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993B1 - 테이프 기록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덮어쓰기 제어 방법, 덮어쓰기 제어 프로그램, 및 테이프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기록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덮어쓰기 제어 방법, 덮어쓰기 제어 프로그램, 및 테이프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993B1
KR101475993B1 KR1020117013865A KR20117013865A KR101475993B1 KR 101475993 B1 KR101475993 B1 KR 101475993B1 KR 1020117013865 A KR1020117013865 A KR 1020117013865A KR 20117013865 A KR20117013865 A KR 20117013865A KR 101475993 B1 KR101475993 B1 KR 101475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overwrite
data unit
de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364A (ko
Inventor
다카시 카타기리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9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4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accidental erasing or double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98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16Testing
    • G11B2020/183Testing wherein at least one additional attempt is made to read or write the data when a first attempt is unsuccessfu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Digital Magnetic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리드(read) 시에, 데이터의 신구의 판단을 용이하게 하는 데이터의 덮어쓰기 기술을 제공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기록 장치는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덮어쓰기 요구를 접수하는 접수부와,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테이프 매체 상에 기록된 데이터 라이트 단위인 데이터 유닛의 선두의 위치의 확정을 시험하는 시행부와, 시행부에 의한 확정의 성공에 응답하여, 확정된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부터 덮어쓰기를 실행하는 덮어쓰기 실행부와, 시행부에 의한 확정의 실패에 응답하여,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기록된 데이터 유닛이 빈 데이터 유닛인지를 판정하는 종별 판정부를 포함한다. 시행부는 데이터 유닛이 빈 데이터 유닛인 것의 판정에 응답하여, 데이터 유닛에 계속된 다음의 데이터 유닛의 선두를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서, 그 덮어쓰기 개시 위치의 확정을 재차 시험해 본다.

Description

테이프 기록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덮어쓰기 제어 방법, 덮어쓰기 제어 프로그램, 및 테이프 기록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OVERWRITING OF DATA BY TAPE RECORDING APPARATUS, PROGRAM FOR CONTROLLING OVERWRITING, AND TAPE 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테이프 기록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덮어쓰기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리드(read)시에 데이터의 신구(new or old)의 판단을 용이하게 하는 데이터의 덮어쓰기(overwriting) 기술에 관한 것이다.
LTO(Linear Tape Open)을 준수하는 테이프 드라이브 등, 일부의 테이프 드라이브에서는, 시퀀셜한 데이터를 테이프 매체로부터 리드하는 것을 고려하여, 데이터 라이트(write) 및 리드(read) 단위인 데이터 유닛의 간격을 소정의 길이 이내(LTO 규격에서는 4m 이내)로 하고 있다. 또, 테이프 매체에 라이트되는 각 데이터 유닛에는, 각각 연속되는 번호가 할당되어, 상기 번호는 관리 정보로서 데이터 유닛과 함께 테이프 매체 상에 기록된다.
테이프 매체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로 덮어쓰기 하는 경우에도 상기 룰이 적용된다. 따라서, 테이프 매체에 손상이 있는 등의 어떤 문제가 있어도, 덮어쓰기 지정 위치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내라면, 문제가 있는 영역을 피하여 데이터를 덮어쓰기 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덮어쓰기를 피한 영역에는 오래된 데이터가 남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구를 나타내는 정보도 또한 관리 정보로서 데이터 유닛과 함께 테이프 매체 상에 기록된다(특허 문헌 1).
LTO 규격에서는, 이 데이터의 신구를 나타내는 정보를 Tape Write Pass(TWP)라고 부른다. TWP는 1부터 시작하여, 데이터를 덮어쓰기 할 때마다 1 증분된다. 예를 들면 데이터 리드 시, 어느 번호의 데이터 유닛을 리드한 후, 상기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길이 이내에 같은 번호를 가진 다른 데이터 유닛이 리드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 TWP의 값이 더 큰 데이터 유닛이 최신의 데이터, 즉 유효한 데이터로서 취급된다.
이것은 어느 데이터 유닛을 리드해도, 바로 이것이 최신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리드한 데이터 유닛이 유효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데이터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길이(LTO 규격에서는 4m)까지 데이터를 리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중에, 데이터 유닛 번호가 동일하고, 또한 TWP가 더 큰 데이터 유닛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매우 복잡한 처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의 LTO를 준수하는 테이프 드라이브 등 일부의 테이프 드라이브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채용된다. 즉, 번호 N의 데이터 유닛의 다음의 데이터부터 덮어쓰기를 한다고 가정하면, 이 방법은 새로운 TWP를 가진 번호 N+1의 데이터 유닛을 번호 N의 데이터 유닛의 종단(end)으로부터 소정의 범위(수 밀리)에 라이트할 것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방법은 번호 N+1의 오래된 데이터가 덮어쓰기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를 덮어쓰기 하면, 원칙, 번호 N 그리고 TWP(N)=x의 데이터 유닛 A와, 번호 N+1 그리고 TWP(N+1)>=x의 데이터 유닛 B의 사이에, 번호 M(M=N+1) 그리고 TWP(M)(여기서, TWP(N+1)>TWP(M)>=x)의 데이터 유닛 C가 존재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데이터 유닛 B를 발견한 시점에서, 데이터 유닛 A를 유효한 데이터 유닛이라고 확정할 수 있고, 매우 단순한 데이터 유효성의 판단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TWP(i)는 번호 i의 데이터 유닛의 TWP를 나타낸다.
또한, 테이프 매체 상의 손상 등의 문제로 인해, 번호 N의 데이터 유닛의 종단부터 소정의 범위(수 밀리)에 다음의 데이터를 라이트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라이트 개시 위치를 바꾼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테이프 매체가 갖춘 카트리지 메모리에 보존한다. 라이트 개시 위치를 바꾼 것에 의해, 데이터 유닛 C가 존재하게 되었다고 해도, 라이트 개시 위치가 바뀌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카트리지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록에 근거하여, 그 영역을 읽어낼 때에 상기 단순한 데이터의 유효성의 판정 방법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오래된 데이터를 잘못하여 새로운 데이터로서 판단할 일도 없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2003/083866호
하지만, 테이프 매체가 갖는 카트리지 메모리는, 물리적으로 망가지는 일도 있고, 또 망가지지 않는 경우라도 접촉 불량 등에 의해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카트리지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는, 덮어쓰기 위치가 바뀌었는지를 알 수가 없고, 결국, 소정의 길이 이내보다 큰 TWP를 가진 데이터 유닛이 존재하는지 하나하나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 방법은, 복잡한 리드 방법을 회피하기 위한 완전한 해결 방법이라고 말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테이프 기록 장치, 데이터의 덮어쓰기 제어 방법 및 데이터의 덮어쓰기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카트리지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있는지에 관계없이, 리드한 데이터의 유효성의 판단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시퀀셜 액세스 디바이스가 테이프 매체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최후부터 데이터를 추기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 것으로부터, 데이터의 덮어쓰기 장소를 사전에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 것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데이터의 라이트를 종료할 때에, EOD(End Of Data)의 직전에 널(NULL) 데이터 유닛을 1 이상 미리 라이트하여, 보장된 리던던시(redundancy)를 갖는 테이프 매체를 준비했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이 그와 같은 테이프 매체에 일정의 방법으로 데이터를 덮어쓰기 하는 테이프 기록 장치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생각해 냈다.
