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618B1 - 포장박스의 포밍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박스의 포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618B1
KR101473618B1 KR1020140100417A KR20140100417A KR101473618B1 KR 101473618 B1 KR101473618 B1 KR 101473618B1 KR 1020140100417 A KR1020140100417 A KR 1020140100417A KR 20140100417 A KR20140100417 A KR 20140100417A KR 101473618 B1 KR101473618 B1 KR 10147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ox
opening
folding
guide rail
w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양운
Original Assignee
주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양운 filed Critical 주양운
Priority to KR102014010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0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olding-down preformed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상하측에 형성되는 날개들을 절첩할 수 있는 포밍장치로서, 포장박스의 하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부,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포장박스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메인이송부, 포장박스 하측의 측면날개를 절첩시키는 측면절첩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상측에서 하방 이동되어 포장박스에 대해 하방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상측작동부를 포함하는 포장박스의 포밍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각각의 포장박스 날개들의 절첩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박스의 포밍장치{FORMING DECIVE FOR 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이로 된 박스에 제품을 수용한 상태에서 박스를 자동으로 접어서 배출되도록 하는 포장박스의 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텔레비젼, 휴대폰 또는 카메라 등의 제품들은 생산라인으로부터 생산이 완료되면 일정한 크기의 종이박스에 수납되고 포장되어 출하가 이루어진다. 과거에는 이러한 종이박스에의 수납 및 밀봉 공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였으나 제품의 생산 속도와 효율성의 요청에 따라 종이박스를 자동으로 접어주는 등의 포장장치가 자동화의 요청이 증가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포장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러한 포장박스는(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제품을 수용하는 몸체와 상하측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는 복수의 날개로 이루어지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측면날개(11)와 전후방으로 접히는 전방날개(12) 및 후방날개(13)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도시사항의 박스는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형태의 포장박스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경우 특히 각 날개를 접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수작업으로 제함을 수행하기 위하여서는 제품을 수용한 상태에서 통상 바닥면에 하측을 지지하고 상측의 날개를 접은 이후 이를 뒤집어 다시 하측의 날개를 접어 테이핑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박스 몸체나 날개의 휘어짐이나 절곡면이 형성되는 문제를 가진다.
자동화장비를 구축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하측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이송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후방날개와 측면날개를 상하측에서 함께 제함할 수 있는 구조의 조합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하여 사실상 자동 제함기의 경우도 접는 공정 중에서 일부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밖에 없고 별도의 장비나 인력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므로 이는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하측이 개방되어 제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포장박스의 이송 및 상하측에서의 제함이 완전하게 수행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포장박스의 포밍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상하측에 형성되는 날개들을 절첩할 수 있는 포밍장치로서, 포장박스의 하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부,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포장박스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메인이송부, 포장박스 하측의 측면날개를 절첩시키는 측면절첩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상측에서 하방 이동되어 포장박스에 대해 하방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상측작동부를 포함하는 포장박스의 포밍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각각의 포장박스 날개들의 절첩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포밍위치에서 포장박스를 지지하는 지지가이드부와, 상기 지지가이드부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개방구간을 개폐하여 포장박스의 하측의 전후방날개를 절첩시키는 전방개폐부 및 후방개폐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전방개폐부의 전방측이 힌지결합되는 전방레일부 및 후방개폐부의 후방측이 힌지결합되는 후방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장박스가 메인이송부에 의하여 포밍위치에 배치되면 상측작동부가 하방이동되어 포장박스의 전후방날개가 개방구간에 삽입되어 전방개폐부 및 후방개폐부에 의하여 절첩된 이후에, 측면절첩부에 의하여 측면날개가 절첩될 수 있다.
