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816B1 -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816B1
KR101473816B1 KR1020130063027A KR20130063027A KR101473816B1 KR 101473816 B1 KR101473816 B1 KR 101473816B1 KR 1020130063027 A KR1020130063027 A KR 1020130063027A KR 20130063027 A KR20130063027 A KR 20130063027A KR 101473816 B1 KR101473816 B1 KR 101473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cmb
solution
core
hybrid capacito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1357A (ko
Inventor
이종대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63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816B1/ko
Publication of KR20140141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G11/86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5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lithium-ion capacitors, e.g. for lithium-doping or for interca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a) Li4Ti5O1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Li4Ti5O12 용액에 MCMB(meso carbon micro beads)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c) Li4Ti5O12 용액과 MCMB의 혼합물을 순환건조오븐에서 100∼110℃로 건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혼합물을 700∼900℃에서 탄화시켜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NEGATIVE ELECTRODE MATERIAL OF CORE-SHELL TYPE FOR HYBRID CAPACITOR}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졸-겔(sol-gel)법을 이용하여 코어-셀 구조의 탄소재를 합성하여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음극으로 사용함으로써 유기 전해질의 변화에 따른 전지의 안정성을 우수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수 전해액계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전극과 전해질간의 계면에서 발생되는 전기 이중층에 전하를 흡, 탈착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기로서 대전류로 충방전이 가능하다. 이에 전기자동차, 보조 전원 등의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유망하다.
종래의 비수 전해액계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활성탄 등의 탄소질 재료를 주체로 하는 양, 음극의 분극성 전극 및 비수 전해액으로 구성된다. 상기 비수 전해액계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내전압성이나, 정전용량에는 비수계 전해액의 조성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비수 전해액은 전해질염과 비수계 유기 용매로 구성되고, 이들 전해질염 및 비수계 유기용매의 조합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 검토되고 있다.
일예로, 전해질염으로서는 4차 암모늄염(일본 특개소 61-32509호 공보, 일본 특개소 63-173312호 공보, 일본 특개평 10-55717호 공보 등)이나, 4차 포스포늄염(일본 특개소 62-252927호 공보 등) 등이 유기용매에서의 용해성, 해리도 및 전기화학적 안정역이 넓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온성 액체인 디 알킬 이미다졸륨염을 전해질 염으로서 사용한 예도 보고되고 있다(일본 특개평 6-61095호 공보, 일본 특개 2002-110472호 공보).
기존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컨덴서의 1종으로, 금속박 집전체에 전극 활물질 층을 형성하여 전극으로 하고, 상기 전극의 한 쌍의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권취한 것이다.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소형이며 대용량이고, 또한 충전 방전에 견딜 수 있으며, 또한, 사용하는 재료적으로도 환경 부하가 적은 잇점이 있다.
이에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비디오, 오디오 등의 전자기기의 메모리의 백업용, 휴대기기의 전지교환시의 보조 전원, 태양전지를 사용하여 시계나 표시등 기기의 축전원 등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소형, 대용량, 대전류를 활용하여, 자동차나 전자 기기의 소형모터나 셀 모터의 기동전원으로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용도를 가지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극은 넓은 비표면적을 통한 고 에너지화, 낮은 비저항을 통한 고 파워화, 그리고 계면에서의 전기화학 반응의 억제를 통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5-0088181호 및 제10-2006-0001658호에서는 활성탄을 소정의 패턴 형태로 도포하여 제조된 분극성 전극을 제안하였다. 또한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5-0056971호는 전해질로 치환기가 알콕시알킬기를 적어도 1개 갖는 4차 암모늄염 및 4차 포스포늄염의 이온성 액체를 사용함을 제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커패시터를 제조하기 위하여, 싸이클 특성이 우수한 LTO와 전도성이 좋은 MCMB를 졸-겔법을 사용하여 합성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전해질 특성이 따른 성능과 싸이클 안정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은,
