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847B1 - 진공 인터럽터 - Google Patents

진공 인터럽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847B1
KR101473847B1 KR20130107973A KR20130107973A KR101473847B1 KR 101473847 B1 KR101473847 B1 KR 101473847B1 KR 20130107973 A KR20130107973 A KR 20130107973A KR 20130107973 A KR20130107973 A KR 20130107973A KR 101473847 B1 KR101473847 B1 KR 101473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ection
contact surface
movable contact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01H33/6643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having disc-shaped contacts subdivided in petal-like segments, e.g. by helical groo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64Protective enclosures, baffle plates, or screens for contacts
    • H01H1/66Contacts sealed in an evacuated or gas-filled envelope, e.g. magnetic dry-re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01H33/6646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having non flat disc-like contact surfa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인터럽터에 관한 것으로서, 진공용기, 상기 진공용기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고정접점 및 상기 진공용기의 내부 타 측에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접점을 구비한 진공 인터럽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을 각각 구비하여 평탄한 배면을 가지는 원반형상을 구비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날개부는, 제1두께 및 제1직경을 구비하여 상기 배면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되고 통전시 접촉되는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의 외측에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접촉면에 대한 축방향 이격거리가 증가할 수 있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 경사면은 상기 접촉면으로부터의 최대이격거리는 상기 제1두께의 25 내지 5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절연 성능 및 내용착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본 발명은, 진공 인터럽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성능 및 내용착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진공 인터럽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는, 진공 상태에서 아크를 소호하여 사고 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구비한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진공 인터럽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인터럽터는, 진공용기(10)와, 상기 진공용기(10)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고정접점(30), 및 상기 진공용기(10)의 내부 타 측에 상기 고정접점(30)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접점(50)을 구비한다.
상기 진공용기(10)의 일 측 단부(상단부)에는 고정전극봉(2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전극봉(20)의 내측 단부(하단부)에는 고정접점(30)이 연결된다.
상기 진공용기(10)의 타 측 단부(하단부)에는 가동전극봉(40)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전극봉(40)의 둘레에는 상기 가동전극봉(40)의 이동 시 신축되는 벨로즈(45)가 마련된다.
상기 가동전극봉(40)의 내측 단부(상단부)에는 가동접점(50)이 연결된다.
상기 고정접점(30) 및 가동접점(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반형상을 형성된다.
상기 고정접점(30) 및 가동접점(50)은, 복수의 날개부(51) 및 상기 날개부(51)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61)을 구비한다.
상기 각 날개부(51)는 대략 "L"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각 날개부(51)는, 다른 접점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접촉면(53)과, 상기 접촉면(53)의 둘레에 형성되는 경사면(55)을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진공 인터럽터에 있어서는, 접촉면(53)의 직경(b)이 접점(날개부(51)의 최대 외경(a)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경사면(55)의 상기 접촉면(53)으로부터의 최대 이격 거리(c)가 접점 전체 두께(d)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접점(30) 및 가동접점(50) 사이에 형성되는 아크(pre-arcing)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30) 및 가동접점(50)의 순간 용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접점(30) 및 가동접점(50)의 개극시 용착부(미도시)가 파단되므로 상기 고정접점(30) 및/또는 가동접점(5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용착부(파단부)는 절연 회복에 불리하므로 절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절연 성능 및 내용착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진공 인터럽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진공용기, 상기 진공용기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고정접점 및 상기 진공용기의 내부 타 측에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접점을 구비한 진공 인터럽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을 각각 구비하여 평탄한 배면을 가지는 원반형상을 구비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날개부는, 제1두께 및 제1직경을 구비하여 상기 배면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되고 통전시 접촉되는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의 외측에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접촉면에 대한 축방향 이격거리가 증가할 수 있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 경사면은 상기 접촉면으로부터의 최대이격거리는 상기 제1두께의 25 내지 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인터럽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각 접촉면의 제1직경은 상기 각 날개부의 최대외경의 65 내지 7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과 상기 경사면이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단차부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날개부가 단차부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각 접촉면의 제1직경은 상기 각 날개부의 최대외경의 50 내지 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의 상기 접촉면으로부터의 두께는 상기 제1두께의 5 내지 3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날개부의 테두리에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게 형성된 외측라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상기 