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742B1 -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742B1
KR101479742B1 KR1020140045171A KR20140045171A KR101479742B1 KR 101479742 B1 KR101479742 B1 KR 101479742B1 KR 1020140045171 A KR1020140045171 A KR 1020140045171A KR 20140045171 A KR20140045171 A KR 20140045171A KR 101479742 B1 KR101479742 B1 KR 101479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erminal
facility
sector
c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만용
양민호
Original Assignee
양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만용 filed Critical 양만용
Priority to KR1020140045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제품 생산 설비(10)의 고유 데이터가 스캔에 의해 인식되도록 하기 위한 큐알 코드(122)를 구비한 라벨(120); 상기 라벨(120)의 상기 큐알 코드(122)를 스캔하여 불량알림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푸시 단말기(130); 상기 라벨(120)에 구비된 상기 큐알 코드(122)를 상기 푸시 단말기(130)에 의해 스캐닝하여 큐씨 불량알림 신호를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큐씨 불량 알람에 대응하여 불량 시정 조치 완료된 상태를 상기 푸시 단말기(130)측에 발송하기 위한 큐씨 알람 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큐씨 알람 앱은, 상기 푸시 단말기(130)에 의해 상기 큐알 코드(122)를 스캐닝할 때에 큐씨 불량알림 윈도우를 상기 푸시 단말기(130)에 표시하여 큐씨 불량알림 신호가 상기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에 송신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해당 불량에 대한 시정 조치(불량 제품을 만드는 설비(10)에 대한 시정 조치 등)가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큐씨 담당자측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주로 스마트폰이나 피씨 등) 또는 설비 담당자측의 단말기(스마트 패드(154))에서 상기 푸시 단말기(130)측에 상기 시정 조치 완료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Real time QC alarm system}
본 발명은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기 등의 설비에 의해 제품을 제조할 때에 실시간으로 제품의 불량 여부를 알려줌으로써 제품 제조 설비 등의 불량 요인에 즉시 대처하여 불량 제품의 양산을 방지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불량 제품 생산 요인에 대처하는 시정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생산 재개를 위한 대기 시간 손실, 생산량 손실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용기와 같은 제품은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데, 이러한 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을 성형할 때에는 설비(사출기) 자체의 결함, 금형의 결함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제품 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제품의 제조단계에서는 각각 제품의 성능을 검사하고, 제품의 불량 발생시 불량률 및 불량의 유형 등에 대한 제품의 품질불량정보를 관리한 다음 제품의 품질불량정보를 통계 및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을 개선함과 아울러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될 수 있도록 제품의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제품의 품질관리는 각 단계의 업무가 별도로 관리되어 제품 관리 연계성이 부족하고 실시간 정보공유가 어렵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 양부 여부를 즉시 확인하여 조치를 취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문제해결경험이 유기적으로 축적되어 관리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 개선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에는 제품 생산시의 불량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즉각 대처하는데에 미흡하고, 품질문제와 생산 설비간의 연관 분석에 한계가 있다는 데에 문제가 있으며, 제품 품질문제 발생시 신속한 조치 및 예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 생산성이 떨어지고 업무 효율이 떨어지며 제품 품질 역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실시간으로 제품 불량을 알려주어 조치를 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량의 불량 제품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4-0076159호(2004.08.31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116440호(2009.11.11 공개)
본 발명은 기존에 제품 품질문제 발생시 신속한 조치 및 예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사출기 등의 설비에 의해 제품을 제조할 때에 실시간으로 제품의 불량 여부를 불량알림 신호 형태로 발생시킴으로써 제품 제조 설비의 불량 요인 등에 즉시 대처할 수 있고, 이처럼 제품 불량 발생시 즉각 대처하여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불량 제품의 양산을 방지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불량이 발생시에 실시간으로 불량 제품 생산 요인에 대처하는 시정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생산 재개를 위한 대기 시간 손실, 생산량 손실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 생산 설비의 고유 데이터가 스캔에 의해 인식되도록 하기 위한 큐알 코드를 구비한 라벨; 상기 라벨의 상기 큐알 코드를 스캔하여 불량알림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푸시 단말기; 상기 라벨에 구비된 상기 큐알 코드를 상기 푸시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하여 큐씨 불량알림 신호를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큐씨 불량 알람에 대응하여 불량 시정 조치 완료된 상태를 상기 푸시 단말기측에 발송하기 위한 큐씨 알람 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푸시 단말기와 상기 큐씨 담당자측의 상기 신호 송수신 단말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푸시 단말기측에서 상기 불량알림 신호를 송신할 때에 불량 발생 설비의 불량알림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큐씨 담당자측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불량에 대한 시정 조치(불량 제품을 만드는 설비에 대한 시정 조치 등) 완료 신호를 상기 푸시 단말기측에 송신할 때에 상기 시정 조치 완료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큐씨 알람 앱은, 상기 푸시 단말기에 의해 상기 큐알 코드를 스캐닝할 때에 큐씨 불량알림 윈도우를 상기 푸시 단말기에 표시하여 큐씨 불량알림 신호가 상기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에 송신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해당 불량에 대한 시정 조치(불량 제품을 만드는 설비에 대한 시정 조치 등)가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큐씨 담당자측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주로 스마트폰이나 피씨 등) 또는 설비 담당자측의 단말기(또는 스마트 패드)에서 상기 푸시 단말기측에 상기 시정 조치 완료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큐씨 알람 앱은, 불량 발생을 알리도록 등록하기 위한 큐씨 불량알림 섹터; 상기 큐씨 불량알림 섹터에서 불량알림 등록이 이루어진 해당 불량 설비에 대한 시정 조치가 완료(설비 담당자에 의한 시정 조치 완료)된 다음 상기 푸시 단말기측에 시정 조치 완료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생산 조치완료 섹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산 조치완료 섹터는 지정 위치의 스마트 패드에서 표시되어 생산 조치완료를 수행한 다음, 조치 내용을 입력한 이후 조치내용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큐씨 담당자측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 화면상에 생산 조치완료 신호가 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생산 조치 완료 섹터는 복수개의 관리 대상 설비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생산 설비 버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업장 등의 지정 위치에 배치된 스마트 패드 화면상에 생산 설비 버튼부가 구비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상기 큐씨 알람 앱은 큐씨 조치완료 입력폼 섹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큐씨 담당자측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 화면상에 큐씨 조치완료 입력폼 섹터가 표시되며, 큐씨 담당자측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는 피씨, 스마트폰이 동시에 가능하다.
