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615B1 - 금형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615B1
KR101474615B1 KR1020120123670A KR20120123670A KR101474615B1 KR 101474615 B1 KR101474615 B1 KR 101474615B1 KR 1020120123670 A KR1020120123670 A KR 1020120123670A KR 20120123670 A KR20120123670 A KR 20120123670A KR 101474615 B1 KR101474615 B1 KR 10147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jig
molds
pai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045A (ko
Inventor
정창무
강용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6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61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 클리닝 장치는 한 쌍의 금형의 외면에 홈의 형상으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금형에 일면이 밀착되는 지그(Jig)에 결합부와 대응되는 돌기 형상의 안내부가 구비되어 상기 안내부와 결합부를 통해 한 쌍의 금형을 정렬(Align)시켜 클램핑(Clamping) 함으로써, 종래의 리드 프레임(Lead frame) 대신 고무시트(Rubber sheet)를 적용한 클리닝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금형 클리닝 장치{MOLD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금형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형 클리닝 장치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에서 상세히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예를 들어, 반도체 칩은 리드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 습도 등의 외적 분위기나 기계적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수지 등으로 포장되고 있다.
통상 반도체 칩의 포장형태는 저융점 합금이나 유리 등으로 기밀하는 기밀포장과 성형금형을 이용하고 수지로 포장하는 비 기밀포장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이때 상기 수지로 포장하는 비 기밀포장시 몇 번의 반복되는 성형포장에 따라 수지가 충전되는 성형금형의 내부, 즉 한 쌍의 성형금형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Cavity) 형성 면에 찌꺼기가 축적되고 있으며, 이는 성형품에 악영향을 주는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성형금형은 일정 간격으로 클리닝을 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특허문헌 1)은 클리닝용 수지 및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성형금형을 클리닝을 하고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즉 상기 클리닝용 시트를 성형금형 사이에 접촉하게 하여 클램프 하고, 상기 클리닝용 수지를 클리닝용 시트에 침투시키면서 성형금형의 내부에 충전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클리닝용 수지가 부착된 클리닝용 시트를 꺼내어 클리닝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을 포함하여 종래의 클리닝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성형금형의 내부에 값비싼 리드 프레임(Lead frame) 대신 클리닝용 시트를 개재한 후 콤파운드(Compound)와 같은 클리닝용 수지를 사용하여 클리닝을 하는 것에 불과하여 에어 벤트(Air vent) 부분의 클리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성형금형을 용이하게 클리닝하기 위해서는 에어 내부의 공기압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아야 하고, 이를 위해 값비싼 리드 프레임을 사용하거나, 클리닝용 시트를 사용하고 있는 것인데,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이를 성형금형 사이에 개재하더라도 상기 성형금형의 정렬(align)이 이루어지지 않는 미스얼라인(Miss align)이 발생할 경우 용이한 클리닝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JP 2008-300856 A
따라서 본 발명은 금형의 미스얼라인에 의해 클리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점은, 금형을 정렬시켜 클리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금형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관점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클리닝 장치는 외면에 결합부가 형성된 한 쌍의 금형;
상기 한 쌍의 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일면이 밀착되는 지그; 및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게 지그에 구비된 안내부;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형 및 지그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면에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형 사이에 고무시트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안내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안내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금형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부에 지그에 구비된 안내부가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금형을 나란히 정렬시킴으로써, 에어 벤트 부분을 포함한 금형 내부의 클리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금형의 클리닝에 종래의 리드 프레임 대신 고무시트의 적용이 가능하여 상기 리드 프레임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클리닝경비의 절감효과를 누릴 수 있다.