날개부의 최대 외경측으로 개방된 제1구간과, 상기 제1구간에서 상기 날개부의 중심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제2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1구간 및 제2구간의 상기 접촉면측 테두리에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게 형성된 내측라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날개부의 중앙영역에는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테두리에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게 중앙라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성능 및 내용착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진공 인터럽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접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가동접점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가동접점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는, 진공용기(110), 상기 진공용기(110)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고정접점(130a) 및 상기 진공용기(110)의 내부 타 측에 상기 고정접점(130a)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접점(150a)을 구비한 진공 인터럽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130a) 및 가동접점(150a)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부(151); 및 상기 날개부(151)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161);을 각각 구비하여 평탄한 배면(152)을 가지는 원반형상을 구비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날개부(151)는, 제1두께(d) 및 제1직경(b)을 구비하여 상기 배면(152)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되고 통전시 접촉되는 접촉면(153a); 및 상기 접촉면(153a)의 외측에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접촉면(153a)에 대한 축방향 이격거리가 증가할 수 있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55a);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 경사면(155a)은 상기 접촉면(153a)으로부터의 최대이격거리(c)는 상기 제1두께(d)의 25 내지 5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용기(110)는, 예를 들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용기(110)는, 예를 들면,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용기(110)의 일 단부(예를 들면 상단부)에는 고정전극봉(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전극봉(120)의 내측 단부(하단부)에는 고정접점(130a)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공용기(110)의 타 단부(예를 들면 하단부)에는 가동전극봉(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전극봉(140)의 내측 단부(상단부)에는 가동접점(150a)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전극봉(140)의 둘레에는 상기 가동전극봉(140)의 이동시 신축 가능한 벨로즈(14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130a) 및 가동접점(150a)의 둘레에는 쉴드부재(1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쉴드부재(147)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접점(130a) 및 가동접점(150a)은, 소정 직경의 원반형상으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접점(130a) 및 가동접점(150a)은 평탄한 배면(152)을 구비하게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130a) 및 가동접점(150a)은 서로 유사한 구조를 구비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가동접점(150a)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가동접점(150a)은,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부(151); 및 상기 날개부(151)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161);을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날개부(151)는 대략 "L"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접점(150a) 및 고정접점(130a)의 각 날개부(151)는 상기 고정접점(130a) 및 가동접점(150a) 사이에 형성된 아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날개부(151)는, 제1두께(d) 및 제1직경(b)을 구비하여 상기 배면(152)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되고 통전시 접촉되는 접촉면(153a); 및 상기 접촉면(153a)의 외측에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접촉면(153a)에 대한 축방향 이격거리가 증가할 수 있게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55a);을 각각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경사면(155a)은 상기 접촉면(153a)으로부터의 최대이격거리(c)가 상기 제1두께(d)의 25 내지 5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접촉면(153a)의 제1직경(b)은 상기 각 날개부(151)의 최대외경(a)의 65 내지 75%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50a) 및 가동접점(150a)의 개폐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용착 발생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착 성능이 제고될 수 있다.
상기 각 날개부(151)의 중앙영역에는 축방향(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된 함몰부(157)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50a)과 고정접점(130a)의 접촉 및 분리 시 상기 가동접점(150a)과 상기 고정접점(130a) 사이에 발생하게 되는 아크가 상기 함몰부(157)의 주변, 즉 상기 가동접점(150a) 및 고정접점(130a)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된 지점에 형성되므로 아크의 구동이 그만큼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의 소호가 용이하게 되어 차단성능이 제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접점(150a) 및 고정접점(130a) 사이에 형성되는 아크는 상기 가동접점(150a) 및 고정접점(130a)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아크의 구동(회전 및 이동)이 곤란하게 된다.