상기 큐씨 알람 앱은, 상기 푸시 단말기와 상기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와 상기 신호 송수신 단말기에 큐씨 불량알림 현황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큐씨 불량알림 현황 섹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큐씨 알람 앱은 상기 제품 생산 설비들에 장착되는 금형의 수리 수정 내역을 기록한 금형 수리 수정 섹터와 상기 금형의 이동 내역을 기록한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리 수정 섹터에서 표시되는 콘텐츠는 금형 번호, 금형명, 수리 수정 내용을 포함하고, 금형 이동 현황 버튼부와 금형 리스트 버튼부가 상기 수리 수정 섹터에 더 표시되며, 상기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금형 이동 리스트가 챠트 형태로 현출되도록 구성되고, 금형 번호, 금형명, 금형 수리 수정 수입 현황, 금형 리스트가 상기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에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품 생산 설비의 고유 데이터가 스캔에 의해 인식되도록 하기 위한 큐알 코드를 구비한 라벨과, 이러한 라벨의 큐알 코드를 스캔하여 불량알림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푸시 단말기와, 상기 라벨에 구비된 큐알 코드를 푸시 단말기에 의해 스캐닝할 때에 큐씨 불량 알람을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큐씨 담당자에 의해 시정 조치 완료된 상태를 신호 송수신 단말기를 통하여 발송하기 위한 큐씨 알람 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시스템은 설비 제품 불량 발생시 불량 알람 입력, 스마트폰 푸시, 설비 구역 대형 티브이 화면 도출, 설비 제품 불량 시정 조치, 스마트폰 푸시, 큐씨 팀 티브이 화면 도출, 제품 확인, 알람 도출 화면 사라짐의 과정을 통해서 불량 제품 발생시 즉각적인 시정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는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품 생산 중에 불량이 발생되면 곧바로 생산자측에서 불량 신호를 발송하고, 발송된 불량 신호에 따라서 설비 담당자가 즉각적으로 불량 설비에 대한 불량 시정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제품 불량 발생시에 필요한 불량 치유 조치를 수행하는 담당자를 일일이 찾아다녀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설비 담당자는 생산자측으로부터 발송되는 제품 불량 신호에 따라 설비 수리에 필요한 공구나 테스터기 등의 필요 물품을 설비 쪽으로 이동할 때에 미리 챙겨갈 수 있어서 설비 담당자가 설비 불량의 원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필요한 공구나 테스터기와 같은 수리 도구 등을 다시 자신의 사무실로 와서 챙겨가는 시간 로스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생산중에 불량 신호가 뜨면 주변에 있는 설비 전문가가 신속하게 그 불량 설비쪽으로 와서 불량 시정에 필요한 설비 수리 등의 조치를 취해줄 수 있어서 최대한 빠르게 생산 재개가 이루어지록 할 수 있으므로 설비 중단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 등을 방지하는데도 많은 기여를 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품 관리 시스템의 주요 구성인 라벨이 설비에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설비의 라벨에 구비된 큐알 코드를 스캔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큐알 코드를 스캔에 의하여 푸시 단말기에 큐씨 불량알림 섹터가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큐씨 불량알림 섹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큐씨 불량알림 리스트에서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큐씨 불량알림 리스트에서 다른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섹터에서 표시되는 큐씨 불량알림 리스트의 일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큐씨 불량알림 섹터를 통하여 불량알림 신호 발송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불량알림 신호가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스마트 패드에 설비명이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생산 조치완료 섹터에서 설비를 선택하여 표시되는 생산 조치완료 윈도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를 보여주는 도면
10은 도 9의 생산 조치완료 섹터에서 생산 조치내용 등록이 이루어진 다음 스마트 패드에 생산 조치완료된 설비를 표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큐씨 관리자의 단말기에 표시는 큐씨 불량알림 현황 리스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의 큐씨 불량알림 현황 리스트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큐씨 조치완료 윈도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큐씨 조치완료 윈도우에서 큐씨 조치완료등록이 이루어진 다음에 메인 디스플레이에 설비의 조치 완료신호가 표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금형 수리 수정 섹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QC: Quality Control) 알람 시스템은 성형 제품(사출 제품, 예를 들어 진공 타원 오버캡 등)을 제조하다가 성형 제품의 불량이 발생될 때에 실시간으로 큐씨 담당자에게 알람 전송(스마트폰 어플 푸시)함으로써 불량 제품 방지를 위한 신속하고 적절한 생산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활용되는 발명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제품 생산 설비(10)의 고유 데이터가 스캔에 의해 인식되도록 하기 위한 큐알 코드(122)를 구비한 라벨(120)과, 이러한 라벨(120)의 큐알 코드(122)를 스캔하여 불량알림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푸시 단말기(130)(주로 스마트폰)와, 상기 라벨(120)에 구비된 큐알 코드(122)를 푸시 단말기(130)에 의해 스캐닝할 때에 큐씨 불량 알람을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큐씨 담당자에 의해 시정 조치(정상적인 생산 조치) 완료된 내용을 푸시 단말기(130)측에 송신하는 큐씨 알람 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시스템은 설비(10) 제품 불량 발생시 불량 알람 입력, 스마트폰 푸시, 설비(10) 구역 대형 티브이 화면 도출, 설비(10) 제품 불량 시정 조치, 스마트폰 푸시, 큐씨 팀 티브이 화면 도출, 제품 확인, 알람 도출 화면 사라짐의 과정을 포함한다.
설비(10) 제품 불량 발생시 불량 알람 입력 - 스마트폰, 피씨(PC)와 같은 푸시 단말기(130)를 통하여 설비(10) 불량 알람을 입력한다. 금형, 제품, 설비(10), 불량 사유, 불량 수량, 작성자,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들은 큐씨 알람 앱을 통해 푸시 단말기(130)에 저장될 수 있다.
스마트폰 푸시 - 설비 담당자에게 스마트폰 어플 푸시(큐씨 알람 앱을 통한 스마트폰 어플 푸시)를 한다. 스마트폰 알림이다.
설비(10) 구역 대형 티브이 화면 도출 - 설비(10) 구역에 설치된 대형 티브이에 설비(10), 불량 유형, 시간 도출을 하여 생산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간 입력 자료를 티브이 화면에 도출한다.
설비(10) 제품 불량 시정 조치 - 지정 위치의 스마트 패드(154)에 구비된 설비(10) 알림 조치 버튼을 클릭한다. 설비(10), 조치 시간을 저장한다.
스마트폰 푸시 - 큐씨 담당자에게 스마트폰 어플 푸시를 한다. 스마트폰 알림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의 스마트폰 푸시는 상기 설비 담당자가 아닌 큐씨 담당자에게 스마트폰 어플 푸시(큐씨 관리 앱을 통한 푸시)를 하는 것이다.
큐씨 팀 티브이 화면 도출 - 큐씨 팀이 설비(10) 구역에 설치된 대형 티브이 화면을 통해 조치 완료 알람을 도출한다. 실시간 조치 완료 상황을 티브이 화면에 도출하는 것이다.
제품 확인 - 제품 확인 후 스마트폰, 피씨 등을 통해 설비(10) 불량 조치 내용을 입력한다. 조치 내용과 시간을 저장한다. 스마트폰이나 피씨 등에 조치 내용과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알림 도출 화면 사라짐 - 설비(10) 구역, 큐씨 구역, 설비(10) 지정 위치 스마트 패드(154)에서 알림 도출 화면이 사라지게 된다. 일정 시간 경과 후 알림 도출 화면이 사라진다.
