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917B1 -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한 겨우살이 - Google Patents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한 겨우살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917B1
KR101477917B1 KR20130090073A KR20130090073A KR101477917B1 KR 101477917 B1 KR101477917 B1 KR 101477917B1 KR 20130090073 A KR20130090073 A KR 20130090073A KR 20130090073 A KR20130090073 A KR 20130090073A KR 101477917 B1 KR101477917 B1 KR 101477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letoe
seeds
seed
seedling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0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양모
변해진
Original Assignee
변양모
변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양모, 변해진 filed Critical 변양모
Priority to KR20130090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은, 채취된 겨우살이 종자를 깨트려 과피를 제거하고 씨앗이 들어있는 과육을 깨트려 평판에 배열하여 건조시켜 겨우살이 씨앗을 준비하는 단계; 및 준비된 겨우살이 씨앗을 소정 시기에 모종 나무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 인공 재배 방법은, 모종 나무의 표피층을 면상으로 제거함으로써 겨우살이 종자의 뿌리가 뿌리 안착에 방해되는 표피층없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면상에서 어느 곳이든 손쉽게 수피층 및 코르크층에 도달하여 안정적인 안착 및 영양 공급의 기반을 갖는 시기를 최대한 앞당길 수 있으며, 종자껍질을 터트림으로써 씨앗이 종자껍질의 방해없이 더 빠르게 나올 수 있도록 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접착제의 접착 고정 효과를 더욱 배가시키며, 접착제에 의해 비와 바람, 태풍 등의 외부 악조건에서도 겨우살이 종자가 모종 나무로부터 휩쓸려서 떨어지지 않고, 원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5년생 이상의 모종 나무 중 직경이 5cm이상인 일부에 접종함으로써 성장률 및 개체 크기, 두께 등의 상품성을 극대화하고, 수확 시기를 앞당겨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며, 상용화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재배 기술을 제공하고, 그만큼 겨우살이의 단가를 낮추어 소비자에게도 혜택을 줄 수 있으며, 수입 대체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한 겨우살이{The method for artificial cultivation the mistletoe having maximized productivity and the mistletoe by the same}
본 발명은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한 겨우살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겨우살이 종자의 출현율 및 생존율을 최대화시키고, 모종 나무에 고정, 정착 및 성장하는 과정에서 비, 바람 또는 태풍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생육 기간을 최소화하여 수확 시기를 최대한 앞당겨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한 겨우살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우살이(Mistletoe)는 한국, 일본, 중국 및 유럽에 걸쳐 분포하며, 참나무, 팽나무, 물오리나무, 자작나무, 밤나무 등에 기생하여 4월에 개화하고, 10월 ~ 다음해 2월경에 수확하는 기생성 상록활엽소관목에 해당되는 식물이다.
삭제
이러한 겨우살이는 수득방법과 관련하여 대부분 자연상태에서 자란 모종 나무에서 채취되며, 무분별한 남획으로 그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고, 우리나라는 해마다 중국에서 30~50 톤가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겨우살이를 인공 재배하고자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을 연구 개발중에 있으며, 기존 방법에 의하면 겨우살이의 종자를 모종 나무에 부착하면, 줄기에 해당하는 흡기 형성의 출현율은 거의 100%를 보이지만 이후 흡기가 모종 나무의 표피층을 통과하여 수액이 흐르는 내피층에 뿌리를 내리고 수확할 정도의 상품성있는 겨우살이로 성장할 수 있는 성공률이 최대 5% 정도로 낮은 상태이며, 대부분은 접종을 한 그 해 6~7월경에 고사하여 낙하하는 한계점이 있다.
