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165B1 -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165B1
KR101477165B1 KR1020120142555A KR20120142555A KR101477165B1 KR 101477165 B1 KR101477165 B1 KR 101477165B1 KR 1020120142555 A KR1020120142555 A KR 1020120142555A KR 20120142555 A KR20120142555 A KR 20120142555A KR 101477165 B1 KR101477165 B1 KR 101477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queous
acrylic copolymer
w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519A (ko
Inventor
이진욱
Original Assignee
대흥특수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특수화학(주) filed Critical 대흥특수화학(주)
Priority to KR102012014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165B1/ko
Publication of KR2014007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61Q3/02Nail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환경 호르몬을 유발하는 알킬페놀에톡시레이트를 포함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6~11 중량부, 도막 조성제 3~15 중량부, 부착 증진제 4~10 중량부, 왁스 0.3~5 중량부 및 첨가제 0.01~3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로 구성된 수성 매니큐어는 유기용제, 특히 알킬페놀에톡시레이트계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호르몬 등의 문제가 없어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운송이나 보관상에서 있을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없어 안전하다. 또한, 조성물의 배합 비율의 조절로 베이스 코트, 컬러 코트, 탑 코트 등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queous Manicur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환경 호르몬을 유발하는 알킬페놀에톡시레이트를 포함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성 매니큐어에는 니트로셀룰로오즈와 레진의 용해 및 상용성을 위해 사용되는 톨루엔, n-부틸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유기용제와 환경호르몬 물질인 DBP, DOP가 포함되어 있어 손톱 및 발톱에 바를 때 유기용제가 경구를 통해 흡입되고 손톱의 분리나 피부의 생리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밀폐된 실내에서 상기와 같은 유성 매니큐어를 사용하면, 두통 등의 증상을 일으키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즉,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옻 천연 매니큐어에 관한 것으로, 황칠의 옻을 증류 또는 교반하여 투명하게 정제한 수지 성분의 투명 옻에 천연성분의 용매로서 동백유, 송진, 피마자 오일, 포도씨 오일 및 홍화씨 오일 등을 포함하고, 추가로 휘발성 용제, 천연염료 용제, 식물성 접착성분, 무기안료 등을 포함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을 이용한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수지 수용액 30~80중량%, 유무기 착색안료 0.1~25중량%, 계면활성제 0.1~5중량%, (메타)아크릴산계 공중합체, 섬유소유도체, 초산비닐계 고분자 폴리머 및 다당류에서 선택되는 분산제 0.1~3중량%, (메타)아크릴산계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계, 폴리우레탄계, 섬유소유도체, 다당류, 초산비닐계 고분자 폴리머 유기계와 무기계 실리카, 몬모리나이트에서 선택되는 증점제 0.1~3중량%, 천연왁스 유화물, 지방산 에스테르 유화물, 파라핀계 왁스 유화물, 폴리에틸렌계 유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왁스 0.1~3 중량%, 소포제 0.1~1중량%를 포함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2941호(2012.10.1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9080호(2012.04.25 공개)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옻 성분을 이용하여 피부에는 친환경적일지는 모르지만 내수성 및 투명도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부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한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쉽게 제조가능한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은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6~11 중량부, 도막 조성제 3~15 중량부, 부착 증진제 4~10 중량부, 왁스 0.3~5 중량부 및 첨가제 0.01~3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0~90 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40 중량%가 혼합된 주 단량체 100 중량부에 공중합 단량체 3~8 중량부를 첨가한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합 개시제 0.1~1 중량부, 유화제 1.5~5 중량부, 연쇄 이동제 0.01~0.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비닐화합물,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중합 개시제는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과황산소듐,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다가알콜에테르설페이트계, 라우릴설페이트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모노에스터설포석시네이트계, 변성다가알콜에톡시레이트계, 다가알콜에톡시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연쇄 이동제는 에틸메트캅탄, 부틸메르캅탄, N-옥틸메르캅탄, 도데실메르캅탄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벤조에이트에스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도막 조성제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칠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칠렌글리콜 모노에칠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에칠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파라핀왁스, 카나우바왁스, 폴리에틸렌왁스, 폴리프로필렌왁스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알카리증점제, 수분산증점제, 우레탄증점제, 침강방지제, 방부제, 소포제, 완충제, 자외선 안정제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부착 증진제는 안료분산성이 부가된 알카리 용해성 레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이온 교환수와 유화제를 혼합하여 제1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제1 생성물에 중합 