또한, 상측작동부는 전방측에 배치되고 후방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상향 경사진 형태의 양측의 절곡판재와, 절곡판재의 사이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중심돌부를 포함하는 인입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판재는 포장박스의 이송과정에서 상측의 측면날개를 절첩하고, 상기 중심돌부는 포장박스의 이송과정에서 상측의 후방날개를 절첩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측의 날개가 하나의 공정에서 절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이송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포장박스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포밍장치는 종래에 포장박스의 상하측에 형성되는 날개들이 제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하나의 공정에서 절첩되기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하고 수평 및 수직의 각각의 구성들의 작동을 통하여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포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하측의 가이드레일부에서 개방구간의 개폐동작을 통하여 전후방날개의 절첩과 측면날개의 절첩을 효과적으로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돌고 함으로써 최적화된 포밍공정을 제공하며, 상하측의 전후방날개와 측면날개들의 절첩 과정을 이송공정과의 사이에서 각각의 공정의 진행의 중단 없이 효과적인 순서로서 진행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포밍 속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포장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포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포장박스의 포밍장치의 작동순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포밍장치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포밍장치를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가이드레일부만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포밍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포밍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포밍장치에 대한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종이재 등의 절첩 가능한 날개를 가지는 박스에 대한 제함의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며,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에 포함되지는 않았으나 테이핑이나 실링 등의 공정을 통하여 밀봉하는 공지의 구성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포밍의 대상이 되는 포장박스(10)는 도 1의 도시사항을 기초로 하며, 평면상 장방형의 수용공간과 상하측에 각각 전방날개(12), 후방날개(13) 및 측면날개(11)를 구비하는 경우라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포장박스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사항을 기준으로 포장박스(10)가 인입되는 측을 전방으로, 이에 대향되어 인출되는 측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포밍장치는 기본적으로 포장박스(10)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되는 가이드레일부(2000)와, 상기 가이드레일부(2000)의 양측에서 포장박스(10)의 측면에 대해 이송 동력을 제공하는 메인이송부(1000)와, 포장박스(10)의 양측의 측면날개를 접도록 기능하는 측면절첩부(3000)와, 가이드레일부(2000)의 상측에서 상하 이송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포장박스(10)에 대해 하방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상측작동부(4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포장박스(10)는 내부에 물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완전하게 제함이 이루어지지 않은, 즉 상하측의 각 날개들이 절첩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어 포장박스의 포밍장치를 통하여 각 날개들의 자동적인 절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포장박스(10)의 내부에 제품이 수용된 상태를 기본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품은 티비나 컴퓨터 등의 완제품이나 반가공 또는 성형 재료 등의 다양한 출하가 가능한 상태의 물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포장박스의 포밍장치에서 포장박스는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지 않은 채로 제함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이드레일부(2000)는 전체적으로 상면이 전후방으로 긴 형태의 평판 형태를 이루면서 포장박스(10) 내지는 포장박스에 수용되는 제품의 저면을 지지하여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가이드레일부(2000)는 전체의 길이가 연속적으로 평판을 이루지는 않으며 후술될 바와 같이 전방날개(12)와 후방날개(13)의 절첩을 위한 소정의 개방공간과 개폐부를 구비하게 된다.
메인이송부(1000)은 가이드레일부(2000)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포장박스(10)가 가이드레일부(2000)에 하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양측에 마찰력을 통하여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능하는데, 이러한 메인이송부(1000)의 포장박스(10)의 접촉부위는 연속적인 작동과 제어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벨트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인이송부(1000)는 포장박스(10)가 전방측에서 가이드레일부(2000)의 포밍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이후에, 포밍이 이루어지고 난 이후에 후방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이송 동력을 제공하는데, 포밍의 위치에서 메인이송부(1000)에 의한 이송동력의 제공은 중단되게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포밍의 과정이 후술될 바와 같이 상측작동부(4000)에 의한 하방으로의 압력의 제공에 의하여 제품이 포장박스(10)의 수용부의 정확한 위치에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후방날개와 측면날개가 절첩되므로 포장박스(10)와 메인이송부(1000) 간의 마찰력의 제공이 가능한 밀착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인이송부(1000)는 포장박스의 포밍위치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측면절첩부(3000)는 포밍위치에서 포장박스(10)의 하측의 측면날개(11)를 중심측 즉, 내측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양측에서 내측으로 이송되는 측면브라켓부(3100)를 구비하며, 이러한 측면브라켓부(3100)의 전후방의 길이는 측면날개(11)의 길이에 대응되거나 그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브라켓부(3100)의 양측으로의 이송동작을 위하여 측면구동부(3200)가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동부는 작동 형태에 따라 다양한 공지의 구동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데, 유압, 공압 또는 전자기력에 의한 다양한 작동방식을 불문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2000)를 상측에서 마주보는 형태로서 상측작동부(4000)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이러한 상측작동부(4000)는 상하이송부(4200)가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측구동부(4300)에 결합된다.
