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181B1 -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 Google Patents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181B1
KR101475181B1 KR1020140074516A KR20140074516A KR101475181B1 KR 101475181 B1 KR101475181 B1 KR 101475181B1 KR 1020140074516 A KR1020140074516 A KR 1020140074516A KR 20140074516 A KR20140074516 A KR 20140074516A KR 101475181 B1 KR101475181 B1 KR 101475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block
hole
buri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하
Original Assignee
이종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하 filed Critical 이종하
Priority to KR1020140074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경사지의 법면(法面)이나 하천 등의 법면에 설치되는 호안용 블록을 인접되는 타 블록과 상호 연결 지지시켜 주기 위한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각 블록의 측부에 요입부를 두어 블록의 접촉 시공 시 하나의 결속공이 마련되도록 한 상태에서 별개체로 구성되는 결속구를 결속공에 결합시키도록 한 것으로 결속구를 통하여 결속구와 접하는 양 블록을 종횡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결속구의 결속 작업이 손쉬워 시공이 간편하고, 견고한 블록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THE UNION STRUCTURE FOR BLOCK}
본 발명은 일반 경사지의 법면(法面)이나 하천 등의 법면에 설치되는 호안용 블록을 인접되는 타 블록과 상호 연결 지지시켜 주기 위한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각 블록의 측부에 요입부를 두어 블록의 접촉 시공 시 하나의 결속공이 마련되도록 한 상태에서 별개체로 구성되는 결속구를 결속공에 결합시키도록 한 것으로 결속구를 통하여 결속구와 접하는 양 블록을 종횡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결속구의 결속 작업이 손쉬워 시공이 간편하고, 견고한 블록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는 훼손된 경사면을 일정량만큼 깍아내고, 그 부분에 식생토를 메워서 새로운 법면(경사면)을 조성하게 되고,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도로나 철도 등을 개설할 경우에는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일정량만큼 깍아 내어 개설면을 평지화한 다음 나머지부분을 새로운 법면으로 조성하게 되며,
또한 하천의 범람방지와 수자원의 이용을 위하여 하천이나 호수의 부근에 조성된 둑이나 제방 또한 식생토의 성토로 인한 법면을 조성하고 있다.
위와 같이 식생토를 깍아내거나 메워서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한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연약한 법면을 나대지로 방치할 경우에는, 폭우나 홍수등과 같은 여러 가지 자연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사면의 식생토가 쉽게 유실됨으로써 사면 복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할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나대지 상태의 사면 표면이 붕괴되어 인명과 재산 피해를 유발할 위험성이 크다.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사전대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최근에는 법면 상에 별도의 보호구조물을 설치한 다음 법면을 녹화함으로써 법면의 표면붕괴를 사전에 차단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같은 법면 부위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블록은 인접한 블록끼리 강고하게 결속하여야 홍수와 같은 가혹한 조건 속에서도 유실되거나 훼손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종래의 사면보호공법으로는 식생토가 성토된 사면 상에 격자 형태로 콘크리트, 모르타르 블록을 설치하고, 설치된 각각 콘크리트, 모르타르 블록의 내부에 잔디와 같은 초본식물을 식재하여 생육시킴으로써 사면을 녹화하는 동시에 사면 토사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격자공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모르타르 블록을 이용한 사면보호공법에 따르면, 각 블록을 단순히 격자 형태로 배치한 후, 사면에 일부가 매설되도록 한 것이어서, 각 블록들 간 상호 결속력이 매우 약하며, 자중이 무겁기 때문에 장마로 인한 하천 범람 또는 성토지 토사 유실 시 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토사와 함께 블록들이 사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유실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 외에 인접하는 블록끼리 체인이나 로우프를 걸어 묶는 방법, 블록 자체에 끼워 맞춤용 