개시제 수용액을 첨가하여 제2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주 단량체, 공중합 단량체 및 유화제를 혼합하여 제3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이온 교환수에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여 제4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제2 생성물에 제3 생성물과 제4 생성물을 연속 적하 중합하여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제조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중화제를 첨가하여 pH를 조절하는 단계, (e) 상기 (f)단계에서 pH조절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가소제, 도막 조성제, 부착 증진제, 왁스 및 첨가제를 투입 및 교반하여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주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가 60:40~90:10 중량비로 배합되고, 상기 공중합 단량체는 상기 주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8 중량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연속 적하 중합은 80~90℃에서 2~4시간 동안 시행되고, 1시간의 숙성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pH는 7~8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배합은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6~11 중량부, 도막 조성제 3~15 중량부, 부착 증진제 4~10 중량부, 왁스 0.3~5 중량부 및 첨가제 0.01~3 중량부를 10~20분 간격으로 투입 및 교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성 매니큐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유기용제, 특히 알킬페놀에톡시레이트계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호르몬 등의 문제가 없어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운송이나 보관상에서 있을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없어 안전하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조성물의 배합 비율의 조절로 베이스 코트, 컬러 코트, 탑 코트 등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시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한사유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은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가소제, 도막 조성제, 부착 증진제, 왁스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주 단량체, 공중합 단량체, 중합 개시제, 유화제, 연쇄 이동제를 포함한다.
상기 주 단량체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2102206266-pa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R2의 예시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펜틸기, 이소펜틸기, 헥실기, 2-에틸헥실, 이소옥틸기, 이소노닐기. 이소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R1과 R2가 메틸기인 단량체와 R1은 수소 원자이고 R2는 부틸기 또는 2-에틸헥실기인 단량체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R1과 R2가 메틸기인 단량체 R2는 2-에틸헥실기인 단량체와의 조합이 더욱 바람직하다. R1은 수소 원자이고 R2가 부틸기 이하일 경우 내수성이 저하되고 도막이 딱딱해져서 그로 인해 도막 조성제와 가소제의 함량이 늘어나 고형분 저하와 표면의 깨짐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커진다. 또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의 비중이 적어질 경우 도막의 광택 및 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주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2-Ethyl Hexyl Acrylate Monomer, 2-EHAM)의 중량비는 MMA/2-EHAM=90/10~60/40 정도가 바람직하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의 중량이 90을 초과하고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2-EHAM)의 중량이 10 미만이 되면 R2가 부틸기 이하의 경우처럼 도막이 너무 강해져서 균일한 도막과 상품성이 있는 고형분을 갖기가 어려워지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의 중량이 60 미만이고,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2-EHAM)의 중량이 40을 초과하게 되면, 건조 도막 표면에 택(tack)이 느껴지며 먼지나 기타 이물로 인한 오염이 쉽게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공중합 단량체는 안정성과 응집력을 보강하기 위한 조성물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인산, 이타코닉산 등의 불포화모노(또는 디)카르복시산과 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비닐아세테이트 등의 비닐화합물,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특히 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사용은 불포화모노(또는 디)카르복시산과의 상승작용으로 응집력 향상에 기여하며, 알칼리성에 의한 용해도를 증가시킨다. 공중합 단량체가 3 중량부 미만 첨가될 경우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안정성이 결여되어 에멀젼 입자의 침강과 분리가 발생하며, 8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친수성 단량체의 함량이 늘어나 내수성이 저하되므로 주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8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유화중합에 사용되는 조성물로,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과황산 소듐과 같은 과황산염계,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와 같은 과산화물계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적어도 1종 또는 레독스 중합과 같은 2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는 알킬페놀에톡시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타입의 유화제를 사용한다. 