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806B1 -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806B1
KR101478806B1 KR20140045609A KR20140045609A KR101478806B1 KR 101478806 B1 KR101478806 B1 KR 101478806B1 KR 20140045609 A KR20140045609 A KR 20140045609A KR 20140045609 A KR20140045609 A KR 20140045609A KR 101478806 B1 KR101478806 B1 KR 101478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xhaust gas
support
rollers
support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5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코
Priority to KR2014004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6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arranged on non-filtering conveyors 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배압 증가에 따른 필터 및 필터와 연결된 주변 연결부 등의 과부하를 효과적으로 해소하며, 배가스 내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 가능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가 제공된다.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는,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유동로에 배출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유동로를 가로질러 이송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필터에 유인력을 제공하여 필터를 이송시키는 구동부, 및 필터와 유출구 사이의 유동로에 필터를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되어, 필터에 걸리는 장력을 분산시키고 유인력을 저감시키는 복수의 지지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Winding type pollutant pur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오염물질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압 증가에 따른 필터 및 필터와 연결된 주변 연결부 등의 과부하를 효과적으로 해소하며, 배가스 내 오염물질이나 가스상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 가능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설비나 난방시설, 또는 각종 산업장비가 설치된 공장시설 등에서는 분진과 같은 오염물질이나 가스상 오염물질이 대량 생성된다. 오염물질은 기중에 분포하며 특히, 연소시 발생하여 배출가스와 함께 대기 중으로 과량 배출될 수 있다.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그대로 배출된 오염물질은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환경 오염을 막고 시설 내 작업장 등에 보다 나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다.
오염물질 정화 장치는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처리장치 중 하나로서 기중에 분포하는 오염물질을 필터 표면에 흡착, 축적, 퇴적시켜 분리 정화하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장치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18535호 등에는 이와 같이 필터를 포함하는 정화, 집진, 제진 장치들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필터는 부직포 등을 재질로 하여 백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장치가 적용되는 설비의 크기나 형태 등 조건 변화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필터는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유동로 내부로 그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며, 이로 인해 배출가스의 배압(배기압력)을 그대로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가스의 유동속도가 상승하거나, 배출가스가 과량 생성되어 유동량이 많아지거나, 배출가스의 농도나 밀도가 증가하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배압이 상승하는 경우, 필터와 그 주변부에 큰 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화 장치는 이러한 부하를 해소하기 위한 구조를 마땅히 채용하고 있지 않아 배압에 의한 필터의 파손이나, 필터와 연결된 주변 연결부의 변형, 파손 및 오작동 등에 대처하기 힘들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정화시 사용이 끝난 필터를 매번 분리 교체하도록 되어있어, 장치 유지비가 많이 들고 처리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장치의 경제성이 감소하고 산업적 활용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18535호, (2003.03.06), 도면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압 증가에 따른 필터 및 필터 주변 연결부 등의 과부하를 효과적으로 해소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며, 또한 배가스 내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 가능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는,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유동로에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동로를 가로질러 이송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상기 필터에 유인력을 제공하여 상기 필터를 이송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필터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유동로에 상기 필터를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걸리는 장력을 분산시키고 상기 유인력을 저감시키는 복수의 지지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정화장치는 상기 필터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의 이송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필터에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회전량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인코더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외주면에 상기 필터와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된 휠 형상, 또는 롤러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면적에 대한 상기 지지롤러의 상기 필터와 평행한 방향의 단면적의 비가 0.0075~0.9일 수 있다.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상기 지지롤러 둘레에 감겨 궤도 운동하고,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필터 사이에서 상기 필터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벨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필터 사이의 상기 가이드벨트부는 상기 필터와 지속적으로 접촉하거나, 상기 배출가스에 의해 상기 필터가 가압될 때 상기 필터와 접촉하고 가압되지 않을 때 상기 필터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벨트부에 상기 배출가스를 통과시키는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벨트부는 섬유, 유리섬유, 및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격자형상, 메쉬형상, 및 다공성 판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벨트부는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지지롤러를 경사지게 연결하고, 상기 평면은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과 수직한 평면일 수 있다.
서로 다른 상기 지지롤러 사이에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필터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가스를 통과시키는 공극이 형성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공극율은 50%~95%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격자형상, 메쉬형상, 및 다공성 판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는 모두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와 다른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필터와 접하여 상기 필터의 일부를 굴절시키는 복수의 전환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가 서로 인접한 상기 전환롤러의 사이로 통과될 수 있다.
상기 전환롤러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교대로 배열되며, 상기 필터가 서로 다른 상기 전환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복수 개가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층을 이루어 설치되되, 하나의 층의 상기 필터는 둘 이상이 이격된 틈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다른 하나의 층의 상기 필터는 상기 이격된 틈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나의 층의 상기 필터와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동일 층의 상기 필터의 폭에 대한 상기 이격된 틈의 너비의 비가 0.1~0.9일 수 있다.
상기 정화 장치는, 서로 다른 층의 상기 필터 사이로 연장되어 상기 이격된 틈을 다른 층의 상기 필터와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에 상기 배출가스를 통과시키는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는 외주면이 타공되거나, 외주면이 격자형상, 및 메쉬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중공형 원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필터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권취축, 및 상기 필터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종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가 상기 종동축으로부터 상기 권취축으로 이송되어 상기 권취축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필터가 둘레에 감겨 궤도 운동하는 한 쌍의 구동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가 상기 구동드럼 사이를 왕복할 수 있다.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필터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정화된 오염물질을 탈리하는 탈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리부는 상기 필터를 향해 열풍 또는 공기를 분사하는 가압부, 및 탈리된 오염물질을 흡인하여 처리하는 정화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필터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필터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필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화 장치는,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필터 사이에 상기 필터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필터와 중첩되는 보조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는 분진 등을 포함하는 배출가스의 배기압력(배압)에 대응하여 필터의 장력이 적절히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화시 필터 및 그 주변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필터뿐만 아니라 필터와 연결된 주변 구성부의 파손이나 오작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정화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는 폐기되는 필터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필터의 이송거리를 측정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필터, 지지롤러, 및 그 주변부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를 지지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배기관 내부의 필터를 배기관의 유입구 측으로부터 바라본 필터와 지지롤러의 배치도이다.
