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982B1 -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 Google Patents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982B1
KR101478982B1 KR20130026385A KR20130026385A KR101478982B1 KR 101478982 B1 KR101478982 B1 KR 101478982B1 KR 20130026385 A KR20130026385 A KR 20130026385A KR 20130026385 A KR20130026385 A KR 20130026385A KR 101478982 B1 KR101478982 B1 KR 101478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fiber
separation membrane
weight
parts
resi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893A (ko
Inventor
변홍식
장원기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2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982B1/ko
Priority to PCT/KR2013/002643 priority patent/WO2014142381A1/ko
Publication of KR20140111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4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agglome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3Therm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2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 B01D71/64Polyimides; Polyamide-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2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 B01D71/64Polyimides; Polyamide-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B01D71/641Polyamide-im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01D2323/081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9Electrospi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01D2325/02833Pore size more than 10 and up to 100 n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01D2325/02834Pore size more than 0.1 and up to 1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4Molecular weight or degree of polymeri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은 폴리아미드이미드 100 중량부, 글리콜 5~30 중량부,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220~250 중량부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40~18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사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섬유웹을 2~10 층으로 적층하여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MANUFACTURING METHOD OF FOULING-RESISTANT NANOFIBER MEMBRANE AND FOULING-RESISTANT NANOFIBER MEMBRANE THEREOF}
본 발명은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이미드를 포함하는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웹을 제조하고, 이를 열처리하여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 내오염성 및 수투과 특성이 우수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분리막을 이용한 공정은 대부분의 분리공정에서 필연적으로 수반하게 되는 상변화 또는 온도 및 압력 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에너지 절약형 공정으로 다양한 분리장치와의 조합 및 분리막 소재 개발로 최근 해수담수화, 식품가공, 각종 폐수처리, 초순수 제조, 혈액 투석 및 여과, 혈장 분리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됨으로써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분리막을 이용하여 콜로이드, 세균, 오일, 단백질, 염, 바이러스 등 기타 여러 물에 분산된 용질 또는 물에 용해된 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기공 크기 및 응용 목적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정밀여과막 (Microfiltration membrane),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membrane), 나노여과막(Nanofitration membrane,), 역삼투압막(Reverse Osmosis membrane), 투과증발막(Pervaporation membrane) 및 기체투과막(Gas separation membrane) 등이 있으며, 수처리 또는 액체용 분리막 공정에 주로 사용되는 분리막은 정밀여과막, 한외여과막 및 역삼투압막이 있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액체용 분리막을 특징짓는 중요한 요소에는 우수한 투과유량, 고선택성 및 내오염성이 포함된다.
한편,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는 분자구조 내에 아마이드(amide) 그룹과 이미드(imide) 그룹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높은 유리전이 온도를 가지고 있어 내열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고성능 고분자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유기용매에 대해 내화학성이 부족하고, 대표적인 소수성 소재로서, 분리막 공정에 있어 높은 압력이 요구되며, 낮은 수투과도가 예상된다. 또한, 유기물에 대한 막오염 현상에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수처리 분야에서 나노섬유(nanofiber) 분리막을 사용하는 기술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상기 나노섬유는 섬유 원료 방사액(용액 또는 용융체)을 하전상태에서 방사하여 미세 직경의 섬유를 제조하는 기술인 전기방사(electrospinning)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최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통상적인 전기방사법은 전극의 한 극은 방사노즐부에, 다른 한 극은 콜렉터에 위치한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지는 두 전극 사이에서, 하전된 고분자 방사액(용액 또는 용융체)을 방사노즐부를 거쳐 공기중으로 토출하고, 이어서 공기 중에서 하전 필라멘트의 연신 및 또 다른 필라멘트 분기를 거쳐 극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즉, 하전된 토출 필라멘트는 노즐과 집속장치(collector)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 내에서 상호 반발등 전기적 영향으로 심한 요동을 거치면서 극세화된다.