특히, 기주 식물인 모종 나무에 고정시켜 놓더라도 비, 바람 또는 태풍 등에 의해 모종 나무로부터 쓸려 내려가거나 떨어져 생존율이 낮은 실정이며, 종자의 뿌리가 표피층을 통과하여 내피층에 자리를 잡기까지 씨앗의 영양 손실이 많으므로 고사률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그만큼 수확시기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용화하여 현실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생산성을 극대화한 겨우살이의 인공재배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현실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채산성을 맞출 수 있는 겨우살이 인공 재배 방법의 생산성을 극대화시키고, 생존율 및 발현율을 최대화시키며, 외부 요인에 의해 모종 나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키며, 안정된 고정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여 수확 시기를 최대한 앞당겨 대량 생산에 적합한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한 겨우살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은, 채취된 겨우살이 종자를 깨트려 과피를 제거하고 씨앗이 들어있는 과육을 깨트려 평판에 배열하여 건조시켜 겨우살이 씨앗을 준비하는 단계; 및 준비된 겨우살이 씨앗을 소정 시기에 모종 나무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종하는 단계는 상기 모종 나무의 일부에서 표피층을 면상으로 제거한 후, 표피층이 면상으로 제거된 일부와 준비된 겨우살이 씨앗의 새순이 나오는 새순부의 반대편 저면부간에 접착제를 발라 표피층이 제거되고 수피층을 얇게 만든 모종 나무의 일부상의 수피층에 접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종하는 단계 이후, 고정된 겨우살이 씨앗을 덮는 방충망을 덧대어 모종 나무에 고정하는 방충망 고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충망 고정 단계 이후, 겨우살이 새순이 돋아나도록 5월 하순경 ~ 6월 초순경 흡기가 서서히 서기에 방충망 전체를 제거하거나 방충망의 일측의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종 나무는 5년생 이상의 나무로서, 준비된 겨우살이 씨앗을 접착 고정하는 모종 나무의 일부 직경이 5c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 시기는 매년 1월 15일 내지 2월 말까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 인공 재배 방법은, 모종 나무의 표피층을 면상으로 제거함으로써 겨우살이 종자의 뿌리가 뿌리 안착에 방해되는 표피층없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면상에서 어느 곳이든 손쉽게 그 아래의 수피층 및 코르크층에 도달하여 안정적인 안착 및 영양 공급의 기반을 갖는 시기를 최대한 앞당길 수 있으며, 종자껍질을 터트림으로써 씨앗이 종자껍질의 방해없이 더 빠르게 나올 수 있도록 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접착제의 접착 고정 효과를 더욱 배가시키며, 접착제에 의해 비와 바람, 태풍 등의 외부 악조건에서도 겨우살이 종자가 모종 나무로부터 휩쓸려서 떨어지지 않고, 원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5년생 이상의 모종 나무 중 직경이 5cm이상인 일부에 접종함으로써 성장률 및 개체 크기, 두께 등의 상품성을 극대화하고, 수확 시기를 앞당겨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며, 상용화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재배 기술을 제공하고, 그만큼 겨우살이의 단가를 낮추어 소비자에게도 혜택을 줄 수 있으며, 수입 대체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표피층이 면상으로 제거된 모종 나무에 겨우살이 종자를 접종하는 개략도.
도2는 도1의 종자의 흡기가 모종 나무의 수피층 및 코르크층에 안착 및 접종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겨우살이 종자를 모종 나무에 접종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4는 접종 이후 4개월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5는 접종 이후 6개월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6은 접종 이후 1년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7은 접종 이후 2년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8은 접종 이후 3년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9는 접종 이후 4년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10은 접종 이후 5년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11은 접종 이후 6년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12는 