상기 각 날개부(151) 사이에는 미리 설정된 폭을 가지는 슬롯(16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슬롯(161)은, 예를 들면, 상기 날개부(151)의 최대 외경측으로 개방된 제1구간(162a)과, 상기 제1구간(162a)에서 상기 날개부(151)의 중심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제2구간(162b)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날개부(151)의 외측 테두리에는 미리 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외측라운드부(17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날개부(151)의 외측 테두리영역은 상기 가동접점(150a) 및 고정접점(130a) 사이의 최대전계가 집중된다는 점에서 최대전계집중부라 정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각 날개부(151)의 외측 테두리영역에 최대전계가 집중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라운드부(171)는 상기 가동접점(150a)의 최대외경(a)의 80~1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간(162a) 및 제2구간(162b)의 상기 접촉면(153a)측 테두리에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게 형성된 내측라운드부(17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157)의 테두리에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게 중앙라운드부(1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50a)의 중심에는 상기 가동접점(150a)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체결부재삽입공(159)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가동접점(150a)과 상기 고정접점(130a)이 접촉되는 투입 시, 상기 가동접점(150a)이 상기 고정접점(130a)에 접근하게 되면 돌입전류 등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130a)과 가동접점(150a) 사이에 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동접점(150a) 및 고정접점(130a)은 상기 각 날개부(151)의 접촉면(153a)의 외경(b)이 최대외경(a)의 65 내지 75%로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개폐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130a) 및 가동접점(150a)의 용착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고정접점(130a)과 가동접점(150a)의 표면에 용착 발생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절연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가동접점(150a) 및 고정접점(130a)은 상기 각 날개부(151)의 경사면(155a)의 높이(c)가 상기 가동접점(150a) 및 고정접점(130a)의 전체두께(d)의 25 내지 53%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날개부(151)의 외측 테두리영역에 최대전계 집중되는 것을 그만큼 완화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일부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인터럽터는, 진공용기(110), 상기 진공용기(110)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고정접점(130b) 및 상기 진공용기(110)의 내부 타 측에 상기 고정접점(130b)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접점(150b)을 구비한 진공 인터럽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130b) 및 가동접점(150b)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부(151); 및 상기 날개부(151)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161);을 각각 구비하여 평탄한 배면(152)을 가지는 원반형상을 구비하게 형성되고, 상기 각 날개부(151)는, 제1두께(d) 및 제1직경(b)을 구비하여 상기 배면(152)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되고 통전시 접촉되는 접촉면(153b); 및 상기 접촉면(153b)의 외측에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접촉면(153b)에 대한 축방향 이격거리가 증가할 수 있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55b);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 경사면(155b)은 상기 접촉면(153b)으로부터의 최대이격거리(c)는 상기 제1두께(d)의 25 내지 53%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진공 인터럽터의 가동접점(150b) 및 고정접점(130b)은 구조가 상호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가동접점(150b)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동접점(150b)은,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날개부(151) 및 상기 날개부(151)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161)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161)은, 예를 들면, 상기 날개부(151)의 최대 외경측으로 개방된 제1구간(162a)과, 상기 제1구간(162a)에서 상기 날개부(151)의 중심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제2구간(162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날개부(151)는 대략 "L"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접점(150b) 및 고정접점(130b)의 각 날개부(151)는 상기 가동접점(150b) 및 고정접점(130b) 사이에 형성된 아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날개부(151)는, 제1두께(d) 및 제1직경(b)을 구비하여 상기 배면(152)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되고 통전시 접촉되는 접촉면(153b); 및 상기 접촉면(153b)의 외측에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접촉면(153b)에 대한 축방향 이격거리가 증가할 수 있게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55b);을 각각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경사면(155b)은 상기 접촉면(153b)으로부터의 최대이격거리(c)가 상기 제1두께(d)의 25 내지 53%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130b) 및 가동접점(150b) 간 절연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진공 인터럽터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151)는 상기 접촉면(153b)과 상기 경사면(155b)이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단차부(18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181)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곡률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면(155b)의 시작지점은 상기 날개부(151)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면(153b)의 최외곽지점으로부터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각 날개부(151)는 상기 접촉면(153b)과 상기 경사면(155b)이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하는 단차부(18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접촉면(153b)의 제1직경(b) 및 상기 경사면(155b)의 축방향 두께(c)(즉 경사면(155b)의 기울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경사면(155b)의 축방향 두께(c)는, 상기 제1두께(d)의 18%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181)의 축방향 두께(e)는, 예를 들면, 상기 경사면(155b)의 축방향 두께(c)를 제외하므로 상기 제1두께(d)의 7 내지 35%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차부(181)의 두께(e)가 35%를 초과할 경우 상기 고정접점(130b) 및 가동접점(150b) 사이의 아크가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지 못하고 찢어(분리)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오히려 차단성능이 저해될 수 있다.
상기 각 날개부(151)가 단차부(181)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접촉면(153b)의 제1직경(b)은 상기 가동접점(150b)의 최대외경(a)의 50 내지 80%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면(153b)의 제1직경(b)이 상기 최대외경(a)의 50% 미만이면 스위칭 시험시 접점간 재점호(restrike)가 발생되고 이때 용착 등에 의한 접점 손상이 증가하게 되어 수명이 단축될 수 있고 접점 표면의 용착부 등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절연회복 성능이 저해될 수 있다.