전기방사에 의해 제조되는 나노섬유는 기존의 섬유에서는 얻을 수 없는 다양한 물성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나노섬유로 구성된 웹은 다공성을 갖는 분리막형 소재로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나, 전술한 나노섬유만으로는 적절한 강도를 유지하기 어렵고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도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다수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연구를 거듭하여 폴리아미드이미드를 포함하는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고, 이를 열처리하여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 내오염성 및 수투과 특성이 우수한 나노섬유 분리막을 제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화학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투과 특성이 우수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분리막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은 폴리아미드이미드 100 중량부, 글리콜 5~30 중량부,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220~250 중량부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40~18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사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섬유웹을 2~10 층으로 적층하여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100,000 내지 5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방사는 방사전압 10~20kV, 방사거리 7~10cm 및 방사속도 0.5~1.5㎖/hr의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처리 단계는 복수의 나노섬유웹을 적층하여 100~300℃에서 열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은 폴리아미드이미드, 글리콜 및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기공의 크기는 0.01 내지 1.0 ㎛이고, 기공도는 45% 내지 75%이며, 표면 접촉각은 30도 내지 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은 유기용매에 대한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여과막 표면이 친수성으로 개질되어 내오염성이 우수하며,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낮은 압력에서 수투과 특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수처리용 분리막 용도, 특히 정밀여과용 분리막 용도로 적합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실물 사진이며, 도 1(b)는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표면 접촉각을 측정한 사진이고, 도 2(c)는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에 따른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표면 접촉각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b) 및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a)의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나노”라는 용어는 나노 스케일을 의미하며, 마이크로 단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방사용액에서 전기방사를 통해 복수 개의 나노섬유가 방사되어 구조물을 형성한 것을 “나노섬유웹”으로 정의하며, 상기 나노섬유 분리막을 구성하는 나노섬유웹 사이의 빈 공간을 “기공”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기공크기, 두께 및 기공도는 상기 나노섬유웹이 적층되어 열처리된 이후의 기공크기, 두께 및 기공도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은 (a) 방사용액 준비단계; (b) 나노섬유웹 형성단계; 및 (c) 열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은 폴리아미드이미드, 글리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포함하는 방사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섬유웹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a) 방사용액 준비단계
상기 단계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글리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포함하는 방사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사용액은 폴리아미드이미드 100 중량부, 글리콜 5~30 중량부,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220~250 중량부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40~18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방사용액의 점도가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을 형성하기 적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PAI)는 분자 내에 아미드결합 및 이미드결합을 함께 포함하여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을 제공하기 위해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100,000 내지 50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조건의 폴리아미드이미드를 사용시 상기 방사용액의 점도가 적절하게 제조되어 상기 방사용액을 전기방사시 용이하게 나노섬유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글리콜은 친수성이 우수하며, 본 발명의 열처리 단계에서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와 가교반응하여 가교결합을 형성하며,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여 친수화도를 향상시키고, 내화학성 및 낮은 압력에서 수투과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글리콜로는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 eglycol), 1,3-부탄디올(1,3-butane diol), 1,4-부탄디올(1,4-butane di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 1,6-헥산디올(1,6-hexane diol), 3-메틸-1,5-펜탄디올(3-methyl-1,5-pentanediol) 및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에틸렌글리콜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에틸렌글리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글리콜은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친수성 개질을 용이하게 하고 액적(液滴)의 표면 접촉각의 크기가 줄어들어 내오염성을 향상시키며, 내화학성 및 낮은 압력에서 수투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DMAc)는 상기 방사용액에서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글리콜을 용해시키는 용매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는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20~2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30~24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35~24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디에틸렌글리콜을 용이하게 용해시키며, 상기 방사용액의 점도를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은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상기 글리콜을 용해시키는 용매역할과 함께, 상기 방사용액의 전기방사시 신속하게 상기 나노섬유웹을 형성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은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40~18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0~17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17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글리콜을 용이하게 용해시키며, 상기 방사용액의 전기방사하여 신속하게 상기 나노섬유웹을 형성시킬 수 있다.
(b) 나노섬유웹 형성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기방사는 집전체(collector)를 접지된 전도성 기판 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접지된 전도성 기판을 음극으로 사용하고, 시간당 토출량이 조절되는 펌프가 부착된 방사노즐을 양극으로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기방사는 방사전압 10~20kV, 방사거리 7~10cm 및 방사속도 0.5~1.5㎖/hr의 조건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전기 방사시 형성되는 상기 나노섬유웹의 기공도 및 기공의 크기가 적절하게 형성되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낮은 압력에서 수투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기방사는 35%~50%의 상대습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나노섬유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c) 열처리 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나노섬유웹을 열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나노섬유웹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수투과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적층하여 상기 나노섬유 웹의 두께, 기공도 및 기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나노섬유웹을 2~10층으로 적층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나노섬유 웹을 적층시 기계적 강도 및 수투과도가 우수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상기 적층된 나노섬유웹을 100~300℃에서 가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처리를 통하여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를 크게 강화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형성된 나노섬유웹을 2~10층 적층하여 100~300℃에서, 15~30시간 동안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열처리시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글리콜의 가교가 진행되어 기계적 강도 및 수투과도가 우수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은 폴리아미드이미드, 글리콜 및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는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 eglycol), 1,3-부탄디올(1,3-butane diol), 1,4-부탄디올(1,4-butane di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 1,6-헥산디올(1,6-hexane diol), 3-메틸-1,5-펜탄디올(3-methyl-1,5-pentanediol) 및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 중에서 1종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실물 사진이며, 도 1(b)는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을 구성하는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300~1000n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50~950nm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900nm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직경에서 우수한 내화학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두께는 50~90㎛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0~85㎛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5~8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두께에서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구조적 안정성 및 수투과도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표면 접촉각은 30도 내지 50도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도 내지 45도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도 내지 40도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내오염 특성 및 수투과도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에 형성된 복수 개의 기공의 크기는 0.01 내지 1.0㎛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8㎛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7㎛ 일 수 있다. 0.01㎛ 미만의 기공이 형성시 수투과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1.0㎛를 초과하는 기공이 형성시 본 발명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기공도는 45% 내지 75%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5% 일 수 있다. 상기 기공도가 45% 미만시 수투과도가 저하되며, 70%를 초과시 구조적 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은 낮은압력에서 수투과 특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물성이 20~25 MPa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은 수처리용 분리막 용도, 특히 정밀여과용 분리막 용도로 적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2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방사용액을 준비하고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였다. 이때 전압 17kV, 방사속도 0.7㎖/hr 및 방사거리(tip to collector distance, TCD)가 10cm 이며, 방사환경으로는 상대습도 35~50%으로 유지하면서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웹을 형성하였다.
