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362B1 - 타이어 랩핑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랩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362B1
KR101476362B1 KR1020130088928A KR20130088928A KR101476362B1 KR 101476362 B1 KR101476362 B1 KR 101476362B1 KR 1020130088928 A KR1020130088928 A KR 1020130088928A KR 20130088928 A KR20130088928 A KR 20130088928A KR 101476362 B1 KR101476362 B1 KR 10147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tire
lapping
unit
wr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용
문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윤티에스
문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윤티에스, 문성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윤티에스
Priority to KR1020130088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24Packaging annular articles, e.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4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the articles being rot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8Register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1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roduct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rking or coding comple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타이어 랩핑 장치는, 공급되는 타이어의 회전축이 수직이 되게 지지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위치되는 타이어를 선택적으로 가압 및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유닛과, 회전유닛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는 타이어를 랩핑하는 랩핑 유닛과, 랩핑 유닛으로 타이어 랩핑 테이프를 세팅시키는 테이프 세팅유닛 및 테이프 세팅유닛에 의하여 랩핑 유닛으로 공급되는 랩핑테이프가 적층되는 테이프 적층유닛을 포함한다. 이로써, 타이어 랩핑시 타이어를 세워서 불안전하게 랩핑하지 않고 타이어를 눕혀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타이어를 래핑 테이프로 랩핑할 수 있게 되어 타이어를 균일하게 랩핑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랩핑 장치 {APPARUTUS FOR WRAPPING A TIRE}
본 발명은 타이어 랩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이어를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균일하게 랩핑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랩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타이어를 생산한 후 이를 포장하여 최종적인 제품으로 전시 또는 판매가 이루어진다.
종래 이러한 타이어를 포장하는 타이어 랩핑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타이어 랩핑 장치(10)는, 생산된 타이어(W)가 이송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세워진 상태로 진입되는 지지부(13), 지지부(13)에서 타이어(W)를 지지하고 랩핑 테이프(T)로 랩핑하기 위하여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5)(17), 회전되는 타이어(W)에 랩핑 테이프(T)를 랩핑하는 랩핑 유닛(11), 및 랩핑 유닛(11)으로 공급되는 랩핑 테이프(T)가 적층되는 테이프 적층유닛(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지지부(13)는 이송장치에 의하여 세워진 상태로 공급되는 타이어(W)가 그대로 세워진 상태에서 랩핑되는 위치를 잡는 것로서, 회전부(15)(17)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회전부(15)(17)는 세워진 타이어(W)의 상부 및 하부에서 타이어(W)를 지지하면서 구동원(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타이어(W)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을 기준으로하는 축단면은 중앙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타이어(W)가 지지되게 한다.
랩핑 유닛(11)은 지지부(13)에서 지지되는 타이어(W)가 회전부(15)(17)에 의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타이어(W)를 랩핑 테이프(T)로 랩핑한다.
이러한 랩핑 유닛(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W)가 오버랩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으로 타이어(W)가 오버랩되어 지지부(13)에 안착되고, 회전부(15)(17)의 회전과 동시에 랩핑 유닛(11)이 회전하면서 랩핑 테이프(T)가 타이어(W)에 감기면서 랩핑된다.
