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340A - 옹벽 축조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 축조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6340A
KR20060126340A KR1020050077352A KR20050077352A KR20060126340A KR 20060126340 A KR20060126340 A KR 20060126340A KR 1020050077352 A KR1020050077352 A KR 1020050077352A KR 20050077352 A KR20050077352 A KR 20050077352A KR 20060126340 A KR20060126340 A KR 20060126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blocks
reinforcement
w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3788B1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ublication of KR2006012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블록 좌우 측의 비대칭형 날개가 상호 겹치는 것에 의해 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보강재의 선단부는 각 블록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거나 인접하는 여러 개의 블록에 함께 연결되어 개별 블록의 위치이탈을 방지하거나 옹벽 블록 후부의 각종 매설물이 보강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10)과 보강토체 측에 맞닿는 배면(20), 상,하 블록 간의 연결핀(90) 삽입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34)이 형성된 상면(30)과 이 상면(30)에 대응되는 하면(40) 및 좌우로 인접한 블록간 접촉하는 좌,우 측면(50,60)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은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측면(50,60)의 후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70,80)가 형성되되 좌,우측의 날개(70,80)는 상호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고, 이 날개(70,80)의 앞 또는 뒷부분에는 인접하는 다른 블록의 날개가 수용되는 수용홈(52,62)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30)에는 양단이 각각 측면과 배면 측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36)이 좌우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34)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장공형태로 이루어진다.
옹벽, 간섭, "ㅛ" 형, 블록, 곡선, 직선, 날개, 보강재 삽입홈

Description

옹벽 축조용 블록 {Block for reinforced earth wa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전면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옹벽 축조용 블록의 배면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옹벽 축조용 블록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저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옹벽 축조용 블록이 직선상태로 축조될 때 인접하는 블록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옹벽 축조용 블록이 곡선상태(돌출형 및 만입형)로 축조될 때 인접하는 블록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옹벽 축조용 블록에 보강재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접한 2개의 블록에 동시에 보강재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접한 여러 개의 블록에 동시에 보강재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직선형 옹벽을 축조할 때 상,하 블록간의 걸림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돌출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때 상,하 블록간의 걸림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만입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때 상,하 블록간의 걸림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직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전면부 사시도,
도 16은 도 14에서 옹벽 후부에 매설물이 있을 때 보강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상,하 블록간의 적층상태 및 보강재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2단 엇쌓기시 상,하 블록간의 적층상태 및 보강재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 완성된 직선형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돌출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만입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사시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블록의 배면부 사시도,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블록으로 축조된 직선형 옹벽에서의 상,하 블록간의 인터록킹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7은 도 24에 도시된 블록으로 축조된 곡선형(돌출형) 옹벽에서의 상,하 블록간의 인터록킹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8은 도 24에 도시된 블록으로 축조된 곡선형(만입형) 옹벽에서의 상,하 블록간의 인터록킹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9는 도 24에 도시된 블록으로 축조된 수직 옹벽의 상,하 블록간 인터록킹 및 보강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사시도,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블록의 배면부 사시도,
도 32는 도 30에 도시된 블록의 평면도,
도 33은 도 3에 도시된 블록으로 축조된 직선형 옹벽에서 상하 블록의 적층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4는 도 30에 도시된 블록으로 축조 중인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35는 도 30에 도시된 블록으로 축조된 수직 옹벽의 상,하 블록간 인터록킹 및 보강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블록을 2단 엇쌓기식으로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37은 도 36의 전면부 사시도,