한편 상기 금형을 정렬시키기 위한 결합부 및 안내부는 서로 마주보게 또는 엇갈리게 한 쌍으로 구성됨으로써, 금형의 용이한 정렬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클리닝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금형 클리닝 관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클리닝 장치의 지그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클리닝 장치를 통한 금형의 갭 상태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클리닝 장치를 통한 금형의 클램핑 상태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 지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클리닝 장치(1)는 외면에 결합부(12)(13)가 형성된 한 쌍의 금형(Book mold), 상기 한 쌍의 금형(10)(11)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일면이 밀착되는 지그(Cleaning Jig) 및 상기 결합부(12)(13)에 대응되게 지그(20)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금형(10)(11)의 클램핑(Clamping)을 안내하는 안내부(2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금형(10)(11)은 이음면(10a)(11a)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이음면(10a)(11a)에 공동(Cavity)이 형성되어 상기 공동 내에 반도체 칩(Chip)을 배치하고, 상기 공동에 몰드제(EMC)를 충전하여 상기 반도체 칩을 포장하는 반도체장치용 성형금형인 것을 일 예로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금형(10)(11)을 이하에서는 각각 상부금형(Top Mold) 및 하부금형(Bottom Mold)으로 지칭함을 사전에 밝혀둔다.
상기 지그(20)는 전술한 상,하부금형(10)(11)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일면이 밀착되어 지지하게 되며, 이러한 지그(20)를 베이스(Base)로 하여 상기 상,하부금형(10)(11)이 상호 클램핑(Clamping)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그(20)는 상,하부금형(10)(11)과 그 크기가 동일하거나 이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20)에 구비되는 안내부(21)(22) 및 상,하부금형(10)(11)에 형성되는 결합부(12)(13)는 삽입방식으로 상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홈과 돌기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하부금형(10)(11)의 외면에 홈의 형상으로 결합부(12)(13)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지그(20)의 가장자리에 돌기의 형상으로 안내부(21)(2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금형(10)(11)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부(12)(13)에 지그(20)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안내부(21)(22)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안내부(21)(22)를 상,하부금형(10)(11)의 클램핑(Clamping)이 이루어지게 되어 나란히 정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금형 사이에는 고무시트(Rubber sheet)를 포함하는 클리닝소재가 개재되어 상,하부금형(10)(11)의 내부를 클리닝(Cleaning)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하부금형(10)(11)을 정렬시키기 위한 결합부(12)(13)와 안내부(21)(22)는 단독으로도 그 기능을 할 수 있으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게 또는 엇갈리게 형성될 경우 정렬의 용이성 및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듯이, 상,하부금형(10)(11)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위치의 전면에 홈의 형상으로 제1 결합부(12)가 형성되고, 동일한 위치의 후면에 마찬가지로 홈의 형상으로 제2 결합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 결합부(12)(13)와 교차하는 방향인 상,하부금형(10)(11)의 측면에 금형손잡이(14)가 구비되어 클램핑(Clamping) 또는 이동수단으로 활용된다.
이때 상기 제1,2 결합부(12)(13)는 도면상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 결합부(12)(13)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어도 무방하 있다. 이러한 제1,2 결합부(12)(13)는 기존 반도체장치용 성형금형의 외면을 가공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상,하부금형(10)(1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2에서 보듯이, 지그(20)는 상,하부금형(10)(11)보다 다소 큰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금형(11)의 저면에 상면이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도면상 지그(20)의 좌측에 돌기 형상으로 제1 안내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안내부(21)와 엇갈리게 제2 안내부(22)가 도면상 지그(20)의 우측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2 안내부(21)(22)의 외측, 즉 지그(20)의 전면 및 후면에 지그손잡이(23)가 구비되어 전술한 상,하부금형(10)(11)의 금형손잡이(14)와 동일하게 이동수단으로 활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그손잡이(23)가 지그(20)의 전,후면에 구비되는 것은 금형손잡이(14)와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상,하부금형(10)(11)의 클램핑 과정에서 지그손잡이(23)에 의한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그손잡이(23)를 이용하여 지그(20)의 상면을 하부금형(11)의 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그(20)에 구비된 제1,2 안내부(21)(22)를 상기 상,하부금형(10)(11)에 형성된 제1,2 결합부(12)(13)에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 상기 상,하부금형(10)(11)을 클램핑(Clamping) 함으로써, 상기 제1,2 안내부(21)(22) 및 제1,2 결합부(12)(13)를 통한 정렬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 내지 4에서 보듯이, 상,하부금형(10)(11)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이음면(10a)(11a) 상에는 클리닝소재로써, 고무시트(30)가 개재되어 클램핑(Clamping) 상태의 상,하부금형(10)(11)을 클리닝하게 된다.