도 5는 도 2의 지지롤러를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정화시 필터의 부하 해소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8은 도 1의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변형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측정부 및 그의 변형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필터, 지지롤러, 및 그 주변부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필터의 부하 해소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필터, 지지롤러, 및 그 주변부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필터의 부하 해소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필터, 지지롤러, 및 그 주변부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를 지지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필터 및 그 주변부의 부하 해소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필터, 지지부재, 지지롤러, 및 그 주변부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필터의 부하 해소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필터, 지지롤러, 가이드벨트부, 및 그 주변부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필터의 부하 해소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변형례에 따른 필터의 부하 해소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구동부는, 필터에 직 간접적으로 접촉 및 연결되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지지체(축, 롤러, 드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와 구동모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회전지지체 및 구동모터의 회전력 즉, 토크를 유인력으로 제공하여 필터를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인 한 제한되지 않는다. 구동부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바와 같이 권취축, 종동축, 및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필터를 편도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거나, 구동드럼의 쌍과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필터를 궤도 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오염물질은 분진과 같은 입자상 오염물질, 가스상 오염물질 등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필터, 지지롤러, 및 그 주변부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를 지지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1)는 유입구(2a)로부터 유출구(2b)로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유동로(2c)에 배출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유동로(2c)를 가로질러 이송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100), 필터(100)에 유인력을 제공하여 필터(100)를 이송시키는 구동부(120, 121, 130), 및 필터(100)와 유출구(2b) 사이의 유동로(2c)에 필터(100)를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되어, 필터(100)에 걸리는 장력을 분산시키고 구동부(120, 121, 130)의 유인력을 저감시키는 복수의 지지롤러(200)를 포함한다. 이 때, 유동로(2c)는 유입구(도 1의 2a 참조) 및 유출구(도 1의 2b 참조)를 포함하는 배기관(도 1의 2 참조)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배출가스는 유입구(2a)로부터 유출구(2b)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2a)로부터 유출구(2b)를 향하는 배출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필터(100)는 유동로(2c) 내부에서 배출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정화시 배출가스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며, 배출가스의 배기압력에 의해 당겨져 굴절됨과 동시에 전체에 걸린 장력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1)는 복수의 지지롤러(200)가 필터(100)를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되어 필터(100)에 걸린 장력을 분산시키며, 이를 통해 필터(100) 및 필터(100)와 연결된 주변 연결부의 부하를 해소하고 특히, 권취축(120), 구동모터(121), 종동축(130)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120, 121, 130)가 필터(100)에 제공하는 유인력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 때, 유인력이라 함은 필터(100)와 직 간접적으로 접촉 및 연결되어 회전하는 권취축(120), 구동모터(121), 종동축(130) 등에 걸리는 회전력 즉, 토크를 말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지지롤러(200)는 유동로(2c)에 필터(100)의 이송방향을따라 나란히 배치되며, 필터(100)와 지속적으로 접촉되거나, 배출가스에 의해 필터(100)가 가압될 때 필터(100)와 접촉되고 필터(100)가 가압되지 않을 때 필터(100)와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지지롤러(200)를 필터(100)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하되, 필터(100)와 접촉시켜 설치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는 설치 시에 지지롤러(200)를 필터(1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킴으로써 지지롤러(200)가 배출가스의 압력(배기압력/배압)변화에 대응하여 필터(100)와 단속적, 유동적, 간헐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지지롤러(200)가 필터(100)와 이격되어 설치된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지롤러(200)는 배출가스의 압력변화에 따라 필요 적절하게 필터(100)와 접촉하고, 필터(100)의 장력을 분산시킬 뿐 아니라, 접촉된 채 회전하여 구동부(120, 121, 130)의 유인력을 감소시키고 배출가스의 배기압이 큰 상황에서도 필터(100)가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필터(100)의 이송을 도울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1)의 각 구성부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필터(100)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을 포함하여 배출가스와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부직포와 같은 직물이 판상의 시트 형태로 가공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필터(100)의 재질이 직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필터(100)가 형성될 수 있다. 정화대상 오염물질의 입자 크기나 오염물질의 양 등에 대응하여 필터(100)의 재료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필터(100)는 유동로(2c) 내부에 고정되지 않고, 유동로(2c)를 가로질러 이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00)의 일단부에는 권취축(120)이 연결되고 필터(100)의 타단부에는 종속적으로 회전하는 종동축(130)이 연결되어, 필터(100)가 종동축(130)으로부터 권취축(120)으로 이송되고 권취축(120)에 권취될 수 있다. 