상세하게는 음이온계 유화제로는 다가알콜에테르 설페이트계, 라우릴설페이트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모노에스터설포석시네이트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비이온계 유화제로는 변성다가알콜에톡시레이트계, 다가알콜에톡시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계 유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면 배합에 사용되는 원료들과의 쇼크로 인해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이온계 유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공중합체의 입자 크기가 커져 내수성과 건조 속도 저하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음이온성 유화제와 비이온성 유화제는 1 대 2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유화제를 1.5 중량부 미만 첨가할 경우 내수성은 양호해지나 중합체의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크게 저하되고 저장 안정성에도 문제가 발생하며, 5 중량부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친수성의 증가로 내수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해진다. 그러므로 유화제는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5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쇄 이동제는 유화중합의 반응안정성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조성물로, 에틸메트캅탄, 부틸메르캅탄, N-옥틸메르캅탄, 도데실메르캅탄과 같은 알킬메르캅탄류를 사용한다. 상기 연쇄 이동제는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건조도막의 유연성과 도막강도의 조절을 위해 사용되며, 환경호르몬 물질로 규정되는 오쏘-프탈레이트계(DEHP, DINP, DIDP, DBP, BBP, DnOP, DiBP)와 비스페놀-에이(bisphenol-A)가 포함되지 않는 가소제로 NEO-P, NEO-T, NEO-T3, NEO-D, NEO-C, NEO-B, NEO-A(이상 애경유화社 제품), LGflex GL-100, LGflex GL-300(이상 LG화학社 제품), Benzoflex9-88, Benzoflex2088, Benzoflex LA-705(이상 EASTMAN社 제품)등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를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6 중량부 미만 첨가하면, 도막의 강도는 높아지나 연속적인 도막을 얻기가 힘들고, 11 중량부 초과하여 첨가하면, 도막의 강도가 저하되고, 도막 표면으로 이행될 수 있어 표면의 오염이 쉽게 되고 매끄러운 지촉감을 얻기 힘들다. 그러므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6 내지 11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막 조성제는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높은 유리전위온도(Tg)를 갖기 때문에 도막형성이 어려우며 이를 보완하기위해 건조 속도 등을 조절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용도로 사용이 되며, 개별 특성에 따라 투명성과 도막의 강도, 내수성의 보조적 상승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도막 조성제는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모노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모노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도막 조성제를 3 중량부 미만 첨가하게 되면, 용해력이 떨어져 연속적이고 투명한 도막형성이 어려우며, 15 중량부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안정성을 저하시키고 유화제의 유화능 한계이상으로 서서히 층이 분리되므로 3 내지 15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 증진제는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손톱에 대한 부착력을 보조적으로 향상시키기고 착색을 위한 보조제로 사용하는 조성물이다. 반면 상용성이 다른 부착 증진제는 표면의 광택과 투명도를 저해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부착 증진제의 선택은 상당히 중요하다. 또한, 부착 증진제의 제조시에 사용될 수 있는 불필요하거나 환경호르몬물질이 포함된 계면활성제의 사용 여부를 고려하여 선택한다. 상기 부착 증진제는 스타이렌-아크릴산공중합체(한화케미칼社, 바스프社에서 제조 판매하는 SAA resin), 에틸렌(메트)아크릴산공중합체(마이켈만社에서 제조 판매하는 EAA resin)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부착 증진제를 3 중량부 미만 첨가할 경우, 손톱과의 접착력이 다소 저하되어 너무 쉽게 필오프(peel-off)되므로 손톱 위에서 충분한 접착 시간을 갖을 수 없게 되고, 착색제 첨가시 색상의 충분한 발현에 도움이 되지 못해 탁한 색상의 도막을 얻게 된다. 또한,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수지 자체의 중요한 특성으로 인해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화 안정성을 저해하고 입자의 크기를 교란시켜 시간의 경시변화에 의해 점도가 상승되거나 필요 이상의 사용량은 가격결정력에 부정적이므로, 4 내지 1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왁스는 표면의 매끄러움뿐만 아니라 내스크래치성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성물로 비이온성 왁스로 파라핀왁스, 산화된 파라핀왁스, 미세결정화된 왁스, 카나우바왁스,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한다. 상기 왁스는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5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성 네일 폴리시의 조성물에 기타 필요에 따라, 에멀젼에 보통 사용되는 첨가제로 알카리증점제, 수분산증점제, 우레탄증점제, 침강방지제, 방부제, 소포제, 완충제, 자외선안정제, 안료 중에서 적어도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완충제는 PH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조성물로, 암모니아, 초산소다, 중조, 탄산소다, 인산소다, 인산암모늄 등이 있다. PH를 7~9가 되도록 중화하는 것은 아크릴 에멀젼의 미립자 분산체에서 저장 안정성 및 분산성을 높일 수 있고 점도 조정도 가능하며, 알카리성을 띠므로 인체에 유독하지 않고 손톱에 해롭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첨가제는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3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에는 운모장 산화철, 백연, 연단, 황연, 군청, 감청, 산화코발트, 이산화티탄, 티타늄엘로우, 티탄블랙, 척흑, 에머랄드그린 등의 무기안료, 적색 104호, 106호, 201호, 201호, 청색 1호, 황색 205호, 401호 등의 유기안료, 운모 티탄, 산화철 피복운모티탄, 산화크롬 피복운모티탄 등의 펄안료, 라메안료 등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을 이용한 수성 매니큐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매니큐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 생성물을 제조한다(S10).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용기에 이온교환수 100 중량부에 유화제를 0.5~2 중량부를 투입하고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30분 교반하여 제1 생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유화제는 다가알콜에테르설페이트계, 라우릴설페이트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모노에스터설포석시네이트계, 변성다가알콜에톡시레이트계, 다가알콜에톡시레이트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제1 생성물에 중합 개시제 수용액을 첨가하여 제2 생성물을 제조한다(S20).