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끼워 조립하는 방법, 또는 별도의 결속용 블록을 마련하여 인접하는 주된 블록 사이에 끼우는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체인이나 로우프로 묶는 방식은 블록과 블록을 당겨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멀리 도망가지 못하도록 헐겁게 걸어두기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체인이나 로우프는 늘어지고 블록은 유동이 쉬워져서, 홍수 등과 같은 외부의 영향에 의해 블록이 자리를 이탈하여 시설이 변형 내지 훼손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블록 자체에 끼워 맞춤용 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조립하는 방법은, 블록을 설치할 바닥면이 평평하지 못하면 홈과 돌기의 결합이 어려워 시공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결합한 홈과 돌기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홈과 돌기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천제방 사면보호를 위해 사면 상에 설치되는 블록 간 결속구조의 개선을 통해 하천이 범람할 경우에도 이탈되거나 유실되지 않는 견고하고 안정성 있는 시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호안용 블록 결속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블록의 양쪽 측면에 대칭으로 결속구 안내홈을 요입 구성시키되 시공 시 맞대어진 2개의 결속구 안내홈이 이루는 하나의 결속공에 저부가 지면에 매립되는 상태로 결속구를 결합시켜 이 결속구를 통하여 인접하는 두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 안내홈의 상 하측 연부를 종횡으로 구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속구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결속공에 삽입될 수 있는 규격의 몸체부의 상단부에 상기 결속공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과 너비로 구성되어 상기 결속공의 상측 연부를 눌러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일정 두께의 두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 구비되고 상부에 결속 보강용 요입부를 구비하는 매립 심재부와,
상기 결속 보강용 요입부와 매립 심재부의 외부에 덧붙여 구성되며 상, 하면부가 상기 결속공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과 너비로 구성되어 상기 결속공의 하측 연부를 받쳐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충진 몰드의 양생을 통해 구성되는 매립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각 블록의 결속공에 끼워진 결속구의 두부는 결속구와 접하는 양측 블록의 상측 연부를 눌러 지지하게 되고 결속구의 매립 지지부는 지면에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공의 하측 연부를 받쳐 지지하게 됨으로써 시공시 각 블록은 블록의 사이사이에 말뚝과 같이 박혀지는 결속구로 인해 블록 하부의 지반 유실 시에도 지면에 박혀진 결속구가 잡아주고 있게 됨으로써 종 방향으로의 유동이 억제될 수 있음은 물론 횡방향의 시공라인을 전체를 결속구와 하나로 묶어 결속시키는 기능으로 인해 블록 시공의 견고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블록의 시공 예를 보이는 평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블록과 결속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블록과 결속구의 시공 상태에서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블록과 결속구의 시공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블록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시공 상태에서의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결속구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블록과 결속구의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는 블록(10)의 양쪽 측면에 블록(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결속구 안내홈(11)이 대칭으로 요입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나의 호안용 블록(10)의 결속구 안내홈(11)과 또 다른 하나의 동일한 블록(10)의 결속구 안내홈(11)이 횡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맞대어지면 일방이 개방된 2개의 결속구 안내홈(11)이 서로 맞대어져 하나의 사방이 폐쇄된 결속공(20)이 마련되고 이 결속공(20)에 결속구(30)를 결합시키되, 결속구(30)의 하측 일부가 지면에 박혀 매설되도록 하여 견고한 지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 박혀진 결속구(30)를 통하여 인접하는 두 호안용 블록(10)의 결속구 안내홈(11)의 상 하측 연부를 종횡으로 구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결속구(30)는,