권취축(120) 및 종동축(130)은 배기관(2)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연결된 하우징(160, 16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권취축(120)은 체인, 벨트 등의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구동모터(121)에 연결되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로(2c) 내부에 지속적으로 깨끗한 필터(100)가 제공되어 배출가스 내에 함유된 오염물질들이 필터(100)에 매우 효율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필터(100)의 일 측에는 가이드부재(11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10)는 필터(10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필터(100)의 이송방향(도 1의 필터와 평행한 화살표 참조)을 따라 연장되어 혹시라도 필터(100)가 유동로(2c) 내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00)의 폭 방향 양 단부(필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므로 이송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정의하고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지지롤러가 가로놓인 방향을 폭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측에 위치하여 필터(100)를 가이드 할 수 있으며 지지롤러(200)가 결합 고정되는 지지수단의 역할도 겸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10)는 도시된 바와 같은 브라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터(1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110)는 필터(100)와 그 일부가 중첩되는 메쉬 형상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필터(100)와 지지롤러(200)의 사이에는 필터(100)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조가이드부재(도 2 및 도 3의 111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가이드부재(111)는 필터(100)가 가압될 때 지지롤러(200) 사이로 굴절되는 필터(100)와 접하여 이를 지지하며, 이를 통해 필터(100)와 가이드부재(110) 사이의 틈 등으로 배출가스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조가이드부재(111)는 예를 들어,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00)의 단부 등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이 때, 중첩된다는 것은 서로 인접하거나, 접촉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겹쳐지는 부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말하며, 반드시 하나와 다른 하나가 맞닿은 상태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보조가이드부재(111)는 필터(100)와 지지롤러(200) 사이에 지지롤러(20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폭이나 연장된 길이는 필터(100)의 폭이나 필터(100)와 가이드부재(110) 사이의 간격 등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지롤러(200)는 필터(100)와 유출구(2b)사이의 유동로(2c) 내부에 회전축(도 5의 210 참조)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롤러(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필터(10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00)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지지롤러(200)는 복수개가 모두 동일 평면상에 배열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지지롤러(200)는 전술한 가이드부재(110) 등과 축결합 될 수 있으며 결합부위에 베어링 등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것은 아니며 지지롤러(200)는 베어링 없이도 단지 회전축(210)을 홈 등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좀 더 유연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지지롤러(2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00)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배출가스의 압력 변화에 따라 필터(100)와 단속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100)에 걸린 장력을 분산시키고 필터(100)와 접촉한 채 회전하여 필터(100)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도울 수 있다. 지지롤러(200) 중 적어도 하나는 모터(221) 및 모터(221)와 연결되는 벨트(222), 또는 체인(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수단(220)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지롤러(200)는 필터(100)와 접촉할 때 단순히 필터(100)의 움직임에 따라 수동적으로만 회전하지 않고 필터(100)와 접하여 회전하면서 필터(100)를 능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지지롤러(200)와 필터(100) 사이의 이격된 거리가 필터(100)의 폭의 크기에 반비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필터(100)의 폭이 큰 경우 배출가스와 교차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배압이 크게 작용하고 이에 따라 필터(100)에 걸리는 장력도 급격히 증가하므로, 필터(100)와 지지롤러(200) 사이의 간격을 좁혀 이를 빠르게 해소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터(100)의 폭이 1미터 이상일 때, 지지롤러(200)와 필터(100) 사이의 최대 이격된 거리가 20센티미터 이하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배기관 내부의 필터를 배기관의 유입구 측으로부터 바라본 필터와 지지롤러의 배치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롤러(200)가 다수 배치되는 경우 필터(100)에 걸린 장력을 좀 더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나, 다수의 지지롤러(200)에 의해 배출가스가 정체되어 유동로(도 1의 2c 참조) 내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배출가스의 배압이 오히려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100) 전체의 면적{도면상의 빗금부분 A와 빗금없는 점선부분 B를 합한것, 즉, 필터의 면적에서 지지롤러의 단면적만큼이 감소된 면적(A)과, 지지롤러의 단면적(B)을 모두 합한 것, 이하 C}에 대해 필터(100) 내부에서 지지롤러(200)가 차지하는 면적, 즉, 필터(100)와 평행한 방향의 지지롤러(200)의 단면적(도면상의 빗금없는 점선부분, 이하 B)의 비율이 적절히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터(100)의 면적(C)에 대한 지지롤러(200)의 필터(100)와 평행한 방향의 단면적(B)의 비가 0.0075~0.9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필터(100)의 면적(C)은 유동로(2c)가 형성된 배기관(2) 내부에 위치한 필터(100) 전체의 면적일 수 있고, 지지롤러(200)의 단면적(B)은 필터(100)와 중첩되는(도면 참조) 복수의 지지롤러(200)의 단면적(B)을 모두 합한 것일 수 있다. 필터(100)와 평행한 방향의 지지롤러(200)의 단면적(B)은 지지롤러(200)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지지롤러(200)를 길이방향으로 종단한 종단면의 면적을 합하는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지지롤러를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롤러(200)는 지지롤러(20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2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축(210)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롤러(200)는 외면이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에 배출가스(G)를 통과시키는 공극(201)이 다수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극(201)이 형성된 지지롤러(200)를 이용하여, 배출가스(G)의 배출속도를 늦추거나 배압을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상당한 수의 지지롤러(200)를 배치할 수 있다. 지지롤러(20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타공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격자형상, 및 메쉬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중공형 원통(도 5의 (b)에는 외주면이 메쉬형상으로 가공된 중공형 원통을 포함하는 지지롤러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이와 다른 방식으로 공극(201)이 포함된 지지롤러(200)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롤러(200)는 적절한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그 밖에도 서로 다른 다양한 재질의 부재를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지지롤러(2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정화시 필터의 부하 해소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8은 도 1의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00)가 이송되기 시작할 때 필터(100)의 양 단부 또는 필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필터(100) 전체에 초기장력(T0)이 형성된다. 이 때, 필터(100)는 가이드부재(110) 등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며 지지롤러(200)와 이격된 채 이송방향{예를 들어, 도면상의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점선 화살표 방향일 수 있다}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상황은 배출가스가 아직 처리되기 직전이거나 배출가스의 양이 미약하여 필터(100)나 그 연결부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은 상황일 수 있다.