상기 S10단계에서 제조된 제1 생성물의 반응용기의 내부 온도를 70~80℃, 바람직하게는 75℃까지 승온시킨 후, 이온교환수 100 중량부에 중합 개시제 6~10 중량부를 녹인 중합 개시제 수용액을 상기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5~10분간 교반하여 제2 생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과황산 소듐과 같은 과황산염계,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와 같은 과산화물계 중에서 적어도 1종 또는 레독스 중합과 같은 2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제3 생성물을 제조한다(S30).
먼저, 주 단량체와 공중합 단량체를 혼합한다.
상기 주 단량체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2-Ethyl Hexyl Acrylate Monomer, 2-EHAM)를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2-Ethyl Hexyl Acrylate Monomer, 2-EHAM)의 중량비는 MMA/2-EHAM=90/10~60/40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의 중량비가 90을 초과하고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2-EHAM)의 중량비가 10 미만이 되면 R2가 부틸기 이하의 경우처럼 도막이 너무 강해져서 균일한 도막과 상품성이 있는 고형분을 갖기가 어려워지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의 중량비가 60 미만이고,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2-EHAM)의 중량비가 40을 초과하게 되면, 건조 도막 표면에 택(tack)이 느껴지며 먼지나 기타 이물로 인한 오염이 쉽게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제조된 주 단량체 100 중량부에 주 단량체 이외에 안정성과 응집력을 보강하기 위해 공중합 단량체를 3~8 중량부 혼합한다. 이는 공중합 단량체가 3 중량부 미만 첨가될 경우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안정성이 결여되어 에멀젼 입자의 침강과 분리가 발생하며, 8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친수성 단량체의 함량이 늘어나 내수성이 저하된다.
상기 공중합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비닐화합물,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된 공중합 단량체를 이온 교환수 100 중량부에 유화제 4~6 중량부 혼합된 유화제 수용액에 유화하여 제3 생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유화제는 다가알콜에테르 설페이트계, 라우릴설페이트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모노에스터설포석시네이트계, 변성다가알콜에톡시레이트계, 다가알콜에톡시레이트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제4 생성물을 제조한다(S40).
이온 교환수 100 중량부에 중합 개시제 1~2 중량부를 녹여 제4 생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과황산 소듐과 같은 과황산염계,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와 같은 과산화물계 중에서 적어도 1종 또는 레독스 중합과 같은 2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유화중합하여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한다(S50).
상기 S20단계에서 제조된 제2 생성물이 담긴 반응조의 교반기를 80~90℃, 바람직하게는 82℃까지 승온한 후, 여기에 제3 생성물과 제4 생성물을 각각 반응기에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적하시켜 유화중합한다. 상기 유화중합은 일괄중합, 연속적하중합, 분할적하중합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다. 상기 적하가 완료되면, 1시간 동안 82℃의 온도로 숙성시키면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얻어진다.
상기 제2생성물과 제3생성물 제조시 유화제를 각각 첨가하였다. 이는 유화제를 제2생성물 제조시에만 첨가하면 반응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고형분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반대로 제3생성물 제조시에만 첨가하면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입자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져서 내수성과 도막의 투명도와 광택의 저하원인이 되므로 적절히 분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PH를 조절한다(S60).