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테이프 기록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이 테이프 기록 장치는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덮어쓰기 요구를 접수하는 접수부(receiving unit)와,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테이프 매체 상에 기록된 데이터 라이트 단위인 데이터 유닛의 선두의 위치의 확정을 시험해 보는 시행부(trying unit)와, 시행부에 의한 확정의 성공에 응답하여, 확정된 덮어쓰기 개시 위치부터 덮어쓰기를 실행하는 덮어쓰기 실행부와, 시행부에 의한 확정의 실패에 응답하여,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기록된 데이터 유닛이, 빈(null) 데이터 유닛인지를 판정하는 종별 판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덮어쓰기 시행부는 덮어쓰기 데이터 유닛이 빈 데이터 유닛이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유닛에 계속되는 다음의 데이터 유닛의 선두를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서, 그 덮어쓰기 개시 위치의 확정을 시험해 본다.
바람직하게는, 종별 판정부는 시행부에 의한 다음의 데이터 유닛의 선두의 확정의 실패에 응답하여, 상기 다음의 데이터 유닛이, 빈 데이터 유닛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또한, 시행부는 상기 다음의 데이터 유닛이 빈 데이터 유닛이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다음의 데이터 유닛에 계속되는 그 다음의 데이터 유닛의 선두를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서, 그 덮어쓰기 개시 위치의 확정을 시험해 본다.
더 바람직하게는, 종별 판정부에 의한 처리는 판정 대상의 데이터 세트가 빈 데이터 유닛이 아니라는 판정을 하기까지 시행부에 의한 판정 대상의 데이터 세트의 선두의 확정이 실패할 때마다 반복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 기록 장치는 상기 데이터 유닛이 빈 데이터 유닛이 아니라는 종별 판정부에 의한 판정에 응답하여, 에러를 통지하는 에러 통지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 기록 장치는 덮어쓰기 실행부에 의한 덮어쓰기가 성공했는지를 판정하는 결과 판정부와, 결과 판정부에 의한 실패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덮어쓰기를 실패한 데이터 유닛인 제 1 데이터 유닛이 빈 데이터 유닛인 것을 조건으로, 덮어쓰기 실행부에 제 1 데이터 유닛에 계속되는 다음의 제 2 데이터 유닛의 선두부터 덮어쓰기를 재차 시행시키는 덮어쓰기 재시행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덮어쓰기 재시행부에 의한 덮어쓰기의 재시행은 제 2 데이터 유닛의 선두의 위치의 확정 처리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 기록 장치는 제 1 데이터 유닛이 빈 데이터 유닛이 아닌 경우에, 에러를 통지하는 에러 통지부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덮어쓰기 재시행부는 결과 판정부에 의한 실패라는 2번째의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에러 통지부에 에러를 통지시킨다.
이상, 데이터 기록 장치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은 테이프 기록 장치에서 실행되는 데이터의 덮어쓰기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또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매체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서 최초로 지정된 위치를 확정하지 못한 경우, 상기 위치에 기록된 데이터 유닛이, 덮어쓰기 장소에 리던던시를 가지게 하기 위해서 미리 준비된 빈 데이터 유닛(NULL 데이터)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영역을 빼고(skip), 계속되는 영역에 대해서 데이터의 덮어쓰기가 재시행된다. 덮어쓰기를 뺀 영역에 기록된 오래된 데이터 유닛은, 유저 데이터와 구별 가능한 빈 데이터 유닛이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 유닛이 데이터 리드 시 리드되었다고 해도 유저 데이터로서 호스트 장치에 보내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덮어쓰기 개시 위치 장소에 있어서 에러에 대한 내성(resistance)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지고, 덮어쓰기 위치를 바꾼 것을 카트리지 메모리에 기록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카트리지 메모리에 액세스 가능한지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리드할 시 데이터의 유효성을 위한 판단 처리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이러한 다른 효과에 대해서는, 각 실시 형태에 기재에서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서 (a)는 LTO 규격에 따르는 테이프 매체(10)의 기록 영역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b)는 LTO 데이터 포맷에 있어서 밴드(15)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이다. (c)는 LTO 데이터 포맷에 있어서 블록(30)의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2에서 (a)는 LTO 규격의 테이프 매체(10)에 있어서, 처음으로 데이터가 라이트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b)는 (a)에 나타낸 테이프 매체(10)에 데이터를 덮어쓰기 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c)는 (a)에 나타낸 테이프 매체(10)의 일부가 손상을 받은 후에, 데이터를 덮어쓰기 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d)는 (a)에 나타낸 테이프 매체(10)의 일부가 손상을 받은 후에, 데이터를 덮어쓰기 한 다른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기록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기록 장치(100)(제어부(150))의 기능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에서 (a)는 종래 데이터의 덮어쓰기 개시 장소가 된다고 예상되는 장소에 리던던시가 확보된 테이프 매체(10)에 한 예를 나타낸 도이다. (b)는, 덮어쓰기 지정된 DS의 선두부터 데이터를 덮어쓰기 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에서 (a)는 리던던시가 확보된 테이프 매체(10)에 있어서, 덮어쓰기 지정된 DS에 계속되는 다음의 DS의 선두 위치가 확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b)는, (a)에 나타낸 테이프 매체(10)에 데이터를 덮어쓰기 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에서 (a)는 리던던시가 확보된 테이프 매체(10)에 있어서, 덮어쓰기 지정 위치에 있어서 데이터 덮어쓰기가 실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b)는 (a)에 나타낸 테이프 매체(10)에 재차 데이터를 덮어쓰기 성공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c)는 (a)에 나타낸 테이프 매체(10)에 재차 데이터를 덮어쓰기 실패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에서 (a)는 리던던시가 확보된 테이프 매체(10)에 있어서, 덮어쓰기 지정 위치의 확정 및 덮어쓰기가 실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b)는 (a)에 나타낸 테이프 매체(10)에 재차 데이터를 덮어쓰기 성공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기록 장치(100)에 있어서, 데이터 덮어쓰기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 형태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수식하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또 실시 형태 중에서 설명된 특징의 조합의 모든 것이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실시 형태의 설명의 전체를 통하여 같은 요소에는 같은 번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에서는, LTO(Linear Tape Open) 규격의 테이프 기록 장치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적용은 LTO 규격의 테이프 기록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유저 데이터의 종료를 나타내는 데이터 유닛(LTO 규격에 있어서 EOD)의 직전에 유저 데이터와 구별할 수 있는 빈 데이터 유닛을 라이트 한 테이프 매체에 대해, 데이터의 리드 및 라이트 가능한 테이프 기록 장치하면 어떤 테이프 기록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LTO 규격이란, 휴렛패커드(Hewlett-Packard)사, IBM사, 시게이트(Seagate)사(현재의 퀀텀(Quantum)사)의 3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오픈 포맷의 규격(open format standard)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시작하기에 앞서,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LTO규격에 따른 테이프 매체의 기록 영역의 구성을 설명한다. 테이프 매체(10)는 도 1(a)에 나타낸 것처럼, BOT(Beginning Of Tape)로부터 EOT(End Of Tape)에의 테이프 매체(10)의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밴드(15)를 가진다. 그리고, 복수의 밴드(15)의 각각의 양측에는, 데이터의 라이트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서보 트랙(20)이 길이 방향에 따라 설치된다.
