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733B1 - 탑포일 절곡기 - Google Patents

탑포일 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733B1
KR101473733B1 KR20130135603A KR20130135603A KR101473733B1 KR 101473733 B1 KR101473733 B1 KR 101473733B1 KR 20130135603 A KR20130135603 A KR 20130135603A KR 20130135603 A KR20130135603 A KR 20130135603A KR 101473733 B1 KR101473733 B1 KR 101473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ending
top foil
bas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5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훈
박동창
민성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20130135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1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parts of bearings; sleeves; valve sea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 B21D7/025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and pulling or pushing the ends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movably-arranged forming men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포일이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안착금형, 상기 안착금형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안착금형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금형, 상기 베이스금형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탑포일의 절곡시 절곡 형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탑포일과 접촉되는 부분이 각지게 형성되는 절곡턱, 및 상기 베이스금형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곡턱을 덮도록 돌출되는 프레스부를 구비하여 예비절곡된 상기 탑포일소재를 상기 절곡턱의 형상에 따라 프레스절곡하도록 형성되는 커버금형을 포함하는 탑포일 절곡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탑포일 절곡기{APPARATUS FOR BENDING A TOP FOIL}
본 발명은 래디얼 에어포일 베어링의 부품인 탑포일을 절곡하는 탑포일 절곡기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은 회전하고 있는 기계의 축(軸)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계요소를 가리킨다.
베어링은 크게 축과 베어링의 접촉방법에 따라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과 구름 베어링(rolling bearing)으로 구분하고, 하중의 방향에 따라 래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과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으로 구분한다.
최근에는 고속회전체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메탈메쉬포일베어링, 에어포일 베어링의 사용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의 댐핑효과와 고온환경에서의 베어링 기능을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래디얼 베어링은 지름 방향의 하중을 받는 경우에 쓰이는 것으로써, 특히 베어링의 접촉면 사이에 마찰을 줄여주기 위한 윤활유 대신 공기를 이용하여 윤활작용을 하도록 탑포일(top foil)을 장착한 것을 래디얼 에어포일 베어링(radial air foil bearing, 또는 에어포일 래디얼 베어링)이라 한다.
탑포일은 베어링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체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며, 베어링에 장착되기 위해서는 탑포일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탑포탑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소형(Ø30, 내직경의 크기가 30㎜ 미만)인 탑포일의 경우 손으로 취급하기 어려워 정밀한 제작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이를 절곡하기 위한 절곡기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상대적으로 소형인 래디얼 에어포일 베어링에 사용되는 소형 탑포일을 수작업으로 절곡하기 위한 절곡기를 제안하기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대적으로 소형인 래디얼 에어포일 베어링에 사용되는 소형 탑포일을 균일한 절곡량과 균일한 절곡각도로 제작할 수 있는 절곡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탑포일 절곡기는, 탑포일이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안착금형, 상기 안착금형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안착금형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금형, 상기 베이스금형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탑포일의 절곡시 절곡 형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탑포일과 접촉되는 부분이 각지게 형성되는 절곡턱, 및 상기 베이스금형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곡턱을 덮도록 돌출되는 프레스부를 구비하여 상기 탑포일을 상기 절곡턱의 형상에 따라 프레스절곡하도록 형성되는 커버금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안착금형은, 상기 베이스금형에 장착시 상기 절곡턱을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탑포일을 상기 절곡턱 방향으로 예비절곡하기 위해 삽입되는 지렛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안착금형의 양 단부에는 상기 안착금형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금형에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금형은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금형에 고정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탑포일 절곡기는 상기 탑포일의 정해진 위치에 절곡부위가 형성되도록 상기 탑포일에 접촉되어 상기 탑포일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베이스금형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탑포일에 접촉되는 수지 소재의 볼트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금형은 상기 커버금형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베이스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금형은 상기 베이스금형에 결합시 정해진 위치에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기둥에 