그러나,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격적으로 배출가스(G)가 처리되기 시작하면, 배출가스(G)의 압력(배기압력/배압)에 의해 필터(100)가 배출가스(G)의 유동방향으로 당겨져 필터(100) 전체에 걸리는 장력(T)이 증가된다. 따라서, 필터(100)는 가이드부재(110)와 평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곡면 형상으로 굴절된 부분을 포함하게 되며, 배출가스(G)의 압력이 증가할수록 필터(100)의 굴절 정도가 심해지고 장력(T)의 증가폭도 커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필터(100)가 견딜 수 있는 한계 이상의 장력(T)이 걸려 필터(100)가 파손될 수도 있고, 필터(100)가 파손되지 않는다 하여도 필터(100)와 연결된 연결부 즉, 전술한 권취축(도 1의 120 참조), 종동축(도 1의 130 참조), 및 권취축(120)과 연결된 구동모터(도 1의 121 참조) 등에 과부하가 걸려 필터(100)가 원활하게 이송되지 못하고 정지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도 1의 1 참조)는 이와 같이 배출가스(G)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복수의 지지롤러(200)가 필터(100)의 서로 다른 부분에 접촉하면서 필터(100)를 구획하여, 필터(100)가 견딜 수 있는 한계 이내의 장력(ta, tb, tc, td, te)으로 분산시켜 필터(100)에 가해진 과부하를 적절히 해소한다. 또한, 지지롤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100)와 접촉하여 부드럽게 회전하면서 필터(100)의 이송방향으로 필터(100)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필터(100)의 이송을 돕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부(120, 121, 130)가 필터(100)를 이송하기 위해 제공하는 유인력이 큰 폭으로 감소하게 되며 이를 통해 배출가스(G)의 오염물질을 보다 원활히, 안정적으로 오염물질 정화 처리하고, 처리된 배출가스(G)를 유동방향으로 손쉽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롤러(200)의 배치는 유동로(2c) 내부를 가로질러 이송되는 필터(100) 전체를 따라 제공되는 것으로, 이러한 해소과정 역시 유동로(2c) 내부를 가로질러 이송되는 필터(100) 전체에 걸쳐서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가스(G)의 배압이 불균일하게 상승하는 등의 경우에도 그에 대응하여 필터(100)의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유기적으로 장력이 분산되어 해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권취축(120), 종동축(130) 등에 걸리는 과부하를 막고 배출가스(G)를 매우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변형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1)는 필터(100)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정화가 끝난 오염물질(전술한 오염물질이 필터에 부착되어 처리된 것을 말할 수 있다)을 탈리하는 탈리부(17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리부(170)는 예를 들어, 필터(1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정화가 끝난 오염물질을 필터(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탈리부(170)의 오염물질 탈리 방식이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그 밖에도 전기화학적 방식 등으로도 정화가 끝난 오염물질을 필터(10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탈리부(170)는 예를 들어, 배기관(2) 일측에 마련된 하우징(160)이 일부 변형되어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탈리부(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00)를 향해 열풍 또는 공기를 분사하는 가압부(171) 및 탈리된 오염물질을 흡인하여 처리하는 정화부(172)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권취축(120)과 배기관(2) 사이에 위치하도록 위치 조정할 수 있다.
가압부(171)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여 이를 테면, 점 분사형으로 고압공기, 저압공기, 열풍 등을 분사하는 것이거나, 상대적으로 넓게 개방된 분출구를 통해 이를 대량으로 분사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정화부(172)는 부압을 형성하여 탈리된 오염물질을 흡입하고, 관로 등를 통해 이를 배출하여 정화 처리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정화부(172)는 관로 등을 통해 장치 외부의 오염물질 처리시설 등과도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탈리부(170)가 설치되면, 권취축(120)에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필터(100)가 권취되므로, 권취축(120)를 분리하여 필터(100)를 소각하는 등의 폐기처리를 할 필요없이 권취된 필터를 회수하여 종동축(130) 측에 설치하고 다시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되는 필터(100)의 양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1)의 경제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활용도가 극대화 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1)는 필터(100)가 둘레에 감겨 궤도 운동하는 한 쌍의 구동드럼(140, 140')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구동부(140, 140', 141)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필터(100)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드럼(140, 140') 사이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필터(100)의 이송경로 상에 탈리부(170)를 형성하여 필터(10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탈리할 수 있으며, 구동드럼(140)은 체인이나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구동모터(141)에 연결되어 용이하게 구동될 수 있다. 직경이 큰 구동드럼(140, 140')을 원활하게 구동하기 위해 구동모터(141)의 출력은 적절하게 증가될 수 있다.
즉,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1)는 필터(100)가 구동드럼(140, 140') 사이에서 무한 궤도 운동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탈리부(170)로 필터(100)에 분리 정화 처리된 오염물질들을 지속적으로 탈리하도록 함으로써 필터(100)를 분리할 필요 없이 계속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역시 폐기되는 필터(100)의 양을 최소화하여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1)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탈리부(170)가 이송경로 상의 어디에나 위치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가 끝난 필터(100)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탈리부(170)를 배기관(2)과 구동드럼(140)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리부(1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171)와 정화부(1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가압부(171)는 무한 궤도를 이루는 필터(100)의 서로 다른 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1)는 전술한 권취축(120), 종동축(130), 구동드럼(140, 140') 등의 축 부분에 브레이크 또는 커플링을 연결하여 구동력의 감소나 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권취축(120), 종동축(130), 구동드럼(140, 140')의 회전수가 유연하게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필터(100)가 이송되기 시작하거나, 이송속도가 변화하거나, 이송이 정지되는 등의 일련의 작동과정에 있어서 필터(100)가 급작스럽게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1)는 필터(100)의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방향의 압력과 유출되는 방향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는 차압측정장치 등을 구비하여 배출가스의 유입여부를 판별하고 필터(100)가 자동으로 이송되도록 자동제어방식으로 운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배출가스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 안정적으로 제거하고, 필터 및 필터와 연결된 주변 연결부의 배압증가에 따른 과부하를 방지하며, 배출가스 내 입자성 오염물질을 보다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 제5실시예, 제6실시예, 및 제7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각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반복되거나 이미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전술한 설명사항으로 대신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제1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만을 중점적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측정부 및 그 변형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1)는 필터(100)의 이송경로(도 11의 필터와 평행한 점선화살표 참조) 상에 위치하여 필터(100)의 이송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500)를 포함한다. 