상기 상하이송부(4200)는 하방으로 포장박스(10)에 압력을 제공하여 제품이 포장박스(10)의 내부에서 정확한 수용공간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포장박스의 날개의 제함이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측작동부(4000)는 포장박스(10)의 상측의 측면날개를 절첩된 상태로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구조의 단순성을 고려하여 하측의 절첩 구조와는 달리 인입 과정에서 절첩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전방측에 인입가이드부(410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입가이드부(4100)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상향 경사진 형태의 양측의 절곡판재(참조번호 미표시)와, 중심측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중심돌부(참조번호 미표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한 상측의 날개들의 절첩 과정을 살펴보면, 양측의 측면날개(11)와 후방날개(13)가 대략 직립된(또는 완전히 절첩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입가이드부(4100)에 접촉되면 중심돌부에서 후방날개(13)가 전방측으로 절첩되고 이송 과정에서 양측날개가 절곡판재에 의하여 중심측으로 절첩이 이루어지면서 측면날개들의 외면이 상하이송부(4200)이 저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방날개(12)의 절첩은 구조의 단순성을 고려하여 조작자에 의한 투입동작과 함께 파지 과정에서 손가락을 통하여 먼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시적인 절첩에 의한 제함이란 반드시 각각의 날개의 절첩이 순간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각각의 날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절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시적의 의미는 포장박스의 포밍장치에 위치되어 인출되기까지 과정 이내에 함께 절첩이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제함이 짧은 시간에 함께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부(2000)가 상면이 연결된 평판 형상의 레일로서 이루어지는 경우는 하측의 전후방날개의 절첩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상측작동부(4000)의 작동에 의하여 제품이 포장박스(1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측면날개는 가이드레일부(2000)의 상면의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하방 이동될 수 있으나 전방날개 또는 후방날개의 절첩방향을 결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를 고려하여 포밍위치에서 전방날개(12)와 후방날개(13)가 배치되는 측에는 소정의 개방구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개방구간에서 전방날개(12)와 후방날개(13)를 각각 절첩할 수 있도록 전방개폐부(2220)와 후방개폐부(232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방개폐부(2220)와 후방개폐부(2320)는 각각 전방구동부(2210)와 후방구동부(2310) 의하여 최소한 일부분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개폐부(2220)는 가이드레일부(2000)의 전방측 개방구간에서 전방 단부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후방측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후방개폐부(2320)는 가이드레일부(2000)의 후방측 개방구간에서 후방 단부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전방측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된 본 발명의 기본적이 구조에 따라 포장박스가 포밍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포장박스(10)에 제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부(2000)의 전방측으로 투입되면 도 3의 (a)와 같이 메인이송부(1000)와 포장박스(10)의 측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후방측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이송은 가이드레일부(2000)의 레일 형태의 상면을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도시사항과 같이 포장박스(10)가 포밍위치, 더욱 정확하게는 포장박스(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전방날개(12)와 후방날개(13)가 개방구간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면, 도 3의 (b)와 같이 메인이송부(1000)가 양측으로 각각 이송되면서 포장박스(10)로부터 이격되고 포밍,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측의 날개들의 절첩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도 3의 (c)는 포장박스 하측의 전후방날개가 절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하측의 전방날개(12)와 후방날개(13)의 절첩은 개방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전방개폐부(2220) 및 후방개폐부(2320)의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개폐부(2220)와 후방개폐부(2320)는 도 3의 (d) 및 (e)에서와 같이 포장박스(10)의 측면날개의 절첩 및 인출이송 과정에서 포밍된 포장박스(10)의 인출 가이드를 위하여 상방 회동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d)는 포장박스 하측의 측면날개가 절첩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메인이송부(1000)의 하측에서 각각 측면날개를 지향하여 배치되는 측면절첩부(3000)는 중심측으로 이동되면서 전후방날개의 절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측면날개를 완전히 덮도록 함으로써 포밍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측면날개의 절첩 과정에서 메인이송부(1000)는 포장박스(1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으나, 이송 공정의 신속성을 고려하여 측면절첩부(3000)의 작동과 함께 메인이송부(1000)도 내측으로 이동되어 포장박스(10)에 밀착됨으로써 인출이송을 위한 준비가 미리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의 (e)는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이송의 과정은 도 3의 (a)에 대응된다. 다만, 여기서 전방개폐부(2220)와 후방개폐부(2320)는 절첩상태의 유지를 위하여 개방구간을 폐쇄하여 전체적으로 가이드레일부(2000)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한편, 여기서 상측작동부(4000)의 작동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도 3의 (b)와 같이 포장박스(10)와 메인이송부(1000) 간의 마찰력 제공 상태가 해제되면 상하이송부(4200)가 상측구동부(4300)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송되어 포장박스(10)에 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최초 투입과정에서 포장박스(10)에 제품이 수용된 상태로 인입가이드부(4100)를 따라 이송되면서 포장박스(10)의 상측의 날개들은 절첩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포밍위치로 위치되는데, 제품은 하측으로 치우친 상태로서 하방의 절첩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진다. 즉, 제품의 저면과 하측의 날개들의 하단부들이 실질적으로 높이가 일치된 상태로 가이드레일부(2000)를 따라 이송된 상태이다.
