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123B1 - 배선기판 및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배선기판 및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123B1
KR101474123B1 KR1020130044702A KR20130044702A KR101474123B1 KR 101474123 B1 KR101474123 B1 KR 101474123B1 KR 1020130044702 A KR1020130044702 A KR 1020130044702A KR 20130044702 A KR20130044702 A KR 20130044702A KR 101474123 B1 KR101474123 B1 KR 101474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oard
intermediate portion
groove
siz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483A (ko
Inventor
김대욱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123B1/ko
Priority to US13/938,764 priority patent/US20140313402A1/en
Priority to CN201310296815.4A priority patent/CN104125703A/zh
Publication of KR2014012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3Stretchable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1Optical component, e.g. opto-electronic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9Non-printed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선기판은 일 단에 형성되는 제1연결부; 타 단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주름이 형성되는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은, 배선기판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1크기의 반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의 제1주름; 및 배선기판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돌출되고 제2크기의 반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의 제2주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크기와 상기 제2크기는 서로 다른 크기이고, 상기 중간부에는 상기 중간부의 좌우 휘어짐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배선기판 및 카메라 모듈{Printed circuit board and camera module}
본 발명은 배선 기판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된 부품들 간의 연결이 용이한 배선 기판 및 휴대용 단말기기에 장착이 용이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단말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성능 및 기능이 점차 복잡해지고 다양화되고 있다. 일 예로, 휴대용 전자기기에는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고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은 그 기능 및 성능이 지속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그 크기를 소형화하는데 점차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이에 반해 휴대용 전자기기는 점차 소형화되고 있으며,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차지하는 카메라 모듈의 장착공간은 점차 협소해지고 있다.
따라서, 협소한 공간에서도 장착이 용이한 카메라 모듈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은 가요성 배선판(30)에 슬릿(88)을 형성하여 CCD 소자(36)와 커넥터(29) 사이의 거리변경을 가능케 하는 기술사상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소개된 발명은 CCD 소자(36)와 커넥터(29) 간의 거리변경을 가능케 하기 위해 상당한 길이의 중계부(94)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특허문헌 1은 상기 중계부(94)가 배선판(30)의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므로 촬상 모듈(26)을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하는데 상당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9-128521호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이 용이한 배선기판 및 협소한 공간에서도 장착이 용이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은 일 단에 형성되는 제1연결부; 타 단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주름이 형성되는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은, 배선기판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1크기의 반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의 제1주름; 및 배선기판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돌출되고 제2크기의 반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의 제2주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크기와 상기 제2크기는 서로 다른 크기이고, 상기 중간부에는 상기 중간부의 좌우 휘어짐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에서 상기 주름은 종단면을 기준으로 0.2 ~ 0.8㎜의 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에서 상기 주름은 종단면을 기준으로 0.2 ~ 0.8㎜의 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에서 상기 중간부의 두께는 120 ~ 2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에서 상기 중간부의 두께는 140 ㎛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에서 상기 홈은, 상기 중간부의 제1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홈; 및 상기 중간부의 제2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에서 상기 제1연결부에는 이방성 접착 필름(ADF)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에는 다수의 접속 핀을 포함하는 연결 단자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유닛; 연결 단자; 및 상기 렌즈 유닛의 이미지 센서와 상기 연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배선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은, 배선기판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1크기의 반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의 제1주름; 및 배선기판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돌출되고 제2크기의 반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의 제2주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크기와 상기 제2크기는 서로 다른 크기이고, 상기 배선기판에는 상기 배선기판의 좌우 휘어짐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주름은 종단면을 기준으로 0.2 ~ 0.8㎜의 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주름은 종단면을 기준으로 0.4㎜의 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배선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연결되는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중간부의 두께는 120 ~ 2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중간부의 두께는 140 ㎛일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홈은, 상기 중간부의 제1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홈; 및 상기 중간부의 제2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선기판은 좁은 공간에 장착되는 전자부품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설치 공간의 제약이 없으므로 소형 전자기기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선기판의 다른 형태에 따른 A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선기판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A의 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배선기판의 변형 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배선기판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선기판의 다른 형태에 따른 A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선기판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A의 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배선기판의 변형 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배선기판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100)은 회로패턴이 인쇄된 기판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배선기판(100)은 수지재질의 필름에 도전성 금속이 인쇄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배선기판(100)의 근간을 이루는 수지재질은 폴리이미드일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상기 수지재질은 폴리이미드 외 다른 수지계열의 재질로 변경 또는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도전성 금속은 Cu, Ag 등 전기전도도가 높은 금속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Cu 또는 Ag을 포함하는 합금 금속일 수 있다.