상기 숙성이 완료되면, 40~50℃, 바람직하게는 45℃까지 냉각한 후, 하기 후술할 배합 단계에서 사용되는 조성물과의 화학적 쇼크로 인한 불량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중화제를 첨가하여 PH가 7~8, 바람직하게는 7.2가 되도록 조절한다.
상기 중화제는 암모니아, 초산소다, 중조, 탄산소다, 인산소다, 인산암모늄 중에서 적어도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제조과정에 의해 제조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형분 40.3%, 점도 50cps이다.
또한, 상기 pH조절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방부제 0.03~0.1 중량부, 소포제 0.05~0.3 중량부를 첨가한다.
다음에 배합한다(S70).
상기 제조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가소제, 도막 조성제, 부착 증진제, 왁스 및 첨가제를 10~20분, 바람직하게는 15분 간격으로 투입 및 교반을 반복하며 배합한다. 이는 사용되는 가소제, 도막 조성제, 부착증진제, 왁스 등을 미리 혼합물로 만들어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배합하게 되면, 완성된 수성 매니큐어층이 경시변화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6~11 중량부, 도막 조성제 3~15 중량부, 부착 증진제 4~10 중량부, 왁스 0.3~5 중량부 및 첨가제, 상세하게는 알카리증점제, 수분산증점제, 우레탄증점제, 침강방지제, 방부제, 소포제, 완충제, 자외선 안정제 중 1종 또는 그 이상의 선택된 첨가제 0.01~3 중량부를 첨가하여 배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합단계가 완료되면, 수성 매니큐어(S80)가 얻어진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성 매니큐어는 유기용제, 특히 알킬페놀에톡시레이트계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호르몬 등의 문제가 없어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운송이나 보관상에서 있을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없어 안전하다. 또한 조성물의 배합 비율의 조절로 베이스 코트, 컬러 코트, 탑 코트 등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 예 및 비교 예에서 본 발명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및 비교 예에서 사용하는 조성물은 다음의 약호로 나타낸다.
2-EHAM :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 MMA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SM : 스티렌 단량체, MAA : 메타크릴산
2-HEA :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NDM : 도데실메르캅탄
APS : 과황산암모늄, t-BHPO :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SBS : 중아황산 소다, FeSO47H2O : 황산 제1철
EF-810 : 모노에스터설포석시네이트 (CYTEC社 제조)
FES-32 : 다가알콜에테르설페이트 (EO 4몰, COGNIS社 제조)
FN-10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EO 10몰, 한농화성社 제조)
FN-40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EO 10몰, 한농화성社 제조)
AFX-4070 : 변성다가알콜에톡시레이트 (EO 40몰, COGNIS社 제조)
Benzoflex2088 : EASTMAN社 제조, Dowanol DPM : DOW社 제조
Ethyl Carbitol : 대정화금社 시약, Butyl Carbitol : 대정화금社 시약
RV-4916 : 한화케미칼社 제조, 4983R : MICHELMAN社 제조
93535S : MICHELMAN社 제조
<실시 예>
<실시 예 1~5>는 수성 매니큐어의 제조방법은 동일하게 하고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조절하였다.
<실시 예 1>
(1)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냉각관, 질소도입관, 온도계,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용기에 이온교환수 331g에 FES-32 4.2g을 투입 후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30분 교반한다. 반응용기의 내부온도를 75℃까지 승온하고 과황산암모늄(APS) 1.4g을 이온교환수 12.6g에 녹여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다. 다음 82℃까지 승온하고, 여기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모노머(MMA) 312g,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2-EHAM) 85g, 메타크릴산(MAA) 16g,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EA) 6g, 도데실메르캅탄(NDM) 0.3g을 이온교환수 243g, 다가알콜에테르설페이트(S-32) 8g,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FN-10) 3.3g,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FN-40) 2.7g으로 유화한 것과 과황산암모늄(APS) 0.8g을 이온교환수 42.3g에 녹인 것을 같이 반응기에 3시간 동안 적하시켜 유화중합을 진행하였다. 적하가 종료되면 1시간 동일한 온도로 숙성을 시켰다. 이 후 45℃까지 냉각하고 암모니아수를 이용하여 pH를 7.2로 조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형분 40.3%, 점도 50cps이다.