포밍위치에서 상하이송부(4200)에 의한 압력이 제공되면 제품의 저면이 가이드레일부(2000), 더욱 정확하게는 가이드레일부(2000)의 중심측의 고정 부위인 지지가이드부(210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압력을 받아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가이드레일부(2000)의 상면보다 전방날개(12), 후방날개(13) 및 측면날개(11)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전방개폐부(2220), 후방개폐부(2320) 및 측면브라켓부(3100)에 의한 절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방날개(12)와 후방날개(13)는 개방구간의 사이로 하향 이동됨을 예측할 수 있다. 전방개폐부(2220)와 후방개폐부(2320)의 상면에 의한 전방날개(12)와 후방날개(13)의 절첩을 위하여 상기 지지가이드부(2100)가 정확하게 제품의 전후방길이에 대응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지지가이드부(2100)는 제품 또는 포장박스(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포밍장치의 정면도이다.
상기된 전체적인 구성들은 메인프레임(100)에 의하여 지지되며, 도시사항에서 정면상 메인프레임(100)은 대략 사각 형태로 구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프레임(100)의 하측 중심에는 전후방을 따라 긴 형태로서 가이드레일부(2000)가 구비되며, 전방날개(12)의 개폐를 위한 전방개폐부(2220)와 전방구동부(221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부(2000)의 상측에는 상측작동부(4000)가 배치되어 포장박스(10)의 상면을 마주보는 상태로서 배치되며, 상하이송부(4200)의 상하 이송을 위하여 상측구동부(4300)가 고정되어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러한 상측구동부(4300)는 소정의 로드(참조번호 미표시)에 의하여 상하이송부(4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포장박스(10)를 양측에서 마주보는 상태로 메인이송부(1000)가 배치되며, 이러한 메인이송부(1000)의 높이는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된 설명에서는 메인이송부(1000)가 대략 포장박스(10)의 하측의 측면에 밀착되는 경우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4의 예와 같이 포장박스(10)의 높이의 중심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이송부(1000)의 연속적인 작동, 즉 연속적인 포밍 대상이 되는 포장박스(10)의 투입에의 대응을 위하여 각각의 메인이송부(1000)는 벨트부(110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하여 이송구동부(1110)가 상기 벨트부(1100)에 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작동부(4000)의 작동에 의한 포밍의 과정을 위하여 양측의 메인이송부(1000)가 포장박스(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수평구동부(1120)가 벨트부(1100)가 배치되는 측을 양측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메인이송부(1000)의 하측에는 하측의 측면날개(11)의 절첩을 위한 구성인 측면절첩부(3000)가 형성되며, 이러한 측면절첩부(3000)는 메인이송부(1000)와 독립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절첩부(3000)는 측면날개의 길이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측면브라켓부(3100)와 측면브라켓부(3100)를 양측방향으로 수평이동 시킬 수 있는 측면구동부(3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브라켓부(3100)는 선택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정면상 내측 단부가 더 하방으로 형성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포밍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각의 구성과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가이드레일부(2000)는 전후방으로 긴 레일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중심측에는 포밍위치에서 포장박스의 고정 및 이송 가이드를 위한 지지가이드부(2100)가 배치되고 그 전후방측으로 전후방날개의 삽입 및 개폐부의 작동을 위한 개방구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방구간의 전방에는 전방레일부(2200)가 형성되어 이송을 보조하고, 마찬가지로 개방구간의 후방에는 후방레일부(23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레일부(2200)와 후방레일부(2300)는 각각 후방측 및 전방측에서 전방개폐부(2220)와 후방개폐부(2320)가 힌지결합되고, 이러한 전방개폐부(2220)와 후방개폐부(2320)의 회동을 위하여 전방구동부(2210)와 후방구동부(2310)가 연결된다.
