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106B1 -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 - Google Patents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106B1
KR101478106B1 KR20130003805A KR20130003805A KR101478106B1 KR 101478106 B1 KR101478106 B1 KR 101478106B1 KR 20130003805 A KR20130003805 A KR 20130003805A KR 20130003805 A KR20130003805 A KR 20130003805A KR 101478106 B1 KR101478106 B1 KR 101478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erforating
punching
hole
si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846A (ko
Inventor
홍재만
Original Assignee
홍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재만 filed Critical 홍재만
Priority to KR2013000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1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24Perforating by needles or pi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7Mechanical parametric or variational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은 은재질로 형성된 컵형상의 거름망본체(S)에 거름공(H)을 천공하기 위하여 컴퓨터(C)의 연산으로 천공될 위치를 제어하는 천공장치(1)로서 장방형의 작업대(10)와; 상기 작업대(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측면가이드부(20)와; 상기 측면가이드부(20)의 양측에 연결된 전후이동대차(30)와; 상기 전후이동대차(30)의 전면에 연결된 수평이동대차(40)와; 상기 수평이동대차(40)의 전면에 연결된 수직이동대차(50)와; 상기 수직이동대차(50)의 전면에 연결된 천공수단(60)과; 상기 작업대(10)의 일측에 구비된 제어부(70)로 구성되어 컴퓨터의 연산으로 거름공의 천공될 위치를 제어하는 천공장치를 구비하여 천공작업을 전 자동으로 수행하고, 거름망본체를 진공으로 안착시키는 진공받침부를 구비하여 거름망본체의 천공작업시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며, 0.2mm로 가공된 천공날이 형성되는 천공구를 구비하여 종래 거름공의 최소 직경보다 적은 거름공을 형성시켜 찻잎을 더욱 세밀하게 우려내고, 천공날에 직경이 작아지는 만곡부를 형성하여 거름공의 가공시 천공날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 { silver tea sieve material production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본 발명은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름공의 천공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컴퓨터의 연산으로 거름공의 천공될 위치를 제어하는 천공장치가 구비되고, 거름망본체의 천공작업시 이탈되지 못하도록 거름망본체를 진공으로 안착시키는 진공받침부가 구비되며, 종래 거름공의 최소 직경보다 적은 거름공이 형성되어 찻잎을 더욱 세밀하게 우려낼 수 있도록 0.2mm로 가공된 천공날이 형성되는 천공구가 구비되고, 천공날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천공날에 직경이 작아지는 만곡부가 형성된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茶)는 찻잎을 따뜻한 물에 우려내거나 타서 마실 수 있는 것으로 근래에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음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차(茶)를 즐기는 방법 중 보편적인 두 가지 방법으로는 찻잎을 가공한 후 티백에 넣어 1회용으로 판매되는 인스턴트 식과, 찻잎을 직접 거름망을 통하여 추출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티백으로 차를 즐기는 방법은 휴대가 간편하고 차를 우려내기 편하지만, 가공된 찻잎을 사용하므로 자연 그대로의 차향과 맛을 즐기기 어려울 뿐 아니라, 가공을 거쳐서 생산 판매가 이루어짐으로 판매 가격이 상승되고 환경호르몬이 방출되어 건강에 해로운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에는 찻잎을 직접 거름망을 통하여 우려내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종래의 찻잎 거름망은 섬유재질의 거름망에 찻잎을 수용한 후 고온의 물을 스며들게 하여 상기 거름망의 하부에 구비된 용기로 차를 우려내는 것으로 상기 섬유재질의 거름망은 한번 사용한 후 재차 사용시 비위생적이므로 1회용으로 사용되거나 세탁하여 재사용하는 등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개발된 기술로서 국내특허등록 제10-0866930호가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국내특허등록 제10-0866930호에 기재된 찻잎 거름망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거름공(2)이 형성되어 찻잎을 수용시키는 거름대(3)와, 상기 거름대(3)의 상부에 다수개의 거름공(2)이 형성된 덮개부(4)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대(3)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5)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거름대(3)에 찻잎을 담고 상기 거름대(3)의 상단을 덮개부(4)로 덮은 후 따뜻한 물이 담긴 용기에 넣어 찻잎을 우려내어 차를 