(a) Li4Ti5O1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Li4Ti5O12 용액에 MCMB(meso carbon micro beads)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c) Li4Ti5O12 용액과 MCMB의 혼합물을 순환건조오븐에서 100∼110℃로 건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혼합물을 700∼900℃에서 탄화시켜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Li4Ti5O1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리튬 소스인 CH3COOLi를 에탄올 용액에 녹인 후에, 티타늄을 천천히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 및 그 후에 초음파 처리를 하고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소성단계는,
아르곤 및/또는 질소가스를 300∼500 cc/분의 속도로 주입하여 반응분위기를 조절하면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소성단계는,
0.1∼10℃/분으로 승온하고 활성화 온도에서 300∼420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서냉하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MCMB/LTO 졸-겔 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어-셀 구조의 합성물을 제조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이 매우 안정한 음극소재를 제조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지의 싸이클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여 제품공정에서 장점이 있는 전극소재를 제조함으로서 전지의 안정성 및 전도성을 향상시켜, 코어-셀 구조의 MCMB/LTO 합성물을 제조하여 다양한 양극활 물질을 사용하여 하이브리드 커패시터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전극 소재를 사용하여 전해액에 따른 전기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전지의 특성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어-셀 전극소재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MCMB/Li4Ti5O12 합성물의 결정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XRD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MCMB/Li4Ti5O12 합성물의 표면 형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4는 음극활물질로 MCMB/Li4Ti5O12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사이클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양극활물질로 활성탄을 사용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순환전압전류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양극활물질로 LiMn2O4을 사용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순환전압전류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싸이클 안정성이 우수한 전극소재를 제조하여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전극에 사용하는 것으로, 첫 번째는 LTO의 단점인 낮은 전기전도도를 보완하고자 전도성이 좋은 탄소재인 MCMB(meso carbon micro beads)를 사용하여 졸-겔 법으로 LTO 입자가 MCMB 표면에 코팅 되어있는 코어-셀(core-shell) 구조의 MCMB-LTO 합성물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MCMB-Li4Ti5O12 합성물을 음극소재로 사용하여 유기 전해질의 변화에 따른 전지의 안정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졸-겔 법을 이용하여 MCMB 표면에 Li4Ti5O12가 코팅된 코어-셀 구조의 MCMB-Li4Ti5O12 합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a) Li4Ti5O12 용액을 제조한다.
리튬 소스인 CH3COOLi를 에탄올 용액에 녹인 후에, 티타늄 소스인 TTIP를 천천히 용액에 분산시킨다. 그 후에 초음파 처리를 하고 12시간 교반한다.
이때, Li : Ti의 화학양론비는 4∼5 : 5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상기 Li4Ti5O12 용액에 MCMB(meso carbon micro beads)를 첨가하여 교반한다.
상기 교반은 70∼8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Li4Ti5O12 용액과 MCMB의 혼합물을 순환건조오븐에서 100∼110℃로 건조한다.
(d) 상기 혼합물을 700∼900℃에서 8시간동안 소성한다.