본 발명의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에서의 과정은 설비(10)마다 큐알 코드(122) 구비 --> 큐알 코드(122) 스캔 --> 큐씨 입력 버튼 도출(큐씨 알람 앱을 통한 스마트폰 등에 큐씨 입력폼 도출) --> 큐씨 불량알림 --> 등록 --> 큐씨 담당자(큐씨 담당자 등) 호출 --> 불량 시정 조치(큐씨 담당자 등에 의한 시정 조치) --> 불량 시정 조치 완료된 설비(10)의 큐알 코드(122) 스캔(큐씨 담당자가 라벨(120)에 있는 큐알 코드(122) 스캔)에 의해 해당 설비(10)의 조치 완료 내용 입력 --> 조치 완료 버튼 클릭을 포함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불량알림과 불량 시정 조치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주요부는 큐알 코드(122)를 구비한 라벨(120)과 큐씨 알람 앱이라 할 수 있는데, 설비(10)(제품을 사출하기 위한 사출기 등)마다 부착되는 라벨(120)의 큐알 코드(122)를 푸시 단말기(130)(주로 스마트폰 등)에 의해 스캔하면, 상기 큐씨 알람 앱은 푸시 단말기(130)에 의해 각 설비(10)의 큐알 코드(122)를 스캐닝할 때에 큐씨 불량알림 윈도우를 상기 푸시 단말기(130)에 표시하여 큐씨 불량알림 신호가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에 송신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큐씨 담당자에 의해 해당 불량 설비(10)에 대한 시정 조치 완료(불량 시정 조치 완료)된 다음에는 큐씨 담당자측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주로 스마트폰이나 피씨 등)에서 푸시 단말기(130)측에 시정 조치 완료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라벨(120)은 전면에 해당 설비(10)(사출기)에 의해 사출되는 제품의 제품명, 상기 설비(10)에 장착되는 금형을 식별할 수 있는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설비(10)용 금형의 금형 번호, 각인 번호, 금형 저장 구역이 라벨(120)에 표시된다. 라벨(120)에서 금형 번호가 "TC046A"로 표시되고 각인 번호가 "8135"로 표시된 경우 TC는 금형이 성형하는 제품의 명칭을 나타내고, "046"은 금형이 성형하는 제품의 번호이며, "A"는 금형이 제작된 순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는 첫 번째 제조한 금형, "B"는 두 번째 제조한 금형, "C"는 세 번째 제조한 금형이 된다. 상기 라벨(120)에 큐알 코드(122)가 구비된다. 큐알(Quick Response) 코드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활용성이나 정보성 면에서 바코드보다 진일보한 2차원적으로 구성된 코드체계로서, 본 발명에서는 설비(10)에 장착되는 금형의 고유 데이터가 큐알 코드(122)에 저장된다. 상기 큐알 코드(122)를 스마트폰 등의 푸시 단말기(130)에 의해 스캔하면 후술할 큐씨 알람 앱에 의해 불량알림 신호가 큐씨 담당자측에 전송되고, 큐씨 담당자측에서는 불량 시정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핵심적인 구성인 큐씨 알람 앱은 큐씨 불량알림 섹터(159), 생산 조치완료 섹터(153)를 포함하며, 큐씨 조치완료 입력폼 섹터(157)와 큐씨 불량알림 현황 섹터가 큐씨 알람 앱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큐씨 알람 앱을 통하여 큐씨 불량알림 섹터(159)와 불량알림 현황 리스트가 설비(10) 앞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푸시 단말기(130)(주로 스마트폰) 화면에 뜨고 생산 조치완료 섹터(153)는 지정된 위치에 설치(예를 들어, 설비(10)가 설치된 작업장의 지정된 위치)된 스마트 패드(154)의 화면상에 뜨며, 큐씨 조치완료 입력폼 섹터(157) 및 큐씨 불량알림 현황 섹터는 큐씨 담당자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스마트폰, 피씨)의 화면에 뜨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큐씨 알람 앱에 의하여 작업자측의 푸시 단말기(130)와 스마트 패드(154)를 조작하는 설비 담당자의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주로 스마트폰) 및 큐씨 담당자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에 큐씨 불량알림 섹터(159)와 불량알림 현황 리스트와 생산 조치완료 섹터(153)와 큐씨 조치완료 입력폼 섹터(157) 및 큐씨 불량알림 현황 섹터가 동시에 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큐씨 불량알림 섹터(159)는 설비(10)의 불량 발생을 알리도록 등록하기 위한 것으로, 설비(10)에 장착된 라벨(120)의 큐알 코드(122)를 푸시 단말기(130)로 스캔(설비(10) 앞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주로 스마트폰으로 라벨(120)의 큐알 코드(122)를 스캔)하면, 푸시 단말기(130)(이하, 작업자측의 푸시 단말기(130)를 설명의 편의상 스마트폰으로 칭하기로 함) 화면상에 큐씨 불량알림 섹터(159)가 뜨게 된다. 생산자측의 스마트폰에 화면으로 큐씨 불량알림 섹터(159)가 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시에 큐씨 불량알림 현황 리스트도 상기 작업자의 스마트폰 화면상에 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큐씨 불량알림 섹터(159)에서는 금형 NO 입력부, 품번 입력부, 설비(10)명 입력부, 발견시점 입력부, 작성자 입력부, 불량수량 입력부 및 불량 유형 입력부가 표시된다. 등록 버튼부도 큐씨 불량알림 섹터(159)에 표시된다.
상기 금형 NO 입력부는 금형 NO 문자부 옆에 블랭크 창 형태의 금형 NO 선택창이 구비된다. 금형 NO 선택창에는 선택 활성바가 구비되어, 상기 선택 활성바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눌러주면 이미 등재되어 있는 설비(10)들의 고유 금형 번호가 리스트 형태로 뜨게 되며, 설비(10) 앞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푸시 단말기(130)(주로 스마트폰)에서 제품 불량을 내고 있는 설비(10)에 장착되는 금형 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금형 넘버 선택창에 해당 불량 설비(10)에 장착되는 금형 번호가 입력된 상태로 된다.
상기 품번 입력부는 품번 문자부 옆에 블랭크 창 형태의 품번 선택창이 구비된다. 품번 선택창에는 선택 활성바가 구비되어, 상기 선택 활성바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눌러주면 설비(10)에 장착된 금형에 의해 생산(사출)되는 제품들의 번호가 리스트 형태로 뜨게 되며, 설비(10) 앞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푸시 단말기(130)(주로 스마트폰)에서 제품 불량을 내고 있는 설비(10) 금형으로 생산되는 제품의 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품번 선택창에 해당 불량 제품의 번호가 입력된 상태로 된다.
상기 설비(10)명 입력부는 설비(10)명 문자부 옆에 블랭크 창 형태의 설비(10)명 선택창이 구비된다. 설비(10)명 선택창에는 선택 활성바가 구비되어, 상기 선택 활성바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눌러주면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설비(10)명들의 번호가 리스트 형태로 뜨게 되며, 설비(10) 앞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푸시 단말기(130)(주로 스마트폰)에서 제품 불량을 내고 있는 설비(10)명(예를 들어, 1호기, 2호기, 3호기 등)을 선택하면 상기 설비(10)명 선택창에 해당 불량 제품의 생산 설비(10)명이 입력된 상태로 된다.