즐길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찻잎 거름망은 상기 거름대(3)와 덮개부(4)에 천공된 거름공(2)의 크기가 일반적인 드릴의 최소크기인 0.5mm로 천공됨으로써, 종래 섬유재질의 거름망에서 걸러지는 차의 농도에 미치지 못하여 차의 풍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찻잎 거름망의 거름공을 천공시키는 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천공될 위치를 지정해주며 수작업으로 진행하게 되어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찻잎 거름망은 차의 풍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레이져를 이용한 미세한 천공작업이 실행되고 있으나, 찻잎 거름망이 은재질로 형성되어 레이져를 반사하는 성질의 은재질로 인하여 천공작업이 매우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의 연산으로 거름공의 천공될 위치를 제어하는 천공장치를 구비하여 천공작업을 전 자동으로 수행하고, 거름망본체를 진공으로 안착시키는 진공받침부를 구비하여 거름망본체의 천공작업시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며, 0.2mm로 가공된 천공날이 형성되는 천공구를 구비하여 종래 거름공의 최소 직경보다 적은 거름공을 형성시켜 찻잎을 더욱 세밀하게 우려내고, 천공날에 직경이 작아지는 만곡부를 형성하여 거름공의 가공시 천공날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는 찻잎을 거르기 위하여 은재질로 형성된 거름망본체에 컴퓨터의 연산으로 거름공의 천공위치를 제어하는 천공장치로서 상기 거름망본체가 안착되어 천공작업이 수행되는 장방형의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양측면에 대향하며 그 내측에 측면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측면가이드부와; 상기 측면가이드부의 양측에 연결되며 전후로 이동되도록 양단면에 상기 측면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전후가이드홈과, 전면에 수평가이드레일으로 이루어진 전후이동대차와; 상기 전후이동대차의 전면에 연결되며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후면에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수평가이드홈과, 전면에 수직가이드레일으로 이루어진 수평이동대차와; 상기 수평이동대차의 전면에 연결되며 상하로 이동되도록 후면에 상기 수직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수직가이드홈이 형성된 수직이동대차와; 상기 수직이동대차의 전면에 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거름망본체의 하면을 천공하는 천공구가 장착되는 천공부와, 상기 천공부가 회전구동되도록 내부에 구비된 천공모터로 이루어진 천공수단과; 상기 컴퓨터와 연결되어 천공되는 위치에 대한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후이동대차, 수평이동대차, 수직이동대차 및 천공수단이 작동되도록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구비된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이동대차, 수평이동대차 및 수직이동대차의 일측에는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각각의 이동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는 컵형상의 거름망본체를 뒤집어 안착시키도록 원통형의 진공작업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작업받침부의 내부에는 진공에 의한 흡입력이 발생되어 상기 거름망본체를 고정하는 진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공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에 취부되는 결합부와, 상기 거름망본체의 하면에 상기 거름공을 천공하는 천공날과, 상기 천공날의 상부에는 상기 거름공의 천공작업시 부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만곡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공날의 직경은 상기 거름공의 직경이 0.2mm로 천공되도록 0.2mm로 가공된다.
상기 천공수단에는 상기 천공구와 거름망본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과열이 방지되도록 절삭유가 분사되는 절삭유공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삭유공급부에는 절삭유의 분사위치가 가변되도록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유로공급라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방법은 상기 거름망본체를 상기 진공받침작업부에 뒤집어 안착시키는 거름망본체안착단계; 상기 천공장치와 연결된 컴퓨터에서 상기 거름공의 천공에 대한 위치를 연산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연산송신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거름공의 위치에 대한 연산신호를 수신하는 연산신호수신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된 연산신호로 상기 전후이동대차, 수평이동대차, 수직이동대차 및 천공수단을 동작시키는 천공실행단계; 상기 천공실행단계를 실행할 경우 상기 절삭유공급부에서 상기 천공구에 절삭유를 뿌려주는 절삭유공급단계; 상기 천공실행단계가 완료된 이후 상기 걸름망본체를 진공받침작업부에서 탈거하는 거름망본체탈거단계; 상기 거름망본체탈거단계 이후 상기 거름공 주변에 천공시 발생된 버를 제거하는 후처리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은재질로 형성된 컵형상의 거름망본체에 거름공을 천공하기 위하여 컴퓨터의 연산으로 천공될 위치를 제어하는 천공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천공작업을 전 자동으로 수행하고, 거름공의 위치를 매번 같은 위치로 천공할 수 있으며,