도 38은 2단 엇쌓기 식으로 축조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돌출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40은 도 39의 평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만입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42는 도 41의 평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블록 2개에 보강재의 선단부가 동시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블록 3개에 보강재의 선단부가 동시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 12 : 모따기면
20 : 배면 30 : 상면
32 : 관통구멍 32a : 전면
32b : 배면 34 : 연결핀 삽입홈
34' : 걸림 돌기 34a : 상부 확장부
34b : 하부 축소부 34c : 경사부
36 : 보강재 삽입홈 38 : 후부 홈
40 : 하면 50,60 : 측면
52,62 : 수용홈 70,80 : 날개
90 : 연결핀 92 : 머리부
B,B1,B2,B3,B4 : 블록 C : 콘크리트 기초
D : 보강토체 E : 섬유보강재
F : 배수필터 h : 단차
X : 매설물
본 발명은 옹벽 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직선형 옹벽은 물론 지형에 따른 임의의 곡률반경으로 이루어진 곡선형 옹벽도 자유로이 축조 가능하고,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 블록의 일부를 떼어내는 일이 없이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신속한 시공과 더불어 폐자재의 발생이 없도록 하였으며, 블록의 좌우 측에 비대칭 형태로 형성된 1쌍의 날개가 상호 유기적으로 겹쳐지는 것에 의해 블록 틈새가 벌어지더라도 토체가 외부로 보이거나 유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돌출 곡선부에서 인접하는 블록간 상호 인터록킹 작용에 의해 블록의 벌어짐으로 인한 토체의 유출방지는 물론 블록의 개별적인 밀림이 방지되고, 보강재의 선단부가 인접하는 블록에 동시에 함께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보강재 설치작업의 편의 도모와 개별 블록의 위치이탈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옹벽 블록 후부에 나무를 심거나 기타 배관 등이 매립될 때 이들 매설물과 보강재와의 간섭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으로 축조되는 옹벽은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는 중력식 옹벽과 보강재를 사용하는 보강토 옹벽으로 대별되는데, 이러한 옹벽은 축조방식에 따라 블록의 형태가 상이하고 그 크기도 다양하므로 이러한 블록을 생산하기 위한 금형 및 설비를 각기 달리하여 제작하여야 했었으므로 소요 비용에 많은 부담이 되어 왔으며, 중력식 옹벽에 있어서는 블록 자체가 너무 크고 중량이 무거워서 운반과 시공과정에서 많은 인력과 장비가 투입되어야 했었고,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는 블록과 보강토체 내부에 매립되는 보강재와의 연결 및 상,하 블록간의 결합을 위한 앵커와 연결핀 등 다양한 부자재가 대량으로 소요되어 시공비의 부담은 물론 시공과정이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옹벽 축조용 블록은 블록간의 결속력 부족으로 인한 블록의 국부적인 변위 및 배부름 현상과 특히 돌출 곡선부에서의 블록의 벌어짐으로 인하여 토사가 물과 함께 유출되는 문제점 및 각 블록에 보강재를 전면적으로 설치해주어야 하는 구조로 인하여 블록(옹벽) 후부에 나무를 심거나 배수관로 또는 맨홀 등의 설치시 보강재와의 간선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2005-0043727호(출원연월일; 2005.05.24)로 단일 형태로 이루어져 직선형 및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고, 부자재의 소요가 적으며, 장비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안한 바 있는데,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을 더 개선하여 블록의 축조 및 보강재의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함은 물론 보강재와 옹벽 후부의 매설물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개량된 구조의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블록을 절단하지 않고도 직선형 옹벽은 물론 지형에 따른 임의의 곡률반경으로 이루어진 곡선형 옹벽을 자유로이 축조할 수 있으며, 블록 그대로를 사용함으로써 신속한 시공과 더불어 폐자재의 발생이 없는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 블록 및 보강재의 설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보강재의 설치간격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옹벽 후부에 하수 배관이나 맨홀 또는 나무 등이 식재될 경우에도 보강재와 옹벽 후부의 이들 매설물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개량된 구조의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 인접하는 블록 간의 틈새가 벌어지더라도 블록 후부의 보강토체가 외부에서 보이거나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블록간 상호 인터록킹 작용에 의해 특히, 돌출 곡선부에서 블록의 개별적인 밀림 및 블록의 벌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또, 인접하는 블록 간의 이탈(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을 보강재로 함께 감싸듯이 연결하거나, 상,하로 인접하는 블록으로 상호 연결핀으로 연결하여 블록의 개별적인 이탈 및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과 보강토체 측에 맞닿는 배면, 상,하 블록 간의 연결핀 삽입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과 연결핀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면과 이 상면에 대응되는 하면 및 좌우로 인접한 블록간 접촉하는 좌,우 측면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은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측면의 후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가 형성되되 좌,우측의 날개는 상호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고 이 날개의 앞 또는 뒷부분에는 인접한 블록의 날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에는 양단이 각각 측면과 배면 측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이 좌우 대칭형태로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은 직경이 넓은 상부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하부 및 상,하부 사이의 테이퍼진 경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연결핀 삽입구멍의 하부와 관통구멍의 전면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상,하 블록이 수직으로 축조된 상태에서 상부의 블록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과 보강토체 측에 맞닿는 배면, 상,하 블록 간의 걸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와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면과 이 상면에 대응되는 하면 및 좌,우 