밴드(15)는 도 1(b)에 나타낸 것처럼, 테이프 매체(10)의 길이 방향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데이터 트랙(25)을 가진다. 데이터 트랙(25)에 있어서 테이프 매체(10)의 단수 방향의 폭은 테이프 기록 장치에 의해 한번에 데이터가 라이트 되는 폭이다. 데이터 트랙(25)은 테이프 매체(10)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의 블록(30)을 가진다. 그리고, 블록(30)은 복수의 데이터 세트(Data Set, DS)(35)를 가진다.
LTO 규격에 따른 테이프 기록 장치는 DS(35) 단위로 데이터의 리드, 라이트를 수행한다. 즉, LTO 규격에서 데이터의 리드, 라이트의 단위인 데이터 유닛은 DS(35)로 불려진다. 도 1(c)에 나타낸 것처럼, DS(35)에는 테이프 매체(10)의 선두 위치로부터 순서대로 연속된 번호, 즉 DS 번호가 매겨진다. 또, DS(35)는 데이터 영역과 데이터 세트 정보 테이블(Data Set Information Table)(DSIT)의 2개의 영역으로부터 만들어진다. 데이터 영역에는 그 이름대로 유저 데이터가 기록되어 DSIT의 영역에는 DS(35)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DSIT에 포함되는 관리 정보에는 DS 번호, Tape Write Pass(TWP)가 포함된다. 여기서 TWP는 데이터가 오래되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이며, 데이터가 최초에 기록될 때 그 값은 1이고, 그 후 데이터가 덮어쓰기 될 때마다 값은 1 증분한다.
도 2를 참조하여, TWP에 의해 데이터의 신구를 판단하는 방법과 종래의 데이터 덮어쓰기의 문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에 나타낸 것처럼, 테이프 매체(10)의 어느 부분(위치(200) 내지 위치(206))에서는, 처음에 데이터가 DS#N-1, DS#N…, 순으로 기록되어 있다고 하자. 어느 DS도 테이프 매체(10)에 처음으로 라이트된 데이터이고, 따라서 그 TWP의 값은 1을 나타낸다.
도 2(a)에 나타낸 상태의 테이프 매체(10)에 대해, 위치(202)에 기록된 DS#N의 선두부터 데이터를 덮어쓰기 한 결과를 도 2(b)에 나타낸다. 도 2(b)에서는, 위치(202) 내지 위치(206)에 각각 기록된 DS#N, DS#N+1, 및 DS#N+2는 덮어 쓰여진 데이터이기 때문에, 그것들의 TWP의 값은 어느 것도 1 증분되어 2가 된다.
다음으로, 테이프 매체(10)의 표면의 손상이나 먼지 등의 이물의 부착에 의해, 위치(202)의 영역에 라이트할 수 없는 경우(단 리드는 가능)를 고려한다. LTO 규격에서는, 어떤 이유로 테이프 매체(10)에 데이터를 라이트 할 수 없는 경우, 카트리지 메모리 내에 영역을 빼고 라이트한 것을 기록한 다음에, 테이프 매체(10) 상의 문제 있는 부분으로부터 4미터 이내라면, 라이트를 계속하는 것이 허가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덮어쓰기 방법에 의하면, 도 2(C)에 나타낸 것처럼, 문제가 일어난 위치(202)가 빠지고, 위치(204)부터 데이터가 덮어쓰여진다. 위치(204)에 기록된 DS#N은 덮어쓰여진 데이터이기 때문에, 그 TWP의 값은 1 증분되어, 2가 된다.
여기서, 도 2(c)의 상태의 테이프 매체(10)로부터 데이터를 리드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 번호 N의 DS의 2개 연속해서 얻어지게 된다. 하지만, 양 DS의 TWP의 값을 보면, 위치(202)의 DS#N의 TWP는 값 1이고, 위치(204)의 DS#N의 TWP는 값 2이다. 따라서, TWP의 값이 큰 위치(204)의 DS#N이 새로운 데이터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LTO 규격에서는 TWP의 값을 보는 것으로 데이터의 신구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도 2(c)에 나타낸 예에서는, 뺀(skip) DS가 1개였으므로, 위치(202)의 DS#N의 유효성은 그 다음의 위치(204)의 DS#N을 리드한 시점에서 바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덮어쓰기 방법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카트리지 메모리 내에 영역을 빼고 라이트한 것을 기록한 다음에, 테이프 매체(10) 상의 문제 있는 부분으로부터 4미터 이내라면 라이트를 계속하는 것이 허가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도 2(d)에 나타낸 것처럼, 라이트 불가인 복수의 DS가 빠지고 데이터가 덮어쓰기 되는 일도 있다. 도 2(d)에 나타낸 예에서는, 카트리지 메모리 내에 기록된 라이트 시의 정보를 사용하지 않으면, 위치(202)의 DS#N의 유효성은, 2개 앞의 위치(206)의 DS#N을 리드하기까지 판단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덮어쓰기 방법에서는, 카트리지 메모리 내의 정보가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리드한 임의의 DS가 유효인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그 DS로부터 4m의 길이까지 데이터를 리드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테이프 매체(10) 상의 장래 데이터의 덮어쓰기 개시 장소가 된다고 예상되는 장소에 리던던시를 가지게 했다. 즉, 시퀀셜 액세스 디바이스는, 테이프 매체(10)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최후부터 데이터를 추기(add)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것에서, 도 5(a)에 나타낸 것처럼, 데이터의 라이트 시, 일련의 DS의 끝, 즉 EOD의 직전에 유저 데이터와 구별할 수 있는 빈 DDS를 1이상 미리 라이트 하기로 했다.