상기 나노섬유웹을 8겹으로 적층하여 유리판 사이에 넣고 270℃의 온도로 상압에서, 24 시간동안 dry oven을 이용하여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열처리 진행 후 메탄올과 distilled water를 이용하여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여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대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적층 및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섬유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3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성분/함량
단위(중량부)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폴리아미드이미드 100 100 100 100 100
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 20 10 - 20 10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235 240 250 235 240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55 160 165 155 160
시험예
(1) 두께: Mitutoyo 사의 Thickness gauge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2) 기공크기: Porous materials 사의 Capillary flow po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3) 기공도: 제조된 막을 100℃, 상압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5cm x 5cm 크기로 각각 잘라 부피와 무게를 측정하고, n-butanol에 3시간 동안 함침시켜 꺼낸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을 하기 식 1에 대입하여 기공도(Porosity)를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식 1]
Figure 112013021554308-pat00001
Wwet : n-butanol에 함침된 막의 무게
Wdry : 건조된 막의 무게
ρ : n-butanol의 밀도
Vdry : 건조된 막의 부피
(4) 인장강도: Llody 사의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을 사용하여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Dumbbell형 시편을 만들고 고무 표면의 Jig를 사용하여 100N의 load cell로 5mm/min의 속도를 적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5) 수투과도: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분리막에 대해 상온의 순수를 상압(ambient pressure)에서 dead-end 방식으로 상기 분리막의 한 측면으로 공급하여 투과된 물의 양을 측정한 뒤, 단위시간, 단위막면적, 단위압력당 투과량으로 환산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6) 표면 접촉각: 제조된 막을 0.1 기압 하에서 48시간 초순수로 여과시킨 후 상온 건조하여 표면 접촉각 측정기((주)에스이오, Phoenix 300 plus)를 사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평가항목 두께
(㎛)
인장강도
(MPa)
기공크기
(㎛)
기공도
(%)
수투과도
(kg/㎡·h)
표면접촉각
(°)
실시예 1 68 25.0 0.37 50±6 440 38±4
실시예 2 65 23.5 0.62 52±4 480 42±4
비교예 1 75 14.0 0.74 55±5 541 68±5
비교예 2 10 2.5 1.55 52±6 482 52±4
비교예 3 98 2.8 1.32 55±6 430 56±5
도 2(a)의 상기 실시예 1, 도 2(b)는 실시예 2에 따른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표면 접촉각을 측정한 사진이고, 도 2(c)는 상기 비교예 1에 따른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표면 접촉각을 측정한 사진이다. 상기 표 2 및 도 2(a)~(c)에서, 상기 실시예 1~2의 표면 접촉각은 비교예 1~3에 비해 낮았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의 친수화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3은 상기 비교예 2(a) 및 실시예 1(b)의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서, 실시예 1의 기계적 강도는 적층 및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비교예 2의 기계적 강도보다 훨씬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수투과도 시험결과에서 비교예 1이 가장 높은 결과(541 kg/㎡·h)를 보여주었으나, 이러한 결과는 비교예 1(0.74㎛)의 경우 실시예 2(0.62㎛) 및 실시예 1(0.37㎛)에 비해 큰 기공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투과도가 높게 측정되었다고 판단되어진다. 게다가, 실시예 1의 경우 기공의 크기가 50% 줄어들었으나, 수투과도는 약 17%만 감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측정결과를 종합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은 수처리 분리막 용도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7)

  1. 폴리아미드이미드 100 중량부, 글리콜 5~30 중량부,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220~250 중량부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40~18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사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섬유웹을 2~10 층으로 적층하여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100,000 내지 5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는 방사전압 10~20kV, 방사거리 7~10cm 및 방사속도 0.5~1.5㎖/hr의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복수의 나노섬유웹을 적층하여 100~300℃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의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이며,
    폴리아미드이미드, 글리콜 및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기공의 크기는 0.01 ㎛ 내지 1.0 ㎛이고, 기공도는 45% 내지 75% 이며,
    표면 접촉각이 30도 내지 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7. 삭제
KR20130026385A 2013-03-12 2013-03-12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KR101478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6385A KR101478982B1 (ko) 2013-03-12 2013-03-12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PCT/KR2013/002643 WO2014142381A1 (ko) 2013-03-12 2013-03-29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6385A KR101478982B1 (ko) 2013-03-12 2013-03-12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893A KR20140111893A (ko) 2014-09-22