대응되는 커버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절곡턱 및 상기 프레스부는 각각 상기 베이스금형 및 상기 커버금형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 탑포일 소재를 프레스절곡 하기 전에 예비절곡하게 되므로, 프레스절곡시 간섭에 의한 불량품 발생의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곡턱의 각도에 따라 절곡량과 절곡각도가 조절되므로 탑포일을 균일하게 절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곡턱과 프레스부가 탈착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절곡량과 절곡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탑포일의 절곡 전후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포일 절곡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탑포일 절곡기를 이용하여 탑포일을 절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탑포일이 안착금형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안착금형이 베이스금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지렛대를 이용하여 래디얼 탑포일을 예비절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7a은 베이스금형에 커버금형을 결합하여 래디얼 탑포일을 프레스절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b는 베이스금형에 커버금형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탑포일 절곡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래디얼 탑포일의 절곡 전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절곡전의 래디얼 탑포일(10a)은 곡면형으로 형성된다. 래디얼 탑포일은 래디얼 에어포일 베어링에 장착되기 위해 곡면의 일단이 절곡되어야 한다. 절곡후의 탑포일(10b)은 곡면의 일단이 절곡되어 있으므로, 래디얼 에어포일 베어링의 회전체와 접촉되도록 상기 래디얼 에어포일 베어링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래디얼 탑포일의 크기가 수작업으로 절곡 가능한 크기인 경우에는 절곡금형에 탑포일을 삽입 후 압착하여 절곡할 수 있으나, 래디얼 탑포일의 크기가 Ø30(내직경의 크기가 30㎜) 또는 그 이하로써 상대적으로 소형인 경우에는 일반적인 절곡금형에 안착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압착과정에서 절곡금형과 래디얼 탑포일 간의 간섭이 일어나 절곡과정에서 래디얼 탑포일이 찌그러거나 절곡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절곡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수작업으로 소형 래디얼 탑포일을 절곡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포일 절곡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탑포일 절곡기(100)는 곡면의 래디얼 탑포일을 장착하여 예비절곡과 프레스절곡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착금형(110), 베이스금형(120) 및 커버금형(130)을 포함한다.
안착금형(110)은 래디얼 탑포일이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된다. 래디얼 에어포일 베어링에 장착되는 래디얼 탑포일은 곡면형으로 형성되므로, 안착금형(1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금형(110)의 외주면에는 절곡하고자 하는 래디얼 탑포일보다 넓을 폭의 홈(111)이 형성된다. 홈(111)은 래디얼 탑포일을 프레스 절곡하기 전 예비절곡하기 위해 삽입되는 지렛대의 일단을 지지한다.
안착금형(110)의 양 단부에는 결합홀(112)이 형성된다. 체결부재(113)는 상기 결합홀(112)을 관통하여 베이스금형(120)에 형성되는 결합홈(122)에 체결됨으로써 안착금형(110)이 베이스금형(12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안착금형(110)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시킨다.
베이스금형(120)은 안착금형(110)이 장착되도록 수용부(121)를 구비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금형(110)의 단면적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수용부(121)는 안착금형(1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결합홈(122)은 안착금형(110)이 수용부(121)에 장착되었을 경우 결합홀(112)과 대응되도록 상기 수용부(12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수용부(121)는 안착금형(110)의 장착시 상기 안착금형(1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21)의 주위에는 베이스금형(120)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되어 단차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지게 형성되는 부분은 상기 안착금형(110)을 수용부(1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절곡턱(123)은 상기 수용부(121)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금형(120)으로부터 돌출된다. 절곡턱(123)은 래디얼 탑포일의 절곡각도 및 절곡형상을 제공하고 래디얼 탑포일은 절곡턱(123)의 형상을 따라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절곡턱(123)의 모서리 각도와 형상은 래디얼 탑포일의 절곡하고자 하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절곡턱(123)은 베이스금형(1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절곡턱(123)은 교체가 가능하므로 래디얼 탑포일의 절곡량과 절곡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베이스기둥(124)은 베이스금형(12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베이스기둥(124)은 커버금형(130)의 결합시 상기 커버금형(130)에 형성되는 커버홈(132)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금형(120)과 커버금형(130)이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재(125')는 안착금형이 베이스금형에 장착되었을 경우 상기 안착금형(110)을 감싸는 래디얼 탑포일에 접촉되어 상기 래디얼 탑포일을 고정시킨다. 래디얼 탑포일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안착금형(110)은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구비하므로 래디얼 탑포일이 안착금형(11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안착금형(110)의 외주면에서 회전하여 절곡하고자 하는 위치의 변경이 발생하게 되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고정부재(125')는 안착금형을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금형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고정홀(125)을 관통하여 안착금형(110)을 감싸는 래디얼 탑포일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래디얼 탑포일의 회전을 방지한다.