측정부(500)는 길게 연장된 필터(100)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롤러(200)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00)가 권취되는 권취축(120)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회전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상에서 측정부(500)가 필터(1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측정부(500)는 필터(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관계없이 필터(100)의 이송경로 상의 적절한 위치에 자유롭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측정부(500)는 구체적으로 필터(100)에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체(510a, 510b) 및 회전체(510a, 510b)의 회전량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인코더(5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인코더(520)는 회전체(510a, 510b)와 직접 축결합되거나 회전체(510a, 510b)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회전체(510a, 510b)의 물리적 회전량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변환하고 계산 및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체(510a, 510b)에 접한 채 이동하여 회전체(510a, 510b)를 회전시키는 필터(100)의 이송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100)의 이송거리를 감안하여 장치의 운전수준을 조절하거나 필터(100)가 권취축(도 11의 120 참조)에 모두 권취되기 이전에 장치의 운전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등 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체(510a, 510b)는 도12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필터(100)와 보다 면밀히 접촉할 수 있도록 접촉부(51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접촉부(511)가 외주면에 형성된 휠 형상의 회전체(510a), 또는 롤러 형상의 회전체(510b) 등으로 다양하게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전체(510a, 510b)는 외주면에 접촉부(511)가 형성된 휠 형상 또는 롤러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회전이 용이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511)는 회전체(510a, 510b)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반복적으로 돌출되는 돌기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접촉부(511)는 회전체(510a, 510b)의 외주면이 직접 변형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예를 들어, 필터(100)와 접촉하여 적절한 마찰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의 부재를 부착 및 도포하는 등의 방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부(500)를 이용하여 필터(100)의 이송거리를 측정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보다 효율적으로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측정부(500)가 필터(100)와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체(510a, 510b)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측정부(500)는 필터(100)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하여 필터(100)의 이송거리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한 이와 다른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부(500)는 광센서 등과 같은 비접촉 방식의 센서를 이용한 센싱 방법이나, 영상촬영 및 분석을 통한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방식 등으로 필터(100)의 이송거리를 용이하게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필터, 지지롤러, 및 그 주변부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필터의 부하 해소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는 지지롤러(200-1)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와 다른 평면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롤러(200-1)는 복수 개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교대로 배열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제3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롤러(20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평면상에 교대로, 엇갈려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지지롤러(200-1) 사이의 간격을 좀 더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 평면 사이에 위치한 지지롤러(200-1) 사이로 굴절되는 필터(100)의 굴절부분을 다른 평면에 위치한 지지롤러(200-1)가 보완하여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100)가 상대적으로 무른 재질로 형성되어 쉽게 굴절되는 경우나 배출가스의 배압이 예상치 못하게 증가하여 필터(100)를 강하게 압박하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이에 따른 부하 해소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배출가스(G)의 압력이 증가되면 상대적으로 필터(100)에 인접한 지지롤러(200-1)들이 필터(100)와 먼저 접촉할 수 있다. 배출가스(G)의 양이 미약하거나, 농도가 낮거나, 배출가스(G)의 유동속도가 크지 않은 경우 이러한 상태로도 필터(100)의 장력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하지만, 배출가스(G)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배압에 의해 지지롤러(200-1) 사이의 필터(100)가 배출가스(G)의 유동방향을 향해 추가적으로 굴절될 수 있다. 이 때 필터(100)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위치한 지지롤러(200-1)와 모두 접촉하며, 교대로 배치된 지지롤러(200-1) 사이에서 지지되어 장력을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 서로 다른 평면상에 교대로 배열된 지지롤러(200-1)들로 인해 서로 인접한 지지롤러(200-1) 사이에 위치한 필터(100) 굴절 부분이 배출가스(G)의 유동방향을 향해 완만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경사를 이루는 굴절부분을 따라 배출가스(G)가 필터(100)와 좀 더 자연스럽게 접촉하여 필터(100)에 가하는 압력이 일부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필터, 지지롤러, 및 그 주변부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필터의 부하 해소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는 필터(100)와 접하여 필터(100)의 일부를 굴절시키는 복수의 전환롤러(150)를 포함하고, 필터(100)가 인접한 상기 전환롤러(150)의 사이로 통과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전환롤러(150)는 서로 다른 평면 상에 교대로 배열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이에 따라, 전환롤러(150) 사이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필터(100)는 서로 다른 전환롤러(150)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면(100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는, 필터(100)에 접하여 필터(100)를 방향전환시키는 전환롤러(150)를 이용하여 필터(100)의 적어도 일부를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00a)을 포함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가스가 경사면(100a)을 따라 이동하면서 필터(100)와 큰 저항 없이, 자신의 유동속도 감소폭을 최소화하면서 접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필터(100)에 전달되는 압력 또한 상당한 폭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재(110)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00)의 형상과 대응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필터(100)를 가이드하고 필터가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이에 따른 부하 해소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출가스(G)가 유동하여 필터(100)를 향해 진입하면, 배출가스(G)는 전환롤러(150) 사이에 형성된 필터(100)의 경사면(100a)을 따라 진행한다. 따라서 배출가스(G)는 유동속도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필터(100)와 매우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배출가스(G)가 필터(100)에 가하는 배압 또한 큰 폭으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100)에 걸리는 장력은 경사면(100a) 없이 배출가스(G) 유동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에 비해 큰 폭으로 줄어들게 된다.