둘째, 거름망본체가 진공으로 안착되는 진공작업받침부가 구비됨으로써, 진공작업받침부의 상면에 안착된 거름망본체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고, 작업이 완료되었을 경우 진공을 해제하여 손쉽게 탈착이 가능할 수 있고,
셋째, 0.2mm로 가공된 천공날이 형성되는 천공구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최소 드릴날의 직경인 0.5mm 보다 더 작은 거름공을 형성시킴으로써, 찻잎을 더욱 세밀하게 우려낼 수 있어 차의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넷째, 천공날에 상부에서 하측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만곡부를 형성함으로써, 거름공의 가공시 천공날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더불어 찻잎을 우려내는 거름공의 상부 직경을 확대천공하고, 하부 직경을 축소천공하여 찻잎에서 우려내는 차를 하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찻잎 걸름망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구가 거르망을 천공하는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장치의 천공방법을 나타내 보인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찻잎을 거르기 위하여 은재질로 형성된 거름망본체(S)에 컴퓨터(C)의 연산으로 거름공(H)의 천공위치를 제어하는 천공장치(1)로서 상기 거름망본체(S)가 안착되어 천공작업이 수행되는 장방형의 작업대(10)와; 상기 작업대(10)의 양측면에 대향하며 그 내측에 측면가이드레일(21)이 형성된 측면가이드부(20)와; 상기 측면가이드부(20)의 양측에 연결되며 전후로 이동되도록 양단면에 상기 측면가이드레일(21)에 안착되는 전후가이드홈(31)과, 전면에 수평가이드레일(32)으로 이루어진 전후이동대차(30)와; 상기 전후이동대차(30)의 전면에 연결되며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후면에 상기 수평가이드레일(32)에 안착되는 수평가이드홈(41)과, 전면에 수직가이드레일(42)으로 이루어진 수평이동대차(40)와; 상기 수평이동대차(40)의 전면에 연결되며 상하로 이동되도록 후면에 상기 수직가이드레일(42)에 안착되는 수직가이드홈(51)이 형성된 수직이동대차(50)와; 상기 수직이동대차(50)의 전면에 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거름망본체(S)의 하면을 천공하는 천공구(61a)가 장착되는 천공부(61)와, 상기 천공부(61)가 회전구동되도록 내부에 구비된 천공모터(62)로 이루어진 천공수단(60)과; 상기 컴퓨터(C)와 연결되어 천공되는 위치에 대한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후이동대차(30), 수평이동대차(40), 수직이동대차(50) 및 천공수단(60)이 작동되도록 상기 작업대(10)의 일측에 구비된 제어부(70)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이동대차(30), 수평이동대차(40) 및 수직이동대차(50)의 일측에는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각각의 이동모터(M)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이동대차(30), 수평이동대차(40) 및 수직이동대차(50)에는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이동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헬리컬형 기어가 형성된 봉형상의 기어봉(미도시)이 구비되고, 각각의 일측에 구비된 이동모터(M)에는 상기 기어봉(미도시)가 맞물려 회전되는 헬리컬 치차형의 기어차(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공수단(60)의 내부에 구비된 천공모터(62)에는 상기 천공부(61)가 회전될 수 있도록 치차형의 천공모터기어(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61)의 상단부에는 상기 천공기어(미도시)에 맞물려 회전되는 천공구기어(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면가이드레일(21), 수평가이드레일(32) 및 수직가이드레일(42)은 "T"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후가이드홈(31), 수평가이드홈(41) 및 수직가이드홈(51) 또한 상기 "T"형상의 가이드레일(21, 32, 42)에 안착되도록 "T"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공부(61)는 상기 천공구(61a)의 취부가 용이하도록 삼발이형태의 고정척(미도시)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10)의 상부에는 컵형상의 거름망본체(S)를 뒤집어 안착시키도록 원통형의 진공작업받침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작업받침부(11)의 내부에는 진공에 의한 흡입력이 발생되어 상기 거름망본체(S)를 고정하는 진공로(11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진공작업받침부(11)는 상기 작업대(10)의 상면에 개별적으로 고정되는데 이는 볼트체결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진공로(11a)는 외부에 구비된 진공장치(미도시)에 연결되도록 진공라인(미도시)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공구(61a)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61)에 취부되는 결합부(61b)와, 상기 거름망본체(S)의 하면에 상기 거름공(H)을 천공하는 천공날(61c)과, 상기 천공날(61c)의 상부에는 상기 거름공(H)의 천공작업시 부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만곡부(61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천공날(61c)의 