상기 발견시점 입력부는 발견시점 문자부 옆에 블랭크 창 형태의 발견시점 선택창이 구비된다. 발견시점 선택창에는 선택 활성바가 구비되어, 상기 선택 활성바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눌러주면 제품 불량 일자들이 리스트 형태로 뜨게 되며, 설비(10) 앞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푸시 단말기(130)(주로 스마트폰)에서 해당 제품 불량 일자를 선택하면 상기 발견시점 선택창에 해당 불량 제품의 발견시점이 입력된 상태로 된다. 이때, 발견시점 선택창에 제품 불량 일자 리스트가 생산 초기, 공정 검사중, 기타와 같이 날짜가 아닌 다른 형태의 시기로 표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생산 초기를 선택하면 불량 발견시점이 생산 초기로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작성자 입력부는 작성자 문자부 옆에 블랭크 창 형태의 작성자 선택창이 구비된다. 작성자 선택창에는 선택 활성바가 구비되어, 상기 선택 활성바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눌러주면 작성자들이 리스트 형태로 뜨게 되며, 설비(10) 앞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푸시 단말기(130)(주로 스마트폰)에서 작성자를 선택하면 상기 작성자 선택창에 해당 불량 제품의 생산 설비(10)의 담당자가 입력된 상태로 된다. 이때, 상기 담당자는 큐씨 담당자나 설비(10) 담장자(설비(10)를 수리하는 등의 작업을 하는 엔지니어 등) 또는 작업자 자신이 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큐씨 담당자를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불량수량 입력부는 불량수량 문자부 옆에 블랭크 창 형태의 불량수량 입력창이 구비된다. 불량수량 입력창에는 작업자가 직접 숫자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불량수량 입력창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푸시 단말기(130)에 구비된 숫자 버튼을 눌러줌으로써 불량수량을 직접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불량 유형 입력부는 불량유형 문자부 옆에 블랭크 창 형태의 불량유형 입력창이 구비된다. 불량유형 입력창에는 작업자가 직접 문자를 입력하여 불량 유형을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불량유형 입력창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푸시 단말기(130)에 구비된 문자 버튼을 눌러줌으로써 불량유형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단말기(130)에는 큐씨 불량알림 현황 리스트도 표시된다. 큐씨 불량알림 현황 리스트를 보면, 일자, 설비(10), 품번, 규격, 품명, 발견 시점, 불량 수량, 불량 유형, 조치 내용, 작성자, 완료 시간이 내림차순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다. 상기 "2013-12-11 오전 8:37:30"로 표시된 행을 보면, 불량 발생 일자는 2013년 12월 11일 오전 8시 37분 30초, 불량 발생 설비(10)는 15호기, 품번(제품 번호)은 BO186AS0001, 규격은 LG CREAM PUMP 외용기, 품명은 LG CREAM PUMP 외용기(투명), 발견 시점은 공정 검사시, 불량 수량은 20개, 불량 유형은 전체 측면하단 우라 발생(굴곡 발생), 조치 내용은 조치 완료, 작성자는 나순례, 완료시간은 2013년 12월 11일 오전 9시 13분 39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2013-12-11 오전 11:28:26"로 표시된 행을 보면, 불량 발생 일자는 2013년 12월 11일 오전 11시 28분 26초, 불량 발생 설비(10)는 1호기, 품번(제품 번호)은 OC097PS0005, 규격은 50ml 장식용 O/C, 품명은 원형 장식용 PP 오버캡(31*41 펄연갈색) 무광코팅-QSP(PL) 50-287, 발견 시점은 생산 초기, 불량 수량은 20개, 불량 유형은 #4 측면 상단 #7 얼굴 물방울 튐, #5,6 하단 바리(버어), 조치 내용은 #4,7을 버리고 양산, 작성자는 김영선, 완료 시간은 2013년 12월 11일 오후 6시 0분 8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서 푸시 단말기(130)(즉, 작업자측의 스마트폰 등)를 통해 금형 NO, 품번, 설비(10)명, 발견시점, 작성자, 불량수량 및 불량 유형의 입력이 완료된 다음에 상기 등록 버튼부를 클릭(작업자가 푸시 단말기(130)를 통해서 클릭)하면, 불량알림 신호가 송신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비 담당자가 소지하고 있는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주로 스마트폰)에 불량알림 신호가 송신되어 설비 담당자가 어느 설비(10)에서 불량이 발생되었는지를 즉시 알아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푸시 단말기(130)와 큐씨 담당자측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 사이에 연결되어 푸시 단말기(130)측에서 불량알림 신호를 송신할 때에 불량 발생 설비(10)의 불량알림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큐씨 담당자측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 또는 설비 담당자측의 단말기(본 발명에서는 지정 위치에 구비된 상기 스마트 패드(154)임)에서 불량에 대한 시정 조치(불량 제품을 만드는 설비(10)에 대한 시정 조치 등) 완료 신호를 상기 푸시 단말기(130)측에 송신할 때에 시정 조치 완료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대형 티브이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측의 스마트폰을 통하여 상기와 같은 불량알림 신호가 설비 담당자의 큐씨 불량알림 수신 단말기(주로 스마트폰)에 전송되어 화면에 불량알림 신호가 뜨면서 동시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의 화면에도 불량알림 신호가 뜨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설비(10)들 중에서 3호기에서 불량이 발생되어서 상기 푸시 단말기(130)에서 설비 담당자측 스마트폰 화면에 "3호기 불량 발생"이라는 불량알림 신호가 뜨게 되고 동시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의 화면에도 "3호기 불량 발생"이라는 불량알림 신호가 뜨게 된다.
상기 큐씨 알람 앱에 의해 설비 담당자의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주로 스마트폰으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설비 담당자측 스마트폰이라 함) 화면에 큐씨 불량알림 섹터(159)의 불량 내역 콘텐츠(상기와 같이 선택된 금형 NO, 품번, 설비(10)명 등의 콘텐츠)가 표시된다. 푸시 단말기(130)측에서 푸시된 큐씨 불량알림 신호가 상기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에 송신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는 주로 설비 담당자측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으로서, 이하에서는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를 편의상 설비 담당자측 스마트폰이라 칭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설비 담당자측 스마트폰에는 큐씨 불량알림 신호와 함께 생산 조치완료 섹터(153)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생산 조치완료 섹터(153)는 설비 담당자측 스마트폰에 화면으로 표시되는 복수개의 생산 설비 버튼부(155)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설비(10)가 설치된 작업장의 지정 위치(예를 들어, 작업장의 기둥 등)에 스마트 패드(154)를 설치하고, 상기 지정 위치의 스마트 패드(154) 화면에 복수개의 생산 설비 버튼부(155)를 구비한 생산 조치완료 섹터(153)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정 위치의 스마트 패드(154) 화면에 복수개의 생산 설비 버튼부(155)를 구비한 생산 조치완료 섹터(153)가 표시되는 구성을 취한다. 생산 설비 버튼부(155)에는 분할된 창 형태로 1호기, 2호기, 3호기 .... 14호기가 표시되어 있으며, 1호기, 2호기와 같이 각각의 생산 설비 버튼부(155)를 클릭하면 생산 조치완료 버튼부가 설비 담당자측 스마트폰에 윈도우 형태로 표시된다.
상기 생산 설비 버튼부(155) 중에서 불량발생 신호가 전송된 설비(10)(예를 들어 3호기)에 해당하는 생산 설비 버튼부(155)를 클릭하게 되면, 설비 담당자측 스마트폰에 생산 조치완료 섹터(153)가 뜬 상태가 되고 동시에 조치 내용 블랭크 창에 "조치내용을 자세히 입력해주세요"라는 메시지 아래에 조치내용등록 버튼이 표시된다. 따라서, 설비 담당자가 조치 내용 블랭크 창에 불량 조치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불량 조치내용은 예를 들어 상기 큐씨 불량알림 현황 리스트에서 "2013-12-11 오전 8:37:30" 행의 불량이 발생한 상태라 가정하고, 상기 불량에 대해 조치 완료가 이루어진 상태라 가정하면, 상기 조치 내용 블랭크 창에 "조치 완료"를 입력하면 된다.
상기 조치 내용 블랭크 창에 "조치 완료"와 같은 조치 내용 입력이 완료된 다음에 상기 조치내용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큐씨 담당자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예를 들어, 큐씨 담당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큐씨 담당자의 피씨 단말기 등)에 불량 발생에 대응하여 생산 조치완료 신호가 전송(푸시)된다. 동시에 작업장에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에도 생산 조치완료 신호(즉, 불량 발생 설비(10) 등에 대한 정상적인 생산이 가능한 조치가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송신하여 생산자측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설비 담당자측에서 생산 조치완료 신호를 큐씨 담당자측(즉, 큐씨 담당자측의 스마트폰이나 피씨 등)에 송신(푸시)할 때에 동시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도 생산 조치완료 신호가 뜨게 된다. 예를 들어, 불량이 발생되었던 3호기에 대한 생산 조치 작업이 완료되어서 설비 담당자측이 생산 조치완료 신호를 큐씨 담당자측에 전송할 때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 화면상에 "3호기 생산 조치완료"라는 생산 조치완료 신호가 메시지 형태로 뜨게 될 것이다.
