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583B1 - A sunshade device for buildings - Google Patents

A sunshade device for build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583B1
KR101476583B1 KR1020140017307A KR20140017307A KR101476583B1 KR 101476583 B1 KR101476583 B1 KR 101476583B1 KR 1020140017307 A KR1020140017307 A KR 1020140017307A KR 20140017307 A KR20140017307 A KR 20140017307A KR 101476583 B1 KR101476583 B1 KR 101476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awning
wall
fixed
sun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두진
남유민
김영관
Original Assignee
(주)황두진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합동메탈
태영메탈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황두진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합동메탈, 태영메탈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황두진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01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5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5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shade device that is installed to the outer surface of a building. The sunshade device includes a sunshade member (10) that is formed of one sheet of metal plate, and has a plurality of ventilation portions (12) for connec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a downward inclined sunshade portion (14) formed between the ventilation portions;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unshade member (10) at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therefrom at a given interval. The sunshade portion (14) of the sunshade member (10) is extended in a across shape on single plane, and the ventilation portion (12) is formed between the sunshade portions. 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20) having an inner end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n outer end fixed to the sunshade portion of the sunshade member, o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sunshade portion of the sunshade member at the outside, and a support member (30) having an outer e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n inner end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support member (30) may be reinforced by a reinforcing pipe (40) in a horizontal direction.

Description

건물용 차양장치{A sunshade device for buildings}[0001] A sunshade device for buildings [

본 발명은 건물용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건물에 대한 충분한 차양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물용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aw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ilding awning device configured to have a sufficient awning effect on a building while occupying a relatively small space.

전통적인 한국의 가옥을 살펴보면 처마가 지붕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처마는 차양 기능을 가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가옥에서의 처마는 실질적으로 단층 건물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과 동시에 가옥의 외측 부분에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설치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traditional Korean houses, eaves are install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roof, and it is well known that these eaves have awning functions.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eaves in these traditional houses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the case of a single-story building,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sufficient space in the outer part of the house.

현대의 건축물은 실질적으로 고층으로 지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면적에 대한 제한이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처마와 같은 차양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건물은 별도의 차양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힘들다고 할 수 있다. Modern buildings are generally built in high-rise buildings. However, because of the limited spac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install a traditional eavesdropping devic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difficult to anticipate a separate shading effect in the current building.

이와 같이 별도의 차양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면, 태양으로부터의 열에 직접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되어, 여름에는 냉방을 위한 경제적 소비가 많아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에 직접 노출되는 것에 의하여, 건물 외측면의 손상이 우려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건물의 노후화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의 고층화 건물에 있어서는, 건물의 전체 외부를 감싸거나 건물의 외부에 대한 차양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어떠한 제안 또는 시공도 찾아보기 힘들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 특허 공개 10-2010-0014839호에 개시된 기술에 의하더라도 태양광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는 찾아보기 힘들다. Unless there is a separate awning means, it will be exposed directly to the heat from the sun, and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economical consumption for cooling is increased in the summer. In addition, direct exposure to sunlight can cause damage to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which is substantially related to the deterioration of the building. In the present high-rise buildings, it is difficult to find any suggestions or constructions that can cover the entire exterior of the building or expect a shading effect on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For example, even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4839, it is hard to find a structure capable of blocking sunligh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층의 건물이 태양광의 직접 조사에서 보호될 수 있는 차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nshade device in which a high-rise building can be protected from direct irradiation of sunligh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건물에 대하여 차양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내부를 포함하는 건물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경제적으로 냉방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건물이 태양광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태양광으로부터 건물의 외부를 보호하는 목적도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ading device for a building that substantially prevents the temperature of the building including the interior from rising, thereby enabling more economical cooling.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bstantially protect the outside of the building from sunlight by preventing the building from being directly exposed to sunligh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물용 차양장치는, 한장의 금속 플레이트에서 성형되고, 내외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통기부와, 상기 통기부 사이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차양부를 구비하는 차양부재와; 상기 차양부재를 건물의 외벽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uilding sh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ent portions formed in a single metal plate and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and a shovel portion formed between the vent portions and inclined downward ; And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shingles in a state where the shing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차양부재의 차양부는 X자 형상으로 하나의 평면 상에서 연장 성형되고, 상기 통기부는 차양부 사이에 형성되고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nge portion of the sunshade member is formed in an X-shape on one plane, and the airflow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langes.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내측단부가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차양부재의 차양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support means, the support memb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inner end portion thereof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n outer end portion thereof is fixed to the flange portion of the sunshade member.