상기 각 날개부(151)의 외측 테두리에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구비한 외측라운드부(1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슬롯(161)의 제1구간(162a) 및 제2구간(162b)의 모든 테두리에는 내측라운드부(17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날개부(151)의 중앙에는 상기 접촉면(153b)에 대해 축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함몰부(15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57)의 테두리에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게 중앙라운드부(17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가동접점(150b)과 상기 고정접점(130b)이 접촉되는 투입 시, 상기 가동접점(150b)이 상기 고정접점(130b)에 접근하게 되면 돌입전류 등에 의해 상기 고정접점(130b)과 가동접점(150b) 사이에 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동접점(150b) 및 고정접점(130b)은 각각 접촉면(153b), 경사면(155b) 및 단차부(18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가동접점(150b) 및 고정접점(130b) 사이에 형성된 아크가 원활하게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어 신속하게 소호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50b) 및 고정접점(130b)의 용착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각 고정접점(130b) 및 가동접점(150b)의 표면이 고르게 유지되므로 절연 회복 성능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접점(130b) 및 가동접점(150b) 사이에 작용하는 최대전계가 상기 각 날개부(151)의 테두리부에 집중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진공용기 120 : 고정전극봉
130a,130b : 고정접점 140 : 가동전극봉
145: 벨로즈 147 : 쉴드부재
150a,150b : 가동접점 151 : 날개부
153a,153b : 접촉면 155a,155b : 경사면
157 : 함몰부 159 : 체결부재삽입공
161 : 슬롯 162a : 제1구간
162b: 제2구간 171 : 외측라운드부
173 : 내측라운드부 175 : 중앙라운드부

Claims (8)

  1. 진공용기, 상기 진공용기의 내부 일 측에 구비되는 고정접점 및 상기 진공용기의 내부 타 측에 상기 고정접점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접점을 구비한 진공 인터럽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을 각각 구비하여 평탄한 배면을 가지는 원반형상을 구비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날개부는,
    제1두께 및 제1직경을 구비하여 상기 배면에 대해 나란하게 형성되고 통전시 접촉되는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의 외측에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접촉면에 대한 축방향 이격거리가 증가할 수 있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 경사면은 상기 접촉면으로부터의 최대이격거리가 상기 제1두께의 25 내지 53%이고,
    상기 각 날개부는 상기 접촉면과 상기 경사면의 시작지점이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단차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단차부의 상기 접촉면으로부터의 두께는 상기 제1두께의 5 내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인터럽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면의 제1직경은 상기 각 날개부의 최대외경의 5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인터럽터.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의 테두리에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게 형성된 외측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인터럽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날개부의 최대 외경측으로 개방된 제1구간과, 상기 제1구간에서 상기 날개부의 중심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제2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1구간 및 제2구간의 상기 접촉면측 테두리에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게 형성된 내측라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인터럽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의 중앙영역에는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테두리에는 미리 설정된 곡률을 구비하게 중앙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인터럽터.
KR20130107973A 2013-09-09 2013-09-09 진공 인터럽터 KR101473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973A KR101473847B1 (ko) 2013-09-09 2013-09-09 진공 인터럽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973A KR101473847B1 (ko) 2013-09-09 2013-09-09 진공 인터럽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847B1 true KR101473847B1 (ko) 2014-12-17

Family

ID=5267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7973A KR101473847B1 (ko) 2013-09-09 2013-09-09 진공 인터럽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8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139A (ko) * 2015-04-22 2016-1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3537A (ja) 2001-06-13 2002-12-26 Hitachi Ltd 真空遮断器用電極とその製造方法及び真空バルブ並びに真空遮断器
KR101085286B1 (ko) * 2010-10-18 2011-11-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3537A (ja) 2001-06-13 2002-12-26 Hitachi Ltd 真空遮断器用電極とその製造方法及び真空バルブ並びに真空遮断器
KR101085286B1 (ko) * 2010-10-18 2011-11-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
JP2012089495A (ja) 2010-10-18 2012-05-10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真空インタラプタの接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139A (ko) * 2015-04-22 2016-1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부
KR101992736B1 (ko) * 2015-04-22 2019-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인터럽터의 접점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1638B1 (en) Vacuum switch and hybrid switch assembly therefor
EP2442338B2 (en) Contact for vacuum interrupter
JP2012164653A (ja) 真空回路遮断器の真空インタラプタ
JP5368150B2 (ja) 開閉器
KR101860348B1 (ko) 진공차단기의 진공인터럽터
CN108987140A (zh) 电触头系统
KR101473847B1 (ko) 진공 인터럽터
JP2012174563A (ja) 電池
JP5629589B2 (ja) 開閉器
EP2897148B1 (en) A contact for a high-voltage vacuum arc extinguishing chamber
CN203521289U (zh) 一种高压真空灭弧室
ES2661248T3 (es) Interruptor de vacío
CN103489699A (zh) 一种高压真空灭弧室
US9679734B2 (en) Fuse link
KR101623404B1 (ko) 진공인터럽터
US20210233727A1 (en) Vacuum circuit breaker
CN102237230B (zh) 用于监控电路的双断路保护开关
CN109964297B (zh) 真空开关设备及其电触头
US9852858B2 (en) Contact of vacuum interrupter
RU2562246C1 (ru) Контактная система вакуумной дугогасительной камеры
JP6351369B2 (ja) 開閉装置
JP2015159030A (ja) ガス遮断器
KR200460494Y1 (ko) 진공회로차단기의 진공인터럽터
KR20180001748U (ko) 진공 인터럽터
KR20230065878A (ko) 컵 모양의 축자계 진공 인터럽터 접점 및 진공 인터럽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