KR101478982B1 true KR101478982B1 (ko) 2015-01-21

Family

ID=5153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6385A KR101478982B1 (ko) 2013-03-12 2013-03-12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8982B1 (ko)
WO (1) WO2014142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221B1 (ko) 2020-12-08 2024-01-18 주식회사 퓨어멤 가교구조의 폴리이미드계 유기용매 나노여과막 및 그 제조방법
CN113477103B (zh) * 2021-07-23 2022-06-21 吉林农业大学 一种富氮类多孔聚酰亚胺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
KR102598051B1 (ko) 2022-12-21 2023-11-06 주식회사 퓨어멤 내용매성이 향상된 가교구조의 폴리이미드계 유기용매 나노여과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598050B1 (ko) 2022-12-21 2023-11-06 주식회사 퓨어멤 가교구조의 활성층을 갖는 폴리이미드계 유기용매 나노여과막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3208A (ko) * 2006-08-07 2008-02-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열성 초극세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WO2008054104A1 (en) 2006-10-30 2008-05-08 Lg Chem, Ltd. Filter matter for air cleaning, filter made of the sam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20002488A (ko) * 2010-06-30 2012-01-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석 산화물 함유 탄소나노섬유,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5967A2 (ko) * 2009-11-03 2011-05-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내열성 및 고강도 초극세 섬유상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279352B1 (ko) * 2009-12-23 2013-07-04 한국화학연구원 강도가 개선된 다공성 지지체, 그를 이용한 강화 복합전해질 막, 그 막을 구비한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전지
US20130126794A1 (en) * 2010-07-08 2013-05-23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arbon nanofiber containing metal oxide or intermetallic compou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3208A (ko) * 2006-08-07 2008-02-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열성 초극세 섬유상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WO2008054104A1 (en) 2006-10-30 2008-05-08 Lg Chem, Ltd. Filter matter for air cleaning, filter made of the sam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20002488A (ko) * 2010-06-30 2012-01-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석 산화물 함유 탄소나노섬유,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893A (ko) 2014-09-22
WO2014142381A1 (ko)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757B1 (ko) 수처리용 나노섬유-그래핀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수처리용 나노섬유-그래핀 분리막
KR101989901B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KR101657307B1 (ko) 불소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1704B1 (ko) 수처리용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9914B1 (ko) 필터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KR101572660B1 (ko) 나노섬유웹층을 포함하는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TWI381073B (zh) A polymer fiber body,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filter for fluid filtration
KR20130106874A (ko) 나노섬유 함유 복합재료 구조
EP2927282A1 (en) Polymer resin composition for producing microfiltration membrane or ultrafiltration membrane, production method for polymer filtration membrane, and polymer filtration membrane
KR101478982B1 (ko)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오염성 나노섬유 분리막
KR20070113375A (ko) 비대칭 폴리불화비닐리덴계 다공성 중공사막 및 이의제조방법
JP5062630B2 (ja) 複合繊維体、その製造方法、フィルタ及び流体濾過方法
KR20090013643A (ko) 수처리용 폴리불화비닐리덴계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EP3348323A1 (en) Film-forming stock solution for use in non-solvent-induced phase separation methods, and method for producing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using same
KR20160026070A (ko) 기체분리막의 제조 방법
JP2019526433A (ja) 多孔質膜
Yu et al. Super high flux microfiltration based on electrospun nanofibrous m-aramid membranes for water treatment
Gandhimathi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igh flux poly (vinylidene fluoride) electrospun nanofibrous membrane using amphiphilic polyethylene‐block‐poly (ethylene glycol) copolymer
Khezli et al. Fabrication of electrospun nanocomposite polyethersulfone membrane for microfiltration
KR101972172B1 (ko) 고기능성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JP2016089197A (ja) アルカリ水電気分解隔膜用基材
KR20150079213A (ko) 내압성이 우수한 역삼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0533A (ko) 다기능성 다공성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ro 전처리 필터
KR101642609B1 (ko) 정수기용 카트리지 필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카트리지
KR101777568B1 (ko) 다공성 pvdf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 그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pvdf 나노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