측면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이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측면의 후부에는 날개가 형성되되 좌,우측의 날개는 상호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날개의 앞이나 뒤에는 인접하는 블록의 날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는 양단이 각각 측면과 배면 측으로 개방된 "ㅛ" 형의 보강재 삽입홈이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은 상기 제 1실시 예와 기본적인 구조가 동일하나, 상,하 블록간의 결합방식이 별도의 연결핀이 아닌 하부 블록의 상부 좌,우 측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부 블록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걸리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은 상,하 블록간의 결합에 연결핀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제 1실시 예와 기본적으로 유사하나, 연결핀이 삽입되는 연결핀 삽입구멍의 위치 및 상,하부 블록간의 연결핀 결합방식에 차이가 있는바, 이는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과 보강토체 측에 맞닿는 배면, 상,하 블록 간의 연결핀 삽입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이 형성된 상면과 이 상면에 대응되는 하면 및 좌우로 인접한 블록간 접촉하는 좌,우 측면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은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측면의 후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가 형성되되 좌,우측의 날개는 상호 비대칭의 위치에 형 성되고 이 날개의 앞 또는 뒷부분에는 날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에는 양단이 각각 측면과 배면 측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이 좌우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은 좌우방향으로 장공형태로 이루어져 좌,우 블록간의 간격을 조절할 때 블록을 좌우 측으로 위치이동시키더라도 연결핀 삽입구멍은 상호 연통되어 연결핀에 의해 상,하 블록이 상호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블록은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10)과 보강토체 측에 맞닿는 배면(20), 상,하 블록 간의 연결핀 삽입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34)과 연결핀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된 상면(30)과 이 상면(30)에 대응되는 하면(40) 및 좌우로 인접한 블록간 접촉하는 좌,우 측면(50,60)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은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측면(50,60)의 후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70,80)가 형성되되 좌,우측의 날개(70.80)는 상호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고 이 날개(70.80)의 앞 또는 뒷부분에는 인접한 블록의 날개(70,80)가 수용되는 수용홈(52,62))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30)에는 양단이 각각 측면(50,60)과 배면(20) 측으로 개방된 "ㅛ" 형의 보강재 삽입홈(36)이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34)은 직경이 넓은 상부 확장부(34a)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하부 축소부(34b) 및 상,하부 사이의 테이퍼진 경사부(34c)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연결핀 삽입구멍(34)의 하부(34a)와 관통구멍(32)의 전면(32a)은 좌우방향으로 뻗은 가상의 동일선상(L)에 위치하여 상,하 블록이 수직으로 축조된 상태에서 상부의 블록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은 도 2의 배면부 사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블록 몸체의 형태는 전면(10) 부분의 좌우 폭이 넓고 배면(20) 부분의 좌우 폭은 상대적으로 좁은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은 직선형이 아닌 계단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좌,우 측면(50,60)의 후부에 인접하는 블록의 날개(70,8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52,62)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은 그 좌,우 측면(50,60)의 후부에 외측을 향하여 날개(70,80)가 연장형성되어 있어 이 날개(70,80)를 감안한다면 도 3의 평면도 상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는 대체로 직사각형을 이루어 인접하는 블록끼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의 날개(70,80)를 상호 앞뒤로 겹치도록 축조하여 돌출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의 날개(70,80)를 겹치지 않게 하 여 만입된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도 7에 도시된 만입된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에도 좌,우측의 날개(70,80)에 의해 블록의 후부에 위치한 토체가 블록의 전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록의 배면 양측에 좌우로 연장형성된 날개(70,80)는 블록의 배면(20) 면적을 넓혀 줌으로써 옹벽 축조시 블록의 후부에 배치하는 배수필터를 거의 직선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날개의 겹쳐진 부위에는 보강토체의 다짐시 및 옹벽 축조완료 후 옹벽 면이 받게 되는 토압을 흡수하는 완충공간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시공도중 옹벽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시공완료 후 옹벽 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좌,우측의 날개(70,80) 폭은 블록(B)의 좌,우 폭보다 길게, 바람직하기에는 양측 날개(70,80)의 선단부가 블록의 좌,우측보다 약 10mm정도 더 돌출되는 정도로 형성함으로써 만입된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하더라도 양측 날개(70,80)가 어느 정도 겹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70,80)는 상면(30)보다 낮게(약 5~10mm정도) 단차(h)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보강토체에서 발생한 물이 이 단차(h)부분을 통해 블록으로 축조된 옹벽의 전면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블록의 후부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수시 보강토체의 흙이 함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섬유 부직포 등으로 된 배수 필터(F)가 설치된다.