접종 이후 방충망을 이용해 씨앗을 고정시킨 상태을 보여주는 참고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표피층이 면상으로 제거된 모종 나무에 겨우살이 종자를 접종하는 개략도이고, 도2는 도1의 종자의 흡기가 모종 나무의 수피층 및 코르크층에 안착 및 접종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겨우살이 종자를 모종 나무에 접종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4는 접종 이후 4개월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며, 도5는 접종 이후 6개월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6은 접종 이후 1년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며, 도7은 접종 이후 2년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8은 접종 이후 3년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며, 도9는 접종 이후 4년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10은 접종 이후 5년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며, 도11은 접종 이후 6년차의 겨우살이 성장 상태를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12는 접종 이후 방충망을 이용해 씨앗을 고정시킨 상태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겨우살이는 참나무, 물오리나무, 밤나무, 팽나무 등에 기생하는 기생성 상록활엽소관목으로서, 둥지같이 둥글게 자라 크게는 지름이 1m에 달하기도 하며, 잎은 마주나고 다육질이며, 바소꼴로 잎자루가 없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가지는 둥글고 황록색으로 털이 없으며, 마디 사이가 3~6cm이고, 꽃은 황색으로 가지 끝에 피고, 꽃대는 없으며 작은 포는 접시 모양이며, 암수딴그루인 식물이다. 화피는 종 모양이고, 4갈래이며, 열매는 둥글고, 10월에 연노란색으로 익는다. 잎과 가지에는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올레아놀산, b-아미린, 1.5%의 메소보노시톨, 비스신, 옥시다아제, 세틸알콜, 미리스트산, 아라킨, 고무질, 페닐아민, 프로피오콜린, 아세틸콜린 등도 함유되어 있다. 열매의 점액질에는 b-아미린과 루페올의 팔미트산에스테르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에 대해 도1 내지 도3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은, 채취된 겨우살이 종자의 껍질을 터트려 씨앗(10)과 종자껍질(미도시)을 분리한 후, 건조시켜 겨우살이 씨앗(10)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모종 나무(50)의 일부에서 표피층(51)을 면상으로 제거한 후, 준비된 겨우살이 씨앗(10)의 새순이 나오는 새순부(10a)의 반대편 저면부(10b)에 접착제를 발라 표피층(51)이 제거된 모종 나무(50)의 일부상에 접착 고정하는 방식으로 건조된 겨우살이 씨앗(10)을 모종 나무(50)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겨우살이 종자를 보통 10월 하순에서 다음해 2월 말까지 채취하여 모종 나무에 접종하기에 적합한 접종 최적 시기인 1월 15일 ~ 2월 말까지 준비한다. 채취된 겨우살이 종자는 씨앗(10)과 이를 감싸는 종자껍질로 구성되는데 실제 겨우살이 새순이 나오는 부분은 씨앗(10)의 일부인 새순부(10a)이며, 후술하는 씨앗(10)의 원활하고 시기 단축된 접종 및 흡기(15a,15b)의 신속한 출현을 위해 준비된 종자를 평판에 배열하여 깨트려서 종자 껍질을 제거한 다음, 종자 과육속에 들어있는 종자 씨앗과 종자 과육과의 결합력을 제거하거나 감소시켜 상호 분리되도록 종자 껍질이 제거된 종자 과육을 엄지손가락으로 문질러 터트려 종자 과육을 파괴함으로써, 씨앗(10)이 종자 껍질 및 종자 과육으로부터 자유로워져 바로 새순이 나올 수 있도록 처리를 하며, 씨앗과 종자 껍질, 종자 과육을 분리한 후 그늘진 곳에서 건조시키거나 그늘진 곳 및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건조 보관한다.
상기 씨앗(10)과 종자껍질을 분리시키는 과정은 추후 씨앗로부터 돋아날 새순의 빠른 성장을 위해 성장 방해가 되는 종자 껍질 및 종자 과육을 제거하는 것이며, 건조시키는 이유는 후술할 접착제(30)에 의한 모종 나무(50)로의 확실한 고정을 위해 접착에 방해되는 종자즙같은 습기 및 물기를 제거하기 위함이며,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접종을 위한 겨우살이 종자의 최적 준비 상태가 완료된다.
이후, 겨우살이 씨앗(10)을 접종할 최적의 모종 나무(50)를 선택하는데, 이러한 모종 나무(50)는 겨우살이가 기주하여 영양분 및 수분 등을 흡수할 수 있는 모태가 되므로 성장률, 크기, 두께 및 품질 등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사안으로 5년생 이상의 나무로서, 준비된 겨우살이 씨앗을 접착 고정하는 모종 나무의 일부 직경이 5cm이상인 것이 겨우살이의 뿌리가 자리잡고 수액을 흡수하는 코르크층(54)의 분포도가 매우 높아지기에 겨우살이의 생존율, 성장률, 품질 및 대량생산면에서 바람직하다.