상기 큐씨 조치완료 입력폼 섹터(157)는 설비 담당자측에서 생산 조치완료 신호를 큐씨 담당자측에 송수에 전송(푸시)할 때에 큐씨 담당자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에 뜨게 된다. 상기 신호 송수신 단말기는 주로 큐씨 담당자의 스마트폰이나 큐씨 담당자의 피씨 등이 된다. 이때, 생산 조치완료 신호가 큐씨 담당자의 스마트폰과 피시에 동시에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큐씨 담당자측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에는 큐씨 불량알림 현황 섹터도 함께 표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큐씨 조치완료 입력폼 섹터(157)에서는 조치내용등록으로 표시된 버튼창 형태의 조치내용등록 버튼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치내용등록 버튼부를 큐씨 담당자가 클릭하면, 큐씨 조치완료 입력폼 섹터(157)에 조치 내용 블랭크 창이 표시됨과 동시에 조치 내용 블랭크 창에는 "조치내용을 자세히 입력해주세요"라는 메시지 아래에 조치내용등록 버튼이 표시된다. 따라서, 큐씨 담당자가 조치 내용 블랭크 창에 큐씨 조치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큐씨 조치내용은 예를 들어 상기 큐씨 불량알림 현황 리스트에서 "2013-12-11 오전 8:37:30" 행의 불량이 발생한 상태라 가정하고, 상기 불량에 대해 조치 완료가 이루어진 상태라 가정하면, 상기 조치 내용 블랭크 창에 "조치 완료"를 입력하면 된다.
상기 큐씨 불량알림 현황 섹터도 큐씨 담당자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에 뜨게 된다. 상기 큐씨 불량알림 현황 섹터는 큐씨 담당자측 신호 송수신 단말기에 큐씨 불량 알림 현황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 물론 큐씨 불량알림 현황 섹터는 설비 담당자측 단말기(스마트폰 등)에도 뜨게 되어 큐씨 불량알림 현황 리스트를 설비 담당자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큐씨 불량알림 현황 리스트에는 일자, 생산조치 시간, 조치시간, 설비(10), 품번, 규격, 품명, 발견 시점, 불량 유형, 생산조치 내용, 조치 내용, 작성자 칼럼이 표시된다.
상기 일자 칼럼에는 불량 알림 일자가 내림차순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생산 조치 시간 칼럼에는 불량 발생 수정을 하고 정상 생산이 가능하도록 조치한 생산 조치 시간이 각 행마다 내림차순 형태로 표시된다. 이때, 생산조치 시간은 불량 교정을 위해 설비 담당자가 해당 불량 설비(10)를 수리한 시간 등을 의미한다. 상기 생산조치 시간 칼럼에는 설비 담당자(설비 엔지니어)가 내용을 입력한다. 또한, 상기 설비 칼럼에는 조치 시간이 내림차순 형태로 표시된다. 조치 시간은 설비 담당자가 불량 설비(10)를 수리하고 나서 정상 생산이 재개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설비 칼럼에는 수리 대상 설비(10)가 표시된다. 3호기, 15호기, 7호기 등으로 표시된다. 상기 품번 칼럼에는 제품 번호가 표시된다. BL036MO0001, BO186AS0349와 같이 제품 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규격 칼럼에는 생산 제품의 규격이 표시된다. 45ML, LG CREAM PUMP 외용기와 같이 표시된다. 상기 품명 칼럼에는 생산 제품의 이름이 표시된다. 오휘 에이지 사이언스 리프팅 에센스 45ML 용기장식(미백색)과 같이 생산 제품의 이름이 표시된다. 상기 발견 시점 칼럼에는 불량을 발생한 시점이 표시된다. "생산 초기"로 표시된 경우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불량이 발생된 것을 알 수 있고, "공정 검사"로 표시된 경우 생산 초기 시점을 넘어서 생산 공정 중에 불량이 발생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수량 칼럼에는 불량난 제품의 갯수가 표시된다. 상기 불량 유형 칼럼에는 제품 불량이 생긴 유형이 표시된다. "#3 수축발생"으로 표시된 경우 3번 금형에서 수축 발생 에러(불량)이 생긴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생산조치내용 칼럼에는 제품 불량이 발생되는 설비(10)나 해당 금형에 대해 조치한 내용이 기재된다. "전체조건 수정 웰드 확인"과 같이 불량 시정 조치한 내용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생산조치내용 칼럼에는 설비 담당자가 조치한 내용을 기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치내용 칼럼에는 불량에 대한 조치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와 조치 내용이 표시된다. "확인완료(조치됨)"과 같이 표시되면 해당 불량에 대한 조치가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고, "조치안됨(포장조원 선별 양산)"으로 표시되면 조치는 이루어지지 않고 포장조원을 선별하여 선택적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치내용 칼럼에는 큐씨 담당자가 내용을 기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작성자 칼럼에는 불량에 대응한 조치를 수행한 담당자가 기재된다. 본 발명에서는 작성자 칼럼에 큐씨 담당자의 이름을 기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큐씨 관리자측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조치 내용 블랭크 창에 "조치 완료"와 같은 조치 내용 입력이 완료된 다음에 상기 조치내용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의 화면상에 조치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표시된다. 동시에 지정 위치에 설치된 스마트 패드(154)에도 조치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표시된다. 3호기의 불량이 생겼는데 3호기에 대한 불량 시정 조치가 완료된 경우 큐씨 담당자가 신호 송수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치완료 신호를 발송하는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 화면에 "3호기 조치완료"와 같은 메시지 형태로 조치완료 신호가 표시될 것이다. 동시에 상기 스마트 패드(154)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설비(10) 선택 버튼부 중에서 해당 3호기에 해당하는 설비(10) 선택 버튼부에도 "3호기 조치완료"라는 메시지 형태의 조치완료 신호가 표시된다. 한편,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과 스마트 패드(154)에 표시된 조치완료 신호는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큐씨 알람 앱에 금형 수리 수정 섹터(161)와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리 수정 섹터(161)는 금형의 수리 수정 확인 등록을 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 화면상에 수리 수정 섹터(161)가 버튼식 창으로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리 수정 섹터(161)를 터치식으로 클릭 동작(누름 동작)을 하게 되면 수리 수정 섹터(161)의 콘텐츠가 스마트폰 화면상에 뜨게 된다. 수리 수정 섹터(161)는 설비 담당자의 스마트폰과 큐씨 담당자의 스마트폰 또는 피씨 화면에 뜰 수 있다. 수리 수정 섹터(161)에는 기간으로 표시된 부분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되고, 금형 번호(금형 NO) 표시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되고, 금형명 표시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되며, 구분 표시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된다. 구분 표시 옆의 블랭크 창 옆에는 검색 버튼부가 구비되고, 금형 이동 현황과 금형 리스트가 버튼 창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기간 옆의 블랭크 창에 날짜를 입력하고 금형 번호 블랭크 창에 금형 번호를 입력한 다음 검색 버튼부를 클릭하면 해당 금형의 수리, 수정, 수입 현황이 리스트 형태로 뜨게 된다. 또는, 상기 기간 옆의 블랭크 창에 날짜를 입력하고 금형 이름 블랭크 창에 금형 이름을 입력한 다음 검색 버튼부를 클릭하면 해당 금형의 수리, 수정, 수입 현황이 리스트 형태로 뜰 수도 있다. 상기 구분 브랭크 창에도 "수리", "승인"과 같은 단어를 넣고 검색 버튼부를 클릭하여 금형을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수리 수정 섹터(161)에서는 수리 수정, 수입 현황 리스트가 표시된다. "2012-11-14, SC169A, 헤라 프리퍼펙션 세럼 100ml 스크류캡, 승인, 신작"으로 표시된 부분을 설명하면, 2014년 11월 14일에 헤라 프리퍼펙션 세럼 100ml 스크류캡의 성형을 위한 SC169A 금형을 새로 만든 것임을 알 수 있다. 신작은 SC169A 금형을 새로 만들었다는 의미이다. 구분란에는 "승인"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새로 만든 SC169A 금형의 승인이 나 있는 상태임을 나타낸다.