지지롤러(200-2)들은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감소된 배압에 의해 굴절되는 필터(100)의 각 부분과 접촉하여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적절히 장력을 분산하고 배압으로 인한 필터(100) 및 주변 연결부 등의 과부하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필터, 지지롤러, 및 그 주변부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17의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를 지지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7의 필터 및 그 주변부의 부하 해소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는 필터(100)가 복수 개로 형성되어 배출가스(도 18의 G 참조)의 유동방항으로 층을 이루어 설치된다. 이 때 하나의 층의 필터(100)는 둘 이상이 이격된 틈(D)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층의 필터(100)는 이격된 틈(D)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나의 층의 필터(100)와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는 필터(100)를 복층으로 구성하여 한정된 처리공간 내에서 필터(100)와 배출가스(G)와의 접촉을 극대화하되, 이와 동시에 동일 층의 필터(100) 사이에 형성된 이격된 틈(도 18의 D 참조)으로 배출가스(G)의 진입을 유도하고 이를 다른 층의 필터(100)로 제공하여 역시 각각의 필터(100)에 가해지는 배압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는 서로 다른 층의 필터(100) 사이로 연장되어 이격된 틈(D)을 다른 층의 필터(100)와 연결하는 연결통로(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출가스(G)는 이러한 연결통로(300) 사이로 유도되고, 분산되어 각 필터(100)에 가해지는 단위 배압이 감소될 수 있다. 연결통로(30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적어도 일부가 굴절되어 그 단면 크기가 변화하도록 형성된 일종의 덕트 또는 케이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필터(100)의 폭(도 18의 E 참조)과 이격된 틈(D)의 너비의 비를 적절히 조절하여 배출가스(G)의 정화량과 이격된 틈(D)을 통해 장치 내부에서 유도, 분산되는 배출가스(G)의 분산정도가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적절히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일 층의 필터(100)의 폭에 대한 이격된 틈(D)의 너비의 비가 0.1~0.9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각각의 지지롤러(200-3)는 필터(100)와 필요 적절히 접촉하면서 배출가스(G)의 압력에 의해 각각의 필터(100)에 걸리는 장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가스(G)는 유동방향을 따라 층을 이루어 배치된 서로 다른 필터(100)들과 적어도 한번 이상 접촉하게 된다. 즉, 유동하는 배출가스(G)는 이격된 틈(도 18의 D 참조)으로 유도되어 연결통로(300)를 따라 서로 다른 층의 필터(100)와 반복적으로 접촉할 수도 있으며, 서로 평행한 필터(100)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여 바로 통과될 수도 있다. 필터(100)의 층이 증가될수록 배출가스(G)가 필터(100)와 접촉하는 횟수는 그에 대응하여 큰 폭으로 증가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각각의 필터(100)로 유도, 분산되는 배출가스(G)는 각각의 필터(100)와 접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오염물질 정화 처리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에 설치된 지지롤러(200-3)들이 필터(100)에 접하여 각 층의 필터(100)에 걸린 장력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정화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필터(100)의 과부하를 해소하여 장치를 원활하게 운전 및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필터, 지지부재, 지지롤러, 및 그 주변부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필터의 부하 해소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는 서로 다른 지지롤러(200-4)의 사이에 배출가스의 유동방향(도 1의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도 20 및 도 21의 상방일 수 있다)으로 이격되어 필터(10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배출가스를 통과시키는 공극(도 21의 401 참조)이 형성된 지지부재(40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지지롤러(200-4)의 사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롤러(200-4) 사이로 굴절되는 필터(10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필터(1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400)와 상대적으로 넓은 면을 통해 접촉하여 보다 원활히 장력이 분산되고 부하가 해소될 수 있다.
지지부재(400) 전체에는 배출가스를 통과시키는 공극(401)이 다수 형성되어 필터(100)에서 오염물질이 처리된 배출가스를 큰 저항 없이 통과시킬 수 있으며, 공극(401)이 많을수록 배출가스가 더욱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400)의 공극율 변화에 따라 유출구(도 1의 2b 참조)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유동로(도 1의 2c 참조) 내부에 체류하는 배출가스의 양이 증가하고 배출가스의 배압도 커질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400)의 공극율을 얼마로 유지하는 지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재(400)의 공극율이 50~95%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재(400)는 지지력을 유지하기 위해 강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격자형상, 메쉬형상, 및 다공성 판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400)는 공극(401)을 형성하기 용이한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도면상에는 메쉬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상의 지지부재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것은 아니며, 공극(401)이 형성되고 적절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한 지지부재(400)의 형성방식은 필요에 따라 이와 다른 방식으로도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지지부재(400)의 재질 또한 금속재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 밖의 다른 재질의 부재를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지지부재(40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1을 참조하여, 이러한 구성에 따른 필터의 부하 해소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출가스(G)가 유동하여 필터(100)를 가압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100)가 지지롤러(200-4)와 접촉하여 장력이 분산된다. 이 때, 필터(100)는 서로 다른 지지롤러(200-4) 사이에 배치된 지지부재(400)와도 면접촉 방식을 통해 접촉하면서 더욱 원활하게 장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즉, 필터(100)에 걸린 장력은 일차적으로 지지롤러(200-4)에 접하여 분산되고, 필터(100)가 지지롤러(200-4) 사이에 위치한 지지부재(400)와 접촉하면서 재차 분산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필터(100)에 가해지는 부하를 큰 폭으로 줄여 보다 원활하게 배출가스(G)를 정화 처리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00)가 설치되는 경우 지지롤러(200-4) 사이의 간격이 좀 더 멀어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지지부재(400)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 다양한 간격으로 배열된 지지롤러(200-4)의 사이에 원활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필터, 지지롤러, 가이드벨트부, 및 그 주변부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필터의 부하 해소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24는 도 22의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의 변형례에 따른 필터의 부하 해소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지지롤러(200-5) 둘레에 감겨 궤도 운동하고, 지지롤러(200-5)와 필터(100) 사이에서 필터(100)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벨트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지지롤러(200-5)와 필터(100) 사이의 가이드벨트부(230)는 필터(100)와 지속적으로 접촉할 수도 있으며, 배출가스에 의해 필터(100)가 가압될 때는 필터(100)와 접촉하고 가압되지 않을 때는 필터(1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가이드벨트부(230)와 지지롤러(200-5)의 설치위치를 적절히 변경하여, 지지롤러(200-5)와 필터(100) 사이를 통과하는 가이드벨트부(230)의 일부가 지속적으로 필터(100)와 접촉하도록 구성하거나, 배출가스의 압력변화에 따라 필터(100)와 유동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벨트부(230)가 필터(10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필터(100)의 압력변화에 따라 필터(100)와 유동적으로 접촉하도록 된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한다. 