(2) 수성 매니큐어 제조(배합)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g에 Benzoflex2088 7.5g, Butyl Carbitol 6.4g, RV-4916 8.3g, 93535S 2.1g을 투입한다. 투입을 할 때에는 15분씩 교반한 후 순서대로 투입을 한다. 마지막 93235S를 투입하고 나서 15분 후 소포제(DF-75:AIR PRODUCTS社제조), 방부제(KATHON LX:DOW CHEMICAL社제조), 증점제(TH-NA:대흥특수화학社제조), 침강 방지제(벤토나이트:동신산업社, 실리카:ADEKA社)를 투입하여 제조하였다.
<실시 예 2>
(1)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 예 1과 중합방법과 사용된 원료는 같으나 실시 예 2에서는 주 단량체에 의한 광택도와 도막의 강도를 비교하기 위해 MMA 대신에 SM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형분 40.1%, 점도 42cps이다.
(2) 수성 매니큐어 제조(배합)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합하였다.
<실시 예 3>
(1)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 예 1과 중합방법은 같으나 실시 예 3에서는 내수성과 건조속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응용기 안의 FES-32 5.9g과 단량체 유화용 FES-32 11.2g, FN-10 4.6g, FN-40 3.8g을 사용하여 유화중합을 진행하였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형분 39.8%, 점도 65cps이다.
(2) 수성 매니큐어의 제조(배합)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합하였다.
<실시 예 4>
(1)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 예 1과 중합방법과 사용된 원료는 같으나 실시 예 4에서는 단량체의 사용량을 조절하였다. 그 사용량은 MMA 198.5g, 2-EHAM 198.5g으로 유화중합을 하였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형분 39.3%, 점도 85cps이다.
(2) 수성 매니큐어의 제조(배합)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합하였다.
<실시 예 5>
(1)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저온중합(레독중합)으로 반응하여 내수성, 손톱과의 부착력을 실시예 1과 비교하기위해 실시하였다. 냉각관, 질소도입관, 온도계,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용기에 이온교환수 324g에 FES-32 3.1g을 투입 후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30분 교반한다. 반응용기의 내부온도를 35℃까지 승온하고 APS 0.8g, t-BHPO 0.4g, FeSO47H2O 0.001g을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다. 다음 45℃까지 승온하고, 여기에 MMA 312g, 2-EHAM 85g, MAA 16g, 2-HEA 6g, NDM 0.3g을 이온교환수 219g, FES-32 10.3g, FN-10 4.5g, FN-40 3.8g으로 유화한 것과 5%APS 용액 48g, 5%t-BHPO 48g을 같이 반응기에 3시간 동안 적하시켜 유화중합을 진행하였다. 적하가 종료되면 1시간 동일한 온도로 숙성을 시켰다. 이 후 30℃까지 냉각하고 암모니아수를 이용하여 pH를 7.2로 조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형분 39.6%, 점도 90cps이다.
(2) 수성 매니큐어 제조(배합)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합하였다.
<실시 예 6~10>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수성 매니큐어의 제조방법을 조절하였다.
<실시 예 6>
(1)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진행하였다.
(2) 수성 매니큐어 제조(배합)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합을 하였으나 실시 예 5에서는 Butyl Carbitol 대신에 Ethyl Carbitol을 사용하였다.
<실시 예 7>
(1)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진행하였다.
(2) 수성 매니큐어 제조(배합)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합을 하였으나 실시 예 6에서는 Butyl Carbitol 대신에 Dowanol DPM을 사용하였다.
<실시 예 8>
(1)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진행하였다.
(2) 수성 매니큐어 제조(배합)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합을 하였으나 실시 예 7에서는 RV-4916 대신에 4983R을 사용하였다.
<실시 예 9>
(1)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진행하였다.
(2) 수성 매니큐어 제조(배합)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합을 하였으나 Butyl Carbitol의 사용량을 3.2g으로 조절하였다.
<실시 예 10>
(1)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유화중합을 진행하였다.
(2) 수성 매니큐어 제조(배합)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배합을 하였으나 RV-4916의 사용량을 3.0g으로 조절하였다.