상기 결속공(20)에 삽입될 수 있는 규격으로 구성되는 몸체부(31)의 상부에 상기 결속공(20)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과 너비를 갖는 일정 두께의 두부(32)를 구비시켜 상기 결속공(20)의 상측 연부를 눌러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몸체부(31)의 하부에는 결속 보강용 요입부(34)를 구비하는 매립 심재부(33)를 일체로 연장 구비하고,
상기 결속 보강용 요입부(34)와 매립 심재부(33)의 외부에는 상기 결속공(20)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과 너비로 구성되는 상면부(35a) 및 하면부(35b)를 갖는 매립 지지부(35)를 덧붙여 구성하고 상면부(35a)로 하여금 상기 결속공(20)의 하측 연부를 받쳐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
(H)는 매립 지지부(35)를 구성하는 데 이용되는 지면의 홀을 보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호안용 블록(10)은 일반 경사진 방조제의 법면이나 하천 등의 법면 상에 조립 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 블록의 시공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서와 같이 호안용 블록(10)의 측부를 횡 방향으로 연결하여 한 줄씩 엇갈리게 시공하게 되는 것으로,
밀접되는 호안용 블록(10)의 각 결속구 안내홈(11)은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마주하는 상태로 합해져 하나의 사각형의 결속공(20)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호안용 블록(10)의 사이사이마다 외부로 개방되는 결속공(20)이 마련되면 별도의 공구 등을 이용하여 결속공(20)으로 노출된 지면에 일정 깊이로 파내어 매립 지지부(35)가 구성될 수 있는 홀(H)을 형성하게 되고 이때 홀의 상측 변은 결속공(20)의 하변보다 크게 구성하도록 한다.
도 4에서와 같이 홀(H)이 완성되면 홀의 내부에 경화 후 매립 지지부(35)를 구성하는 충진 몰드를 충입시켜 줌과 동시에 결속구(30)를 삽입시켜 결속구(30)의 매립 심재부(33)가 충진 몰드 내에 매립상태로 위치되어 충진 몰드의 경화 후 매립 지지부(35)의 결속과 보강심재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경화된 매립 지지부(35)는 지면에 말뚝처럼 안정되게 박혀있는 상태에서 상면부(35a)가 호안용 블록(10)의 결속공(20)의 하연부를 받쳐 지지하게 되며 결속공(20)의 상연부는 두부(32)가 눌러 지지하게 되는 것으로 각 결속구(30)는 인접하는 각 호안용 블록(10)과 평면적인 아닌 입체적인 결속이 가능해지고 시공된 각 호안용 블록(10)은 상하 및 횡 방향으로 일체화 상태의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블록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로서,
상기 블록(10)의 결속구 안내홈(11)의 연부에 일정 깊이의 삽지용 요입부(40)를 두도록 한 것으로 도 6에서와 같이 삽지된 결속구(30)의 두부(32)가 끼워지도록 하여 결속구(30)와 블록(10)과의 결속 지지력을 보강함과 더불어 블록 표면에서 두부(32)의 돌출정도를 감소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결속구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상기 블록(10)의 매립 심재부(33)의 내부에 일부가 외부로 하향 돌출되는 결속보강심재(50)를 일체로 매립 설치하도록 하여 매립 심재부(33)자체의 보강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돌출부분이 매립 지지부(35)와의 결속력을 보강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결속구(30)가 지면에 박혀있는 한 시공 블록의 기초가 유실되거나 블록 저면의 지면이 유실되어 틈이 발생되더라도 결속구(30)가 안정되게 잡아 지지하여 주게 됨으로써 시공 상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0:블록 11:결속구 안내홈
20:결속공 30:결속구
31:몸체부 32:두부
33:매립 심재부 34:결속 보강용 요입부
35:매립 지지부 40:삽지용 요입부
50:결속보강심재

Claims (4)

  1. 양쪽 측면에 블록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으로 요입 구성되는 결속구 안내홈(11)이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호안용 블록(10)들이 구비되고,
    상기 하나의 호안용 블록(10)의 결속구 안내홈(11)과 또 다른 하나의 동일한 블록(10)의 결속구 안내홈(11)이 횡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맞대어진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맞대어진 2개의 결속구 안내홈(11)이 이루는 하나의 폐쇄된 결속공(20)에 저부가 지면에 매립되는 상태로 결속구(30)가 결합되고 이 결속구(30)를 통하여 인접하는 두 호안용 블록(10)의 결속구 안내홈(11)의 상 하측 연부를 종횡으로 구속하게 되며,
    상기 결속구(30)는,
    상기 결속공(20)에 삽입될 수 있는 규격의 몸체부(31)의 상단부에 상기 결속공(20)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과 너비로 구성되어 상기 결속공(20)의 상측 연부를 눌러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일정 두께의 두부(32)와,
    상기 몸체부(31)의 하단에 일체로 연장 구성되고 상부에 결속 보강용 요입부(34)를 구비하는 매립 심재부(33)와,