본 발명의 지지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외측이 차양부재의 차양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에 외측단부가 고정되고 내측단부가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지지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pporting memb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whose outer side is fixed to a flange portion of an awning member; Member.

그리고 본 발명의 차양장치는, 이러한 지지부재에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연속하여 설치되는 지지부재의 상기 연결공을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sunshade device further comprises a reinforcing pipe having a connecting hole formed in the supporting member and horizontally installed through the connecting hole of the continuously supporting member.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지지부재 및 연결부재 등이 서로 접촉하여 고정될 때, 서로 면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하중의 지지에 있어서 더욱 유리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부재는 면접촉한 상태에서 서로 고정되고, 지지부재의 내측단부도 건물의 외벽과 면접촉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도 차양부와 면접촉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When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and fixed to each other, it is more advantageous in supporting the load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fixed to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inner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is also fixed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ile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also fixed Lt; / RTI >

그리고 보강파이프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재의 연결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파이프와, 인접하는 지지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연결파이프로 구성되고 있어서, 보강파이프 자체의 조립성 및 시공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reinforcement pipe, since the support pip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onnection hol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nection pipe inserted into the adjacent support pipe, the assembling property and the workability of the reinforcement pipe itself are further secured .

그리고 본 발명의 차양장치는, 외측단부가 차양부에 고정되어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보강파이프가 통과하는 연결공이 형성된 평활도 유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차양부재를 더욱 평면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lind apparatus comprising: a flatness maintaining member having an outer end fixed to an overhang and extending inwardly and having a connecting hole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pipe passes, It becomes possible to install a plurality of awning members in a more flat shape.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차양부재가 건물의 외벽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태양광이 직접 건물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태광광의 열에 의한 건물의 온도상승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서 보다 경제적인 냉방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그리고 차양부재와 건물 외벽이 일정한 공간을 가지고 있고 통기부에 의하여 이러한 공간의 통기성을 확보함으로써, 불필요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광이 직접 건물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태양광에 의한 건물 외벽의 손상 등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sunlight from directly irradiating the building by installing the shingl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more economical cooling by prevent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building due to the heat of the tackle light to the utmost, and the shingles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have a certain space, It is expected that an unnecessary rise in temperature can be prev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olar light directly from being irradiated on a building, and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damage to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caused by sunlight can be sufficiently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양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저면도, 그리고 (c)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양부재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양부재가 설치되는 요부를 보인 예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양부재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평면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of a shoelac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b) is a bottom view, and FIG.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aw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3 is an exemplary side view showing a recessed portion in which an aw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awn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양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고, (b)는 저면에서 본 저면도이며, (c)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양부재(10)는 판상의 금속재에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다수 개의 통기부(12)과, 상기 통기부(12) 사이에서 형성되는 차양부(14)를 구비하고 있다. Fig. 1 is a front view of the shad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front view, (b) is a bottom view, and (c) is a side view. The shingle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of plate-shaped metallic materials and have a plurality of air vent portions 12 and a flange portion 14 formed between the air vent portions 12.

