛(10)이 상측으로 부상되어 상기 연결와이어(21)의 길이에 대응되는 수심으로 떠있게 되며, 이때, 상기 상부덮개(13)의 둘레부를 통해 바닷물이 포획유닛(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포획유닛(10)이 바닷물의 상층으로 부상된 상태에서는, 바닷물의 상층에 서식하는 어류(3)가 상기 포획유닛(10)의 입구(11)를 통해 포획유닛(10)의 내부로 들어와 포획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썰물이 되어 수심이 낮아지면, 상기 포획유닛(10)은 점차 하강되며, 이에 따라 바닷물의 하층에 서식하는 어류(3)가 상기 포획유닛(10)의 입구(11)를 통해 포획유닛(10)의 내부로 들어와 포획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닷물이 완전히 빠지게 되면, 상기 포획유닛(10)이 바닥면(1)에 안착됨으로, 작업자는 배를 이용하지 않고 어류 포획장치에 접근을 하여, 상기 상부커버(13)를 열고 포획유닛(10)에 포획된 어류(3)를 꺼낼 수 있다.
이때, 상기 포획유닛(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포획유닛(10)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포획유닛(10)의 내부에 포획된 어류(3)가 포획유닛(10)에 저장된 물에서 생존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어류 포획장치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포획유닛(10) 일측에 트랩(11a)이 구비된 입구(11)가 형성되어, 밀물 때 포획유닛(10)이 물에 잠기게 되면 포획유닛(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며, 썰물이 되어 바닷물이 물이 빠지더라도, 상기 저수조(12)에는 항상 일정한 수위의 물이 저장되어, 포획유닛(10)의 내부에 갇힌 물고기가 폐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장치는 물 밖으로 노출되더라도 물고기가 폐사하지 않음으로 수심이 낮은 연근해에 설치하여 조업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를 타고 먼 곳까지 이동할 필요가 없어서,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를 이용함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포획유닛(10)에는 항상 일정한 높이의 물이 저장됨으로, 크기가 작은 치어의 경우, 상기 포획유닛(10)에서 꺼내지 않고 포획유닛(10)에 가둔 상태로 먹이를 공급함으로써 양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설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품성이 떨어지는 치어를 상품성이 있는 큰 물고기로 키워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유닛(10)은 상면에 개구부(12a)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12)와, 상기 개구부(12a)의 막도록 상기 저수조(1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부에는 상기 입구(11)가 형성된 상부덮개(13)로 구성됨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상기 상부덮개(13)를 열어 포획유닛(10)의 내부에 포획된 어류(3)를 손쉽게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유닛(10)에는 부력체(20)와 고정와이어(30)가 연결되어, 밀물과 썰물에 의해 바다의 수면이 상승되거나 하강되면, 이에 추종하여 상기 포획유닛(10)이 상측으로 부상되거나 하측으로 하강된다.
따라서, 바다의 바닥면(1)에 고정되어 바다의 바닥층에 서식하는 어류(3)만을 포획할 수 있는 종래의 통발과 달리, 바다의 상층에 서식하는 종류와 바다의 바닥층에 서식하는 어류(3)를 모두 포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포획유닛(10)의 내부에는 패류(4)를 양식할 수 있는 양식층(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포획유닛(10)에 포획된 어류(3)가 배출하는 배설물을 이용하여 패류(4)를 양식할 수 있음으로, 어류 포획장치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포획유닛(10)에 포획된 어류(3)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에 의해 포획유닛(10), 특히, 저수조(12)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포획유닛(10)의 내부에는 피난구조물(15)이 구비되어, 상기 포획유닛(10)에 포획된 어류(3)중에서 크기가 작은 어류(3)가 피난할 수 있는 공간부(15a)를 제공함으로, 포획유닛(10)에 포획된 어류(3)중에서 크기가 작은 어류(3)가 크기가 큰 어류(3)에 잡아먹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포획유닛(10)은 상면에 개구부(12a)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12)와, 투수성의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저수조(12)의 개구부(12a)에 결합되며 측면에는 상기 입구(11)가 형성된 상부덮개(13)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13)의 구조를 생략하고, 상기 저수조(12)의 측면에 상기 입구(11)를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수조(12)의 상면에는 도어(12b)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도어(12b)를 열고 저수조(12)에 포획된 어류(3)를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20)는 연결와이어(21)에 의해 상기 포획유닛(10)에 연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부력체(20)는 상기 포획유닛(10)의 일측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난구조물(15)은 인공적으로 다수의 공간부(15a)를 갖도록 제작된 합성수지 또는 콘크리트재질의 부재를 상기 양식층(14)의 상부에 배치하여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피난구조물(15)은 크기가 큰 자갈이나 산호를 상기 양식층(14)의 상측에 적층하여, 상기 자갈이나 산호의 사이에 작은 어류가 피난할 수 있는 공간부(15a)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난구조물(15)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어류(3)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15b)이 형성된 타공판이나 그물망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피난구조물(15)은 상기 저수조(12)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저수조(12)의 내부공간을 상하측으로 구획함으로써, 상기 피난구조물(15)의 하측에 작은 어류(3)가 피난할 수 있는 공간부(15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와이어(30)는 바닥면(1)에 설치된 고정용 파일(31)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면(1)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와이어(30)를 이용하여 상기 포획유닛(10)을 바닥면(1)에 고정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고정와이어(30)는 상기 고정용 파일(31) 이외에, 바닥면(1)에 고정된 앵커나 기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면(1)에 고정될 수 있다.
10. 저수유닛 20. 부력체
30. 고정와이어