커버금형(130)은 베이스금형(120)을 덮도록 형성된다. 커버금형(130)에는 베이스기둥(12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기둥(124)에 대응되는 커버홈(132)이 형성된다. 베이스기둥(124)과 커버홈(132)은,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면의 네 귀퉁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프레스부(131)는 절곡턱(123)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베이스금형(120)을 마주하는 면에 배치된다. 베이스금형(120)에 커버금형(130)이 결합시 프레스부(131)는 절곡턱(123)에 포개지도록 형성되고 절곡턱(123)의 형상을 따라 절곡될 수 있도록 래디얼 탑포일을 가압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에서 도 2에 도시된 탑포일 절곡기(100)를 이용하여 래디얼 탑포일을 절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탑포일 절곡기(100)를 이용하여 래디얼 탑포일을 절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래디얼 탑포일을 절곡하기 위해서는 우선 래디얼 탑포일을 안착금형에 안착시킨다(S100). 래디얼 탑포일을 안착금형에 안착시키는 단계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래디얼 탑포일(10)이 안착금형(110)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래디얼 탑포일(10)은 곡면형으로 형성되므로 안착금형(110) 또한 래디얼 탑포일(10)이 외주면을 감싸도록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된다. 도 4의 경우 안착금형(110)과 래디얼 탑포일(10)을 구별하기 위해 래디얼 탑포일(10)의 크기가 안착금형(110)보다 크게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래디얼 탑포일(10)이 고정되기 위해 안착금형(110)의 내직경이 래디얼 탑포일(10)의 내직경보다 커야 한다. 예를 들어, 절곡하고자 하는 래디얼 탑포일(10)의 내직경이 Ø10(10㎜)인 경우, 안착금형(110)에서 상기 래디얼 탑포일에 의해 감싸지는 부분의 내직경은 Ø12(12㎜)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안착금형(110)이 외주면에 장착된 래디얼 탑포일(10)을 벌리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래디얼 탑포일(10)은 안착금형(1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안착금형(110)의 내직경 크기는 절곡하고자 하는 래디얼 탑포일(1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래디얼 탑포일(10)을 절곡할 수 있다.
래디얼 탑포일(10)은 예비절곡을 위해 적어도 일부가 홈(111)의 입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금형(110)에 안착된다. 래디얼 탑포일(10)의 곡면 중 홈(111)의 입구에 위치하는 부분은 결과적으로 예비절곡 및 프레스절곡 되는 부분이므로, 래디얼 탑포일(10)의 절곡위치는 상기 래디얼 탑포일(10)이 상기 안착금형(110)을 감싸는 부분이 어디냐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따라 안착금형(110)의 외주면 둘레를 이용하면 래디얼 탑포일(10)의 절곡길이를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래디얼 탑포일을 안착금형에 안착시킨 다음 상기 안착금형을 베이스금형의 수용부에 장착시킨다(S200). 안착금형을 수용부에 장착하는 단계에 대하여는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안착금형(110)이 베이스금형(12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베이스금형(120)은 수용부(도 2 참조)에 인접한 부분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을 마주하는 위치에 절곡턱(123)이 배치된다. 수용부는 상기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과 절곡턱(123) 사이에 형성되며, 안착금형(110)은 수용부에 장착되어 체결부재(113)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베이스금형에 고정된다.