직경은 상기 거름공(H)의 직경이 0.2mm로 천공되도록 0.2mm로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수단(60)에는 상기 천공구(61a)와 거름망본체(S)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과열이 방지되도록 절삭유(O)가 분사되는 절삭유공급부(63)가 형성되고, 상기 절삭유공급부(63)에는 절삭유(O)의 분사위치가 가변되도록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유로공급라인(64)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절삭유(O)는 외부에 구비된 펌프(P)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공수단(60)의 상부에는 상기 절삭유(O)가 공급되는 배관(미도시) 및 상기 천공모터(M)의 전원을 연결하는 전선(미도시)가 내부에 수용되며 플랙시블하게 가변되는 마감케이블(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 천공장치를 이용한 천공방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름망본체(S)를 상기 진공받침작업부(11)에 뒤집어 안착시키는 거름망본체안착단계(S10)와, 상기 천공장치(1)와 연결된 컴퓨터(C)에서 상기 거름공(H)의 천공에 대한 위치를 연산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연산송신단계(S20)와, 상기 제어부(70)에서 상기 거름공(H)의 위치에 대한 연산신호를 수신하는 연산신호수신단계(S30)와, 상기 제어부(70)에서 수신된 연산신호로 상기 전후이동대차(30), 수평이동대차(40), 수직이동대차(50) 및 천공수단(60)을 동작시키는 천공실행단계(S40)와, 상기 천공실행단계(S40)를 실행할 경우 상기 절삭유공급부(63)에서 상기 천공구(61a)에 절삭유(O)를 뿌려주는 절삭유공급단계(S50)와, 상기 천공실행단계(S40)가 완료된 이후 상기 걸름망본체(S)를 진공받침작업부(11)에서 탈거하는 거름망본체탈거단계(S60)와, 상기 거름망본체탈거단계(S60) 이후 상기 거름공(H) 주변에 천공시 발생된 버(Burr)를 제거하는 후처리단계(S70);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후처리단계(S70)는 상기 천공실행단계(S40) 이후 상기 거름공(H)의 주변에 형성된 버(Burr)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포 또는 줄 등과 같은 연마공구로 표면을 마감하거나 염산이 함유된 세척제를 이용하여 상기 버(Burr)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은 은재질로 형성된 컵형상의 거름망본체(S)에 거름공(H)을 천공하기 위하여 컴퓨터(C)의 연산으로 천공될 위치를 제어하는 천공장치(1)로서 종래의 드릴링머신으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불편한 작업방식을 해소하고 거름공(H)의 위치를 매번 같은 위치로 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거름망본체(S)가 안착되는 작업대(10)의 일측에 측면가이드부(20)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가이드부(20)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전후이동대차(30)로 인하여 상기 거름공(H)의 천공위치에 대하여 전후방향을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전후이동대차(30)의 전면에 수평이동대차(40)로 인하여 상기 거름공(H)의 천공위치에 대하여 좌우방향을 지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대차(40)의 전면에 수직이동대차(50)로 인하여 상기 천공구(61a)의 천공 깊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이동대차(50)의 전면에 연결된 천공수단(60)의 내부에는 상기 천공수단(60)의 하부로 돌출된 천공부(61)가 회전될 수 있도록 천공모터(62)가 구비되고, 상기 천공모터(62)의 회전으로 상기 천공구(61a)가 취부된 천공부(61)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은재질로 형성된 거름망본체(S)의 하면에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거름공(H)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이동대차(30), 수평이동대차(40), 수직이동대차(50) 및 천공수단(60)을 작동을 작업자가 직접 조작하는 방법이 아닌 상기 제어부(70)와 연결된 컴퓨터(C)로 인하여 상기 거름공(H)의 천공될 위치를 연산하여 상기 제어부(70)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제어부(70)는 수신된 위치로 상기 전후이동대차(30), 수평이동대차(40), 수직이동대차(50) 및 천공수단(60)을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자동으로 거름공(H)을 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거름망본체(S)가 안착되는 진공작업받침부(11)에는 외부에 구비되어 진공에 의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진공작업받침부(11)의 상면에 안착된 거름망본체(S)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작업이 완료 되었을 경우 진공을 해제하여 손쉽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의 천공구(61a)는 0.2mm로 가공된 천공날(61c)로 인하여 종래의 최소 드릴날의 직경인 0.5mm 보다 더 작은 거름공(H)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찻잎을 더욱 세밀하게 우려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천공날(61c)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측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만곡부(61c')로 인하여 상기 거름공(H)의 가공시 상기 천공날(61c)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더불어 찻잎을 우려내는 거름공(H)의 상부 직경(d1)을 확대천공하고, 하부 직경(d2)을 축소천공함으로써, 찻잎에서 우려내는 차가 하측방향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수단(60)에 형성된 절삭유공급부(63)로 인하여 상기 천공구(61a)와 거름망본체(S)의 과열을 미연에 방지하고, 마찰력을 증가시켜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공장치 10 : 작업대