테이프 적층유닛(미도시)은 상기 랩핑 유닛(11)으로 랩핑 테이프(T)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롤 형태로 감겨진 랩핑 테이프(T)가 상기 랩핑 유닛(11)으로 공급되기 전 적층되는 것으로서, 안정적으로 랩핑 유닛(11)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타이어 랩핑 장치(10)는 타이어(W)가 세워진 상태에서 랩핑이 됨에 따라, 랩핑 유닛(11)이 회전하면서 랩핑시 그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타이어(W)가 회전부(15)(17)에서 정중앙에 위치하지 못하고 좌우로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타이어(W)의 의도하지 않는 위치변동에 의하여 랩핑 테이프(T)가 균일하게 타이어(W)를 랩핑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랩핑 테이프(T)가 랩핑 유닛(11)으로 제공되기 전 테이프 적층유닛의 공간에서 적층될 때 폐쇠된 공간에서 적층됨에 따라 공기 저항력에 의하여 균일하게 적층되지 못하고 뒤집혀 지거나 꼬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결국에는 랩핑 유닛(11)으로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하여 결국에는 타이어(W) 랩핑시 꼬이거나 뒤집혀져서 랩핑이 됨으로써 그 랩핑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랩핑 테이프(T)가 꼬이거나 뒤집히는 경우 랩핑 유닛(11)에 걸리는 랩핑 테이프(T)의 장력이 일정하지 못하여 끊어 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랩핑 공정을 중단하고 끊어진 랩핑 테이프(T)를 교환하거나 연결시켜야 함에 따라 전체 랩핑 공정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랩핑 테이프(T)가 적층될 때 정전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전기에 의하여 랩핑 테이프(T)가 균일하게 적층되지 못하고 뒤집혀 지거나 꼬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최종적으로 타이어 랩핑시 균일하게 랩핑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타이어 랩핑시 타이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랩핑이 되게 함으로써 균일하게 타이어를 포장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타이어 랩핑시 랩핑 테이프를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공급하도록 하여 타이어 랩핑 품질을 향상사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타이어 랩핑 장치는, 공급되는 타이어의 회전축이 수직이 되게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위치되는 타이어를 선택적으로 가압 및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는 타이어를 랩핑하는 랩핑 유닛; 상기 랩핑 유닛으로 타이어 랩핑테이프를 세팅시키는 테이프 세팅유닛; 및 상기 테이프 세팅유닛에 의하여 상기 랩핑 유닛으로 공급되는 랩핑테이프가 적층되는 테이프 적층유닛;을 포함한다.
이로써, 타이어 랩핑시 타이어를 세워서 불안전하게 랩핑하지 않고 타이어를 눕혀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타이어를 래핑 테이프로 랩핑할 수 있게 되어 타이어를 균일하게 랩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공급되는 타이어의 사이즈에 따라 가변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종래에는 하나의 장치에서 제한된 사이즈의 타이어만 랩핑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타이어를 랩핑하지 못하고 다른 사이즈의 타이어를 랩핑하기 위해서 즉, 규격이 바뀔 때 마다 설비 세팅을 다시 해야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여러 사이즈의 타이어를 랩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프 세팅유닛은, 일단은 상기 랩핑 테이프가 접착되며, 타단은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랩핑 유닛에 랩핑 테이프를 세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랩핑 테이프가 다 소진된 경우 랩핑 테이프 롤을 교환할 때 손쉽게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테이프 세팅유닛에 랩핑 테이프를 접착하여 용이하게 랩핑 테이프 롤을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랩핑 테이프의 랩핑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랩핑 테이프 상에 식별 테이프를 부착하는 식별 테이핑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타이어를 안정적으로 눕혀서 지지한 상태에서 타이어 랩핑이 되면서 식별 테이프가 테이핑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삐뚤어지지 않고 그 정중앙에 식별 테이프가 테이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 적층유닛은, 내부에 상기 랩핑 테이프가 적층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랩핑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종래 타이어 랩핑시 랩핑 유닛의 진동이나 충격 및 랩핑시 타이어의 위치변동에 의하여 랩핑 테이프에 장력이 조절되지 못하여 랩핑 테이프가 끊기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타이어가 안정적인 수평자세를 유지하는 상태 및 의도하지 않은 돌발상황에서도 랩핑 테이프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어 균일하게 타이어를 랩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에 적층되는 랩핑 테이프의 공기저항력을 줄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하우징내에 랩핑 테이프가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적층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종래 랩핑 테이프가 적층되는 공간에서 공기 저항력에 의하여 균일하게 적층되지 못하여 최종적으로 타이어 랩핑시 랩핑 테이프가 뒤집혀지거나 균일한 장력으로 공급되지 못하여 끊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프 적층유닛은, 상기 내부에 적층되는 랩핑 테이프에 정전기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하우징내에 랩핑 테이프가 정전기 현상이 없이 안정적으로 적층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종래 랩핑 테이프가 적층되는 공간에서 정전기에 의하여 균일하게 적층되지 못하여 최종적으로 타이어 랩핑시 랩핑 테이프가 뒤집혀지거나 균일한 장력으로 공급되지 못하여 끊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장력 조절 유닛은, 상기 랩핑 테이프의 롤로부터 랩핑 테이프가 상기 테이프 적층유닛으로 안내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은 회동힌지 고정되며, 상기 랩핑 테이프의 롤의 외주면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공급되는 랩핑 테이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타이어 랩핑을 균일하게 안정적으로 할 수 있으며, 랩핑 테이프가 의도하지 않게 끊어지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타이어 랩핑 장치에 의하면, 타이어 랩핑시 타이어를 세워서 불안전하게 랩핑하지 않고 타이어를 눕혀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타이어를 래핑 테이프로 랩핑할 수 있게 되어 타이어를 균일하게 랩핑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하나의 장치에서 제한된 사이즈의 타이어만 랩핑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타이어를 랩핑하지 못하고 다른 사이즈의 타이어를 랩핑하기 위해서 즉, 규격이 바뀔 때 마다 설비 세팅을 다시 해야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하나의 장치에서 여러 사이즈의 타이어를 랩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랩핑 테이프가 다 소진된 경우 랩핑 테이프 롤을 교환할 때 손쉽게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테이프 세팅유닛에 랩핑 테이프를 접착하여 용이하게 랩핑 테이프 롤을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이어를 안정적으로 눕혀서 지지한 상태에서 타이어 랩핑이 되면서 식별 테이프가 테이핑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삐뚤어지지 않고 그 정중앙에 식별 테이프가 테이핑될 수 있다.