안착금형(110)의 홈(111)은 베이스금형(120)에 장착시 절곡턱(123)을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안착금형(110)에 안착되어 있는 래디얼 탑포일(10)의 일면은 홈(111)을 바라보고, 타면은 절곡턱(123)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래디얼 탑포일(10)의 절곡위치는 상기 래디얼 탑포일(10)이 상기 안착금형(110)을 감싸는 위치에 따라 결정되므로, 래디얼 탑포일(10)이 안착금형(110)의 외주면에서 회전을 하면 균일한 절곡이 이루질 수 없다. 고정볼트(125')는 수용부 주위에 단차진 부분에 형성된 고정홀(125)을 관통하여 래디얼 탑포일(10)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볼트(125')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홀(125)의 내주면(미도시)에는 나사골이 형성되어 고정볼트(125')가 고정홀(125)에 단단히 결합되고 이에 따라 고정볼트(125')는 래디얼 탑포일(10)의 위치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고정볼트(125')의 소재는 래디얼 탑포일(10)의 외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높은 마찰계수는 가져 고정부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고무, 아크릴 등과 같은 수지가 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안착금형을 베이스금형의 수용부에 안착시킨 다음에는 지렛대를 이용하여 래디얼 탑포일을 예비절곡한다(S300).
래디얼 탑포일을 예비절곡하는 단계에 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지렛대(140)를 이용하여 래디얼 탑포일(10)을 예비절곡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안착금형(110)에는 베이스금형(120)에 장착되었을 때 절곡턱(123)을 마주하는 홈(111)이 형성된다. 홈(111)에 지렛대(140)를 삽입하여 상기 지렛대(140)의 일단은 상기 홈(1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타단은 절곡턱(123) 방향으로 가압하여 안착금형(110)을 감싸고 있는 래디얼 탑포일(10)이 절곡턱(123)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한다. 래디얼 탑포일(10)은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절곡턱(123)의 모서리와 접촉하는 부분에 절곡위치가 형성되고, 각지게 형성된 상기 절곡턱(123)의 형상을 따라 절곡된다. 다만, 예비절곡은 지렛대(140)를 이용해 절곡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소형인 래디얼 탑포일에 완전한 소성변형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탑포일 절곡기로 절곡하고자 하는 래디얼 탑포일(10)은 내직경의 크기가 Ø30(30㎜) 이하로써 상대적으로 소형이므로 일반적인 절곡기 또는 일반적인 프레스 절곡으로는 절곡기와 탑포일, 프레스와 탑포일 사이에 간섭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래디얼 탑포일(10)이 원하는 형상이나 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지 않고, 반대방향으로 절곡되거나 균일한 절곡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래디얼 탑포일(10)이 찌그러져 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탑포일 절곡기는 프레스 절곡 전에 미리 래디얼 탑포일(10)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예비절곡함으로써 래디얼 탑포일(10)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비절곡은 프레스절곡시 절곡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균일하게 절곡할 수 있도록 하는 바탕이 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래디얼 탑포일을 예비절곡한 다음에는 베이스금형에 커버금형을 결합시켜 래디얼 탑포일을 프레스절곡한다(S400).
래디얼 탑포일을 프레스절곡하는 단계에 대하여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은 베이스금형(120)에 커버금형(130)을 결합하여 래디얼 탑포일(10)을 프레스절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b는 베이스금형(120)에 커버금형(13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안착금형(110)을 감싸도록 상기 안착금형(110)에 안착된 래디얼 탑포일(10)은 이미 예비절곡 단계를 거쳤으므로, 일단이 절곡턱(123) 방향으로 어느정도 절곡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면에서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듯이 예비절곡을 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프레스부(131)와의 간섭 현상은 예비절곡을 함으로써 제거된 상태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프레스절곡은 커버금형(130)으로 베이스금형(120)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금형(120)에 상기 커버금형(130)을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기둥(124)은 커버홀(132)에 삽입되고, 프레스부(131)는 홈(111)과 절곡턱(123)에 포개어진다. 커버금형(130)으로 베이스금형(120)을 가압함으로써, 프레스부(131)는 래디얼 탑포일(10)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래디얼 탑포일(10)은 절곡턱(123)의 형상을 따라 프레스절되어 절곡이 완성된다.