11 : 진공작업받침부 11a : 진공로
20 : 측면가이드부 21 : 측면가이드레일
30 : 전후이동대차 31 : 전후가이드홈
32 : 수평가이드레일 40 : 수평이동대차
41 : 수평가이드홈 42 : 수직가이드레일
50 : 수직이동대차 51 : 수직가이드홈
60 : 천공수단 61 : 천공부
61a : 천공구 61b : 결합부
61c : 천공날 61c' : 만곡부
62 : 천공모터 63 : 절삭유공급부
64 : 유로공급라인 64a : 유로
70 : 제어부 H : 거름공
C : 컴퓨터 S : 거름망본체
M : 이동모터 O : 절삭유
P : 펌프

Claims (6)

  1. 찻잎을 거르기 위하여 은재질로 형성된 거름망본체(S)에 컴퓨터(C)의 연산으로 거름공(H)의 천공위치를 제어하는 천공장치(1)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본체(S)가 안착되어 천공작업이 수행되는 장방형의 작업대(10)와;
    상기 작업대(10)의 양측면에 대향하며 그 내측에 측면가이드레일(21)이 형성된 측면가이드부(20)와;
    상기 측면가이드부(20)의 양측에 연결되며 전후로 이동되도록 양단면에 상기 측면가이드레일(21)이 안착되는 전후가이드홈(31)과, 전면에 수평가이드레일(32)으로 이루어진 전후이동대차(30)와;
    상기 전후이동대차(30)의 전면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후면에 상기 수평가이드레일(32)에 안착되는 수평가이드홈(41)과, 전면에 수직가이드레일(42)으로 이루어진 수평이동대차(40)와;
    상기 수평이동대차(40)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후면에 상기 수직가이드레일(42)에 안착되는 수직가이드홈(51)이 형성된 수직이동대차(50)와;
    상기 수직이동대차(50)의 전면에 연결되어 하부에 상기 거름망본체(S)의 하면을 천공하는 천공구(61a)가 장착되는 천공부(61)와, 상기 천공부(61)가 회전구동되도록 내부에 구비된 천공모터(62)로 이루어진 천공수단(60)과;
    상기 컴퓨터(C)와 연결되어 천공되는 위치에 대한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후이동대차(30), 수평이동대차(40), 수직이동대차(50) 및 천공수단(60)이 작동되도록 상기 작업대(10)의 일측에 구비된 제어부(70)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이동대차(30), 수평이동대차(40) 및 수직이동대차(50)의 일측에는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각각의 이동모터(M)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대(10)의 상부에는 컵형상의 거름망본체(S)를 뒤집어 안착시키도록 원통형의 진공작업받침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작업받침부(11)의 내부에는 진공에 의한 흡입력이 발생되어 상기 거름망본체(S)를 고정하는 진공로(1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구(61a)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61)에 취부되는 결합부(61b)와, 상기 거름망본체(S)의 하면에 상기 거름공(H)을 천공하는 천공날(61c)과, 상기 천공날(61c)의 상부에는 상기 거름공(H)의 천공작업시 부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만곡부(61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날(61c)의 직경은 상기 거름공(H)의 직경이 0.2mm로 천공되도록 0.2mm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수단(60)에는 상기 천공구(61a)와 거름망본체(S)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과열이 방지되도록 절삭유(O)가 분사되는 절삭유공급부(63)가 형성되고, 상기 절삭유공급부(63)에는 절삭유(O)의 분사위치가 가변되도록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유로공급라인(6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6.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를 이용한 천공방법에 있어서,
    찻잎을 거르기 위하여 은재질로 형성된 거름망본체(S)를 상기 진공작업받침부(11)에 뒤집어 안착시키는 거름망본체안착단계(S10);
    상기 천공장치(1)와 연결된 컴퓨터(C)에서 상기 거름공(H)의 천공에 대한 위치를 연산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연산송신단계(S20);
    상기 제어부(70)에서 상기 거름공(H)의 위치에 대한 연산신호를 수신하는 연산신호수신단계(S30);
    상기 제어부(70)에서 수신된 연산신호로 상기 전후이동대차(30), 수평이동대차(40), 수직이동대차(50) 및 천공수단(60)을 동작시키는 천공실행단계(S40);
    상기 천공실행단계(S40)를 실행할 경우 상기 절삭유공급부(63)에서 상기 천공구(61a)에 절삭유(O)를 뿌려주는 절삭유공급단계(S50);
    상기 천공실행단계(S40)가 완료된 이후 상기 걸름망본체(S)를 진공작업받침부(11)에서 탈거하는 거름망본체탈거단계(S60);
    상기 거름망본체탈거단계(S60) 이후 상기 거름공(H) 주변에 천공시 발생된 버(Burr)를 제거하는 후처리단계(S70);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를 이용한 천공방법.