또한, 종래 타이어 랩핑시 랩핑 유닛의 진동이나 충격 및 랩핑시 타이어의 위치변동에 의하여 랩핑 테이프에 장력이 조절되지 못하여 랩핑 테이프가 끊기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타이어가 안정적인 수평자세를 유지하는 상태 및 의도하지 않은 돌발상황에서도 랩핑 테이프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어 균일하게 타이어를 랩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내에 랩핑 테이프가 균일하면서 안정적으로 적층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종래 랩핑 테이프가 적층되는 공간에서 공기 저항력에 의하여 균일하게 적층되지 못하여 최종적으로 타이어 랩핑시 랩핑 테이프가 뒤집혀지거나 균일한 장력으로 공급되지 못하여 끊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내에 랩핑 테이프가 정전기 현상이 없이 안정적으로 적층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종래 랩핑 테이프가 적층되는 공간에서 정전기에 의하여 균일하게 적층되지 못하여 최종적으로 타이어 랩핑시 랩핑 테이프가 뒤집혀지거나 균일한 장력으로 공급되지 못하여 끊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급되는 랩핑 테이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타이어 랩핑을 균일하게 안정적으로 할 수 있으며, 랩핑 테이프가 의도하지 않게 끊어지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타이어 랩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이어 랩핑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타이어 랩핑의 공정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랩핑된 타이어 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타이어 랩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타이어 랩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타이어 랩핑 장치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타이어 랩핑 공정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타이어 랩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타이어 랩핑 장치(100)는, 지지부(130), 회전유닛(150), 랩핑 유닛(110), 테이프 세팅유닛(170) 및 테이프 적층유닛(190)을 포함한다.
지지부(130)는, 타이어(W)가 눕혀진 상태로 공급되어 랩핑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부(130)의 프레임에 회전유닛(150)이 설치된다.
회전유닛(150)은, 타이어(W)가 지지부(130)에서의 랩핑 위치를 잡아주면서 타이어(W)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네개 지점에서 타이어(W)를 지지하고 회전되게 한다. 이러한 회전유닛(150)은, 타이어(W)가 공급될 때는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고 타이어(W)가 랩핑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네개 지점에서 동시에 타이어(W)측으로 회동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축(151)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부(153), 상기 회전부(153)의 양끝단에 링크 연결되는 링크바(155), 링크바(155)의 타단에 링크연결되는 제1 연결부(157), 제1 연결부(157)에 링크연결되는 제2 연결부(158) 및 제2 연결부(158)에 링크연결되는 회전롤 유닛(159)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은 도 6에 도시된 네개의 회전유닛(150) 중 우측 상단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회전부(153)는 구동원(151)에 의하여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타이어(W)가 진입하기 위한 오픈상태 포인트(점선으로 표시) 및 타이어(W)가 진입한 후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포인트(실선으로 표시)로 회동된다.
회전부(153)에 링크연결되는 링크바(155)는 회전부(153)의 회동 상태 즉, 오픈상태 포인트 및 지지 포인트 상태에 따라 제1 연결부(157)를 회동시킨다.