이와 같은 차양부재(10)는, 예를 들면 사각형의 금속 플레이트를 소정의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통기부(12)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부분을 다수개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의 주위를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경사면을 가지는 차양부(14)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따라서 금속 플레이트에서 절단된 부분이 확장되어, 공기가 내외부로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기부(12)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부(12) 사이의 부분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부분으로 남게 되는데 이러한 부분이 금형에 의하여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술한 차양부(14)를 형성하게 된다. Such a pair of awning members 10 is formed by cutting a plurality of portions such that a rectangular metal plate is formed by using a predetermined mold so as to form the vent portion 12, And is formed by forming the flange portion 14 having an inclined surface by press working. Accordingly, the cut portion of the metal plate expands to form a plurality of vent portions 12 through which air can pass. The portion between the vent portions 12 remains as a portion having a constant area. Such a portion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inclination by the metal mold to form the above-mentioned flange portion 14. [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차양부(14)는 실질적으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옥에서의 차양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차양부(14)는 실질적으로 태양광이 건물의 외벽에 직접 조사되지 않도록 하는 차양 기능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부(12)는 본 발명의 차양장치의 내외부를 통기시킴으로써, 건물의 외벽에 대한 냉각효과를 제공하거나 환기를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As can be seen from FIG. 1, the beveled portion 14 is substantially formed outwardly sloping downward, and it has the same shape as a sunshade in a hanok.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above-mentioned sun shade 14 has a sunshade function so that sunlight is not directly irradiat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ventilation part 12 will be able to provide cooling effect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r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ventilation by ventil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unshad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실시예의 차양부재(10)에서, 상기 차양부(14)는 대략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두 개의 선이 서로 교차되는 X자 형태로 성형됨을 알 수 있고, 상기 통기부(12)는 X자 형태의 차양부(14) 내부에 각각 형성되는 마름모꼴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차양부(14)와 통기부(12)는 이와 같은 형태의 실시예에 한정될 수 없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한 바와 같은 X자 형태의 차양부(14)로 구현하는 것에 의하여 외부에서 볼때의 심미감도 충분히 좋아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강도 및 통기성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양부(14) 및 통기부(12)는 상기 차양부재(10)의 차양부(14)는 X자 형상으로 하나의 평면 상에서 연장 성형됨으로써, 가로 및 세로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판상의 부재로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shingles 10 the beveled portion 14 is formed in an X-shape with two lines intersecting each other with a substantially constant inclination and the venting portion 12 has an X- Shaped portion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14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lange portion 14 and the vent portion 12 can not be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However, by embodying the X-shaped beveled portion 14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improve the aesthetics from the outside, and it is also preferable in terms of strength and air permeability. The beveled portion 14 and the ventilating portion 12 of the awning member 1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by being extended and formed on one plane in an X-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양부재(10)가 건물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차양부재(10)가 건물의 외측면에 설치될 때, 건물의 외벽 또는 외부와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차양부재(10)가 건물의 외벽 또는 외측면에 직접 부착되면, 비록 부착하는 과정 및 구조에 있어서는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할지 모르지만,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차양효과는 현저하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wning member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Here, when the awning member 1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awning member 1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wall or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If the awning member 10 is directly attached to the outer wall or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although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structure may be easily performed, the effect of the shading effect to be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차양부재(10)를 건물의 외벽에서 일정 구간 이격시켜서 설치하고 있으며, 이때 차양부재(10)와 건물의 이격거리는 실질적으로 차양부(14)의 너비와 관련하여 최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차양부재(10)를 건물의 외벽에서 일정 구간 이격시켜 설치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건물의 외벽이라 함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는 외벽 뿐만 아니라, 건물의 창틀 등도 포함하여 건물의 외부를 구성하는 모든 것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awning member 10 is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awning member 10 and the building is adjusted optimally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awning 14 It is possible to do. Hereinafter, a configuration for installing the above-mentioned awning member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is used to mean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cluding the outer wall made of concrete, the window frame of the building, and the like.

먼저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는 건물의 외벽(W)에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지지부재(20)를 통하여 본 발명의 차양부재(10)를 설치하고 있다. 즉, 지지부재(20)는 차양부재(10)를 건물의 외벽(W)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FIG. 2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n awning memb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wall W of a building through a support member 2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other words, the supporting member 20 can be said to be configured to be able to support the awning member 10 in a state in which it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W of the build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의 일단부는 건물의 외벽(W)에 밀착될 수 있는 내측단부(20a)로 성형되고, 타단부는 차양부재(10)의 차양부(14)의 내측단부(14a)에 밀착될 수 있는 외측단부(20b)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단부(20a)와 외측단부(20b)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0c)는 일정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실질적으로 차양부재(10)가 건물의 외벽(W)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20 is formed into an inner end portion 20a tha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W of the building,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formed by the flange portion 14 of the awning member 10 And an outer end 20b which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end 14a of the base portion 20a. The connecting portion 20c connecting the inner end portion 20a and the outer end portion 20b to each other has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awning member 10 is substantially supported by the outer wall W of the building .