보통, 모종 나무의 단면은 외부에서 순차적으로 표피층(51,51'), 수피층(53,53'), 코르크층(54,54'), 목질층(55)으로 구성되며, 모종 나무가 5년생 미만이거나 씨앗을 접종하는 모종 나무의 일부 직경이 5cm미만이면 나무의 단면상 표피층(51)과 표피층(51)의 하부에 있는 수피층(53) 대비 수액이 대부분 흐르는 코르크층(54)의 분포도가 겨우살이의 대량생산에 맞도록 충분히 높지 않고 낮아 겨우살이가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수확기간을 단축시킬 수 없으며, 수확시기가 되어도 크기 및 품질 등의 면에서 미달되어 채산성 악화로 이어지고, 상용화에 적합하지 않은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실제로, 2,3년생 및 직경 2~3cm의 모종 나무에 접종하는 경우 종자의 뿌리 안착에 문제가 발생하여 더딘 성장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잘못된 모종 선택으로 인해 상품성 있는 겨우살이의 수확시기는 거의 10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맞지 않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접종 방법으로는 수확시기를 대략 5년으로 단축할 수 있어 2배 이상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겨우살이가 모종 나무로부터 충분한 수분 및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뒷받침되는 모종 나무의 선택 조건이 필요하다.
다음, 선택된 모종 나무(50) 중 접종할 높이는 접종 작업 및 수확의 편리성을 위해 접종자의 어깨높이 선에서 선택하며, 접종할 높이 중 모종 나무의 일부 직경이 5cm이상인 곳을 찾아 외부에 노출되어 겉을 감싸는 표피층(51,51')을 하나의 면상, 면 형태로 칼(60)을 이용하여 표피층(51)의 바로 아래에 붙어있는 수피층(53)이 노출되도록 최대한 얇게 만든 다음 폭 4~5cm정도로 제거 및 분리시킨 후, 표피층(51)이 제거된 부위에 씨앗(10)을 접종할 부분을 선택한 후 그 부분에 합성수지제 접착제같은 소량의 접착제를 한 방울 정도 주입하여 4~5초 후에 준비된 겨우살이 씨앗(10)의 새순이 나오는 새순부(10a)의 반대편 저면부(10b)를 접착제가 부착된 그 부분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표피층이 제거된 부착된 부분과 씨앗간을 접착하여 고정시키며, 침투성이 있어 많은 양이 씨앗에 접착되면 새순 성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에 극소량의 접착제(30)를 발라 표피층(51)이 제거되어 노출된 수피층(53)상에 접촉 고정하는 방법으로 1월 15일 ~ 2월에 걸쳐 접종한다. 이때, 접종 시기가 1월 15일 미만이면 종자를 채취하여 흡기를 출현 준비시키기까지 충분한 시간이 되지 않아 비현실적이고 날씨가 추워서 성공율이 떨어지며, 흡기가 출현 후 기주나무에 오랜 기간 붙어 있어 성장률이 더 떨어지며, 고사할 확률이 높아진다. 즉, 종자를 채취한 예를 들면 10월 하순경 접종을 했을 경우 흡기는 발생하지만 흡기판을 만들수 없어 완벽한 흡기판을 가지는 흡기가 정착하는데까지는 씨앗 영양 부족때문에 흡기판을 만들지 못하고 고사하게 된다. 또한, 2월이 초과되면, 특히 기후에 따라 3월 10일 이후에는 씨앗에서 나오는 흡기가 접종되는 모종 나무(30)의 내피층(52)에 흐르는 수액을 찾아가야 하나 수액이 흐르는 제 위치를 찾지 못하고, 3월 중순경 흡기가 하늘 방향을 향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여 1월 15일 ~ 2월에 접종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이렇게 표피층(51)을 제거하는 이유는 접종된 겨우살이 씨앗(10)로부터 출현된 흡기(15a,15b)가 바로 수액 및 영양분이 존재하는 수피층(53) 및 코르크층(54)에 뿌리(21a,21b)를 내려 신속하게 수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코르크층(54)에 깊숙히 고정되어 안착률, 성장률 및 성장속도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며, 두꺼운 표피층(51)을 통과하여 코르크층(54)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 만약 표피층(51)을 제거하지 않으면 뿌리(21a,21b)가 표피층(51)을 통과하는 만큼의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며, 씨앗(10)의 에너지 소비가 과다하게 이루어져 이는 성공적인 접종 안착률의 저하, 고사율 상승, 수확시기의 단축 및 성장률, 품질 저하 등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표피층(51)을 제거하는 형태로 면상으로 하는 이유는 흡기(15a,15b)의 단부인 흡기판(20a,20b)이 모종 나무(50)의 수피층(53) 및 코르크층(54)을 향해 자연적으로 찾아 용이하게 부착되기 위해서 어느 방향으로 뻗어나가더라도 한번에 수피층(53)과 접촉되도록 하여 빠른 안착과 함께 신속한 성장을 돕는데에 있다. 