도시사항과 같이 전후방구동부(2210, 2310)는 전방개폐부(2220)와 후방개폐부(2320)에 소정의 힌지부위에 연결되어 로드를 인입출하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메인이송부(1000)는 벨트부(1100)와 벨트부(1100)를 회전시키는 이송구동부(1110)를 구비하며 이송작동에 관하여는 상술하였다.
이러한 구조의 상측에는 상측작동부(4000)가 구성되며, 상하이송부(4200)는 저면이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측의 상측구동부(4300)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송되어 박스의 포밍을 위한 압력의 제공 및 고정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하이송부(4200) 메인이송부(1000)에 의한 인출이송이 완료되면 다시 상방으로 이동되어 다음 포장박스(10)를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작동부(4000)는 구조의 단순성을 고려하여 날개들의 절첩을 위한 구조가 하측의 구조와는 달리 구성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하이송부(4200)의 전방측에는 인입가이드부(4100)가 배치되고, 이러한 인입가이드부(4100)는 양측의 절곡판재가 측면날개를 절첩하고 절곡판재의 사이의 중심돌부가 후방날개를 절첩하여 이송과정에서 절첩이 완료된 상태로 상하이송부(4200)의 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절첩상태의 유지 및 밀착성을 고려하여 상기 상하이송부(4200)의 전방측에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안내브라켓(42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포밍장치에서 가이드레일부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러한 가이드레일부(2000)는 하측에서 측면절첩부(3000)의 작동을 고려하여 상하 두께가 폭에 비하여 작은 평판 형태의 부재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측에는 지지가이드부(2100)가 배치되어 포밍위치에서의 지지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지지가이드부(2100)와 전방레일부(2200)의 사이의 개방구간에는 전방개폐부(2220)의 전단측이 전방레일부(2200)의 후단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고, 지지가이드부(2100)와 후방레일부(2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구간에는 후방개폐부(2320)의 후단측이 후방레일부(2300)의 전단측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될 수 있다.
상기된 전방구동부(2210)와의 연결을 위하여 전방개폐부(2220)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전방브라켓부(2221)가 배치되고, 후방구동부(2310)와의 연결을 위하여 후방개폐부(2320)는 하측으로 후방브라켓부(3100)가 연장된다.
한편, 이러한 개방구간의 길이의 조절을 위하여 간극조정부(2110)가 지지가이드부(2100)로부터 인입출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간극조정부(2110)의 배치는 도시사항에서는 지지가이드부(2100)의 후방측에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고 각각의 길이나 인출 가능한 거리는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포밍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상측작동부(4000)는 가이드레일부(2000)를 마주본 상태에서 상측에 배치되고 평면상 이를 사이에 두고 메인이송부(1000)가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측작동부(4000)로의 투입 및 절첩의 기능을 위하여 인입가이드부(4100)가 배치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고, 메인이송부(1000)의 전방측에도 투입시의 가이드를 위한 안내부(1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부(1200)는 벨트부(1100)의 전방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투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밍위치로의 위치상태 및/또는 포장박스(10)의 배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센서부(51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부(5100)는 메인이송부(1000)의 상측에서 상호간에 마주보는 형태로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5100)는 다양한 방식의 공지의 센싱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제조상의 편의성과 작동의 확실성을 고려하여 광센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동부의 작동과 센서부의 감지신호 등의 연동 작동을 위하여 제어부(50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포밍장치는 종래에 상하측에 형성되는 날개들이 제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하나의 공정에서 절첩되기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하고 수평 및 수직의 각각의 구성들의 작동을 통하여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포밍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하측의 가이드레일부에서 개방구간의 개폐동작을 통하여 전후방날개의 절첩과 측면날개의 절첩을 효과적으로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돌고 함으로써 최적화된 포밍공정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측의 전후방날개와 측면날개들의 절첩 과정을 이송공정과의 사이에서 각각의 공정의 진행의 중단 없이 효과적인 순서로서 진행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포밍 속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포장박스 11...측면날개
12...전방날개 13...후방날개
100...메인프레임 1000...메인이송부
1100...벨트부 1110...이송구동부