상기 단차(h) 부분은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한 블록의 날개(70,80)가 상,하 로 축조되는 블록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블록의 운반 및 양중시 그리고 옹벽 축조 후 받게 되는 전단력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준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배수필터(F)는 블록(B)이 직선형으로 축조되든 곡선형으로 축조되든 간에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B)의 후면이 서로 밀착되므로 배수필터(F)가 부분적으로 앞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배수필터(F) 뒤에 별도의 파쇄석과 같은 고가(高價)의 골재(骨材)를 앞뒤 일정 폭으로 매립하지 않고 보강토체(D)를 곧바로 포설하더라도 이 배수필터(F)를 통해 보강토체(D) 측으로 유입된 물이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으며, 반면 토사(土砂)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면(30)에서 하면(40)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구멍(32)의 후면(32b)에는 보강재 삽입홈(36)의 중간 부분이 접하도록 되어 있어서 띠형 섬유 보강재(E)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록(B)에 앵커링되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블록(B)에 동시에 앵커링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측면(50,60)을 향하여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36)을 통해서 인접하는 여러 개(3개 또는 그 이상)의 블록(B)을 동시에 하나의 보강재(E)로 연결하여 앵커링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은 띠형 섬유 보강재(E)의 선단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절반의 폭으로 접은 상태에서 보강재 삽입홈(36)에 끼워 넣은 상태로 연결하게 되는 것으로, 종래의 블록에서 띠형 섬유 보강재를 블록이나 패널에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앵커 및 앵커 핀이 필요 없음은 물론, 앵커 부분에서의 보강재의 느즈러짐으로 인한 제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 예의 블록에서는 상면(30)의 후부 중간 부분도 블록의 배면 측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36)을 경계로 하여 그 높이가 상면(30)보다 5~10mm정도 낮게 반원형의 후부 홈(38)이 형성되어 이 후부 홈(38)을 통해 보강토체 내측에서 발생한 물이 블록 내측의 보강재 삽입홈(36)을 통해 관통구멍(32) 쪽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부 홈(38)은 또, 블록(B)을 앞으로 밀거나 좌우 측으로 위치이동을 하여야 할 경우 지렛대 등을 삽입시키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면(10)은 그 좌우 측 외곽이 모따기면(12)으로 형성되어 있어 옹벽의 운반 및 축조시 그리고 축조 후에도 외력에 의해 그 우각부(모서리부)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축조완성된 옹벽의 전면부가 각각의 블록 사이에 줄눈이 형성된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옹벽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면(10)은 2개의 블록을 하나의 금형 내에서 전면(10)끼리 맞닿은 상태로 일체 성형한 후 맞닿은 부분을 쪼개는 것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석 질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면(3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32)은 대체로 좌우 측으로 길게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관통구멍(32)은 블록의 경량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상,하 블록의 엇쌓기시 상부 블록의 연결핀 삽입구멍(34)에 끼워진 연결핀(90)이 전면(32a)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하 블록을 상호 인터록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의 옹벽을 축조할 경우는 물론 도 12의 돌출된 곡선형 옹벽 및 도 13의 만입된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도 상부 블록(B2)의 연결핀 삽입구멍(34)에 끼워진 연결핀(90)의 하단부 하부 블록(B1)의 관통구멍(32)의 전면(32a)에 걸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부 블록(B2)이 후방 보강토체의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고 옹벽 면이 균일한 수직면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보강재가 연결되거나, 인접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블록을 동시에 보강재로 앵커링시킬 수 있게 되므로, 블록이 개별적으로 위치를 이탈하는 현상(이른바 "배부름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보강재의 설치간격을 옹벽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돌출형 곡선옹벽의 축조시 블록의 벌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은 여러 개를 동시에 하나의 보강재에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옹벽 블록 후부에 나무를 심거나 기타 상,하수도 배관 등을 할 경우에 보강재와의 간섭이 발생하는 위치에는 보강재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 인접하는 블록과 연계하여 보강재를 설치함으로써 블록의 지지력은 그대로 유지한 채 보강재의 매설로 인한 간섭현상은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에 대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직선형 옹벽의 축조상태는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데, 콘크리트 기초(C) 위에 1차로 블록(B1)을 일직선상으로 축조하고, 그 위에 다시 엇쌓기 식으로 2차로 블록(B2)을 축조한다.