빈 DS(NULL DS)는 리드 시 리드되어도 호스트 장치에 보내지 않는다. 리던던시를 가지게 하기 위해서 라이트 하는 DS의 수는, 경험으로부터 요구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2개 있다. 또한, 라이트 종료 시에 NULL DS를 2개 정도 라이트 하였다고 해도, 라이트의 퍼포먼스에 주어지는 영향은 매우 적다. 또 이 NULL DS는 데이터 덮어쓰기 할 시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한, 나중에 유저 데이터에 의해 덮어 쓰여지기 때문에, NULL DS에 의해 테이프 매체(10)의 용량이 감소되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은 테이프 매체(10)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수식하는 데이터의 덮어쓰기 방법은,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테이프 기록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다. 이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인터페이스(110)와, 버퍼(120)와, 기록 채널(130)과, 리드 헤드(140), 제어부(150)와, 위치 결정부(160)와, 모터 드라이버(170)와, 모터(18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테이프 매체(10)에의 데이터의 라이트를 지시하는 라이트 커맨드 및 라이트 해야 하는 유저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테이프 매체(10)로부터의 데이터 리드를 지시하는 리드 커맨드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라이트 위치나 리드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 커맨드도 수신한다. 또한, 데이터의 라이트가 지시된 위치에 이미 데이터가 기록된 경우, 그 라이트 커맨드는 덮어쓰기 커맨드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이프 기록 장치(100)와 호스트 장치와의 통신이 SCSI 인터페이스에 따르는 경우, 라이트 커맨드는 Write 커맨드, 리드 커맨드는 Read 커맨드, 위치 지정 커맨드는 Locate 커맨드에 상당한다.
버퍼(120)는 테이프 매체(10)에 라이트해야 하는 데이터, 또, 테이프 매체(10)로부터 리드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예를 들면 버퍼(12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에 의해 구성된다. 기록 채널(130)은 버퍼(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테이프 매체(10)에 라이트하기 위해서, 또는 테이프 매체(10)로부터 리드된 데이터를 버퍼(120)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통신 경로이다.
리드, 라이트 헤드(140)는 데이터 리드, 라이트 엘리먼트를 가지고, 테이프 매체(10)에 데이터의 라이트 및 테이프 매체(10)로부터의 데이터의 리드를 수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드, 라이트 헤드(140)는 또한 서보 리드 소자를 가지고, 테이프 매체(10)에 설치된 서보 트랙으로부터 신호를 리드한다. 위치 결정부(160)는 테이프 매체(10)의 짧은 측 방향(short-side direction)(폭 방향)에 리드, 라이트 헤드(140)의 이동을 지시한다. 모터 드라이버(170)는 모터(180)를 가동한다.
제어부(150)는 테이프 기록 장치(100)의 전체의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15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에서 수신한 커맨드에 따라, 데이터 테이프 매체(10)에의 라이트 및 덮어쓰기, 및 테이프 매체(10)로부터의 데이터의 리드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리드된 서보 트랙의 신호에 따라 위치 결정부(160)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150)는, 위치 결정부(160) 및 모터 드라이버(170)를 통해서 모터(180)의 동작을 제어한다. 모터 드라이버(170)는 제어부(150)에 직접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150)에 의한 데이터의 덮어쓰기 제어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50)는 도시하지 않은 CPU, RAM, ROM에 의해 실현된다. 여기서 ROM은 테이프 기록 장치(100)의 기동할 시에 CPU가 실행하는 부팅 프로그램이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데이터의 덮어쓰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동 후에 제어부(150)에 상술한 기능을 제공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리고, CPU는 이것들의 프로그램을 RAM을 이용하여 실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기록 장치(100)의 제어부(150)의 기능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다. 제어부(150)는, 접수부(receiving unit)(400), 시행부(trying unit)(405), 종별 판정부(type judging unit)(410), 덮어쓰기 실행부(415), 결과 판정부(420), 덮어쓰기 재시행부(425), 및 에러 통신부(430)를 포함한다.
접수부(400)는,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덮어쓰기 요구를 접수한다. 이러한 정보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로부터 제어부(150), 즉 접수부(400)로 보내진다. 접수부(400)에 의해 접수된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덮어쓰기 요구는, 그 후, 후술하는 시행부(405)에 보내진다.
실행부(405)는 접수부(400)로부터 수신한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테이프 매체(10) 상에 기록된 데이터 라이트 단위인 데이터 유닛, 즉 DS의 선두의 위치의 확정을 시험해 본다. 덮어쓰기 개시 위치가 되는 DS의 선두의 위치를 확정하기에는, 상기 DS의 한 개 앞의 DS의 상세한 종단 위치를 확정해야 한다. 왜냐하면, 기존의 유효한 데이터를 삭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테이프 매체(10)의 표면의 손상이나 먼지 등의 이물의 부착에 의해, 서보 트랙으로부터의 신호를 리드하는 것이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에는, 한 개 앞의 DS의 상세한 종단 위치를 확정할 수 없다. 그 결과, 시행부(405)는 덮어쓰기 개시 위치가 되는 DS의 선두의 위치를 확정할 수 없다.
시행부(405)는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서 DS의 선두 위치를 확정하지 못한 경우,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서 지정된 DS의 DS번호를 후술하는 종별 판정부(410)에 보낸다. 한편, 시행부(405)는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서 DS의 선두 위치를 확정한 경우, 확정한 덮어쓰기 개시 위치를 후술하는 덮어쓰기 실행부(415)에 보낸다.