상기 내측단부(20a)는 건물의 외벽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통상 건물의 외벽은 수직상태를 가지는 것을 고려하면 수직면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단부(20a)는 수직면이 아니더라도 실질적으로 건물의 외벽(W)의 형상에 따라서 그에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내측단부(20a)는 외벽(W)에 밀착되지 않더라도 볼트(Ba)에 의하여 서로 체결되어, 차양부재(10)가 외벽(W)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The inner end portion 20a is a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inner end portion 20a so as to have a vertical surfac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has a vertical state. Further, the inner end 20a preferably has a shape tha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W of the building substantially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building, even if it is not a vertical plane. However, it is sufficient that the inner end portion 20a is fastened to each other by the bolts Ba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W so that the awning member 10 can be supported on the outer wall W.

그리고 상기 외측단부(20b)는 차양부(14)에 밀착되어 볼트(Bb)에 의하여 서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성형된다. 여기서 상기 차양부(14)는 실질적으로 건물의 외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외측단부(20b)는, 차양부(14)에 밀착될 수 있도록 동일한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양자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Bb)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면 충분하다. The outer end portion 20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14 and is formed so as to maintain a state where the bolts Bb are fastened to each other. Here, the above-mentioned beveled portion 14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refore, it is sufficient that the outer end portion 20b is formed so as to have the same inclined surfac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14 and can be fixed by the bolts Bb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지지부재(20)를 통하여 상기 차양부재(10)가 건물이 외벽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0)는 건물의 외벽의 폭과 높이, 그리고 지지부재(20)의 크기에 따라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갯수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shingable member 10 maintains a state where the building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by a certain distance through the support member 20.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20 may be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number to support the load according to the width and height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size of the support member 20. [

다음에는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상술한 차양부재(10)가 건물의 외측면에 대하여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라고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부재(10)는 연결부재(22)를 통하여 지지부재(30)와 연결되고 있다. Nex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aid to be an embodiment in which the above-described awning member 10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3, the above-mentioned awning member 10 is connected to the supporting member 30 via the connecting member 22. [

상기 지지부재(30)는 차양부재(10)를 실질적으로 건물의 외벽에 대하여 요구되는 이격된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상기 지지부재(30)는, 그 외측단부가 상기 연결부재(22)의 외측단부와 연결되고(예를 들면 볼트 연결), 그 내측단부는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데, 예를 들면 체결볼트 등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30 may be said to be provided so as to have a spaced spacing required substantially with respect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at is, the support member 3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connected to the out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2 (for example, by bolting) at its outer end, and its inner end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or example, a fixing bolt or the like.

상기 연결부재(22)의 외측단부(36)는 차양부재(10)의 차양부(14)는 서로 면접촉(동일한 경사면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한 상태로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부재(30)의 내측단부(32)도 건물의 외벽과 면접촉하면서 볼트로 체결되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는 연결부재(22)를 통하여 차양부재(10)를 지지하고 있지만, 상기 연결부재(22)와 차양부재(10)는 직접 볼트 등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end 36 of the connecting member 22 is fastened with bolts in a state of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by having the same inclined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end portion 32 of the support member 30 is also fastened with bolts while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supporting member 20 supports the awning member 10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22 and the connecting member 22 and the eaves member 10 are connected directly to each other by bolts or the like Of course it is possibl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30)의 내측단부(32)는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고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재(30)의 내측단부(32)는 건물의 외측면을 구성하고 있는 유리창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재(30)의 내측단부(32)는 창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는 더욱 적절한 구조를 가지도록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end portion 32 of the support member 30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inner end 32 of the support member 30 may be secured to a frame of a window pane that constitutes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inner end 32 of the support member 30 may be modified to have a more suitable structure that can be secured to the window frame.