배선기판(100)은 휘어짐이 가능한 가요성 기판일 수 있다. 즉, 배선기판(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재질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배선기판(100)의 일 부분만이 수지재질로 이루어져 해당 부분만이 구부러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배선기판(100)은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된 2개 이상의 전자부품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선기판(100)은 렌즈 유닛의 이미지 센서와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 회로기판을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배선기판(100)의 연결대상인 이미지 세서와 주 회로기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른 서로 다른 전자부품을 연결할 수 있다.
배선기판(100)은 제1연결부(110), 제2연결부(120), 중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배선기판(100)은 전자부품 또는 주 회로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도록 연결 단자(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서는 연결 단자(300)가 배선기판(100)의 제2연결부(120)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0)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110)는 배선기판(100)의 일 단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연결부(110)는 인쇄회로패턴(도시되지 않음)이 노출되는 배선기판(100)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제1연결부(110)는 전자부품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연결부(110)에는 연결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연결부(110)는 전자부품의 탑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결부(110)에는 인쇄회로패턴의 단자가 일정한 형태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전자부품은 이러한 인쇄회로패턴에 솔더링, 와이어본딩, 이방성 접착 필름을 통한 접합 등의 방법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연결부(110)는 배선기판(100)에서 소정의 강도를 갖는 부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연결부(110)가 형성되는 부분은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성 기판일 수 있다. 그러나 제1연결부(110)의 재질이나 특성이 경성 기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필름재질의 가요성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연결부(120)는 배선기판(100)의 타 단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연결부(120)는 인쇄회로패턴(도시되지 않음)이 노출되는 배선기판(100)의 다른 부분일 수 있다. 제2연결부(120)는 다른 전자부품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연결부(120)에는 연결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연결부(120)는 전자부품의 탑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연결부(120)에는 인쇄회로패턴의 단자가 일정한 형태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전자부품은 이러한 인쇄회로패턴에 솔더링, 와이어본딩, 이방성 접착 필름을 통한 접합 등의 방법으로 접속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120)에 연결 단자(30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120)는 배선기판(100)에서 소정의 강도를 갖는 부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연결부(120)가 형성되는 부분은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성 기판일 수 있다. 그러나 제2연결부(120)의 재질이나 특성이 경성 기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필름재질의 가요성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부(130)는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명세서에서 중간부(130)는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0)의 사이 영역을 모두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중간부(130)는 배선기판(100)에서 휘어짐이 가능한 부분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중간부(130)는 제1연결부(110) 및 제2연결부(120)와 다른 재질일 수 있다. 즉, 중간부(130)는 경성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0)를 연결하는 가요성 기판일 수 있다. 그러나 중간부(130)의 재질 및 특성이 연결부(110, 120)와 다른 재질 및 다른 특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연결부(110, 12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t)를 가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중간부(130)의 두께(t)는 120 ~ 20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40 ㎛일 수 있다. 여기서, 200 ㎛는 기판의 휘어짐을 가능케 하는 최대 두께일 수 있고, 120 ㎛는 인쇄회로패턴을 포함할 수 있는 기판의 최소 두께일 수 있다.
중간부(130)에는 주름(140)이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중간부(130)에는 배선기판(100)의 길이방향(도 1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주름(140)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서는 3개의 주름(140)이 중간부(13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중간부(130)에 형성되는 주름(140)의 수가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주름(140)은 하나 이상의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중간부(130)에서 주름(140)이 형성된 부분의 측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호 형상의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호의 반지름(R1)은 0.2 ~ 0.8㎜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4㎜일 수 있다. 참고로, 0.2㎜는 주름(140)을 통한 배선기판(100)의 수축 및 신장(도 1 기준으로 X축 방향)을 가능케 하는 최소 크기일 수 있고, 0.8㎜는 일정한 길이의 중간부(130)에 다수의 주름(140)을 형성할 t수 있는 최적화된 크기일 수 있다. 즉, 상기 원호의 반지름(R1)이 0.8㎜를 초과하면 중간부(130)에 형성할 수 있는 주름(140)의 수가 상기 최적 범위(0.2 ~ 0.8㎜)의 경우보다 적어질 수 있다. 주름(140)과 주름(140)의 간격(S1)은 주름(140)의 반지름(R1)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간격(S1)이 반지름(R1)보다 반드시 커야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임의의 크기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중간부(130)의 주름(140, 14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일 변형 형태에 따른 제1주름(140)과 제2주름(1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반지름(R1, R2)을 갖는 복수의 원호가 상하 교번으로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주름(140, 142)은 모든 원호의 반지름이 동일하므로, 지그를 통한 성형이 용이할 수 있다.