종별 판정부(410)는 시행부(405)에 의한 덮어쓰기 개시 위치의 확정의 실패에 응답하여,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기록된 DS가, 유저 데이터와 구별할 수 있는 DS, 즉 빈 DS(NULL DS)인지를 판정한다. 종별 판정부(410)는 이와 같은 판정을, 한 예로서, DSIT에 기록된 DS의 종별을 나타내는 플래그로부터 리드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이것에 대신하여, 종별 판정부(410)는 DSIT 이외에 기록된 정보로부터 DS가 NULL DS인지를 판단해도 된다.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기록된 DS가 NULL DS라고 판정한 경우, 종별 판정부(410)는 판정의 결과를 시행부(405)로 전한다. 이 경우 시행부(405)는 NULL DS이라는 종별 판정부(410)에 의한 판정 결과에 응답하여, 새로운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서, 그 DS에 계속되는 다음의 DS의 선두의 확정을 시험해 본다. 시행부(405)가 다음의 DS의 선두의 확정에 실패한 경우, 종별 판정부(410)는 시행부(405)에 의한 다음의 DS의 선두의 확정의 실패에 응답하여, 상기 다음의 DS가 NULL DS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재차 시행부(405)는 다음의 DS가 NULL DS라는 종별 판정부(410)에 의한 판정 결과에 응답하여, 최신의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서, 다음의 DS에 계속되는 더 다음의 DS의 선두의 확정을 시험해 본다.
이와 같이, 종별 판정부(410)에 의한 처리는 판정 대상의 DS가 NULL DS가 아니라는 판정이 되기까지, 시행부(405)에 의한 판정 대상의 DS의 선두의 확정이 실패할 때마다 반복하여 수행된다. 또한, 판정 대상의 DS가 NULL DS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 종별 판정부(410)는 상기 판정 결과를 후술하는 에러 통지부(430)에 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지정된 덮어쓰기 개시 위치를 확정하지 못한 경우에, 덮어쓰기를 지정된 위치에 기록된 DS가 유저 데이터와 구별할 수 있는 NULL DS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영역을 빼고 덮어쓰기의 계속을 시험해 본다. 이것은, 덮어쓰기를 지정된 위치에 기록된 DS가, NULL DS 라면, NULL DS가 테이프 매체(10) 상에 남아 버려도, 데이터를 리드할 시에 있어서, 이 남겨진 DS가 유저 데이터로서 호스트 장치에 보내지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
덮어쓰기 실행부(415)는 시행부(405)에 의한 덮어쓰기 개시 위치의 확정의 성공에 응답하여, 확정된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부터 덮어쓰기를 실행한다. 덮어쓰기 실행부(415)에 의한 데이터의 덮어쓰기 자체는 종래의 테이프 기록 장치에 의한 데이터의 덮어쓰기, 즉 라이트와 같다. 또한, 덮어쓰기 실행부(415)는 덮어쓰기를 개시하기 전에, 데이터를 덮어쓰는 DS의 종단 위치를 보존한다.
결과 판정부(420)는 덮어쓰기 실행부(415)에 의한 덮어쓰기가 성공했는지를 판정한다. 즉, 결과 판정부(420)는, 덮어쓰기 실행부(415)에 의해 테이프 매체(10)의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DS가 라이트 되면, 바로 이것이 리드 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DS가 기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DS가 바르게 라이트된 경우, 결과 판정부(420)는 덮어쓰기가 성공이라는 판정 결과를 덮어쓰기 실행부(415)로 전한다. 이 경우, 덮어쓰기 실행부(415)는 덮어쓰기 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DS가 바르게 라이트 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결과 판정부(420)는 덮어쓰기가 실패라는 판정 결과를 후술하는 덮어쓰기 재시행부(425)에 전한다.
덮어쓰기 재시행부(425)는 결과 판정부(420)에 의한 덮어쓰기 실패와의 판정에 응답하여, 덮어쓰기를 실패한 DS인 제 1 DS가 NULL DS인 것을 조건으로, 덮어쓰기 실행부(425)에 제 1 DS에 계속되는 다음의 DS인 제 2 DS의 선두부터 덮어쓰기를 재시행시킨다. 한편, 제 1 DS가 NULL DS가 아닌 경우, 덮어쓰기 재시행부(425)는 그 취지를 후술하는 에러 통지부(430)에 전한다. 또한, 덮어쓰기 실행부(415)는 보존한 덮어쓰기를 실패한 DS의 종단 위치에 근거하여, 제 2 DS의 선두의 위치의 확정을 시험해 본다.
이와 같이 덮어쓰기 재시행부(425)는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있어서 DS의 덮어쓰기 실패를 한 번만 허가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다. 통상은, 그 일부가 덮어쓰기된 DS는 완전한 DS가 아니기 때문에, 테이프 기록 장치(100)에 쓰레기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 일부가 덮어쓰기 된 DS가, 테이프 기록 장치(100)에 의해 우연히 리드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일부가 덮어쓰기 된 DS가 하나만 존재하는 것이면, 그 바로 다음이 상기 DS와 같은 DS번호를 가지고, 또 TWP의 값이 큰 DS가 존재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그 우연히 리드된 DS의 유효성은 바로 판단될 수 있다.
하지만, 일부가 상술된 DS가 복수 존재하는 것이 되면, DS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여기에서도 계속되는 복수의 DS를 읽어내는 것이 요구된다. 즉 DS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해 복잡한 처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덮어쓰기 재시행부(425)는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있어서 DS의 덮어쓰기 실패를 한 번만 허가한다.
덮어쓰기 실행부(415)가 제 2 DS의 선두부터의 덮어쓰기를 실패한 경우, 덮어쓰기 실패와의 판정 결과가 재차 결과 판정부(420)로부터 덮어쓰기 재시행부(425)에 전한다. 이 경우, 덮어쓰기 재시행부(425)는 2번째의 덮어쓰기가 실패인 것에서, 덮어쓰기의 재시행을 허가하는 일 없이 덮어쓰기 실패와의 판정 결과를 후술하는 에러 통지부(430)에 전한다.
에러 통지부(430)는 DS가 NULL DS가 아니라는 종별 판정부(410)에 의한 판정에 응답하여, 덮어쓰기가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에러를 호스트 장치에 통지한다. 에러 통지부(430)는 또한, 덮어쓰기 재시행부(425)로부터 덮어쓰기 실패와의 판정 효과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덮어쓰기가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에러를 호스트 장치에 통지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기록 장치(100)에 의해 데이터를 덮어쓴 경우, DS의 유효성의 판단이 복잡하게 되지 않는다는 것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것처럼,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기록 장치(100)가 그 효과를 갖는 테이프 매체(10)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5(a)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테이프 매체(10)에는, EOD(DS 번호= N+2, TWP=1)와 유저 데이터(DS 번호= N-1, TWP=1)와의 사이에, 2개의 NULL DS(DS 번호= N, N+1, TWP=1)가 기록된다.