상기 소성은 아르곤 및/또는 질소가스를 300∼500 cc/분의 속도로 주입하여 반응분위기를 조절하면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성공정은 0.1∼10℃/분으로 승온하고 활성화 온도에서 300∼420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서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공정을 통해 코어-셀 구조의 MCMB-Li4Ti5O12 합성물을 제조하며, 이 합성물을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음극소재로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MCMB-Li4Ti5O12 합성물을 이용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고, 그들 실시예를 통해 측정한 다양한 실험 데이터를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코어-셀 구조의 MCMB/Li4Ti5O12 제조
Sol-gel 법을 이용하여 MCMB 표면에 Li4Ti5O12가 코팅된 코어-셀 구조의 MCMB/Li4Ti5O12 합성물을 제조하였다. Li4Ti5O12를 제조하기 위하여 Lithium source인 CH3COOLi 1g을 에탄올 용액에 녹인 후에 Li : Ti의 화학양론비가 4.2 : 5 가 되도록 Titanium source인 TTIP(titanium tetraisopropoxide)를 천천히 용액에 분산시킨 후 30분간 초음파(Sonication) 처리를 한 후 12시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에 12g의 MCMB를 용액에 첨가한 후에 8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105℃의 순환건조오븐에 넣고 24시간 건조하였다. 그 후에 800℃에서 8시간동안 소성을 하여 MCMB/Li4Ti5O12 최종 합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합성물은 결정도와 결정형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XRD, SEM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제조
Sol-gel법으로 제조한 MCMB/Li4Ti5O12 합성물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음극 전극을 제조하고, 양극 전극은 Li 기반의 금속산화물 소재인 LiMn2O4를 사용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다. 음극 전극은 MCMB/Li4Ti5O12 합성물 : 도전재 : 바인더 = 76 : 17 : 7의 비율로 혼합하여 슬러리를 만든 후, 집전체인 알루미늄 호일에 Applicator로 코팅하여 제조하였으며, 양극 전극은 LiMn2O4 : 도전재 : 바인더 = 85 : 10 : 5의 비율로 혼합하여 음극 전극과 같은 방법으로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음극과 양극 전극의 도전재로는 Super-P를 사용하였으며, 바인더로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BS(Butadiene styrene)을 사용하였다. 유기 전해액은 EC(Ethylene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EMC(Ethyl-methyl carbonate)가 1:1:1의 부피비로 구성된 용액에 1M의 LiPF6 염이 용해된 것을 사용하였다. 코팅된 전극은 100℃ 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150℃에서 4,000 psi의 압력으로 Hot press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100 ㎛)를 갖도록 압착시킨 다음 상온에서 2 X 2 ㎠로 재단하여 전극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음극, 양극의 전극 사이에 분리막을 삽입 후 아르곤(Ar) 분위기의 글러브 박스 내에서 전해질을 넣어주어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셀은 24시간 동안 에이징을 시킨 후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3>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제조
양극 전극을 LiMn2O4 대신에 Active Carbon Fiber(MSP-20)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제조
음극전극으로 MCMB를 사용하고, 양극전극으로 Active Carbon Fiber(MSP-20)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충전용량을 하기 표 2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단위 셀의 전기화학 특성인 충방전 테스트, 사이클 테스트는 WBCS 3000 Battery Cycler (Won A Tec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순환 전압 전류 테스트는 Zive Map MP2(Won A Tec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충방전 테스트는 충전과 방전 시에 5 mA의 전류로 하여 0∼2.5 V의 구동전압을 설정하였고, 충전 시 2.5 V에 도달하면 일정 전압모드로 전지에 과 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충전과정과 방전과정 사이에 5분 정도의 휴지시간을 두어 급격한 전위변화에 대한 전지의 불안정성을 최소화 하면서 충방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순환 전압 전류 테스트는 구동전압을 0∼2.5 V로 하고 5, 10, 15, 20 mV/sec의 scan rate로 전극과 전해액의 계면에 주기적인 전압을 가하여 이때 발생하는 전류 변화를 관찰하였다.
활물질에 따른 전극소재의 전도도
활물질 표면저항(Ω/sq) 전기전도도(S/㎝)
ACF 54 1.85
LiMn2O4 350 0.56
Li4Ti5O12 875 0.13
MCMB/Li4Ti5O12 23 2.90
각각의 활물질 전극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표면저항을 측정하였으며 표면 저항 및 전기전도도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결과를 참조해 보면, Li4Ti5O12의 표면저항이 본 연구에서 사용한 활물질 중 가장 높게 나왔으며, MCMB/Li4Ti5O12 합성 후에는 표면저항이 875 Ω/sq 에서 23 Ω/sq으로 감소하였고 그에 따른 전기전도도도 0.13 S/㎝에서 2.90 S/㎝로 증가하였다.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충전용량
음극 전극 양극 전극 충전용량(F/㎠) 충전용량(F/g)
MCMB/Li4Ti5O12 LiMn2O4 0.41 53
MCMB/Li4Ti5O12 ACF 0.29 51
MCMB ACF 0.02 5
MCMB/Li4Ti5O12 합성물과 MCMB를 음극으로 사용하고, LiMn2O4와 Active Carbon Fiber(MSP-20)를 양극으로 사용하였으며, 전해액은 유기 전해액으로서 EC, DMC, EMC가 1:1:1의 부피비로 구성된 용액에 1M의 LiPF6 염이 용해된 것을 사용하여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단위 셀의 충방전 테스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음극으로는 MCMB, 양극으로 ACF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단위 셀의 단위 무게당 용량은 5 F/g로 가장 낮은 비축전 용량을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양극을 사용하고 음극으론 MCMB/Li4Ti5O12 합성물을 사용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경우에는 51 F/g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축전용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나노 결정 구조의 Li4Ti5O12가 MCMB 표면에 코팅되었기 때문에 전기 전도도가 향상되었으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좋은 용량 특성을 나타냈음을 알게 되었다.