가이드벨트부(230)에는 배출가스를 통과시키는 공극이 형성되어 배출가스를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벨트부(230)는 예를 들어, 섬유, 유리섬유, 및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격자형상, 메쉬형상, 및 다공성 판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벨트부(230)는 섬유나 유리섬유 등을 이용하여 직조된 다공성 직물을 판상으로 성형하여 미세한 크기의 공극이 다수 확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금속와이어나 금속사 등을 서로 교차시키거나 얽는 등의 방식으로 이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조밀한 크기의 공극이 확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가이드벨트부(23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가이드벨트부(230)는 하나 이상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롤러(200-5) 중 적어도 하나를 동력전달장치(도 2의 220 참조)를 이용하여 강제 구동함으로써, 가이드벨트부(230)를 구동하는 구동력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지지롤러(200-5)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타공 하거나, 메쉬 형태로 구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공극을 형성하여 배출가스의 유동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이러한 경우 필터(100)는 배출가스(G)에 의해 가압되어 지지롤러(200-5)에 감긴 가이드벨트부(230)일 측면 전체와 접촉한다. 따라서 가이드벨트부(230) 역시, 면 접촉 방식으로 필터(100)와 상대적으로 넓게 접촉하여 필터(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필터(100)에 걸린 장력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벨트부(230)는 섬유를 이용한 직물이나 상대적으로 가는 금속망 등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유연성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출가스(G)의 압력 변화에 따라 필터(100)와 유연하게 접촉하면서 필터(100)의 부하를 해소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역시 필터(100)를 용이하게 이송하고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배출가스(G)를 오염물질 정화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24를 참조하면, 가이드벨트부(230)는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롤러(200-5)를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롤러(200-5)가 위치하는 상기 평면은 배출가스(G)의 유동방향과 수직하고 서로 평행한 평면일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벨트부(230)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단계적으로 배열된 지지롤러(200-5)를 연결하여 경사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필터(100)가 서로 다른 전환롤러(150) 사이를 통과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가이드벨트부(230)는 매우 유용하다. 즉, 경사지게 구성된 가이드벨트부(230)가 역시 경사진 필터(100)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가이드벨트부(230)와 필터(100)가 매우 안정적으로 접촉하여 필터(100)에 걸린 장력이 분산되고 부하가 적절히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 가이드벨트부(230) 및 필터(100)의 경사진 부분과 접촉하면서 배출가스(G)가 필터(100)에 가하는 압력이 분산되어 큰 폭으로 저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보다 원활히 배출가스(G)를 정화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한 본 발명의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필터에 걸린 장력을 효율적으로 분산하고 필터 및 그 주변 연결부에 가해진 과부하를 해소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장치를 운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2: 배기관
2a: 유입구 2b: 유출구
2c: 유동로 100: 필터
100a: 경사면 110: 가이드부재
111: 보조가이드부재 120: 권취축
121, 141: 구동모터 130: 종동축
140, 140' 구동드럼 150: 전환롤러
160, 160' 하우징 170: 탈리부
171: 가압부 172: 정화부
200, 200-1, 200-2, 200-3, 200-4, 200-5: 지지롤러
201, 401: 공극 210: 회전축
220: 동력전달수단 221: 모터
222: 벨트 230: 가이드벨트부
300: 연결통로 400: 지지부재
500: 측정부 510a, 510b: 회전체
511: 접촉부 520: 인코더
A: 필터의 면적에서 지지롤러의 단면적만큼이 감소된 면적
B: 지지롤러의 단면적 C: 필터의 면적
D: 이격된 틈 E: 필터의 폭
G: 배출가스

Claims (29)

  1.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유동로에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동로를 가로질러 이송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상기 필터에 유인력을 제공하여 상기 필터를 이송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필터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유동로에 상기 필터를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걸리는 장력을 분산시키고 상기 유인력을 저감시키는 복수의 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필터 사이에 상기 필터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필터와 중첩되는 보조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2. 삭제
  3.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유동로에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동로를 가로질러 이송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상기 필터에 유인력을 제공하여 상기 필터를 이송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필터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유동로에 상기 필터를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걸리는 장력을 분산시키고 상기 유인력을 저감시키는 복수의 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의 이송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필터에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회전량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인코더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외주면에 상기 필터와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된 휠 형상, 또는 롤러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권취형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면적에 대한 상기 지지롤러의 상기 필터와 평행한 방향의 단면적의 비가 0.0075~0.9인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6.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유동로에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동로를 가로질러 이송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상기 필터에 유인력을 제공하여 상기 필터를 이송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필터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유동로에 상기 필터를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걸리는 장력을 분산시키고 상기 유인력을 저감시키는 복수의 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상기 지지롤러 둘레에 감겨 궤도 운동하고,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필터 사이에서 상기 필터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벨트부를 더 포함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와 상기 필터 사이의 상기 가이드벨트부는 상기 필터와 지속적으로 접촉하거나, 상기 배출가스에 의해 상기 필터가 가압될 때 상기 필터와 접촉하고 가압되지 않을 때 상기 필터와 이격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벨트부에 상기 배출가스를 통과시키는 공극이 형성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벨트부는 섬유, 유리섬유, 및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격자형상, 메쉬형상, 및 다공성 판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벨트부는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지지롤러를 경사지게 연결하고, 상기 평면은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과 수직한 평면인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11.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유동로에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동로를 가로질러 이송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상기 필터에 유인력을 제공하여 상기 필터를 이송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필터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유동로에 상기 필터를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걸리는 장력을 분산시키고 상기 유인력을 저감시키는 복수의 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상기 지지롤러 사이에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필터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가스를 통과시키는 공극이 형성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공극율은 50%~95%인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격자형상, 메쉬형상, 및 다공성 판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는 모두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와 다른 평면상에 위치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교대로 배열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접하여 상기 필터의 일부를 굴절시키는 복수의 전환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가 서로 인접한 상기 전환롤러의 사이로 통과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롤러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교대로 배열되며,