이와 같은 상태의 테이프 매체(10)에 대해서, 위치(504)에 기록된 DS를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 하는 덮어쓰기 요구가, 접수부(400)에 의해 접수되었다고 하자. 우선, 시행부(405)에 의한, 위치(504)에 기록된 DS의 선두(화살표(510)를 참조)의 확정이 성공하고, 또 덮어쓰기(415)에 의한 덮어쓰기가 성공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와 같은 상황 아래 덮어쓰기 된, 덮어쓰기 종료 후의 테이프 매체(10)를 도 5(b)에 나타낸다. 이 경우, 덮어쓰기는,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서 당초 지정된 위치(504)부터 개시되기 때문에, 도 5(b)에 나타낸 테이프 매체(10)에는 오래된, 따라서 유효하지 않은 DS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6(a)에 나타낸 것처럼, 지정된 덮어쓰기 개시 위치의 확정은 실패하지만(화살표(512)를 참조), 종별 판정부(410)에 의해, 위치(504)에 기록된 DS가 NULL DS인 것이 확인되어, 시행부(405)에 의한 다음의 DS의 선두 확정(화살표(514)를 참조) 및 덮어쓰기 실행부(4015)에 의한 덮어쓰기가 성공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와 같은 상황 아래 덮어쓰기 된, 덮어쓰기 종료 후의 테이프 매체(10)를 도 6(b)에 나타낸다. 이 경우, 위치(504)의 DS가 빠지고 위치(506)의 DS부터 덮어쓰기가 개시된다. 그 결과 위치(504)에 오래된 DS가 남아 있지만, 이 DS는 NULL DS이기 때문에, 리드할 시에 리드되어도 호스트 장치에 보내지는 일 없이, 유효성의 판단 처리가 복잡하게 될 일은 없다.
다음으로, 도 7(a)에 나타낸 것처럼, 시행부(405)에 의한 지정된 덮어쓰기 개시 위치의 확정은 성공했지만, (화살표(516)를 참조), 덮어쓰기 실행부(415)에 의한 덮어쓰기가 실패한 경우를 고려한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덮어쓰기의 실패는 1회만 허가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위치(506)에 기록된 다음의 DS에 대한 상기 실행부(415)에 의한 덮어쓰기가 성공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와 같은 상황 아래 덮어쓰기 된, 덮어쓰기 종료 후의 테이프 매체(10)를 도 7(b)에 나타낸다. 이 경우, 덮어쓰기는 위치(506)의 DS부터 개시되기 때문에, 일부 덮어쓰기 된 위치(504)의 DS는 그대로 남아있다. 하지만, 위치(504)의 DS가 우연히 리드되었다고 해도, 상기 DS의 TWP보다도 값이 큰 TWP를 가진 같은 DS 번호의 DS가, 그 바로 다음의 위치(506)에 존재하기 때문에, 유효성의 판단 처리가 복잡하게 될 일은 없다.
또한, 도 7(c)에 나타낸 것처럼, 위치(506)에 기록된 다음의 DS에 대한 덮어쓰기도 실패한 경우, 일부 덮어쓰기된 DS가 복수 남게 된다. 그 때문에, DS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계속되는 복수의 DS를 리드할 필요가 있고, 유효성의 판단 처리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2회째 이후의 덮어쓰기의 실패는 허가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도 8(a)에 나타낸 것처럼, 지정된 덮어쓰기 개시 위치의 확정은 실패이지만, (화살표(520)를 참조), 종별 판정부(410)에 의해, 위치(504)에 기록된 DS가 NULL DS인 것이 확인되어, 시행부(405)에 의해 다음의 DS의 선두의 확정이 성공하는 경우(화살표(522)를 참조)를 고려한다. 단, 여기에서는, 도 6의 케이스와 달리, 덮어쓰기 실행부(415)가, 위치(506)의 DS에 대해서는 덮어쓰기를 실패하고, 위치(508)의 DS에 대해서 처음으로 덮어쓰기를 성공시키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와 같은 상황 아래 덮어쓰기 된, 덮어쓰기 종료 후의 테이프 매체(10)를 도 8(b)에 나타낸다. 이 경우, 위치(504)의 DS가 빠지고 위치(506)의 DS부터 덮어쓰기가 개시된다. 그 결과 위치(504)에는 오래된 DS가 남아 있는데, 이 DS는 NULL DS이기 때문에, 리드 시에 리드되어도 호스트 장치에 보내지는 일 없이, 유효성의 판단 처리가 복잡하게 될 일은 없다. 또, 덮어쓰기는 위치(508)의 DS부터 개시되기 때문에, 일부 덮어쓰기된 위치(506)의 DS는 그대로 남아있다. 하지만, 위치(506)의 DS가 우연히 리드하였다고 해도, 상기 DS의 TWP보다도 값이 큰 TWP를 가진 DS가, 그 바로 다음의 위치(508)에 존재하기 때문에, 유효성의 판단 처리가 복잡하게 될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덮어쓰기 개시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덮어쓰기의 실패는 1회만 허가된다.
다음으로,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기록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흐름도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데이터의 덮어쓰기 요구를 받는 것부터 개시한다(단계(900)).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데이터의 덮어쓰기를 개시하는 DS의 DS 번호 X를 카운터 i에 세트한다(단계(905)). 그리고,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DS 번호 i의 DS의 선두 위치의 확정을 시험해 본다(단계(910)).
DS 번호 i의 DS의 선두 위치를 확정하지 못한 경우(단계(910): NO),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DS 번호 i의 DS가 NULL DS인지를 판정한다(단계(915)). DS 번호 i의 DS가 NULL DS인 경우(단계(915): YES),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카운터 i의 값을 1증분하고(단계(920)), 단계(910)로 리턴한다. 이와 같이,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덮어쓰기 개시 위치를 확정하지 못한 경우, 그 개시 위치를 확정하지 못한 DS가 NULL DS인 한, 덮어쓰기 개시 위치를 다음의 DS에 바꾸어 그 선두 위치의 확정을 시험해 본다.
한편, 단계(910)에 있어서 DS번호 i의 DS의 선두 위치를 확정한 경우,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카운터 i의 값을 덮어쓰기 개시 위치 A에 세트하여, 덮어쓰기 개시 위치를 유지한다(단계(925)). 그리고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확정한 DS 번호 i의 DS의 선두 위치부터 덮어쓰기를 실행한다(단계(930)).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DS 번호 i의 DS에 대한 덮어쓰기가 성공했는지를 판정한다(단계(935)). DS 번호 i의 DS에 대한 덮어쓰기가 성공한 경우(단계(935): YES),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남은 데이터가 없어질 때까지 덮어쓰기 처리를 계속한다(단계(937)). 그리고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단계(935)에 있어서 DS 번호 i의 DS에 대한 덮어쓰기가 실패한 경우,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덮어쓰기를 실패한 DS가 NULL DS인지를 판정한다(S940). NULL DS인 경우(S940: YES), 처리는 단계(945)에 진행하고,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카운터 i의 값을 1증분하고, 카운터 i의 값이 덮어쓰기 개시 위치 A를 1증분한 값과 동등한지를 판정한다(단계(950). 카운터 I의 값이 덮어쓰기 개시 위치 A를 1증분한 값과 동등한 경우(단계(950): YES),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새로운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서, DS번호 i의 DS의 선두 위치의 확정을 시험해 본다(단계(955)).