<비교 예 1>
유성 매니큐어의 제조
하기 표1의 성분들을 일반 혼합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원료 첨가량
n-부틸아세테이트 17.63g
톨루엔 15.96g
에틸 아세테이트 15.82g
니트로 셀룰로오스 14.04g
이소프로필 알코올 7.96g
톨루엔술폰산아미드-에폭시 수지 0.87g
폴리비닐 부티랄 2.05g
디부틸 프탈레이트 2.45g
벤토나이트 0.71g
이산화 티탄 0.15
상기의 실시 예1 내지 10 및 비교 예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특성을 평가하였다.
(도막 강도)
* 연필경도 측정법 : KS M ISO 15184
- SCRATCH HARDNESS 시험방법으로 측정
: 건조 도막 두께를 40㎛로 하여 상온 1일 방치 후 측정
(광택)
* 60˚광택 측정 : KS M ISO 2813 : 2007
- 건조 도막 두께를 50㎛로 하여 상온 1일 방치 후 측정
(투명도)
* 육안관찰
- 유리판에 건조 도막의 두께를 50㎛로 하여 상온 1일 방치 후 육안으로 관찰한다.
- 결과의 판정
◎ : 육안으로 투명하며 뿌옇게 보이는 것이 없다.
× : 육안으로 뿌옇게 보인다.
(내수성)
* 유리판에 건조 도막의 두께를 40㎛로 하여 상온 1일 방치 후 25℃의 수조에 4시간 침적하여 백화현상(Water whitening) 측정
- 결과의 판정
◎ : 육안으로 투명하며 백화현상이 전혀 없다.
△ : 육안으로 투명하지만 약하게 백화현상이 보인다.
× : 육안으로 백화현상이 현저하게 보인다.
(연속 도막의 형성)
* 유리판에 건조 도막의 두께를 40㎛로 하여 상온 1일 방치 후 상태 관찰
- 결과의 판정
◎ : 육안으로 갈라짐(crack)이 전혀 없다.
× : 육안으로 갈라짐이 보인다.
(표면건조시간)
* 유리판에 건조 도막의 두께를 40㎛로 하여 도포 한 다음 지촉건조시간을 30초 간격으로 측정한다.
(고화시간)
* 유리판에 건조 도막의 두께를 40㎛로 하여 도막 강도가 1일 방치 후의 강도가 나오는 시간을 30분 간격으로 측정한다.
(내구성)
* 매니큐어를 대상자 왼손의 엄지, 검지, 중지에 2회 도포하여, 5일 후 도막을 관찰하여 벗겨짐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 결과의 판정
◎ : 모서리(Free Edge)부분에서 큐티클층 방향으로 2mm이내 박리.
× : 모서리부분에서 큐티클층 방향으로 2mm이상 박리.
그 결과, 하기 표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수성 매니큐어가 실시 예 1~10 및 비교 예 1보다 도막 강도, 광택도, 투명도, 내수성, 연속 도막의 형성, 표면 건조 시간, 고화 시간 및 내구성에서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 예 1~5에서 수성 아크릴 공중합체 중합 방법 비교평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도막 강도 HB B HB 3B HB
광택도 66 63 64 59 67
투명도
내수성
연속도막의 형성 ×
표면건조시간 3분 이내 3분 이내 3분 이내 4분 이내 3분 이내
고화시간 2시간 이내 2시간 이내 2시간 이내 2시간 이내 2시간 이내
내구성 × × ×
실시 예 6~10 및 비교 예에서 배합 조절 비교평가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1
도막 강도 HB HB HB H B H
광택도 57 62 66 64 56 71
투명도 × ×
내수성
연속도막의 형성 ×
표면건조시간 3분 이내 3분 이내 3분 30초 이내 3분 이내 3분 이내 3분 30초 이내
고화시간 2시간 이내 2시간 이내 2시간 이내 2시간 이내 2시간 이내 1시간 30분 이내
내구성 × × ×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7)

  1.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에 있어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6~11 중량부, 도막 조성제 3~15 중량부, 부착 증진제 4~10 중량부, 왁스 0.3~5 중량부 및 첨가제 0.01~3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0~90 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40 중량%가 혼합된 주 단량체 100 중량부에 공중합 단량체 3~8 중량부를 첨가한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합 개시제 0.1~1 중량부, 유화제 1.5~5 중량부, 연쇄 이동제 0.01~0.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비닐화합물,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개시제는 과황산암모늄, 과황산칼륨, 과황산소듐,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다가알콜에테르설페이트계, 라우릴설페이트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모노에스터설포석시네이트계, 변성다가알콜에톡시레이트계, 다가알콜에톡시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쇄 이동제는 에틸메트캅탄, 부틸메르캅탄, N-옥틸메르캅탄, 도데실메르캅탄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벤조에이트에스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 조성제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칠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칠렌글리콜 모노에칠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에칠에테르, 에칠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파라핀왁스, 카나우바왁스, 폴리에틸렌왁스, 폴리프로필렌왁스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알카리증점제, 수분산증점제, 우레탄증점제, 침강방지제, 방부제, 소포제, 완충제, 자외선 안정제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증진제는 안료분산성이 부가된 알카리 용해성 레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12. (a) 이온 교환수와 유화제를 혼합하여 제1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제1 생성물에 중합 개시제 수용액을 첨가하여 제2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주 단량체, 공중합 단량체 및 유화제를 혼합하여 제3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이온 교환수에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여 제4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제2 생성물에 제3 생성물과 제4 생성물을 연속 적하 중합하여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제조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중화제를 첨가하여 pH를 조절하는 단계,