제1 연결부(157)는 링크바(155)의 상태에 따라 제2 연결부(158)를 오프상태 포인트(점선) 및 지지 포인트 상태(실선)로 회동시킨다.
제2 연결부(158)는 상기와 같은 링크연결 구조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회전롤 유닛(159)을 오픈 포인트 및 지지 포인트 상태로 회동시킨다.
회전롤 유닛(159)은 제1 및 제2 연결부(157)(158)에 의하여 오픈 포인트 및 지지 포인트 상태로 회동되면서 그 자유단에는 회전롤(159a)이 설치되어 타이어(W)를 지지 및 회전시키는 것으로 어느 한 회전롤(159a)은 구동롤로 기능한다. 한편, 이와 달리 모든 회전롤(159a)을 구동롤로 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때, 네개의 회전유닛(150) 중 우측 상단 및 우측 하단 회전유닛(150)은 기어연결되어 한 쌍으로 구동되며, 좌측 상단 및 우측 하단 회전유닛(150)은 기어연결되어 한 쌍으로 구동되며 좌측 하단 회전유닛(150)은 우측 상단 회전유닛(150)과 동일한 링크구조에 의하여 회동된다.
이러한 회전유닛(150)에 의하여 어느 특정 사이즈의 타이어(W)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타이어(W)를 랩핑 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롤 유닛(159)이 타이어(W)에 의하여 저항을 받을 때까지 회전부(153)가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회전롤 유닛(159)을 타이어(W)에 지지될 수 있게 하는데, 작은 사이즈 타이어(W)인 경우 회전부(153)의 회전각이 더 크게 되며 큰 사이즈 타이어(W)인 경우 회전부(153)의 회전각이 작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결국 다양한 사이즈의 타이어(W)를 랩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유닛(150)의 구성에 의하여 즉, 네개의 회전롤 유닛(159)이 회동하면서 최종적으로 타이어(W)가 최적의 위치 즉, 지지부(130)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타이어(W)가 균일하게 랩핑될 수 있다.
랩핑 유닛(110)은, 공급되는 랩핑 테이프(T)로 타이어(W)를 랩핑하는 것으로서, 초기 공급되는 타이어(W)가 랩핑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개방된 형상에 의하여 타이어(W)가 랩핑 유닛(110)에 오버랩되어 위치된 후, 회전유닛(150)의 회전롤 유닛(159)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지지부(130)의 정중앙에 위치되면서, 회전롤(159a)이 회전하면서 타이어(W)가 회전되고, 이후 랩핑 유닛(110)이 회전하면서 즉 타이어(W)의 회전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랩핑 테이프(T)로 타이어(W)를 포장한다.
테이프 세팅유닛(170)은, 랩핑 테이프(T)의 일단이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랩핑 유닛(110)으로 랩핑 테이프(T)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단(175)은 상기 랩핑 테이프(T)가 접착되며, 타단(177)은 액츄에이터(17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힌지축(173)을 기준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초기 랩핑 테이프 롤(R)로부터 풀리는 랩핑 테이프(T)를 테이프 세팅유닛(170)에 일단을 접착시킨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73)을 기준으로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테이프 세팅유닛(170)의 일단(175)이 상기 랩핑 유닛(110)으로 오버랩되어 위치되고(점선상태), 이후 랩핑 유닛(110)이 회전하면서 랩핑 테이프(T)를 감으면서 랩핑 테이프(T)가 랩핑 유닛(110)에 감기고, 이후 테이프 세팅유닛(170)을 화살표 C의 반대향으로 회동시켜 랩핑 유닛(110)과 오버랩되지 않는 상태가 되게 한 후, 타이어(W)를 회전시키면서 타이어 랩핑이 된다.
테이프 적층유닛(190)은, 테이프 롤(R)에 감긴 랩핑 테이프(T)가 직접 랩핑 유닛(110)으로 공급되기 전에 적층되어 걸리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고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프 적층유닛(190)은 하우징(191) 및 장력 조절 유닛(195)을 포함한다.