상기 "2013-12-18, SC169A, 헤라 프리퍼펙션 세럼 100ml 스크류캡, 두인산업, 수리, 가이드핀 가지리 수리"로 표시된 부분을 설명하면, 2013년 12월 18일에 두인산업에서 헤라 프리퍼펙션 세럼 100ml 스크류캡 사출을 위한 SC169A 금형을 수리했음을 알 수 있다. SC169A 금형의 수리 내용은 가이드핀 가지리 수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구분란에는 수리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리 수정 섹터(161)에는 부서 제작처 입력 버튼부가 도출될 수 있다. 즉, 수리 수정 섹터(161)에 부서 제작처 입력 버튼부가 누름 버튼 창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부서는 예를 들어 금형팀이 될 수 있는데, 금형팀에서 부서 제작처 입력 버튼부를 클릭하여서 금형의 수리 수정 수입 현황을 큐씨 담당자측이나 설비 담당자측의 스마트폰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금형 제작처에서 담당자가 부서 제작처 입력 버튼부를 클릭하여서 금형팀 등의 수리 수정 수입 현황을 알 필요가 있는 측의 단말기에 상기 금형의 수리 수정 수입 현황을 전송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는 단말기에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다. 즉, 스마트폰에 표시된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를 클릭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화면상에 금형 이동 리스트가 뜨는 것이다. 이때, 단말기는 큐씨 관리자측의 단말기(스마트폰이나 피씨 단말기 등)와 설비 담당자측 단말기(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에서는 기간으로 표시된 부분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되고, 금형 번호(금형 NO) 표시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되고, 금형명 표시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되며, 구분 표시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된다. 구분 표시 옆의 블랭크 창 옆에는 검색 버튼부가 구비되고, 금형 이동 현황과 금형 리스트가 버튼 창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기간 옆의 블랭크 창에 날짜를 입력하고 금형 번호 블랭크 창에 금형 번호를 입력한 다음 검색 버튼부를 클릭하면 해당 금형의 이동 현황이 리스트 형태로 뜨게 된다. 또는, 상기 기간 옆의 블랭크 창에 날짜를 입력하고 금형 이름 블랭크 창에 금형 이름을 입력한 다음 검색 버튼부를 클릭하면 해당 금형의 이동 현황이 리스트 형태로 뜰 수도 있다. 상기 구분 브랭크 창에도 "수리", "승인"과 같은 단어를 넣고 검색 버튼부를 클릭하여 금형의 이동 현황을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금형명으로 표시된 문자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되고, 각인번호로 표시된 문자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된다. 또한, 검색으로 표시된 버튼 누름식 창이 구비된다. 상기 금형명 옆의 블랭크창에서 다른 금형 번호(즉, SC167A 금형 이외의 금형 번호)를 입력하거나 상기 금형명 옆에 표시된 블랭크 창에 금형명을 입력하거나 각인번호 옆의 블랭크 창에 각인 번호를 입력한 다음 상기 검색창을 클릭(버튼식으로 누르거나 터치)하게 되면, 상기 SC167A 금형이 아닌 다른 금형의 이동 현황 정보(데이터)가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에서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것이다.
상기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에 리스트로 표시된 금형 이동 현황 중에서 2013년 10월 8일자로 표시된 행을 보면, 대일정공에서 두인산업으로 금형이 이동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의 금형의 금형 번호는 OC790A, 각인 번호는 2981, 금형명은 진공타입 오버캡-B(동아제약 가그린용)이다. 또한, 상기 금형 이동 리스트에서 내용 칼럼을 보면 시사출 금형 이동이라고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금형이 시사출 금형으로서 대일정공에서 두인산업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의 리스트에서 2013년 10월 11일자로 표시된 행을 보면, 두인산업에서 대일정공으로 금형이 이동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의 금형의 금형 번호는 OC790A, 각인 번호는 2981, 금형명은 진공타입 오버캡-B(동아제약 가그린용)이다. 또한, 상기 금형 이동 리스트에서 내용 칼럼을 보면 시사출 금형 이동이라고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금형이 시사출 금형으로서 두인산업에서 대일정공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금형 이동 리스트에서 비고 칼럼을 보면 "#1,3 슬라이드 랩핑, #3,4 냉가 누수 3번 베이스 수리"로 기재된 부분이 있는데, 이를 통해서 금형의 수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비고 칼럼에는 금형 개발자가 내용을 기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금형 개발자가 "김상현"이라면, 개발자 김상현이 비고 칼럼에 상기 "#1,3 슬라이드 랩핑, #3,4 냉가 누수 3번 베이스 수리"와 같은 내용을 입력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에 금형 담당자 입력 버튼이 도출된다.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에서 금형 이동 리스트 옆에 위치되도록 터치 버튼(또는 클릭 버튼) 형태로 금형 담당자 입력버튼부가 구비될 수 있다. 금형 개발자가 금형 담당자 입력 버튼을 클릭하여 금형 이동 현황 데이터를 입력 저장할 수도 있고, 금형을 납품받는 측의 담당자가 금형 담당자 입력 버튼을 클릭하여 금형 이동 현황 데이터를 입력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해 불량 발생을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불량 시정 조치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품 생산 설비(10) 중에서 불량 제품이 나온 것을 현장 작업자(검수자)가 확인하면, 설비(10)에 구비된 비상 정지버튼을 눌러서 설비(10)의 작동을 중단한 상태에서 상기 설비(10)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120)의 큐알 코드(122)를 푸시 단말기(130)(이하, 설명의 편의상 생산자측 스마트폰으로 칭하기로 함)로 스캔한다.
그러면, 큐씨 불량 알림 섹터가 생산자측 스마트폰에 화면으로 뜨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불량 제품을 생산하는 금형 번호, 품번, 설비(10)명, 발견 시점, 작성자, 불량 수량, 불량 유형을 입력한 다음 큐씨 불량 알림 섹터에 구비된 등록 버튼을 클릭한다.
상기 생산자측 스마트폰을 통해 불량알림 신호가 푸시(발송)되면 상기 설비 담당자측으로 불량 알림 신호가 전송된다. 설비 담당자측의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주로 스마트폰)에 화면으로 불량 알림 신호가 발송된다. 동시에 작업장에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대형 티브이) 화면에 불량 알림 신호(예를 들어, 3호기 불량)가 뜨게 된다.