    (e) 상기 (f)단계에서 pH조절된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가소제, 도막 조성제, 부착 증진제, 왁스 및 첨가제를 투입 및 교반하여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주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모노머가 60:40~90:10 중량비로 배합되고,
    상기 공중합 단량체는 상기 주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8 중량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연속 적하 중합은 80~90℃에서 2~4시간 동안 시행되고, 1시간의 숙성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pH는 7~8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배합은 수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6~11 중량부, 도막 조성제 3~15 중량부, 부착 증진제 4~10 중량부, 왁스 0.3~5 중량부 및 첨가제 0.01~3 중량부를 10~20분 간격으로 투입 및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제조방법.
  17. 특허청구범위 제12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수성 매니큐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수성 매니큐어.
KR1020120142555A 2012-12-10 2012-12-10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77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555A KR101477165B1 (ko) 2012-12-10 2012-12-10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555A KR101477165B1 (ko) 2012-12-10 2012-12-10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519A KR20140074519A (ko) 2014-06-18
KR101477165B1 true KR101477165B1 (ko) 2014-12-29

Family

ID=5112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555A KR101477165B1 (ko) 2012-12-10 2012-12-10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1798B2 (en) * 2017-01-20 2019-07-16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Fatty acid ester-based wax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KR101987126B1 (ko) * 2019-01-22 2019-06-10 주식회사 코트온 네일 메이크업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032A (ko) * 2000-10-25 2003-05-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화장품 및 개인 관리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032A (ko) * 2000-10-25 2003-05-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화장품 및 개인 관리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519A (ko)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5922B2 (en) Self-coalescing latex
JP5615288B2 (ja) オリゴマーを含む水性バインダー組成物
AU666245B2 (en) Emulsion polymer blend
TW593585B (en) Improved coating composition
CN104946017B (zh) 油墨组合物、墨盒和记录方法
CA2952972C (en) Sequentially polymerized hybrid latex
US9102848B2 (en) Environmentally friendly, polymer dispersion-based coating formula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ame
US20140128536A1 (en) Low-odour (meth)acrylic reaction resins
JP7474204B2 (ja) 塗料組成物、家具及び建築内装用塗料組成物、並びに積層体
KR101477165B1 (ko)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U2017425706A1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EP1944344B1 (en) Resin composition for plastic coating and plastic coating using the same
US20220243092A1 (en) Coating composition for an outer wall or exterior of building, and an article comprising the coating composition
CN108727530A (zh) 高酸值羧基丙烯酸消光树脂和含其的环氧聚酯型粉末涂料
EP3507332B1 (en) Coating composition with high hydrophobic resistance and high hydrophilic resistance
JP5515544B2 (ja) 塗料用水性重合体分散液の製造方法及びその分散液
EP3918016B1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WO2013174934A1 (en) Aqueous latex-based coating components
KR101104149B1 (ko)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하이드록시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바닥재
EP2990445A1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s having low or zero vocs and comprising encapsulated or polymer adsorbed pigments and letdown binders
JP7217481B1 (ja) 撥水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11241388A (ja) 水性被覆材
JP6469383B2 (ja) 重合体粒子、重合体分散液、被覆材および塗装物
JP2021091833A (ja) 水性樹脂エマル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