    상기 결속 보강용 요입부(34)와 매립 심재부(33)의 외부에 덧붙여 구성되며 상면부(35a)와 하면부(35b)가 상기 결속공(20)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과 너비로 구성되어 상면부(35a) 상기 결속공(20)의 하측 연부를 받쳐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충진 몰드의 양생을 통해 구성되는 매립 지지부(3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결속구 안내홈(11)의 연부에 삽지용 요입부(4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매립 심재부(33)의 내부에 일체로 매립 구성되며 일부가 외부로 하향 돌출되는 결속보강심재(5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매립 지지부(35)의 하면부(35b)가 상면부(35a)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치수의 등변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20140074516A 2014-06-17 2014-06-17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1475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516A KR101475181B1 (ko) 2014-06-17 2014-06-17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516A KR101475181B1 (ko) 2014-06-17 2014-06-17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181B1 true KR101475181B1 (ko) 2015-01-06

Family

ID=5258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516A KR101475181B1 (ko) 2014-06-17 2014-06-17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1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526A (ja) * 1998-05-01 1999-11-16 Toa Harbor Works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連結方法
KR100923428B1 (ko) * 2009-02-25 2009-10-27 주식회사 에스티씨 폐사탕수수를 이용한 친환경 식생 호안 블록
KR200461559Y1 (ko) * 2011-08-17 2012-07-19 임선명 세굴방지용 블록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5526A (ja) * 1998-05-01 1999-11-16 Toa Harbor Works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連結方法
KR100923428B1 (ko) * 2009-02-25 2009-10-27 주식회사 에스티씨 폐사탕수수를 이용한 친환경 식생 호안 블록
KR200461559Y1 (ko) * 2011-08-17 2012-07-19 임선명 세굴방지용 블록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0460B (zh) 用于防止滑坡的预铸块保持壁方法
KR100947248B1 (ko) 사면보호용 스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73313B1 (ko) 기능별 전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시공성과 시공 안정성을 증대한 조립식 지오셀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187736B1 (ko)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CN104846780A (zh) 系混凝土块土工格栅软体排
KR10107794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100657181B1 (ko) 하천제방사면 보호를 위한 결속블록 설치구조
KR200402396Y1 (ko) 식재용 옹벽 블록
JP6378898B2 (ja) 擁壁の構築工法および擁壁
KR101475181B1 (ko)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0935176B1 (ko) 도로사면 보호용 친환경 식생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00915B1 (ko) 전면부와 보강체의 직접 연결형 옹벽
KR100843330B1 (ko)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KR100839019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60126340A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120103804A (ko) 친환경 사면 frp 보호공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공법
KR101725463B1 (ko) 파일형 사방댐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51266A (ko)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호안축조방법
JPH03504402A (ja) 建設方法及び建設用材
JP2010159619A (ja) 法止部材を地盤斜面に地盤アンカーで定着する法枠定着工法
KR100722167B1 (ko) 호안의 법면블록
KR102138839B1 (ko) 대형마대를 이용한 현장 타설형 콘크리트블록을 활용한 호안공사 방법
KR20060133304A (ko) 균등침하를 유도할 수 있는 블럭식 보강토옹벽
KR101204058B1 (ko)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