또는, 다른 변형 형태에 따른 제1주름(140)과 제2주름(14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의 반지름(R1, R2)을 갖는 복수의 원호가 상하 교대로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주름(140, 142)은 배선기판(100)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이종의 신장 및 신축 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배선기판(100)의 배치형태에 대한 세밀한 맞춤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배선기판(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130)의 변형을 통해 설계 추정치 보다 원거리에 있거나 또는 근거리에 위치한 전자부품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배선기판(100)은 주름(140)의 수축 또는 확장을 통해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0) 간의 거리가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100)은 전자부품들 간의 이격 거리가 설계와 달리 멀거나 가까워도 이들 전자부품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130)의 변형을 통해 어긋나게 배치된 전자부품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배선기판(100)은 주름(140)의 비대칭적인 변형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100)은 전자부품들의 배치위치가 설계와 달리 어긋나있어도 이들 전자부품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을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에서 전술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전술된 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판(100)은 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배선기판(100)이 중간부(130)에는 하나 이상의 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홈(150)은 중간부(130)의 어느 곳에나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홈(150)은 중간부(13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주름(140)이 형성된 부분이나 주름(14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홈(1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140)이 없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140)이 형성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홈(1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140)이 형성된 부분 전체에 걸쳐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130)의 양측 가장자리에 지그재그 형태(즉,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부(130)에 형성되는 홈(150)은 배선기판(100)의 Y축 방향(도 7 기준임)으로의 휘어짐 또는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배선기판(100), 렌즈 유닛(200), 연결단자(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 유닛(200)과 배선기판(100)의 용이한 접합을 위해 이방성 접착 필름(400, AD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선기판(100)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배선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배선기판(100)의 중간부(130)에는 배선기판(100)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의 변형을 가능케 하는 복수의 주름(140)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유닛(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와 이미지 센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렌즈 유닛(200)은 이미지 센서(210)로 피사체의 상을 선명하게 투영시키기 위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유닛(200)은 배선기판(100)의 제1연결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렌즈 유닛(200)의 이미지 센서(210)는 이방성 접착 필름(400)을 매개로 배선기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배선기판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중간부(130)의 주름(140)을 통해 제1연결부(110)와 제2연결부(12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배선기판(100)의 길이를 불필요하게 길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배선기판(100)의 길이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카메라 모듈(1000)의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다.
둘째, 배선기판의 끊김으로 인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배선기판(100)이 수직방향으로 꺾이지 않으므로, 배선기판(100)의 접촉불량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카메라 모듈(1000)에서 배선기판(100)은 곡선 형상의 주름(140)을 가지므로, 배선기판(100)을 용이하게 접거나 또는 구부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에 따르면 배선기판(100)의 끊김 현상으로 인한 카메라 모듈(1000)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셋째, 설치공간의 제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배선기판(100)이 주름(140)을 통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00)의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카메라 모듈(1000)과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회로기판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배선기판
110 제1연결부
120 제2연결부
130 중간부
140 주름
150 홈
200 렌즈 유닛
210 이미지 센서
300 연결 단자
1000 카메라 모듈

Claims (18)

  1. 일 단에 형성되는 제1연결부;
    타 단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주름이 형성되는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은,
    배선기판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1크기의 반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의 제1주름; 및
    배선기판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돌출되고 제2크기의 반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의 제2주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크기와 상기 제2크기는 서로 다른 크기이고,
    상기 중간부에는 상기 중간부의 좌우 휘어짐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배선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종단면을 기준으로 0.2 ~ 0.8㎜의 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인 배선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종단면을 기준으로 0.4㎜의 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인 배선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의 두께는 120 ~ 200 ㎛ 인 배선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의 두께는 140 ㎛인 배선기판.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중간부의 제1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홈; 및
    상기 중간부의 제2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는 배선기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에는 이방성 접착 필름(ADF)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에는 다수의 접속 핀을 포함하는 연결 단자가 장착되는 배선기판.