KR20130003805A 2013-01-14 2013-01-14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 KR101478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3805A KR101478106B1 (ko) 2013-01-14 2013-01-14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3805A KR101478106B1 (ko) 2013-01-14 2013-01-14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846A KR20140091846A (ko) 2014-07-23
KR101478106B1 true KR101478106B1 (ko) 2015-01-12

Family

ID=5173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3805A KR101478106B1 (ko) 2013-01-14 2013-01-14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662B1 (ko) * 2014-10-08 2017-10-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표면조도 개선을 위한 도트 펀칭 가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패턴 가공 방법 및 그 패턴이 구비된 압축기용 밸브플레이트
EP3509426B1 (en) * 2016-09-06 2020-04-22 Unilever N.V. A process for producing a tea product
KR101927392B1 (ko) * 2018-07-23 2019-03-12 임승혁 천공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634B1 (ko) * 1993-03-22 2001-10-22 빌프리트 발 절삭날및/또는가공물을윤활및냉각시키는장치및그방법
KR20080075598A (ko) * 2007-02-13 2008-08-19 이범순 원통형 여과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75903B1 (ko) * 2009-06-09 2011-10-25 천우테크 주식회사 도광판 성형금형용 패턴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1634B1 (ko) * 1993-03-22 2001-10-22 빌프리트 발 절삭날및/또는가공물을윤활및냉각시키는장치및그방법
KR20080075598A (ko) * 2007-02-13 2008-08-19 이범순 원통형 여과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75903B1 (ko) * 2009-06-09 2011-10-25 천우테크 주식회사 도광판 성형금형용 패턴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846A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106B1 (ko) 은재질용 찻잎 거름망의 천공장치 및 그 천공방법
KR101592482B1 (ko) 육류 톱밥의 회수가 용이한 슬라이스 절단기
CN110919374A (zh) 一种举重杠铃杆生产用一体化设备
CN205415121U (zh) 用于铣床的冷却液与废屑回收处理装置
JP2015071134A (ja) 超音波バリ取り装置
CN115788339A (zh) 一种岩土工程勘察破碎岩石取芯装置
EP2386380A3 (en) Cutting machine
CN105852930A (zh) 一种智能打孔装置
CN203236599U (zh) 一种多功能石材加工机
JP2009255226A (ja) 切粉回収装置
JP2007515671A (ja) ディジタル制御式穿孔装置を用いて光学レンズに穴を開ける方法と、そ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CN210215764U (zh) 一种经编织物同步卷取装置
CN209919105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激光打标机
CN109435553B (zh) 一种可以智能调节尺寸且具有吸尘结构的雕刻台
CN217617779U (zh) 一种带有废屑收集功能的数控车床
JP3838673B2 (ja) 穴開きカテーテルの製造装置
CN203945431U (zh) 血浆灌流器打孔装置
CN210811333U (zh) 一种骨科腿部定位打孔装置
CN111975536A (zh) 一种用于木制家具加工中的木板去毛刺设备
CN217617878U (zh) 基于电机固定架焊接组件复杂孔型的开孔装置
JPS581912B2 (ja) 可撓性部材等の穿孔装置
CN207616237U (zh) 一种金属切削装置的废屑收集装置
CN219465585U (zh) 一种带有防护结构的打孔装置
CN214923520U (zh) 一种玻璃切割机
CN109175085A (zh) 一种五金生产用具有稳定结构的液压冲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