또한 상기 지지부재(30)의 중간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공(34)이 성형되어 있는데,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34)은 다수 개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연결공(34)은, 도 4에 도시한 보강파이프(40)를 수납하여,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차양부재(1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다수 개로 구성되는 차양부재(10)의 전체적 구조를 보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a connection hole 34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support member 3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nection hole 34 is formed of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The connecting hole 34 accommodates the reinforcing pipe 40 shown in Fig. 4 and connects a plurality of adjacent hanging members 10 to each other so that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hingles 10 It can be said that it is installed so as to reinforce.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부재(10)는 다수개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건물의 외벽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차양부재(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0) 역시 다수 설치되어 차양장치를 건물의 외벽에 대하여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차양부재(10)가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는 경우, 적어도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차양부재(1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차양부재(10) 전체가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보강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the shingles 10 are install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o as to cover the entir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30 for supporting the above-mentioned awning member 10 are also installed to support the awning device against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en a plurality of the awning members 10 are continuously install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ll the awning members 10 are structurally connected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he awning members 10 provided at least in the left- It needs to be reinforced.

이러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0)의 연결공(34)에는 보강파이프(40)가 설치된다. 이러한 보강파이프(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지지부재(30)의 연결공(34)도 같이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보강파이프(40)는 건물의 외벽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것으로 성형하여, 다수의 차양부재(1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30)의 연결공(34)를 관통한 상태로 다수의 차양부재(10)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this need, a reinforcing pipe 40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hole 34 of the support member 30. [ As shown in FIG. 4, the reinforcing pipe 40 should be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the connecting hole 34 of the adjacent supporting member 30 as well. The reinforcing pipe 40 is formed into a single piec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is passed through the connecting hole 34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30 supporting the plurality of wing members 10 It is also possible to support a plurality of the awning members 10.

그러나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시공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보강파이프(40)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연결공(34)에 각각 끼워지고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다수의 지지파이프(42)와, 상기 지지파이프(42)의 내측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연결파이프(44)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실제 시공시에는 지지부재(30)의 연결공(34)에 지지파이프(42)를 설치하고, 연결파이프(44)를 상기 지지파이프(42)의 내측으로 삽입함으로써, 전체적인 보강파이프(40)의 설치가 보다 쉽게 완료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reinforcing pipe 4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s 34 of the supporting member 30, And a connecting pipe 44 which is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pipe 42. The supporting pipe 42 is provided on the connecting hole 34 of the supporting member 30 and the connecting pipe 44 is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pipe 42 to be reinforced The installation of the pipe 40 can be completed more easily.

여기서 상기 보강파이프(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는 다수의 차양부재(10)의 지지부재(3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하는 것 이외에도, 다른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차양부재(10)는 금속판을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금형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차양부(14) 및 차양부 사이의 통기부(12)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차양부재(10)가 완전하게 평면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가공 과정에서의 잔류 응력에 의하여 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렇게 성형되는 차양부재(10)가 다수개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차양장치가 완전한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reinforcing the overall strength of the structure by connecting the supporting members 30 of the plurality of the awning members 10, which are continuou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pipe 40 has other important functions Lt; / RTI > The above-described awning member 10 forms a vent portion 12 between the flange portion 14 and the flange portion by cutting a metal plate and pressing the cut portion with a metal mold. Therefore, the shingle member 10 having a constant area can not maintain a perfectly flat state, and the possibility of the wheel is high due to the residual stress in the processing. When the shingles 10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case where the entire shading device can not form one complete plane.

즉, 건물의 외벽에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여 다수 개 설치되는 차양부재(10)가 전체적으로 평면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보강파이프(40)는 실제로 직선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양부재(10)의 좌우 방향의 평활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at is, a plurality of the shingles 10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continuously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not maintain the planar state as a whole. Since the reinforcement pipe 40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aight shape, it can be said that the reinforcement pipe 40 has a function of securing the flatness of the side surface of the awning member 10 in the lateral direction.