음극으로는 MCMB-Li4Ti5O12 합성물, 양극으로는 LiMn2O4 사용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단위 셀에서의 단위 무게당 용량은 53 F/g로 MCMB-Li4Ti5O12/ACF와 MCMB/Li4Ti5O12 보다 높은 비축전 용량을 나타내었다.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에너지 출력밀도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에너지 밀도(Wh/kg) 출력밀도(W/kg)
MCMB-Li4Ti5O12/ACF 60 634
MCMB-Li4Ti5O12/LiMn2O4 67 781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단위 셀의 에너지밀도와 출력밀도를 계산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MCMB-Li4Ti5O12 합성물을 음극으로, LiMn2O4을 양극으로 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의 에너지 밀도는 67 Wh/kg로 높은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었으며, 출력밀도 또한 781 W/kg로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또한, 졸-겔 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MCMB/Li4Ti5O12 합성물의 결정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XRD를 측정하였으며, 도 2는 MCMB/Li4Ti5O12의 XRD 분석 결과이다.
(111), (311), (400), (511), (440)면의 회절을 통해서 Li4Ti5O12의 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흑연계가 가지고 있는 (002)면의 회절을 통해서 MCMB/Li4Ti5O12의 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MCMB/Li4Ti5O12 합성물의 표면 형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SEM을 측정하였으며 도 3은 분석 결과이다. 구형의 MCMB 표면에 80∼120nm 크기의 미세한 Li4Ti5O12 입자가 균일하게 코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조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셀의 사이클 테스트는 구동전압을 0∼2.5V로 하고, 5mA의 전류를 주면서 20회 실시하였다. MCMB-Li4Ti5O12/ACF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셀은 80%의 사이클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MCMB-Li4Ti5O12/LiMn2O4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셀은 100%의 사이클 안정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MCMB 표면에 부피변화가 없어서 사이클 안정성이 우수한 물질인 Li4Ti5O12를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나타난 결과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조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셀의 순환 전압 전류 테스트는 구동전압을 0∼2.5 V로 하고 5, 10, 15, 20 mV/sec 의 scan rate로 전극과 전해액의 계면에 주기적인 전압을 가하여 이때 발생하는 전류 변화를 관찰하였다. Li4Ti5O12는 Ti3+, Ti4+의 환원 반응에 의하여 1.45V와 1.75V의 영역에서 산화 환원 피크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can rate가 변화함에 따라 피크의 위치가 일정한 것으로 보아 가역적인 산화 환원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을 참조하면, MCMB-Li4Ti5O12/LiMn2O4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셀의 순환 전압 전류 곡선으로 위와 마찬가지로 0∼2.5V의 전압 범위에서 5mV/s, 10mV/s, 15mV/s, 20mV/s로 Scan rate의 변화를 주면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3V∼4V 영역에서 두 쌍의 산화 환원 피크가 생성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또한 가역적인 산화 환원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a) Li4Ti5O1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Li4Ti5O12 용액에 MCMB(meso carbon micro beads)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c) Li4Ti5O12 용액과 MCMB의 혼합물을 순환건조오븐에서 100∼110℃로 건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혼합물을 700∼900℃에서 탄화시켜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소성단계는,
    아르곤 및/또는 질소가스를 300∼500 cc/분의 속도로 주입하여 반응분위기를 조절하며, 0.1∼10℃/분으로 승온하고 활성화 온도에서 300∼420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Li4Ti5O1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리튬 소스인 CH3COOLi를 에탄올 용액에 녹인 후에, 티타늄을 천천히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 및
    그 후에 초음파 처리를 하고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63027A 2013-05-31 2013-05-31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 KR101473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027A KR101473816B1 (ko) 2013-05-31 2013-05-31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027A KR101473816B1 (ko) 2013-05-31 2013-05-31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357A KR20140141357A (ko) 2014-12-10