  10. 렌즈 유닛;
    연결 단자; 및
    상기 렌즈 유닛의 이미지 센서와 상기 연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배선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은,
    상기 배선기판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1크기의 반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의 제1주름; 및
    상기 배선기판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돌출되고 제2크기의 반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의 제2주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크기와 상기 제2크기는 서로 다른 크기이고,
    상기 배선기판에는 상기 배선기판의 좌우 휘어짐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종단면을 기준으로 0.2 ~ 0.8㎜의 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인 카메라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종단면을 기준으로 0.4㎜의 지름을 갖는 원호 형상인 카메라 모듈.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연결되는 중간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의 두께는 120 ~ 200 ㎛ 인 카메라 모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의 두께는 140 ㎛인 카메라 모듈.
  17. 삭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중간부의 제1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홈; 및
    상기 중간부의 제2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30044702A 2013-04-23 2013-04-23 배선기판 및 카메라 모듈 KR101474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702A KR101474123B1 (ko) 2013-04-23 2013-04-23 배선기판 및 카메라 모듈
US13/938,764 US20140313402A1 (en) 2013-04-23 2013-07-10 Wiring substrate and camera module
CN201310296815.4A CN104125703A (zh) 2013-04-23 2013-07-16 布线基板及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702A KR101474123B1 (ko) 2013-04-23 2013-04-23 배선기판 및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483A KR20140126483A (ko) 2014-10-31
KR101474123B1 true KR101474123B1 (ko) 2014-12-17

Family

ID=5172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702A KR101474123B1 (ko) 2013-04-23 2013-04-23 배선기판 및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13402A1 (ko)
KR (1) KR101474123B1 (ko)
CN (1) CN1041257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09527A1 (en) * 2013-10-17 2015-04-23 Shant Tchakerian Wand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2542797B1 (ko) * 2015-01-13 2023-06-14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이방 도전성 필름
US10959326B2 (en) * 2017-11-07 2021-03-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Stretchable circuit substrate and article
US10925156B2 (en) * 2018-09-30 2021-02-16 HKC Corporation Limited Circuit board structure and display panel
JP7258508B2 (ja) * 2018-10-12 2023-04-17 新思考電機有限公司 撮像素子への給電装置、これを備える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CN111326662B (zh) * 2018-12-14 2022-06-24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可拉伸衬底及其制备方法、可拉伸显示装置
CN111665677B (zh) * 2020-04-29 2022-04-08 高瞻创新科技有限公司 折叠电路板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25703A (zh) 2014-10-29
US20140313402A1 (en) 2014-10-23
KR20140126483A (ko)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123B1 (ko) 배선기판 및 카메라 모듈
CN107077044A (zh) 相机组件
JP6177043B2 (ja) コンタクト部材
CN111050037A (zh) 照相装置、电子设备及其给摄像元件供电的装置
TWI664881B (zh) 零件模組
CN105324710A (zh) 相机模块
US11895793B2 (en) Image pickup unit and imaging apparatus
JP2006134696A (ja) オートフォーカス機能付カメラモジュールと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4014575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付き回路基板および回路基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接続構造
JP4552784B2 (ja) 撮像素子の固定構造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並びに撮像装置
JP6214053B2 (ja) 圧接コネクタ
US9831583B2 (en) Connector
TWI736954B (zh) 攝像頭裝置及移動終端
JP2005515509A (ja) 焦点調節可能なカメラ
JP2006521677A (ja) 高密度電気コネクタ
JP2014011048A (ja) コンタクト部材
JP2019040799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5041379B2 (ja) 積層型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I758549B (zh) 基板積層體、及攝像裝置
JP2018147857A (ja) 接続装置、電子部品、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9037773A (ja) コネクタ、ケーブル接続構造、電子機器及びコネクタと基板の接続方法
JP4431534B2 (ja) プリント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322456B1 (ko) 표면실장형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JP2011086689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取付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8176973A (ja) 接合部材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