이때, 상,하 블록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블록(B2)의 연결핀 삽입구멍(34)에 끼워진 연결핀(90)의 하단부가 하부 블록(B1)의 상면(30) 중간부에 관통된 관통구멍(32)의 전면(32a)에 걸림으로써 상부 블록(B2)이 전방으로 밀리지 않는 상,하 블록의 상호 인터록킹 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8은 본 실시 예의 블록을 2단 엇쌓기식으로 축조할 경우의 상,하 블록간의 인터록킹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2단 엇쌓기식으로 블록을 축조할 경우에는 연결핀(90)의 길이가 상부의 유니트화 된 2단의 블록(B2)에 형성된 연결핀 삽입구멍(34)을 관통하여 하부의 유니트화 된 2단의 블록(B1)의 관통구멍(32) 전면(32a)에 걸릴 수 있도록 충분히 긴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 후, 축조된 블록(B1,B2)의 후부에 보강토체(D)를 포설하여 견고하게 다지고, 다져진 보강토체(D) 위에 띠형 섬유보강재(E)를 설치하는데, 이때 섬유보강재(E)의 선단부는 절반의 폭이 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접은 상태에서 블록(B2)의 상면(30)에 형성된 보강재 삽입홈(36)에 끼우되, 섬유보강재(E)는 인접하는 블록에 연속되게 지그재그식으로 연결한다.
섬유보강재(E)의 연결이 완료되면 다시 2차로 축조된 블록(B2) 위에 3차 및 4차로 블록(B3,B4)을 엇쌓기식으로 축조하면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블록의 축조와 보강토체의 다짐 및 섬유보강재의 연결작업은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의 높이에 다다를 때까지 반복하면 된다.
도 16의 평면도에서는 섬유보강재(E)를 모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지 않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옹벽 블록 후부에 나무를 심거나 상,하수도 관을 매립하거나 기타 매설물(X) 등을 설치할 경우 기 설치된 보강재와의 간섭현상이 발생할 것에 대비하여 미리 일정 구간에는 보강재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때에도 옹벽을 이루는 블록은 모두 보강재의 선단부가 좌우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개별 블록이 토압에 의해 밀리거나 하는 등의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블록을 사용하여 직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매우 단순할 뿐만 아니라, 블록과 보강재 외에 다른 부자재가 사용되지 않아 재료비의 절감은 물론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돌출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곡선형의 옹벽 축조과정 또한 상기한 직선형 옹벽 축조시와 동일하나, 다만,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의 곡률반경에 맞게 인접하는 블록(B)의 날개(70,8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52,62)측으로 삽입되도록 함으 로써 대응되는 날개(70,80)가 전후로 겹쳐지도록 하면 양측 블록(B)의 측면(50,60)이 서로 밀착되면서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직각 돌출 옹벽은 물론 설계된 곡률반경에 맞는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는 도 21의 평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블록마다 보강재(E)의 선단부를 연결하여 시공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에는 인접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블록에 도 9 및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보강재(E)를 동시에 연결시켜주거나 개별 연결 및 동시 연결을 중복하여 주면 옹벽 축조과정에서 또는 축조 완료 후 블록이 보강토체의 토압을 받아 전방으로 개별적으로 돌출되는 등의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는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의 측면 후방에 형성된 날개(70,80)가 완전히 겹쳐지므로 블록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강토체가 블록의 전방으로 유출되는 현상도 발생하지 않으며, 옹벽의 전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더라도 블록 내측의 토체가 보이지 않는다.