    상기 필터가 서로 다른 상기 전환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19.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로 배출가스가 유동하는 유동로에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동로를 가로질러 이송되는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
    상기 필터에 유인력을 제공하여 상기 필터를 이송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필터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유동로에 상기 필터를 지지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걸리는 장력을 분산시키고 상기 유인력을 저감시키는 복수의 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복수 개가 상기 배출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층을 이루어 설치되되, 하나의 층의 상기 필터는 둘 이상이 이격된 틈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다른 하나의 층의 상기 필터는 상기 이격된 틈으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하나의 층의 상기 필터와 엇갈려 배치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동일 층의 상기 필터의 폭에 대한 상기 이격된 틈의 너비의 비가 0.1~0.9인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층의 상기 필터 사이로 연장되어 상기 이격된 틈을 다른 층의 상기 필터와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더 포함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에 상기 배출가스를 통과시키는 공극이 형성된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는 외주면이 타공되거나, 외주면이 격자형상, 및 메쉬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중공형 원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필터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권취축, 및
    상기 필터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종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가 상기 종동축으로부터 상기 권취축으로 이송되어 상기 권취축에 권취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필터가 둘레에 감겨 궤도 운동하는 한 쌍의 구동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가 상기 구동드럼 사이를 왕복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에 정화된 오염물질을 탈리하는 탈리부를 더 포함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는 상기 필터를 향해 열풍 또는 공기를 분사하는 가압부, 및 탈리된 오염물질을 흡인하여 처리하는 정화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필터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필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29. 삭제
KR20140045609A 2014-04-16 2014-04-16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1478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609A KR101478806B1 (ko) 2014-04-16 2014-04-16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609A KR101478806B1 (ko) 2014-04-16 2014-04-16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806B1 true KR101478806B1 (ko) 2015-01-02

Family

ID=5258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5609A KR101478806B1 (ko) 2014-04-16 2014-04-16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8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195A (ko) * 2015-01-19 2016-07-27 주식회사 이엠코 오염물질 정화장치
WO2018004069A1 (ko) * 2016-06-30 2018-01-04 주식회사 이엠코 집진필터 및 집진장치
KR102084953B1 (ko) 2019-09-18 2020-05-26 문동석 배기가스 정화용 집진 장치
CN112121552A (zh) * 2019-06-24 2020-12-25 康宁股份有限公司 空气过滤组件
KR102334094B1 (ko) * 2021-09-07 2021-12-03 노창식 분진 및 미스트 자동 흡착 장치
KR102454946B1 (ko) 2021-09-30 2022-10-17 문동석 배기 가스 미세먼지 집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615A (ja) * 1995-04-28 1996-11-12 Nec Kyushu Ltd ケミカルフィルタを用いた気体中の不純物の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1156129A (ja) * 1997-11-26 1999-06-15 Daido Steel Co Ltd 除塵装置
JP2003275523A (ja) * 2002-03-25 2003-09-30 Japan Vilene Co Ltd 自動巻取り型フィルタ装置
KR101174080B1 (ko) * 2010-04-29 2012-08-14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롤 필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615A (ja) * 1995-04-28 1996-11-12 Nec Kyushu Ltd ケミカルフィルタを用いた気体中の不純物の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1156129A (ja) * 1997-11-26 1999-06-15 Daido Steel Co Ltd 除塵装置
JP2003275523A (ja) * 2002-03-25 2003-09-30 Japan Vilene Co Ltd 自動巻取り型フィルタ装置
KR101174080B1 (ko) * 2010-04-29 2012-08-14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롤 필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195A (ko) * 2015-01-19 2016-07-27 주식회사 이엠코 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1665029B1 (ko) * 2015-01-19 2016-10-12 주식회사 이엠코 오염물질 정화장치
WO2018004069A1 (ko) * 2016-06-30 2018-01-04 주식회사 이엠코 집진필터 및 집진장치
KR101922518B1 (ko) 2016-06-30 2018-11-27 주식회사 이엠코 집진필터 및 집진장치
CN112121552A (zh) * 2019-06-24 2020-12-25 康宁股份有限公司 空气过滤组件
KR102084953B1 (ko) 2019-09-18 2020-05-26 문동석 배기가스 정화용 집진 장치
KR102334094B1 (ko) * 2021-09-07 2021-12-03 노창식 분진 및 미스트 자동 흡착 장치
KR102454946B1 (ko) 2021-09-30 2022-10-17 문동석 배기 가스 미세먼지 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806B1 (ko) 권취형 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1668015B1 (ko) 여과집진 장치
US5879432A (en) Process and device for scrubbing flows of gaseous effluents loaded with polluting substances
JP6027041B2 (ja) 繊維布フィルタシステム、繊維布フィルタを再生する方法、およびその再生装置
WO2006101992A3 (en) Coalescing filter elements comprising self-sustaining, bonded fiber structures
JP7253296B2 (ja) 水中異物を濾過、分離及び脱水する多重構造の濾過装置
KR101665028B1 (ko) 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1749076B1 (ko) 오염물질 정화장치
CN103189123A (zh) 大气污染物质去除装置
KR101648153B1 (ko) 오염물질 정화장치
CN107530715A (zh) 用于极化空气净化器的波纹状过滤介质
US6939398B2 (en) Drum scrubber
KR101744227B1 (ko) 오염물질 정화장치
US20130192467A1 (en) Two stage dust collection trailer with hepa filtration
JP5864306B2 (ja) 汚泥濃縮機
KR101824372B1 (ko)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
JP4669325B2 (ja) マット真空洗浄機
KR101665029B1 (ko) 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1535148B1 (ko) 전기집진장치
CN208627544U (zh) 一种用于污染土壤处理的除铁装置
CN210874698U (zh) 一种净化装置及空气净化设备
KR20240065889A (ko) 순환 공기 정화 장치
RU2772297C2 (ru) Пылеуловитель для газообразных текучих сред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ылеуловителя
JP3264512B2 (ja) 溶剤処理装置
RU180892U1 (ru) Установка фильтровальная модульна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