DS 번호 i의 DS의 선두 위치를 확정한 경우(단계(955): YES), 처리는 단계(930)에 리턴하여,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확정한 DS 번호 i의 DS의 선두 위치부터 덮어쓰기를 실행한다. 한편 단계(915)에 있어서, DS 번호 i의 DS가 NULL DS가 아닌 경우, 단계(940)에 있어서 덮어쓰기를 실패한 DS가 NULL DS가 아닌 경우, 단계(905)에 있어서 카운터 i의 값이 덮어쓰기 개시 위치 A를 1증분한 값과 동등하지 않은 경우, 또는, 단계(955)에 있어서, DS 번호 i의 DS의 선두 위치를 확정하지 못한 경우, 처리는 단계(960)에 진행하고, 테이프 기록 장치(100)는, 덮어쓰기 에러를 호스트 장치에 통지한다. 그리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장치(100)에 의하면, 데이터 리드 시, 카트리지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덮어쓰기 개시 위치가 바뀌어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카트리지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에,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처리가 복잡하게 될 일도 없다. 또, 카트리지 메모리에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에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처리가 복잡하게 될 것을 고려하여, 덮어쓰기 재시행을 금지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기록 장치(100)에 의하면, 유저 데이터와 구별할 수 있는 특정의 종별의 데이터 유닛이면, 상기 유닛을 빼고 덮어쓰기를 재시행할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설명을 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의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 여러 가지의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알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한 형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9)

  1. 테이프 기록 장치에 있어서,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덮어쓰기 요구를 접수하는 접수부와,
    상기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테이프 매체 상에 기록된 데이터 라이트 단위인 데이터 유닛의 선두의 위치의 확정을 시험해 보는 시행부와,
    상기 시행부에 의한 상기 확정의 성공에 응답하여, 확정된 상기 덮어쓰기 개시 위치부터 덮어쓰기를 실행하는 덮어쓰기 실행부와,
    상기 시행부에 의한 확정의 실패에 응답하여, 상기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 유닛이, 빈 데이터 유닛인지를 판정하는 종별 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행부는 상기 데이터 유닛이 상기 빈 데이터 유닛이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유닛에 계속되는 다음의 데이터 유닛(data unit following the data unit)의 선두를 상기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서, 그 덮어쓰기 개시 위치의 확정을 시험해 보는,
    테이프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별 판정부는 상기 시행부에 의한 상기 다음의 데이터 유닛의 선두의 확정의 실패에 응답하여, 상기 다음의 데이터 유닛이 상기 빈 데이터 유닛인지를 판정하고,
    상기 시행부는 상기 다음의 데이터 유닛이 상기 빈 데이터 유닛이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다음의 데이터 유닛에 계속되는 그 다음의 데이터 유닛(data unit following the following data unit)의 선두를 상기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 하여, 그 덮어쓰기 개시 위치의 확정을 시험해 보는,
    테이프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별 판정부에 의한 처리는 판정 대상의 데이터 세트가 상기 빈 데이터 유닛이 아니라고 판정할 때까지, 상기 시행부에 의한 상기 판정 대상의 데이터 세트의 선두의 확정이 실패할 때마다 반복되어 수행되는,
    테이프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닛이 상기 빈 데이터 유닛이 아니라는 상기 종별 판정부에 의한 판정에 응답하여, 에러를 통지하는 에러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테이프 기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기록 장치는,
    상기 덮어쓰기 실행부에 의한 덮어쓰기가 성공했는지를 판정하는 결과 판정부와,
    상기 결과 판정부에 의한 실패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덮어쓰기를 실패한 데이터 유닛인 제 1 데이터 유닛이 빈 데이터 유닛이라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덮어쓰기 실행부에 제 1 데이터 유닛에 계속되는 다음의 데이터 유닛인 제 2 데이터 유닛의 선두부터 덮어쓰기를 재시행시키는 덮어쓰기 재시행부를 더 포함하는,
    테이프 기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유닛이 빈 데이터 유닛이 아닌 경우에, 에러를 통지하는 에러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테이프 기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어쓰기 재시행부는 상기 결과 판정부에 의한 실패라는 2번째의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에러 통지부가 에러를 통지하도록 하는,
    테이프 기록 장치.
  8. 테이프 기록 장치에서 데이터의 덮어쓰기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덮어쓰기 요구를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테이프 매체 상에 기록된 데이터 라이트 단위인 데이터 유닛의 선두의 위치의 확정을 시험해 보는 단계와,
    상기 확정의 성공에 응답하여, 확정된 상기 덮어쓰기 개시 위치부터 덮어쓰기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확정의 실패에 응답하여, 상기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 유닛이, 빈(null) 데이터 유닛인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유닛이 상기 빈 데이터 유닛이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유닛에 계속되는 다음의 데이터 유닛의 선두를 상기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서, 그 덮어쓰기 개시 위치의 확정을 재차 시험해 보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테이프 기록 장치에서 데이터의 덮어쓰기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테이프 기록 장치에,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덮어쓰기 요구를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테이프 매체 상에 기록된 데이터 라이트 단위인 데이터 유닛의 선두의 위치의 확정을 시험해 보는 단계와,
    상기 확정의 성공에 응답하여, 확정된 상기 덮어쓰기 개시 위치부터 덮어쓰기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확정의 실패에 응답하여, 상기 덮어쓰기 개시 위치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 유닛이, 빈 데이터 유닛인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유닛이 상기 빈 데이터 유닛이라는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유닛에 계속되는 다음의 데이터 유닛의 선두를 상기 덮어쓰기 개시 위치로서, 그 덮어쓰기 개시 위치의 확정을 재차 시험해 보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17013865A 2008-11-21 2009-09-28 테이프 기록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덮어쓰기 제어 방법, 덮어쓰기 제어 프로그램, 및 테이프 기록 장치 KR101475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98477 2008-11-21
JP2008298477 2008-11-21
PCT/JP2009/066781 WO2010058655A1 (ja) 2008-11-21 2009-09-28 テープ記録装置におけるデータの上書き制御方法、上書き制御プログラム、及びテープ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364A KR20110095364A (ko) 2011-08-24
KR101475993B1 true KR101475993B1 (ko) 2014-12-23

Family

ID=4219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865A KR101475993B1 (ko) 2008-11-21 2009-09-28 테이프 기록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덮어쓰기 제어 방법, 덮어쓰기 제어 프로그램, 및 테이프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8416663B2 (ko)
EP (1) EP2337025A4 (ko)
JP (1) JP5179596B2 (ko)
KR (1) KR101475993B1 (ko)
CN (1) CN102216985B (ko)
TW (1) TW201025309A (ko)
WO (1) WO20100586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6663B2 (en) 2008-11-21 2013-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verwrite control for data in a tape recording apparatus
US10282297B2 (en) * 2017-02-08 2019-05-07 Arm Limited Read-with overridable-invalidate transaction
US10490218B1 (en) * 2018-12-12 2019-11-26 Amazon Technologies, Inc. Concurrent read/write apparatus
US10818314B1 (en) 2019-05-07 2020-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oring multiple instances of a housekeeping data set on a magnetic recording tape
US11176968B2 (en) 2019-10-22 2021-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uffered writing of datasets and end longitudinal positions (end LPOSs) on a magnetic recording tape and validating the end LPOSs during reading of a later dataset thereaf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08A (ja) * 1996-03-12 1998-01-1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磁気テープ媒体上にデータを分布させる方法およびデータ記憶装置
JP2000285407A (ja) * 1999-03-30 2000-10-13 Fujitsu Ltd 磁気テープのギャップずれ補正方法及び補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609B2 (ja) 1987-07-03 1994-11-02 アデカ・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射出成形用バインダ
JP2949747B2 (ja) * 1990-01-21 1999-09-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EP0637025A3 (en) * 1993-07-26 1997-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data.