즉, 점이나 선상으로 표피층을 제거하면 그 점이나 선상으로 흡기판(20a,20b)이 들어가야 하므로 별도의 작업시간 및 작업 노동력을 추가 필요로 하게 되고, 흡기판(20a,20b)이 잘못 방향을 잡았을 때는 다시 정확한 방향으로 되돌아 와서 그 점이나 선상으로 접촉되어야 하기에 그만큼의 시간 소비 및 에너지 소비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표피층(51)을 면상으로 제거하면 흡기(20a,20b)가 어느 방향이든 수피층(53)으로 한번에 접촉 고정되어 뿌리(21a,21b)가 한번에 깊숙히 안정적으로 안착됨으로써 성장의 극대화 및 수확시기 단축의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즉, 겨우살이 씨앗이 두터운 표피층과 수피층을 통과해 수액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씨앗의 영양 부족으로 코르크층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대다수 고사에 이른다. 그러므로 인공적으로 표피층을 제거하고 수피층을 얇게 만들어 줌으로써 씨앗의 영양 손실을 막아주어 흡기판이 신속히 안착해 수액을 흡수하므로 빠른 시간내에 코르크층에 뿌리를 내리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를 사용하는 이유는 본 출원인은 겨우살이 씨앗(10)을 모종 나무(50)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스테이플러알(호치케스알) 등 여러 방법을 사용해보았지만 씨앗 위에 스테이플러알을 찝어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방식은 스테이플러의 구속에 의해 겨우살이 새순이 출현하는데에 방해가 되기도 하며, 씨앗이 손상되어 출현되지 않거나 출현 방향이 비정상적으로 나오게 되어 씨앗을 최대한 건드리지 않는 선에서 나쁜 외부 조건(비, 바람 및 태풍) 등의 악조건에서도 모종 나무로부터 떨어져 유실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데에 있으며, 건조된 겨우살이 씨앗의 새순이 나오는 편의 반대편 저면부에 접착제를 바르는 방식을 가짐으로써 새순이 나오는 데에 지장을 주지 않고, 새순의 발현 방향 또한 정상적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성공적인 발현율, 안착률 및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 있어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인은 정상적인 종자에 대해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백종 접종한 결과, 거의 실패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 흡기 출현율 및 성공적인 안착률 99%~100%를 확인하였다.
추가로, 상기와 같이 겨우살이 씨앗을 모종 나무에 접종한 후, 비바람 등 외부의 큰 힘에 의해 제자리를 이탈하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씨앗을 고정하며, 새들로부터 쪼아 먹히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앗(10)을 방충망(40)으로 덮은 후, 방충망(40)의 양측을 스테이플러로 고정시켜 씨앗이 이동되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방충망 고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5월 하순경에 방충망의 일측을 고정 해지하여 개방하거나 전체 방충망을 제거하여 씨앗로부터 겨우살이 새순이 제약없이 돋아나도록 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이러한 방충망을 씨앗에 덮어 고정하는 과정은 씨앗이 뿌리내린 그 지점에서 이동되어 다시 제자리를 찾아가는 시간 소비를 막음으로써 성장률 및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데에 유용하다.