상기 설비 담당자측에 불량 알림 신호가 푸시되면 설비 담당자가 이를 확인하여 즉시 불량 생산 제품 설비(10)(예를 들어, 3호기가 불량이면 3호기)로 이동하여서 상기 불량 설비(10)에 대한 필요한 조치를 하게 된다. 설비(10) 자체가 불량이면 설비(10)의 수리를 하게 되고 설비(10)에 장착된 금형이 불량이면 금형의 수리에 필요한 조치를 하게 될 것이다. 물론, 설비 담당자측 단말기 이외에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140)에도 화면으로 불량 알림 신호가 표시되므로 근처에 있는 설비 담당자가 불량 설비(10)쪽으로 가서 불량 시정에 필요한 제반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설비 담당자가 해당 불량 설비(10)에 대한 시정 조치를 완료한 다음에는 큐씨 관리자측에 생산 조치완료 신호를 발송(푸시)한다. 설비 담당자는 불량 설비(10)에 대한 시정 조치를 완료한 다음에 자신의 설비 담당자측 스마트폰이나 지정 위치에 구비된 상기 스마트 패드(154)를 이용하여 시정 조치된 설비(10)를 선택하여 생산 조치완료가 되었음을 큐씨 담당자측의 조치완료 신호 송수신 단말기에 푸시(발송)하면 된다.
상기 설비 담당자가 생산 조치완료 신호를 큐씨 담당자측에 발송하면 큐씨 담당자는 큐씨 관리자측 단말기(스마트폰이나 피씨 단말기 등)에서 생산 조치완료 신호를 확인하고 큐씨 관리자측 단말기에 표시된 큐씨 불량 알림 현황 섹터의 리스트에서 표시된 내용을 확인한 다음, 상기 조치내용등록 섹터에서 조치 내용을 입력한 다음, 조치내용등록 버튼을 클릭한다.
상기 큐씨 담당자측에서 조치내용등록을 하게 되면, 불량 설비(10)에 대한 조치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조치완료 신호가 생산자측에 알려주어 생산이 재개되도록 한다. 큐씨 담당자측으로부터 푸시(발송)되는 조치완료 신호는 생산자측 스마트폰, 큐씨 구역에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 생산자측의 작업장에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 설비 담당자의 스마트폰, 지정 위치의 스마트 패드(154)에 동시에 표시(도출)되어 상기 조치완료 신호를 확인한 다음 생산 재개를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생산자측에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 화면에 조치완료 신호를 띄워서 생산자측이 쉽게 확인하여 생산 재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3호기에 대한 조치가 완료되면 상기 생산자측의 작업장 등에 설치된 대형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에 화면으로 3호기 조치완료라는 메시지 형태의 조치완료 신호를 띄워서 생산자측이 3호기의 조치가 완료되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품 생산 중에 불량이 발생되면, 그 즉시 불량 신호를 발송하고, 발송된 불량 신호에 따라서 설비 담당자가 즉각적으로 불량 설비(10)에 대한 불량 시정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제품 불량 발생시에 필요한 불량 치유 조치를 수행하는 담당자를 일일이 찾아다녀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품 생산 중에 불량이 발생되면 설비(10) 전문가가 신속하게 그 불량 설비(10)쪽으로 와서 불량 시정에 필요한 설비(10) 수리 등의 조치를 취해줘야 하는데, 설비(10) 앞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설비 담당자(설비(10) 전문가)를 일일이 찾아 다니려면 찾아 다니는 시간 동안 시간 로스가 발생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불량이 발생되면 곧바로 불량 신호를 설비 담당자에게 발송하여 설비 담당자가 즉각적으로 불량 설비(10)에 대한 불량 시정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시간 로스가 방지되는 것이다. 불량 설비(10)를 수리하는 등의 업무를 하는 설비 담당자를 찾아다니는 시간 로스가 없이 즉시적으로 불량 설비(10)에 대한 생산 조치를 수행하게 되므로, 제품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설비 담당자가 불량 설비(10)에 대응한 시정 조치(설비(10) 수리 등)를 완료한 다음에는 큐씨 담당자측에 생산 조치완료 신호를 발송하고, 큐씨 담당자는 생산 조치완료 신호에 따라 큐씨 조치 내용을 확인한 다음 큐씨 조치완료 신호를 생산자측에 발송함으로써 신속하게 생산 재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생산자측, 설비 담당자측, 큐씨 담당자측 사이에 시간 로스가 없이 유기적이면서도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신속하게 불량 시정 조치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영업 사원이 납품처에 가서 제품을 납품했을 때에 제품 체크를 해보니 불량으로 판정되면 곧바로 제품 불량을 생산자측에 알려줌으로써 불량 시정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불량 제품이 쓸데없이 많이 나오는 경우를 신속하게 차단하는 효과도 있다. 일단 납품처에 제품이 나갔는데 그 제품이 불량이라 판정되면 그 즉시 생산자측에 불량 신호를 알려주어서 불량 제품이 더 이상 나오지 않도록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생산 중인 제품의 불량은 물론 이미 납품된 제품의 불량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불량 시정 조치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의미가 크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리 수정 섹터(161)에서는 금형의 수리 수정 내역을 확인하고 등록이 가능하다. 어떠한 금형이 어느 날짜에 수리가 되고, 수리 내용은 무엇인지, 금형의 수리 업체는 누구인지, 금형의 현재 수리 수정에 있어서의 상태는 어떠한지 등의 정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어서 금형의 체계적이고 전산화된 관리에 많은 도움이 된다.
그리고,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에서는 금형의 이동 상태 확인 및 등록이 가능하다. 금형이 어느 날짜에 이동되었는지의 여부, 금형이 어느 업체로 이동되었는지 여부, 이동 금형의 번호, 이동 금형명, 이동한 금형이 시사출 금형인지 양산 금형인지의 여부, 금형 이동시 어느 부분의 수리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스캐닝 단말기(스마트폰 등)를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금형 이동 데이터(정보)가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모두 스캐닝 단말기에 표시되므로, 금형 관리자 등이 현재 어떤 금형이 어느 업체로 이동되어 있는지를 힘들게 찾아보지 않더라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금형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그때마다 금형이 이동 이력을 수정하여 등록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설비 120. 라벨
122. 큐알 코드 130. 푸시 단말기
140.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 151. 푸시 불량알림 섹터
153. 생산 조치완료 섹터 155. 생산 설비 버튼부
157. 조치완료 입력폼 섹터 159. 큐씨 불량알림 섹터
161. 수리 수정 섹터 163. 금형 이동내역 섹터

Claims (8)

  1. 제품 생산 설비(10)의 고유 데이터가 스캔에 의해 인식되도록 하기 위한 큐알 코드(122)를 구비한 라벨(120);
    상기 라벨(120)의 상기 큐알 코드(122)를 스캔하여 불량알림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푸시 단말기(130);
    상기 라벨(120)에 구비된 상기 큐알 코드(122)를 상기 푸시 단말기(130)에 의해 스캐닝하여 큐씨 불량알림 신호를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큐씨 불량 알람에 대응하여 불량 시정 조치 완료된 상태를 상기 푸시 단말기(130)측에 발송하기 위한 큐씨 알람 앱;
    상기 푸시 단말기(130)와 상기 큐씨 담당자측의 상기 신호 송수신 단말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푸시 단말기(130)측에서 상기 불량알림 신호를 송신할 때에 불량 발생 설비(10)의 불량알림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큐씨 담당자측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불량에 대한 시정 조치 완료 신호를 상기 푸시 단말기(130)측에 송신할 때에 상기 시정 조치 완료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큐씨 알람 앱은,
    불량 발생을 알리도록 등록하기 위한 큐씨 불량알림 섹터(159);
    상기 큐씨 불량알림 섹터(159)에서 불량알림 등록이 이루어진 해당 불량 설비(10)에 대한 시정 조치가 완료(설비 담당자에 의한 시정 조치 완료)된 다음 상기 푸시 단말기(130)측에 시정 조치 완료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생산 조치완료 섹터(15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설비(10)가 설치된 작업장의 지정 위치에 스마트 패드(154)를 설치하고, 상기 지정 위치의 스마트 패드(154) 화면에 복수개의 생산 설비 버튼부(155)를 구비한 상기 생산 조치완료 섹터(153)가 표시되어 상기 각각의 생산 설비 버튼부(155)를 클릭하면 생산 조치완료 버튼부가 설비 담당자측 단말기에 윈도우 형태로 표시되어, 설비 담당자가 조치 내용 블랭크 창에 불량 조치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치 내용 입력이 완료된 다음에 조치내용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큐씨 담당자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에 불량 발생에 대응하여 생산 조치완료 신호가 전송(푸시)되고, 동시에 작업장에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에도 생산 조치완료 신호를 송신하여 생산자측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지정 위치에 설치된 스마트 패드(154)에 조치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표시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40)의 화면과 스마트 패드(154)에 표시된 조치완료 신호는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큐씨 알람 앱에 금형 수리 수정 섹터(161)와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가 포함되고,