Claims (5)

  1.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포획유닛(10)을 포함하며,
    상기 포획유닛(10)의 상면 또는 상측 둘레부에는 어류(3)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된 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11)에는 입구(11)를 통해 포획유닛(10)의 내부로 들어온 어류(3)가 입구(1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트랩(11a)이 구비되며,
    상기 포획유닛(10)은,
    상면에 개구부(12a)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12)와,
    상기 개구부(12a)를 막도록 상기 저수조(1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부에는 상기 입구(11)가 형성된 상부덮개(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10)에 연결 또는 고정되어 포획유닛(10)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20)와,
    일단은 상기 포획유닛(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다의 바닥면(1)에 고정된 고정와이어(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10)의 내부에는 패류(4)를 양식할 수 있는 양식층(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10)의 내부에는 포획유닛(10)의 내부에 포획된 어류(3)가 피난할 수 있는 공간부(15a)를 형성하는 피난구조물(1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장치.
KR1020140125013A 2014-09-19 2014-09-19 어류 포획장치 KR101480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013A KR101480018B1 (ko) 2014-09-19 2014-09-19 어류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013A KR101480018B1 (ko) 2014-09-19 2014-09-19 어류 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018B1 true KR101480018B1 (ko) 2015-01-07

Family

ID=5258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013A KR101480018B1 (ko) 2014-09-19 2014-09-19 어류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436A (ko) 2016-11-28 2018-06-08 (주)코리아에코웍스 어류 포획장치용 포획 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051U (ko) * 1990-06-13 1992-01-27 김동기 어초겸용 어류 포획단지
KR20030008612A (ko) * 2001-07-19 2003-01-29 정광순 야행성 민물어류 포획용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051U (ko) * 1990-06-13 1992-01-27 김동기 어초겸용 어류 포획단지
KR20030008612A (ko) * 2001-07-19 2003-01-29 정광순 야행성 민물어류 포획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436A (ko) 2016-11-28 2018-06-08 (주)코리아에코웍스 어류 포획장치용 포획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672B2 (en) Commercial post larval collector habitat
JP2017176082A (ja) アワビ類育成用海底設置型網生け簀
US9814225B2 (en) Minnow container
KR200459958Y1 (ko) 낙지 포획용 통발
KR101315042B1 (ko) 가두리 양식장치
KR101046863B1 (ko) 저서생물 양식 장치
WO2001052638A1 (en) Device for anchoring floating cages for fish, fish pots and cages
US20090223114A1 (en) Live bait trap and bucket
JP5697543B2 (ja) 水生生物の飼育装置および飼育容器
KR101480018B1 (ko) 어류 포획장치
US8938906B2 (en) Winter fish trap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60094669A (ko) 홍해삼 해중 양식틀
JP6323966B1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JP2007014231A (ja) 魚貝類の飼育装置
US42599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ring of planktonic larvae of marine animals
KR102130001B1 (ko) 실뱀장어 포획장치
KR101900019B1 (ko) 집어기구
JP2013215170A (ja) 人工着底礁
CN216753258U (zh) 一种滤食性贝类生物沉降原位测定装置
KR200442652Y1 (ko) 친환경 중층 부유식 파야오형 해양 구조물
RU81622U1 (ru) Ферма для разведения водных организмов
KR101395461B1 (ko) 수중 구조물
DK201700266A1 (da) Indretning til effektivisering af bekæmpelse af lakselus i dambrug, navnlig dambrug på søterritoriet
KR20050091669A (ko)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WO2006074602A1 (fr) Systeme d'elevage de produits marins integ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