이렇게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겨우살이 씨앗(10)은 성공적으로 빠른 시간내에 안정적으로 모종 나무의 수액이 대부분 흐르는 코르크층(54)에 안착 고정되면, 흡기(15a,15b)는 3월 15일~4월 초순경에 대부분 뻗어나오게 되며, 뿌리(21a,21b)는 5월 말까지 완전히 뻗어나가게 되고, 수액을 충분히 흡수함으로써 흡기가 거의 수직상태로 세워지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종 후 5~6개월만인 7~8월경 신엽이 다수 출현하게 되고, 이듬해 봄에 대다수의 신엽이 출현한다.
이후, 접종 후 1년이 지나서 도 6처럼 급속도로 성장하게 되며, 2년이 지나면 도 7처럼, 3년이 지나면 도 8처럼, 4년이 지나면 도 9처럼, 5년이 지나면 도 10처럼, 6년이 지나면 도 11처럼 빠른 속도로 기존 방식의 비해 2배 이상의 성장률, 수확시기 단축 및 품질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확시기가 접종 후 10년 이상이 걸리던 기존 방식에 비해 수확할 수 있는 상품성있는 상태의 도10, 도11의 5~6년으로 단축할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겨우살이의 각 100종을 기준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실험군과 표피층 제거없이 자연 발아 방식을 통한 겨우살이 종자의 단순 붙이기의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성장속도, 성장상태 및 성장개채수와 관련하여, 동일한 모종 나무, 재배 면적, 햇볕 세기 및 강우량 등의 조건하에서 수확을 할 수 있을 시기까지 겨우살이를 재배한 다음,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균 절대치를 측정한 본 발명에 따른 실험군의 상대수치는 다음 [표1]과 같았다.
구분 성장속도 성장상태(잎,줄기크기)
(3년이후)
성장개체수
(평방미터당)
수확시기
실험군 98 90 80 5~6년후
대조군 40 25 18 10~12년후
이 실험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재배방법은, 일반 자연발아 방식의 대조군에 비해 성장속도면에서 2배 이상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장상태면에서 잎의 길이, 너비, 두께 등이 3배이상 획기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성장개체수면에서는 모종 나무 선택 및 표피층 제거를 통해 4배이상 증가되었으며, 도5에서와 같이 상품화되어 판매되거나 건강식품 원료로 이용될 수 있을 정도의 수확 시기는 5~6년정도 앞당겨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겨우살이의 수확 시기 단축 및 상품성 극대화를 달성하고, 대량 생산 가능성, 상용화 및 생존률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재배 방법에 의해 재배된 겨우살이는 기본 추출물, 건강기능식품, 약제 등의 다양한 원료로 활용될 수 있게 되어 대중화, 수입 대체 효과를 통해 농가 소득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모종나무는 모과나무, 배나무, 매실나무 등 나무 종에 상관없으며, 모든 나무에 겨우살이 인공재배방법을 적용할 수 있었지만 배나무에서는 2년차에 고사 현상이 다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전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종자 10a : 새순부
10b : 저면부 15a,15b : 흡기
20a,20b : 흡기판 30 : 접착제
40 : 방충망 50 : 모종 나무
51,51' : 표피층 53,53' : 수피층
54,54' : 코르크층 55 : 목질층
60 : 칼

Claims (7)

  1. 삭제
  2. 채취된 겨우살이 종자의 껍질을 터트려 씨앗과 종자껍질을 분리한 후, 건조시켜 겨우살이 씨앗을 준비하는 단계; 및
    준비된 겨우살이 씨앗을 소정 시기에 모종 나무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접종하는 단계는
    상기 모종 나무의 일부에서 표피층을 면상으로 제거한 후,
    표피층이 면상으로 제거된 모종 나무의 일부와 준비된 겨우살이 씨앗의 새순이 나오는 새순부의 반대편 저면부간에 접착제를 발라 표피층이 제거된 모종 나무의 일부상에 접착 고정하는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종하는 단계 이후,
    고정된 겨우살이 씨앗을 덮는 방충망을 덧대어 모종 나무에 고정하는 방충망 고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 고정 단계 이후, 겨우살이 새순이 돋아나도록 방충망 전체를 제거하거나 방충망의 일측의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나무는 5년생 이상의 나무로서, 준비된 겨우살이 씨앗을 접착 고정하는 모종 나무의 일부 직경이 5c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기는
    매년 1월 15일 내지 2월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7. 삭제