하우징(191)은 그 내부에 랩핑 테이프(T)가 적층되는 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에 랩핑 테이프(T)가 적층될 때 공기 저항력에 의하여 랩핑 테이프(T)가 균일하게 적층되지 않거나 뒤집혀 지지않도록 외부와 통기되는 통공(191a)이 다수 형성된다. 이러한 통공(191a)에 의하여 상부에 위치되는 테이프 롤(R)로부터 랩핑 테이프(T)가 풀리면서 그 하중에 의하여 하우징(191) 내부에 적층될 때 공기저항이 최소화됨으로써 균일하게 랩핑 테이프(T)가 적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랩핑 테이프(T)가 적층되는 하우징(191)의 내부에서 정전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전장치(197)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전장치(197)에 의하여 하우징(191) 내부에서 적층되는 랩핑 테이프(T)에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랩핑 테이프(T)가 균일하게 하우징(191) 내부에서 엉키거나 뒤집히지 않고 균일하게 적층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91)에 형성되는 통공(191a) 및 제전장치(197)에 의하여 랩핑 테이프(T)가 꼬이거나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적층됨으로써, 랩핑 유닛(110)으로 타이어(W) 랩핑시 안정적으로 랩핑 테이프(T)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랩핑 테이프(T)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타이어(W) 포장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장력 조절 유닛(195)은 보다 안정적으로 랩핑 유닛(110)으로 공급되는 랩핑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테이프 롤(R)로부터 랩핑 테이프(T)가 하우징(191)으로 안내되는 가이드부(195a)를 포함하며, 이러한 가이드 부(195a)의 일측은 회동힌지되도록 고정되며 테이프 롤(R)의 외주면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장력 조절 유닛(195)에 의하여, 랩핑 테이프(T)에 장력이 증가하는 경우 이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가이드 부(195a)가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D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장력이 느슨한 경우 그 탄성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랩핑 테이프(T)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랩핑 테이프(T)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균일하게 타이어(W)를 포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타이어 포장시 외부에 그 제조사나 상표명을 나타낼 수 있도록 식별 테이프를 테이핑하는 식별 테이핑 장치(18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식별 테이핑 장치(180)는 타이어(W)가 눕혀진 상태, 즉 안정적인 상태에서 랩핑 테이프(T)가 랩핑되고 랩핑 테이프(T)의 랩핑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즉, 타이어(W)의 외주면을 따르는 정중앙선을 따라 테이핑한다. 따라서, 식별 테이프가 타이어(W)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테이핑될 수 있어 타이어(W)의 정중앙을 따라 균일하게 테이핑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타이어 랩핑 및 테이핑 처리가 완료된 타이어(W)는 이송장치(30)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배출 연결부(21)로 이송되면서 랩핑된 타이어 규격 스티커가 부착된다.
이때, 배출 이송장치(20)에서 타이어(W)가 눕혀진 상태로 이송될 수도 있고 세워진 상태로 이송되어 배출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W)가 눕혀진 상태로 이송장치(30)에서 이송되면서 배출 이송장치(30)로 이송될 때 세워져서 이송될 수 있도록 배출 연결부(21)가 설치될 수 있다.
배출연결부(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면을 타이어(W)를 점진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형상(21a)으로 형성하여 이송장치(30)로부터 수평이송된 타이어(W)를 세워진 상태로 배출 이송장치(2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0 : 타이어 랩핑 장치 11, 110 : 랩핑 유닛
13, 130 : 지지부 15, 17 : 회전부
150 : 회전유닛 170 : 테이프 세팅유닛
190 : 테이프 적층유닛

Claims (8)

  1. 공급되는 타이어의 회전축이 수직이 되게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위치되는 타이어를 선택적으로 가압 및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유닛;
    상기 회전유닛에 의하여 위치고정되는 타이어를 랩핑하고, 일부분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랩핑 유닛;
    상기 랩핑 유닛으로 타이어 랩핑테이프를 세팅시키는 테이프 세팅유닛; 및
    상기 테이프 세팅유닛에 의하여 상기 랩핑 유닛으로 공급되는 랩핑테이프가 내부에 적층되는 하우징 및 상기 랩핑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테이프 적층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에 적층되는 랩핑 테이프의 공기저항력을 줄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력 조절 유닛은, 상기 랩핑 테이프의 롤로부터 랩핑 테이프가 상기 테이프 적층유닛으로 안내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의 일측은 회동힌지 고정되며, 상기 랩핑 테이프의 롤의 외주면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랩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공급되는 타이어의 사이즈에 따라 가변되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랩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세팅유닛은,
    일단은 상기 랩핑 테이프가 접착되며, 타단은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랩핑 유닛에 랩핑 테이프를 세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랩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 테이프의 랩핑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랩핑 테이프 상에 식별 테이프를 부착하는 식별 테이핑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랩핑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적층유닛은,
    상기 내부에 적층되는 랩핑 테이프에 정전기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랩핑 장치.