1120...수평구동부 2000...가이드레일부
2100...지지가이드부 2110...간극조정부
2200...전방레일부 2210...전방구동부
2220...전방개폐부 2221...전방브라켓부
2300...후방레일부 2310...후방구동부
2320...후방개폐부 2321...후방브라켓부
3000...측면절첩부 3100...측면브라켓부
3200...측면구동부 4000...상측작동부
4100...인입가이드부 4200...상하이송부
4300...상측구동부 5000...제어부
5100...센서부

Claims (6)

  1. 포장박스의 상하측에 형성되는 날개들을 절첩할 수 있는 포밍장치로서,
    포장박스의 하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부(2000);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포장박스(1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메인이송부(1000);
    포장박스 하측의 측면날개를 절첩시키는 측면절첩부(3000); 및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상측에서 하방 이동되어 포장박스에 대해 하방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상측작동부(4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의 포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포밍위치에서 포장박스를 지지하는 지지가이드부(2100)와, 상기 지지가이드부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개방구간을 개폐하여 포장박스의 하측의 전후방날개를 절첩시키는 전방개폐부(2220) 및 후방개폐부(2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의 포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전방개폐부의 전방측이 힌지결합되는 전방레일부(2200) 및 후방개폐부의 후방측이 힌지결합되는 후방레일부(2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의 포밍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포장박스가 메인이송부에 의하여 포밍위치에 배치되면 상측작동부가 하방이동되어 포장박스의 전후방날개가 개방구간에 삽입되어 전방개폐부 및 후방개폐부에 의하여 절첩된 이후에, 측면절첩부에 의하여 측면날개가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의 포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작동부는,
    전방측에 배치되고 후방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상향 경사진 형태의 양측의 절곡판재와, 절곡판재의 사이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된 중심돌부를 포함하는 인입가이드부(4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판재는, 포장박스의 이송과정에서 상측의 측면날개를 절첩하고,
    상기 중심돌부는, 포장박스의 이송과정에서 상측의 후방날개를 절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의 포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이송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포장박스의 배치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5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의 포밍장치.
KR1020140100417A 2014-08-05 2014-08-05 포장박스의 포밍장치 KR101473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417A KR101473618B1 (ko) 2014-08-05 2014-08-05 포장박스의 포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417A KR101473618B1 (ko) 2014-08-05 2014-08-05 포장박스의 포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618B1 true KR101473618B1 (ko) 2014-12-16

Family

ID=5267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417A KR101473618B1 (ko) 2014-08-05 2014-08-05 포장박스의 포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61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4968B2 (ja) 平坦な筒状小包を使用した製品梱包方法および機械
EP2287076B1 (en) Machine for cartoning products
US9745146B2 (en) Conveying device
US802491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ntainer
KR101597626B1 (ko) 포장 대상물이 포장 드럼을 통과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포장하는 자동 랩핑 포장 장치
KR20010030614A (ko) 수하물 패드 제조및 포장 시스템
JP2017036079A (ja) 封函装置
KR101832936B1 (ko) 자동 교체식 테이프 공급장치
KR101473618B1 (ko) 포장박스의 포밍장치
JP6847449B2 (ja) 包装装置
EP26768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rod-shaped articles
KR102294935B1 (ko) 다열 제함기
CN110446660B (zh) 箱移动装置
CN202826511U (zh) 立体纸盒成型机的送纸装置
JP5342510B2 (ja) 遊技盤の梱包ライン
KR102330514B1 (ko) 종이 커버 자동 공급형 계란 포장 장치
ITMI20112359A1 (it) Macchina verticale per imballaggio con cambio formato rapido e procedimento di funzionamento
KR101961225B1 (ko) 상자 내 제품자동투입장치
JP5430135B2 (ja) 物品投入装置
KR101473619B1 (ko) 이송경로의 개폐구조를 구비하는 자동포장장치
JP5440280B2 (ja) 袋体装填装置
KR101286955B1 (ko) 박스 상부덮개 자동 닫힘 장치
CN218401229U (zh) 纸盒的撑起模块
JP7172826B2 (ja) 製函装置および製函方法
KR101600542B1 (ko) 제함기용 박스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