KR101473816B1 true KR101473816B1 (ko) 2014-12-17

Family

ID=5245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027A KR101473816B1 (ko) 2013-05-31 2013-05-31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용 코어-셀 구조의 음극소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8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613B1 (ko) * 2007-06-22 2011-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전기전도성의 음극재 및 이를 포함하는 고출력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613B1 (ko) * 2007-06-22 2011-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전기전도성의 음극재 및 이를 포함하는 고출력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357A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o et al. Significant role of Al in ternary layered double hydroxides for enhancing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flexible asymmetric supercapacitor
Ding et al. Review of hybrid ion capacitors: from aqueous to lithium to sodium
Fan et al. High-performance potassium ion capacitors enabled by hierarchical porous, large interlayer spacing, active site rich-nitrogen, and sulfur Co-doped carbon
Yu et al. The synthesis of hierarchical ZnCo 2 O 4@ MnO 2 core–shell nanosheet arrays on Ni foam for high-performance all-solid-state asymmetric supercapacitors
Munaiah et al. Facile synthesis of hollow sphere amorphous MnO 2: the formation mechanism, morphology and effect of a bivalent cation-containing electrolyte on its supercapacitive behavior
KR100880552B1 (ko) 고용량 전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구비한 전극 및에너지 저장 장치
KR101383360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Pham-Cong et al. Electrochemical behavior of interconnected Ti2Nb10O29 nanoparticles for high-power Li-ion battery anodes
Mu et al. Enhanced conductivity and structure stability of Ti4+ doped Li3VO4 as an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JP2009231234A (ja) 負極用炭素材料、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搭載品
Zhang et al.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evolution of MnO@ C anode and its application in lithium-ion capacitors
WO2017057603A1 (ja) ゲル電解質用組成物
KR101670353B1 (ko) 이차전지 음극물질로 유용한 Si/C/CNT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Vasanthi et al. Olivine-type nanoparticle for hybrid supercapacitors
CN112951612A (zh) 一种氧化铋负极的水系钠离子电池电容混合器件及其制备方法
Hou et al. Hexagonal-layered Na0. 7MnO2. 05 via solvothermal synthesis as an electrode material for aqueous Na-ion supercapacitors
KR102011050B1 (ko) 파이로프로틴 기반의 다공성 탄소 소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파이로프로틴 기반의 다공성 탄소 소재
Mao et al. Mechanically flexible V3S4@ carbon composite fiber as a high-capacity and fast-charging anode for sodium-ion capacitors
Huang et al. A novel Li-ion supercapattery by K-ion vacant ternary perovskite fluoride anode with pseudocapacitive conversion/insertion dual mechanisms
Chen et al. High-Performance Aqueous Zinc-Ion Batteries Enabled by Binder-Free and Ultrathin V2O5–x@ Graphene Aerogels with Intercalation Pseudocapacitance
KR101098376B1 (ko) 리튬이온 커패시터용 음극 소재 제조방법
Bouharras et al. Evaluation of core–shell poly (vinylidene fluoride)-grafted-Barium titanate (PVDF-g-BaTiO3) nanocomposites as a cathode binder in batteries
KR101138481B1 (ko) 리튬이온 커패시터 및 리튬이온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1850791B1 (ko) 이차전지 음극물질로 유용한 Si/Meso Carbon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JP2012155883A (ja) 電極材料、該電極材料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電極材料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