그리고 이와 같은 평활도를 더욱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30)의 중간 중간에 차양장치의 평활도 유지부재(46)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평활도 유지부재(46)는 연결부재(47)[상술한 연결부재(22)와 실질적으로 동일]를 통하여 차양부재(10)의 차양부(14)에 연결되고, 그 중간에서 상기 보강파이프(40)가 관통하도록 연결공(4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직선상의 보강파이프(40)에 차양부재(10)가 연결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차양부재(10)의 평활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further secure such smoothness, the flatness maintaining member 46 of the shading device may b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upporting member 30. [ The smoothness maintaining member 46 is connected to the flange 14 of the sheath member 10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47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necting member 22 described above) 40 are formed through the through-holes 46a. 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oblique member 10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straight reinforcing pipe 40, the smoothness of the oblong covering member 10 as a whole can be remarkably improved.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차양장치는 실질적으로 건물의 외벽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건물의 외측면을 둘러쌀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양부재(10)와 건물의 외벽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더욱이 이러한 공간은 상술한 통기부(12)에 의하여 내외부에서 충분히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의 유동은 실질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차양부재에 의한 차양효과에 더하여, 건물과 차양부재 사이의 공기가 고온화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hading device can be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in a state of being substantially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t can be seen that a certain space can be formed between the shingable member 10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urther, it can be seen that the air can flow sufficiently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pace by the above- have. Such a flow of air will realize the function of sufficiently preventing the air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shoelace member from being heated at high temperature, in addition to the shoaling effect by the shoelace member substantially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양부와 통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차양장치(20)를 건물의 외벽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main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awning device 20 provided with the canopy portion and the ventilation por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Of course.

10 ..... 차양장치
12 ..... 통기부
14 ..... 차양부
20 ..... 지지부재
20a ..... 내측단부
20b ..... 외측단부
20c ..... 연결부
22 ..... 연결부재
30 ..... 지지부재
32 ..... 내측단부
34 ..... 연결공
36 ..... 외측단부
40 ..... 보강파이프
42 ..... 지지파이프
44 ..... 연결파이프
46 ..... 평활도 유지부재
46a ..... 연결공
47 ..... 연결부재
10 ... awning device
12 ..... venting part
14 ..... Shovel
20 ..... supporting member
20a ..... inner end
20b ..... outer end
20c ..... connection
22 ..... connection member
30 ..... supporting member
32 ..... inner end
34 ..... connection ball
36 ..... outer end
40 ..... reinforced pipe
42 ..... supporting pipe
44 ..... connecting pipe
46 ..... smoothness maintaining member
46a ..... connecting ball
47 ..... connecting member

Claims (9)

창틀을 포함하는 수직상태의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차양장치로써;
한장의 금속 플레이트에서 성형되고, 내외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통기부(12)와, 상기 통기부 사이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차양부(14)를 구비하는 차양부재(10)와;
외측이 상기 차양부재(10)의 차양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22);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에 외측단부가 고정되고 내측단부가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지지되는 지지부재(30)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30)와 연결부재(22)는 면접촉한 상태에서 서로 고정되고, 지지부재(30)의 내측단부도 건물의 외벽과 면접촉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도 차양부와 면접촉한 상태로 고정되며;
금속 플레이트의 일부분을 절단하고, 절단된 부분의 주위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절단된 부분에서는 통기부(12)가 형성되고, 절단된 부분의 주위에서 차양부(14)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차양장치.
An awning device installed on an outer wall of a vertical building including a window frame;
(10) formed of a single metal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vent portions (12) connecting inside and outside, and an oblique portion (14) formed between the vent portions and inclined outward;
A connecting member (22) whose outer side is fixed to the flange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awning member (10); And
And a support member (30) having an outer end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n inner end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supporting member 30 and the connecting member 22 are fix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inside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30 is also fixed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Fixed in an interviewed state;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the metal plate is cut and a vent part (12) is formed in the cut part by press working around the cut part and the flange part (14) is formed around the cut part Building awnin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10)의 차양부(14)는 X자 형상으로 하나의 평면 상에서 연장 성형되고, 상기 통기부(12)는 차양부 사이에 형성되는 건물용 차양장치.
2. The building ornament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wning portion (14) of the awning member (10) is formed in an X-shape on one plane, and the vent portion (12) is formed between the awning por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에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연속하여 설치되는 지지부재(30)의 상기 연결공을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파이프(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물용 차양장치.
The support member (3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pipe (40)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connection hole of the support member (30) A building shade device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파이프(40)는, 지지부재의 연결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파이프(42)와, 인접하는 지지파이프(42) 내부에 삽입되는 연결파이프(44)로 구성되는 건물용 차양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inforcing pipe (40) comprises a support pipe (42) inserted and fixed in a connection hole of the support member, and a connection pipe (44) inserted into the adjacent support pipe Building awnings.
제 5 항에 있어서, 외측단부가 차양부에 고정되어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보강파이프(40)가 통과하는 연결공(46a)이 형성된 평활도 유지부재(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물용 차양장치.