KR20130090073A 2013-07-30 2013-07-30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한 겨우살이 KR101477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0073A KR101477917B1 (ko) 2013-07-30 2013-07-30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한 겨우살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0073A KR101477917B1 (ko) 2013-07-30 2013-07-30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한 겨우살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917B1 true KR101477917B1 (ko) 2014-12-30

Family

ID=5268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0073A KR101477917B1 (ko) 2013-07-30 2013-07-30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한 겨우살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9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814A (ko) 2015-04-29 2016-11-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참나무류 맹아지를 이용한 겨우살이의 재배방법
KR101805274B1 (ko) * 2015-12-30 2017-12-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겨우살이 효율적 접종방법을 위한 종자보호장치
KR20180106161A (ko) * 2017-03-17 2018-10-01 김두화 동백나무를 기주식물로 이용한 동백나무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393A (ko) * 2004-12-23 2006-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겨우살이 부착종자 포식방지장치
KR20100129092A (ko) * 2009-05-28 2010-12-08 변양모 겨우살이 종자의 흡기 삽입법에 의한 인공재배
KR20130065566A (ko) * 2011-12-09 2013-06-19 변양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한 겨우살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393A (ko) * 2004-12-23 2006-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겨우살이 부착종자 포식방지장치
KR20100129092A (ko) * 2009-05-28 2010-12-08 변양모 겨우살이 종자의 흡기 삽입법에 의한 인공재배
KR20130065566A (ko) * 2011-12-09 2013-06-19 변양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한 겨우살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814A (ko) 2015-04-29 2016-11-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참나무류 맹아지를 이용한 겨우살이의 재배방법
KR101805274B1 (ko) * 2015-12-30 2017-12-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겨우살이 효율적 접종방법을 위한 종자보호장치
KR20180106161A (ko) * 2017-03-17 2018-10-01 김두화 동백나무를 기주식물로 이용한 동백나무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KR101966901B1 (ko) * 2017-03-17 2019-04-08 오봉철 동백나무를 기주식물로 이용한 동백나무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45212B (zh) 一种罗汉果与铁皮石斛的高效套栽方法
CN103548652B (zh) 一种铁皮石斛组培瓶苗的快速树培方法
CN102119643B (zh) 一种利用枳橙扦插砧木嫁接柑橘种苗的方法
CN106962028B (zh) 茶花扦插嫁接一体化快繁方法
CN101755596B (zh) 一种西红柿的嫁接方法
Hernández et al. Cultivation systems
CN107873286A (zh) 一种百香果母本苗的繁育方法
CN105684811B (zh) 一种凤梨释迦冬期果生产的方法
CN103109665A (zh) 红豆杉营养钵扦插育苗法
CN101816282A (zh) 一种杂交紫圆茄制种方法
CN103583220A (zh) 温室大棚香椿无休眠栽培方法
CN106171467B (zh) 猴头杜鹃种子繁殖方法
KR101477917B1 (ko) 생산성을 극대화시킨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한 겨우살이
CN110972794A (zh) 澳洲坚果嫁接苗快速培育方法
CN104770167A (zh) 一种甜瓜栽培方法
KR101304004B1 (ko) 겨우살이의 인공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한 겨우살이
CN110089364A (zh) 一种缩短火龙果杂交育种进程的方法
CN107371991A (zh) 一种青枣环剥留干修剪方法
CN107548858B (zh) 一种苹果苗木繁育方法
CN105706715B (zh) 柳叶菜花错峰繁种的方法
CN1234266C (zh) 水苔种植方法
CN108651074A (zh) 一种耐寒台湾含笑种质的容器育苗方法
Kakade et al. Dragon Fruit (Hylocereus undatus)
CN114223413A (zh) 一种优良品系酸枣选育方法
CN102440131A (zh) 铁皮石斛组培苗仿野生种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