프레스절곡 후 커버금형(130)을 베이스금형(120)으로부터 분리하고, 안착금형(110)을 베이스금형(120)으로부터 분리하여 래디얼 탑포일(110)을 상기 안착금형(110)으로부터 추출하면, 도 1에 도시된 절곡후의 래디얼 탑포일(10b)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탑포일 절곡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7)

  1. 탑포일이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안착금형;
    상기 안착금형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안착금형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금형;
    상기 베이스금형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탑포일의 절곡시 절곡 형상을 제공하도록 상기 탑포일과 접촉되는 부분이 각지게 형성되는 절곡턱; 및
    상기 베이스금형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곡턱을 덮도록 돌출되는 프레스부를 구비하여 상기 탑포일을 상기 절곡턱의 형상에 따라 프레스절곡하도록 형성되는 커버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포일 절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금형은,
    상기 베이스금형에 장착시 상기 절곡턱을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탑포일을 상기 절곡턱 방향으로 예비절곡하기 위해 삽입되는 지렛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포일 절곡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금형의 양 단부에는 상기 안착금형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금형에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금형은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금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포일 절곡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포일의 정해진 위치에 절곡부위가 형성되도록 상기 탑포일에 접촉되어 상기 탑포일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포일 절곡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베이스금형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탑포일에 접촉되는 수지 소재의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포일 절곡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금형은 상기 커버금형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베이스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금형은 상기 베이스금형에 결합시 정해진 위치에 결합되도록 상기 베이스기둥에 대응되는 커버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포일 절곡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턱 및 상기 프레스부는 각각 상기 베이스금형 및 상기 커버금형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포일 절곡기.
KR20130135603A 2013-11-08 2013-11-08 탑포일 절곡기 KR101473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5603A KR101473733B1 (ko) 2013-11-08 2013-11-08 탑포일 절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5603A KR101473733B1 (ko) 2013-11-08 2013-11-08 탑포일 절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733B1 true KR101473733B1 (ko) 2014-12-18

Family

ID=5267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5603A KR101473733B1 (ko) 2013-11-08 2013-11-08 탑포일 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7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665B1 (ko) 1996-11-27 1999-12-15 정몽규 수지 및 석고모델 외곽통 r벤딩 장치
JP2002248521A (ja) 2001-01-08 2002-09-03 Amada Europ シート金属を曲げるためのプレスと関連づけられたシートメタルフォロア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665B1 (ko) 1996-11-27 1999-12-15 정몽규 수지 및 석고모델 외곽통 r벤딩 장치
JP2002248521A (ja) 2001-01-08 2002-09-03 Amada Europ シート金属を曲げるためのプレスと関連づけられたシートメタルフォロ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2398B2 (ja) 回転鍛造用金型
US9574609B2 (en) Superfinishing machine, superfinishing method and outer ring of bearing having superfinished raceway surface
US8458902B2 (en) Method of forming cam shaft
US8997542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up-shaped member
WO2014192556A1 (ja) 線引き装置
KR101473733B1 (ko) 탑포일 절곡기
JP5835800B2 (ja) 軸受組付け装置
JP6012036B2 (ja) ピストンの組付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ガイド治具
JP6648693B2 (ja) 軸受装置の製造方法
JP5393580B2 (ja) 円弧状レールの製造方法
US20150059427A1 (en) Die for reducing springback and process thereof
JP2015190479A (ja) ねじ部材の固定方法
KR101641933B1 (ko) 판재의 엣지 롤링 장치 및 방법
KR101432537B1 (ko) 스러스트 에어포일 베어링의 탑포일 절곡방법
KR101869650B1 (ko) 베어링 분리 장치
KR102098984B1 (ko) 고정 요소들을 갖는 클램핑 네스트
KR20130098349A (ko) 경사진 고정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리벳 및 그의 방법
JP2006142364A (ja) カシメ装置
JP2009172671A (ja) プレス加工方法、及びプレス機
TWM330872U (en) Stamping die featuring compression deformation effect
JP5213786B2 (ja) オイルパン取付方法
JP2010094720A (ja) 逐次成形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10172933A (ja) カリバーロールのセットアップ方法
JP5773157B2 (ja) マスキング方法およびマスキング装置
JP5601712B2 (ja) 軸受組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