즉 상기 고무시트(30)가 갭(Gap) 상태의 상,하부금형(10)(11) 사이에 개재된 후 상기 상,하부금형(10)(11)의 클램핑(Clamping) 상태일 경우 이음면(10a)(11a)과 각각 밀착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클리닝 장치(1)는 에어 벤트(Air vent) 부분을 포함하여 반도체장치를 성형하게 되는 금형 표면의 전체적인 클리닝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금형 클리닝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금형 클리닝 장치 10 - 상부금형
11 - 하부금형 10a, 11a - 이음면
12 - 제1 결합부 13 - 제2 결합부
14 - 금형손잡이 20 - 지그
21 - 제1 안내부 22 - 제2 안내부
23 - 지그손잡이 30 - 고무시트

Claims (5)

  1. 클리닝소재가 개재되는 이음면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고, 외면에 홈의 형상으로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와 교차하는 방향의 외면에 금형손잡이가 구비된 한 쌍의 금형(Book mold);
    상기 한 쌍의 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일면이 밀착되며, 금형손잡이와 교차하게 배치되는 지그손잡이가 외면에 구비된 지그(Cleaning Jig); 및
    상기 결합부와 대응되게 지그에 돌기의 형상으로 구비된 안내부;
    를 포함하는 금형 클리닝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형 사이에 고무시트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클리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안내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클리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안내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클리닝 장치.
KR1020120123670A 2012-11-02 2012-11-02 금형 클리닝 장치 KR101474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670A KR101474615B1 (ko) 2012-11-02 2012-11-02 금형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670A KR101474615B1 (ko) 2012-11-02 2012-11-02 금형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045A KR20140057045A (ko) 2014-05-12
KR101474615B1 true KR101474615B1 (ko) 2014-12-18

Family

ID=5088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670A KR101474615B1 (ko) 2012-11-02 2012-11-02 금형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6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740A (ja) * 1999-02-26 2000-09-12 Daiichi Seiko Kk 半導体封止金型用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
JP2008229656A (ja) * 2007-03-20 2008-10-02 Epson Toyocom Corp プレス成形治具およびプレス被成形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740A (ja) * 1999-02-26 2000-09-12 Daiichi Seiko Kk 半導体封止金型用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
JP2008229656A (ja) * 2007-03-20 2008-10-02 Epson Toyocom Corp プレス成形治具およびプレス被成形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045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41098A (en) Method of forming a leaded molded array package
US7595017B2 (en) Method for using a pre-formed film in a transfer molding process for an integrated circuit
TWI264783B (en)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molding jig, method of manufacturing package molding jig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package molding jig
CN1980324A (zh) 数码相机模组制程
KR101474615B1 (ko) 금형 클리닝 장치
KR200478344Y1 (ko) 립스틱블록을 이용한 립스틱 제조 공정 및 립스틱블록
JP4153862B2 (ja) 半導体樹脂封止用金型
US7154165B2 (en) Flashless lead frame with horizontal singulation
JP533340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6086166B1 (ja) 樹脂封止用金型、樹脂封止装置及び樹脂封止方法
KR101133295B1 (ko) 진공척용 진공밀착패드
CN213140544U (zh) 一种自吸咐胶盒吸嘴取料装置
JP4464366B2 (ja) 圧縮成形金型のクリーニング方法
CN101312112A (zh) 芯片封装外引线成型模具
JP2008137334A (ja) 樹脂封止装置
CN208468918U (zh) 一种塑料模具模芯导向结构
JP6663294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10137118B (zh) 一种引线框架防护载具装置
KR101730107B1 (ko) 기준홀 가공용 고정지그 어셈블리
JP4309234B2 (ja) 減圧成形対応金型装置の下型チェイス交換方法
CN210593345U (zh) 一种石英舟的包装装置
CN214520733U (zh) 一种用于纸浆模塑切边刀模的标准限位块
CN211661359U (zh) 一种轴承打标机用工件固定装置
CN111546568B (zh) 电子器件的制造方法
JP6024127B2 (ja) 中空パッケージ成型用の金型、中空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