  8. 삭제
KR1020130088928A 2013-07-26 2013-07-26 타이어 랩핑 장치 KR101476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928A KR101476362B1 (ko) 2013-07-26 2013-07-26 타이어 랩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928A KR101476362B1 (ko) 2013-07-26 2013-07-26 타이어 랩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362B1 true KR101476362B1 (ko) 2014-12-24

Family

ID=5267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928A KR101476362B1 (ko) 2013-07-26 2013-07-26 타이어 랩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3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3606A (zh) * 2020-06-28 2020-09-25 广东技术师范大学 一种钢圈缠带装置
KR102187207B1 (ko) * 2020-10-13 2020-12-04 동명산업(주) 가스켓의 자동 포장장치
CN113772147A (zh) * 2021-08-30 2021-12-10 汤姆迅(上海)机器人有限公司 一种轮胎打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3518A (ja) * 1987-02-17 1988-08-23 関東工業株式会社 環状体の包装装置
JPH04154511A (ja) * 1990-10-15 1992-05-27 Kawasaki Steel Corp リングの包装方法と包装装置
JPH08119214A (ja) * 1994-10-25 1996-05-14 Shoko Kiko Kk 自動梱包機
KR20110005815U (ko) * 2009-12-04 2011-06-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포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3518A (ja) * 1987-02-17 1988-08-23 関東工業株式会社 環状体の包装装置
JPH04154511A (ja) * 1990-10-15 1992-05-27 Kawasaki Steel Corp リングの包装方法と包装装置
JPH08119214A (ja) * 1994-10-25 1996-05-14 Shoko Kiko Kk 自動梱包機
KR20110005815U (ko) * 2009-12-04 2011-06-1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포장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3606A (zh) * 2020-06-28 2020-09-25 广东技术师范大学 一种钢圈缠带装置
KR102187207B1 (ko) * 2020-10-13 2020-12-04 동명산업(주) 가스켓의 자동 포장장치
CN113772147A (zh) * 2021-08-30 2021-12-10 汤姆迅(上海)机器人有限公司 一种轮胎打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362B1 (ko) 타이어 랩핑 장치
CN103633377B (zh) 卷绕装置
CN104443483B (zh) 环形自动缠膜机
JP6006697B2 (ja) 捲回装置及び捲回素子の製造方法
KR20170095751A (ko) 권선 장치 및 방법
JP6436569B2 (ja) コイル製造装置
CN103359518B (zh) 卷筒纸卷绕装置
IT202100011741A1 (it) Macchina per sbobinare e ribobinare un nastro di rivestimento destinato alla stabilizzazione di carichi palettizzati
JP5436932B2 (ja) ロール組立体のフィルム包装装置およびフィルム包装方法
JP2008062980A (ja) ロール紙の胴巻き包装方法
JP5085301B2 (ja) ウエブの巻き出し装置
KR20110071600A (ko) 스파이럴 스프링 제조장치용 초기 토크 상승용 장치
IT202100021314A1 (it) Apparato e relativo metodo di avvolgimento di nastri di materiale per la produzione di dispositivi di accumulo di energia elettrica
KR101121692B1 (ko) 시트필름 제조장치의 필름 와인딩 장치 및 필름 와인딩 장치
TW201902804A (zh) 膠帶類送出裝置以及膠帶類送出方法
US200502246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acking objects
JP5708649B2 (ja) 基板ケース及び基板収容装置
JP4563298B2 (ja) 帯状の荷造ひもを用いた結束方法
KR101847228B1 (ko) 입식 창호 포장 장치 및 방법
WO2016097466A1 (en) A wire reel hub for a welding wire feeder
KR101015512B1 (ko) 권취선재 포장장치
JP5747636B2 (ja) マット巻取り装置
JP2016169036A (ja) 包装装置
JP2009126557A (ja) フィルム包装機
KR102001955B1 (ko)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포장지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