더욱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는, 종래의 블록에서는 곡선부에 사용되는 별도의 블록을 제작하거나 일반 블록을 쪼개어 사용하거나 하는 등의 비용부담이나 번거로움이 없이, 동일한 한 종류의 블록만을 사용하되, 단지 날개(70,80)의 겹침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곡률반경을 갖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설계조건을 충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자재의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어 재료비와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곡선형 옹벽에서도 블록의 적층 및 보강재와 보강토체의 다짐 작업은 직선형 옹벽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 및 도 23은 본 실시 예의 블록으로 만입된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내측으로 만입된 곡선형의 옹벽 축조과정 또한 상기한 직선형 옹벽 및 돌출된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와 동일하나, 다만, 축조하고자 하는 옹벽의 곡률반경에 맞게 인접하는 블록(B)의 측면(50,60)이 서로 소정의 각도로 벌어지도록 축조하면 되는데, 이때에도 양측 블록(B)의 측면 후부에 연장 형성된 날개(70,80)에 의해 블록(B)의 배면(20)이 측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배수필터(F)를 대고 보강토체(D)를 부어 다질 경우에도 보강토체(D)가 블록(B)의 전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만입된 곡선형 옹벽의 축조과정도 직선형 및 돌출된 곡선형 옹벽에서와 마찬가지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가 도 24 내지 도 29에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의 블록은 기본적으로 좌,우 측면(50,60)이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좌,우 측면(50,60)의 후부에는 상호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날개(70,80)의 앞이나 뒤에는 인접하는 블록의 날개(70,80)가 수용되는 수용홈(52,62)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30)에는 양단이 각각 측면(50,60)과 배면(20) 측으 로 개방된 "ㅛ" 형의 보강재 삽입홈(36)이 형성된 점은 제 1실시 예의 블록과 동일하나, 상,하 블록 간의 인터록킹 방식이 연결핀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블록 자체에 형성된 연결핀 대용의 걸림 돌기(34')를 사용하도록 된 것으로, 블록의 상면(30) 좌,우측에 걸림 돌기(34')가 형성되고, 이 걸림 돌기(34')는 블록의 중간 부분에 상,하로 관통형성된 관통구멍(32)에 걸리도록 된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 1실시 예에 의하여 충분히 설명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의한 블록은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이나 곡선형 옹벽에서 엇쌓기식으로 축조되는 상,하 블록간의 인터록킹이 하부 블록(B1)의 상면(30) 좌,우측에 형성된 걸림 돌기(34')가 상부 블록(B2)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구멍(32)의 배면(32b-도면에 부호 추가요)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부 블록(B2)이 후방의 보강토체의 토압을 받게 되더라도 전방으로 밀리지 않으므로 견고한 수직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수직 옹벽의 상,하 블록간 인터록킹 및 보강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하부 블록(B1,B2)이 엇쌓기 식으로 축조될 때 하부 블록(B1)의 상면 좌,우측에 형성된 걸림 돌기(34')가 상부 블록(B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관통구멍(32)의 배면(32b)에 걸림으로써 상부 블록(B2)이 전방으로 밀리지 않는 상,하 블록의 상호 인터록킹 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는 블록과 보강재 외에는 다른 자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자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방법이 매우 단순하여 시공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 블록에 의해 축조되는 옹벽의 구조가 도 30 내지 도 35에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의 블록은 상,하 블록간의 결합에 연결핀(90)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제 1실시예와 기본적으로 유사하나, 연결핀(90)이 삽입되는 연결핀 삽입구멍(34)의 위치 및 상,하부 블록(B1,B2)간의 연결핀 결합방식에 차이가 있는바, 이는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10)과 보강토체측에 맞닿는 배면(20), 상,하 블록 간의 연결핀(90) 삽입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34)이 형성된 상면(30)과 이 상면(30)에 대응되는 하면(40) 및 좌우로 인접한 블록간 접촉하는 좌,우 측면(50,60)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은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측면(50,60)의 후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70,80)가 형성되되 좌,우측의 날개(70,80)는 상호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고, 이 날개(70,80)의 앞 또는 뒷부분에는 인접하는 다른 블록의 날개가 수용되는 수용홈(52,62)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30)에는 양단이 각각 측면과 배면 측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36)이 좌우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34)은 좌우방향으로 장공형태로 이루어져 좌,우 블록간의 간격을 조절할 때 블록을 좌우 측으로 위치이동시키더라도 상,하 블록(B1,B2)의 연결핀 삽입구멍(34)은 상호 연통되어 연결핀(90)에 의해 상,하 블록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 1실시 예 또는 제 2실시 예에 의하여 충분히 설명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에서도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34)은 상대적으로 전후의 폭이 넓은 상부 확장부(34a)와 이 상부 확장부(34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대적으로 전후의 폭이 좁은 하부 축소부(34b) 및 상기 상,하부(34a,34b)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테이퍼진 경사부(34c)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핀(90)은 상단부에 머리부(9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머리부(92)는 연결핀 삽입구멍(34)의 상부 확장부(34a) 하측에 걸려 더 이상 밑으로 빠지지 않는다.
상기 경사부(34c)는 연결핀(34)이 상부 확장부(34a)에서 하부 확장부(34b)로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 띠형 섬유 보강재(E)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상면(30)의 보강재 삽입홈(36)에 끼워진 상태에서 보강재 삽입홈(36) 상에 중첩되게 형성된 연결핀 삽입구멍(34)에 끼워진 연결핀(90)의 하단부에도 걸린 상태이므로 보강재와 블록간의 결합구조도 2중의 결합구조를 이루어 더욱 견고한 보강재의 앵커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의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함에 있어서는 블록과 보강재 및 상하 연결핀 외에는 별도의 부자재가 필요 없으므로 축조공정 자체가 매우 단순할 뿐만 아니라 재료비의 절감은 물론 시공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도 36 내지 도 38은 본 실시 예의 블록을 2단으로 유니트화 하여 동시에 축조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36 내지 도 38에 도시된 축조상태에서는 2장의 블록(B1,B2)을 포개어 이를 동시에 인양하여 축조하되, 그 위에 축조되는 블록(B3,B4)도 2장을 포갠 상태로 아랫 부분의 블록(B1,B2)과 엇쌓기 식으로 배열함으로써 옹벽의 전면부 패턴을 1단 엇쌓기 형태와 다르게 할 수 있다.