The building au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flatness maintaining member (46) having an outer end portion fixed to the flange portion and extending inwardly and having a connection hole (46a)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pipe (40) Device.









KR1020140017307A 2014-02-14 2014-02-14 A sunshade device for buildings KR1014765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307A KR101476583B1 (en) 2014-02-14 2014-02-14 A sunshade device for build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307A KR101476583B1 (en) 2014-02-14 2014-02-14 A sunshade device for buildin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583B1 true KR101476583B1 (en) 2014-12-30

Family

ID=5267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307A KR101476583B1 (en) 2014-02-14 2014-02-14 A sunshade device for build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58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564A (en) * 2001-05-08 2001-08-04 기 용 이 A Structure for Installing Curtain Wall in a Building having High Height of Story
KR20100014839A (en) * 2007-01-23 2010-02-11 자끄 피제르 Heat and wind screen for the building industry
KR20110124015A (en) * 2010-05-10 2011-11-1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Apparatus for fixing window shad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KR20120073725A (en) * 2010-12-27 2012-07-05 박광일 Assemblable truss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564A (en) * 2001-05-08 2001-08-04 기 용 이 A Structure for Installing Curtain Wall in a Building having High Height of Story
KR20100014839A (en) * 2007-01-23 2010-02-11 자끄 피제르 Heat and wind screen for the building industry
KR20110124015A (en) * 2010-05-10 2011-11-1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Apparatus for fixing window shad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KR20120073725A (en) * 2010-12-27 2012-07-05 박광일 Assemblable truss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8795B2 (en) Kasagi ventilation parts
JP5799156B1 (en) Solar glass house and solar glass house complex
KR102260055B1 (en) Ceiling Integrated Photovoltaic Roof Structure with Drainway
JP2014031640A (en) Eave soffit ventilation structure
AU726665B2 (en) Gable end roof ventilator
KR101476584B1 (en) A sunshade device for buildings
KR101476583B1 (en) A sunshade device for buildings
JP5502423B2 (en) Building atrium structure
JP5643054B2 (en) Roof structure
JP6872874B2 (en) building
KR101897195B1 (en) A sunshade device for buildings
JP5287743B2 (en) Piping and wiring housing structure in apartment houses
KR101670251B1 (en) Fixed type longitudinal shad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JP6047113B2 (en) 庇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JP2011117182A (en) Building
JP2013060789A (en) Roof repairing structure and repairing method
JP6775278B2 (en) building
JP6498081B2 (en) Roof wiring structure and building
JP2020200609A (en) Solar radiation shielding device and solar radiation shielding method
JP6029608B2 (en) Drainage structure
JP6047114B2 (en) Interfloor structure
JP6355249B2 (en) Residential shed ventilation structure
JP6570818B2 (en) Solar shading structure on the roof
JP2023034356A (en) Heat shield structure
JP5707305B2 (en) Eaves vent structure and decorative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