WO1996035209A1 (fr) * 1995-05-02 1996-11-07 Sony Corporation Procede et appareil d'enregistrement/lecture de donnees numeriques
US5710676A (en) * 1996-03-12 1998-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formatting of a storage media having fixed-size partitions
US6091698A (en) * 1997-07-17 2000-07-18 Hewlett Packard Company Overwriting phase change media by varying data patterns
EP0911825B1 (en) * 1997-10-21 2010-06-30 Sony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recording medium
US6349356B2 (en) * 1997-12-10 2002-0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ost-available device block map for optimized file retrieval from serpentine tape drives
JP4066289B2 (ja) * 1999-01-08 2008-03-2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方法
ATE472155T1 (de) * 2002-04-03 2010-07-15 Ibm Bandaufzeichnungsvorrichtung, steuervorrichtung, steuerverfahren und programm
JP3870215B1 (ja) 2005-09-30 2007-01-1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テープ記録装置のデータ書込み読取り制御方法
JP4848419B2 (ja) * 2006-03-03 2011-12-2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読み出しエラーを処理する読出装置、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46126B2 (ja) * 2006-03-27 2012-06-06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記録方法及びデータ記録装置
US7372657B2 (en) * 2006-05-24 2008-05-13 Sun Microsystems, Inc. Mechanism for minimizing unload times in a tape drive system
US7483231B2 (en) * 2006-10-26 2009-01-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dundant identification of a storage medium format
CN100504799C (zh) * 2006-12-19 2009-06-24 英业达股份有限公司 以快照指针进行磁盘快照的方法
JP4432088B2 (ja) * 2007-02-28 2010-03-1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一連の処理を所定の順序で行うための処理システム、ストレージ装置、及び方法
JP4939364B2 (ja) * 2007-10-17 2012-05-2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テープ記録装置のデータ書込みを制御する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416663B2 (en) 2008-11-21 2013-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verwrite control for data in a tape recording apparatus
US8054572B2 (en) * 2009-08-27 2011-1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orage drive overwrite protection of non-worm cartridges
JP5005023B2 (ja) * 2009-12-25 2012-08-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読出し及び書込み命令の混在するコマンド列を受け取った場合の最適な書込みを実行するリニア記録方式の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08A (ja) * 1996-03-12 1998-01-1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磁気テープ媒体上にデータを分布させる方法およびデータ記憶装置
JP2000285407A (ja) * 1999-03-30 2000-10-13 Fujitsu Ltd 磁気テープのギャップずれ補正方法及び補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58655A1 (ja) 2010-05-27
TW201025309A (en) 2010-07-01
US20110222379A1 (en) 2011-09-15
CN102216985B (zh) 2014-04-09
EP2337025A4 (en) 2013-10-30
JPWO2010058655A1 (ja) 2012-04-19
US8687473B2 (en) 2014-04-01
EP2337025A1 (en) 2011-06-22
US20130163397A1 (en) 2013-06-27
US8493829B2 (en) 2013-07-23
US8416663B2 (en) 2013-04-09
KR20110095364A (ko) 2011-08-24
US20120212848A1 (en) 2012-08-23
CN102216985A (zh) 2011-10-12
JP5179596B2 (ja) 201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5096B1 (en) Optical disk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as well as medium on which optical disk recording and reproduction program is recorded
US8397136B2 (en) Method for appending data to tape medium, and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1475993B1 (ko) 테이프 기록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덮어쓰기 제어 방법, 덮어쓰기 제어 프로그램, 및 테이프 기록 장치
JP5172960B2 (ja) テープ媒体にデータを書き込む装置及び方法
WO2011161997A1 (ja) テープ記憶装置、及びその書込み方法
BG105336A (bg) Записваща среда със записан защитен списък на дефектите
US7440212B2 (en) Method and systems for a highly error tolerant tape format
US54288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critical disk access commands
US81304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riting data on a tape medium
JP4902427B2 (ja) 履歴情報管理方法及び履歴情報管理システム
US7443624B2 (en) Method for recording data freshness degrees by a tape drive
US20070174739A1 (en) Disk device, method of writing data in disk device, and computer product
JP5044822B2 (ja) データをテープ媒体に書き込む装置及び方法
JPH11242802A (ja) 磁気テープの劣化領域管理方式及び磁気テープの劣化領域管理方法及び磁気テープ装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2000020249A (ja) ディスク装置のデータ保護方法、ディスク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864751B2 (ja) ディスク制御装置の不揮発性メモリ管理方式
JP3334696B2 (ja) 磁気テープ記録装置
JPH02312068A (ja) 記録制御方法
JPS58178457A (ja) フアイル制御方式
JPS63195876A (ja) 磁気テ−プ制御装置
GB2422478A (en) Tape data format having skip frames in areas of write failures
JPH1196679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GB2250374A (en) Back-up tape drive and tape format
JPS6190371A (ja) 磁気テ−プのデ−タ処理方式
JPH01223673A (ja) データ記録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