    상기 금형 수리 수정 섹터(161)는 단말기 화면상에 버튼식 창으로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리 수정 섹터(161)를 터치식으로 클릭 동작을 하게 되면 수리 수정 섹터(161)의 콘텐츠가 스마트폰 화면상에 뜨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리 수정 섹터(161)에는 기간으로 표시된 부분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되고, 금형 번호(금형 NO) 표시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되고, 금형명 표시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되며, 구분 표시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된다. 구분 표시 옆의 블랭크 창 옆에는 검색 버튼부가 구비되고, 금형 이동 현황과 금형 리스트가 버튼 창 형태로 구비되고, 수리 수정 섹터(161)에서는 수리 수정, 수입 현황 리스트가 표시되고,
    상기 금형 수리 수정 섹터(161)에는 부서 제작처 입력 버튼부가 누름 버튼 창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는 단말기에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어 클릭에 의해 단말기의 화면상에 금형 이동 리스트가 뜨도록 구성되고,
    상기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에서는 기간으로 표시된 부분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되고, 금형 번호(금형 NO) 표시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되고, 금형명 표시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되며, 구분 표시 옆에 블랭크 창이 구비되고, 구분 표시 옆의 블랭크 창 옆에는 검색 버튼부가 구비되고, 금형 이동 현황과 금형 리스트가 버튼 창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금형 이동내역 섹터(163)에 터치 버튼 형태로 금형 담당자 입력 버튼이 도출되어, 금형 개발자가 금형 담당자 입력 버튼을 클릭하여 금형 이동 현황 데이터를 입력 저장하거나 금형을 납품받는 측의 담당자가 금형 담당자 입력 버튼을 클릭하여 금형 이동 현황 데이터를 입력 저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씨 알람 앱은, 상기 푸시 단말기(130)에 의해 상기 큐알 코드(122)를 스캐닝할 때에 큐씨 불량알림 윈도우를 상기 푸시 단말기(130)에 표시하여 큐씨 불량알림 신호가 상기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에 송신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해당 불량에 대한 시정 조치가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큐씨 담당자측의 신호 송수신 단말기 또는 설비 담당자측의 단말기에서 상기 푸시 단말기(130)측에 상기 시정 조치 완료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씨 알람 앱은, 상기 푸시 단말기(130)와 상기 불량알림 신호 수신 단말기와 상기 신호 송수신 단말기에 큐씨 불량알림 현황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큐씨 불량알림 현황 섹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
  8. 삭제
KR1020140045171A 2014-04-16 2014-04-16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 KR101479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171A KR101479742B1 (ko) 2014-04-16 2014-04-16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171A KR101479742B1 (ko) 2014-04-16 2014-04-16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742B1 true KR101479742B1 (ko) 2015-01-06

Family

ID=5258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171A KR101479742B1 (ko) 2014-04-16 2014-04-16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7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424A (ko) * 2015-11-06 2017-05-16 양민호 원재료, 제품, 재고, 품질 및 발주 관리 시스템
KR101807846B1 (ko) * 2015-11-06 2017-12-11 양민호 금형, 사출 및 결제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797921B1 (ko) * 2015-11-06 2017-12-12 주식회사 리치코스 원재료, 코아 교체 금형, 사출, 제품, 재고 및 납품 통합 관리 시스템
CN111722577A (zh) * 2020-06-29 2020-09-29 三一重机有限公司 一种报警控制系统及报警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362A (ja) * 2002-06-13 2004-01-22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サーバの動作状態確認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06004220A (ja) * 2004-06-18 2006-01-05 Kashima Doryoku Kk 工場の設備監視システム
KR20080059716A (ko) * 2006-12-26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설비의 순환품 관리시스템 및 그관리시스템에서 고장부품 신청방법
KR101303042B1 (ko) * 2013-01-17 2013-09-03 대아티아이 (주) 철도신호설비 통합유지보수시스템 및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362A (ja) * 2002-06-13 2004-01-22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サーバの動作状態確認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06004220A (ja) * 2004-06-18 2006-01-05 Kashima Doryoku Kk 工場の設備監視システム
KR20080059716A (ko) * 2006-12-26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설비의 순환품 관리시스템 및 그관리시스템에서 고장부품 신청방법
KR101303042B1 (ko) * 2013-01-17 2013-09-03 대아티아이 (주) 철도신호설비 통합유지보수시스템 및 운영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424A (ko) * 2015-11-06 2017-05-16 양민호 원재료, 제품, 재고, 품질 및 발주 관리 시스템
KR101807846B1 (ko) * 2015-11-06 2017-12-11 양민호 금형, 사출 및 결제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797921B1 (ko) * 2015-11-06 2017-12-12 주식회사 리치코스 원재료, 코아 교체 금형, 사출, 제품, 재고 및 납품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863764B1 (ko) * 2015-11-06 2018-06-04 양민호 원재료, 제품, 재고, 품질 및 발주 관리 시스템
CN111722577A (zh) * 2020-06-29 2020-09-29 三一重机有限公司 一种报警控制系统及报警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742B1 (ko) 실시간 양방향 품질 관리 알람 시스템
CN107368868B (zh) 一种基于rfid电子标签的产品追溯方法及系统
US1038091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echnical and customer support for industrial cleaning devices
CN102723243B (zh) 一种电气产品装配的防错装系统
US202401188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roduction line productivity with an industrial printer
JP5747229B2 (ja) 点検支援システム
CN103926900A (zh) 一种生产线管理控制系统
US20140025785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ity Guidance and Monitoring
CN109784767B (zh) 一种零部件标准化智能检修管理控制系统
CN110727535A (zh) 故障处理方法、装置和系统、计算机存储介质及相关设备
US201801495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1124283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6100931A (zh) 一种汽车厂智能维修保养系统
RU2502114C2 (ru) Способ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промышленной системы
JP6816077B2 (ja) 誘導情報提示装置、誘導情報提示サーバ、誘導情報提示システム、誘導情報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79792A (ja) リターナブル容器の修理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166101B1 (ko) 통계적 품질 검사 및 관리 시스템
JP2012141929A (ja) 作業情報記録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520736B1 (ko) 금형 관리 시스템
CN113033739A (zh) 一种港口设备安全确认系统和方法
CN107909250B (zh) 一种生产车间中针对人员质量信息的管理方法
CN105471942A (zh) 黄页信息的显示方法、装置及系统
CN104614057A (zh) 一种组网式的智能称量系统及其称量方法
TW202018560A (zh) 設備點檢裝置及設備點檢系統
CN104704432A (zh) 用于支持操作和转换处理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