위에서와 같은 축조방법에서는 보강재(E)를 상,하 2단마다 연결하는 경우에 적합하며, 이때에는 본격적으로 장비를 사용하여 블록을 인양함으로써 블록의 축조를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39 및도 4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돌출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이고, 도 41 및 도 42는 제 3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만입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블록을 사용하여 돌출형 또는 만입형의 곡선형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제 1실시 예의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축조방법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직선형 또는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는 도 43 및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블록(B)이 하나의 보강재(E)에 의해 한꺼번에 앵커링 되므로 옹벽 축조과정에서 또는 축조 완료 후 블록이 보강토체의 토압을 받아 전방으로 개별적으로 돌출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도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B)의 측면 후방에 형성된 날개(70,80)가 완전히 겹쳐지므로 블록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강토체가 블록의 전방으로 유출되는 현상도 발생하지 않으며, 옹벽의 전면에서 육안으로 관찰하더라도 블록 내측의 토체가 보이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블록으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경우에는, 종래의 블록에서는 곡선부에 사용되는 별도의 블록을 제작하거나 일반 블록을 쪼개어 사용하거나 하는 등의 비용부담이나 번거로움이 없이, 동일한 한 종류의 블록만을 사용하되, 단지 날개(70,80)의 겹침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곡률반경을 갖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설계조건을 충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자재의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어 재료비와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실시 예에 의한 블록은 위에서 설명된 축조 형태 외에도 옹벽의 하부측은 상하 여러 장의 블록을 유니트화 하여 동시에 축조하고, 그 위에 점층적으로 블록의 겹치는 개수를 줄여나가면서 엇쌓기식으로 축조하면 시각적으로 안정되어 보이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패턴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록은 직선형 옹벽은 물론 지형에 따른 임의의 곡률반경으로 이루어진 곡선형 옹벽을 자유로이 축조할 수 있고,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에도 블록의 일부를 절단하거나 떼어내는 일이 없이 원래의 블록 그대로를 사용함으로써 신속한 시공과 더불어 폐자재의 발생이 없으며, 인접하는 블록간의 틈새가 벌어지더라도 블록 후부에 형성된 날개가 상호 겹쳐지는 효과에 의해 블록 후부의 보강토체가 외부에서 보이거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날개에 의해 인접하는 블록이 상호 인터록킹되어 특히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 옹벽 면의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인접하는 블록이 동시에 하나의 보강재에 의해 앵커링 되어 개별 블록이 위치를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보강재의 수평 설치간격을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 보강재의 선단부는 각 블록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거나 인접하는 여러 개의 블록에 함께 연결되어 개별 블록의 위치이탈을 방지하거나 옹벽 블록 후부에 나무를 심거나 기타 배관 등이 매립될 때 보강재와의 간섭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좌우 설치간격을 균일하게 하거나 기타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한 옹벽의 축조가 가능한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2)

  1.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10)과 보강토체 측에 맞닿는 배면(20), 상,하 블록 간의 연결핀 삽입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34)과 연결핀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된 상면(30)과 이 상면(30)에 대응되는 하면(40) 및 좌우로 인접한 블록간 접촉하는 좌,우 측면(50,60)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은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측면(50,60)의 후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70,80)가 형성되되 좌,우측의 날개(70,80)는 상호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고 이 날개(70.80)의 앞 또는 뒷부분에는 인접한 블록의 날개(70,80)가 수용되는 수용홈(52,62)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30)에는 양단이 각각 측면(50,60)과 배면(20)측으로 개방된 "ㅛ"형의 보강재 삽입홈(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2.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10)과 보강토체 측에 맞닿는 배면(20), 상,하 블록 간의 걸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34')와 이 걸림 돌기(34')가 끼워지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된 상면(30)과 이 상면(30)에 대응되는 하면(40) 및 좌,우 측면(50,60)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이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좌,우 측면(50,60)의 후부에는 날개(70,80)가 형성되되 이 날개(70,80)는 상호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날개(70,80)의 앞이나 뒤에는 인접하는 블록의 날개 (70,80)가 수용되는 수용홈(52,62)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30)에는 양단이 각각 측면(50,60)과 배면(20) 측으로 개방된 "ㅛ"형의 보강재 삽입홈(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3.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10)과 보강토체측에 맞닿는 배면(20), 상,하 블록 간의 연결핀(90) 삽입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34)이 형성된 상면(30)과 이 상면(30)에 대응되는 하면(40) 및 좌우로 인접한 블록간 접촉하는 좌,우 측면(50,60)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은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측면(50,60)의 후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70,80)가 형성되되 좌,우측의 날개(70,80)는 상호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고, 이 날개(70,80)의 앞 또는 뒷부분에는 인접하는 다른 블록의 날개가 수용되는 수용홈(52,62)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30)에는 양단이 각각 측면과 배면 측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36)이 좌우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34)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장공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4. 청구항 1,2,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70,80)는 상면(30)보다 낮게 단차(h)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5. 청구항 1,2,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30)의 후부 중간 부분에는 블록의 배면측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36)을 경계로 그 높이가 상면(30)보다 5~10mm정도 낮게 후부 홈(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6. 청구항 1,2,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32)에는 보강재 삽입홈(36)의 중간부분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34)은 상대적으로 전후의 폭이 넓은 상부 확장부(34a)와, 이 상부 확장부(34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대적으로 전후의 폭이 좁은 하부 축소부(34b) 및 상기 상,하부(34a,34b)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테이퍼진 경사부(34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34)의 하부 축소부(34a)와 관통구멍(32)의 전면(32a)은 좌우방향으로 뻗은 가상의 동일선상(L)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34)은 보강재 삽입홈(36) 상에 중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0. 청구항 1,2,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면(50,60)은 계단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1. 청구항 1,2,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10)은 그 좌우측 외곽이 모따기면(12)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12. 청구항 1,2,3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의 날개(70,80) 폭은 블록(B)의 좌우 폭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0050077352A 2005-06-03 2005-08-23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803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569 2005-06-03
KR1020050047569 2005-06-03
KR1020050054809 2005-06-24
KR1020050054809 2005-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340A true KR20060126340A (ko) 2006-12-07
KR100803788B1 KR100803788B1 (ko) 2008-02-15

Family

ID=3773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352A KR100803788B1 (ko) 2005-06-03 2005-08-23 옹벽 축조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7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65B1 (ko) * 2007-05-22 2008-10-28 신혜승 압출 성형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옹벽 축조시스템
EP3846322A1 (en) 2020-01-06 2021-07-07 LG Electronics, Inc. Motor with a cooling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063B1 (ko) 2014-09-18 2016-06-14 삼부토건주식회사 경량 보강토 옹벽 패널 축조방법
KR102148899B1 (ko) * 2019-11-12 2020-10-14 한태훈 옹벽구조물
KR102257315B1 (ko) 2020-10-30 2021-05-27 주식회사 한포스 띠형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 및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121B1 (ko) 1999-10-28 2003-10-10 최충렬 조립식 옹벽 블록
KR200318951Y1 (ko) 2003-04-01 2003-07-04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옹벽블록
KR200366900Y1 (ko) 2004-07-08 2004-11-09 (유) 세일환경블록 식생 녹화용 계단블록
KR200393195Y1 (ko) 2005-05-24 2005-08-18 이정수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394203Y1 (ko) 2005-06-03 2005-09-01 이정수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401232Y1 (ko) 2005-06-24 2005-11-15 이정수 옹벽 축조용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65B1 (ko) * 2007-05-22 2008-10-28 신혜승 압출 성형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옹벽 축조시스템
EP3846322A1 (en) 2020-01-06 2021-07-07 LG Electronics, Inc. Motor with a cool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788B1 (ko) 200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729B2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0674366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824833B1 (ko) 연결고리에 강재핀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암거.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0803788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140134150A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100632966B1 (ko)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200401232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654625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394203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402396Y1 (ko) 식재용 옹벽 블록
KR100660574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839019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393195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412264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592346B1 (ko) 비탈면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200376814Y1 (ko) 원지반 식생용 옹벽블록유닛
KR200374618Y1 (ko)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KR200392562Y1 (ko)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KR100719281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조립체
KR20060118381A (ko) 패널 옹벽에 플라스틱재의 보강재 결합구조
KR100770559B1 (ko) 옹벽축조 구조물
KR200358082Y1 (ko) 조적식 옹벽블록
KR100872999B1 (ko)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